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2년 국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직업군별 피폭선량

        정제호,권정완,이재기,Jeong, Je-Ho,Kwon, Jeong-Wan,Lee, Jai-Ki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0 No.4

        2002년 기준으로 국내 52733명의 방사선 작업종사자에 대해 5개 대분류와 28개의 세분류 카테고리로 나눈 직업군별 연간 피폭선량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진단용 X선 분야(치과용 포함) 종사자의 선량 통계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공하였으며 기타 종사자의 선량자료는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가 제공하였다. 직업군에 따른 선량준위별, 연령별 성별 종사자수와 연간 평균선량을 분석한 결과 거의 80% 정도의 종사자들이 연간 1.2mSv 이하로 피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총 집단선량은 66.4man-Sv로 나타났고 평균 선량은 1.26mSv였다. 직업군별로는 체내 핵의학 분야와 비 파괴검사 분야 종사자가 다른 분야에 비해 평균선량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진단용 X선 분야 종사자에게서 연간 20mSv 이상 피폭자 수가 상당하여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기의 원자력발전소 작업종사자 중에는 20mSv를 초과하는 종사자가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30대 종사자 수가 가장 많았고 20대 종사자의 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이 전체 작업종사자의 20%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피폭선량은 남성의 반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Dose distribution of Korean radiation workers classified by occupational categories was analyzed. Statistics of the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ORE) in 2002 of the radiation workers in diagnostic and dental radiolog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Food and Drug Agency(KFDA) who maintains the database for individual radiation dose records. Corresponding statistics for the rest of radiation workers were obtained by processing the individual annual doses provided by the Korea Radioisotope Association(KRIA) after dele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The ORE distribution was classified in term of 28 occupational categories, annual individual dose levels, age groups and gender of 52733 radiation workers as of the year of 2002. The total collective dose was 66.4 man-Sv and resulting average individual ORE was 1.26 mSv. Around 80% of the workers were exposed to minimal doses less than 1.2 mSv.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recorded doses exceeded 20 mSv for 43 workers in the industrial radiography and for 147 workers in the field of radiology. Particularly, recorded doses of 23 workers in radiology exceeded the annual dose limits of 50 mSv, which is extraordinary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It is uncertain whether those doses are real or caused by careless placing of dosimeters in the imaging rooms while the X-ray units are in operation. No one in the workforce of 16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 units was exposed over 20 mSv in 2002. Number of workers was the largest in their 30's of age and the mean individual dose was the highest in their 20's. Women were around 20% of the radiation workers and their average dose was around one half of that of man workers.

      • 문화콘텐츠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치적 올바름’

        정제호 ( Jeong Je-ho ) 콘텐츠문화학회 2021 콘텐츠문화연구 Vol.4 No.-

        인종과 성별, 종교, 성적 지향, 직업 등과 관련하여 소수 약자에 대한 편견이 섞인 표현을 쓰지 말자는 운동에서 시작된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은 현재 인터넷 게시판에서 다른 의도와 목적으로 회자되는 편이다. 차별에 대한 반대 운동이었던 정치적 올바름은 문화콘텐츠 시장의 주요한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 모두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애니메이션 시장에서는 과거부터 이어오던 전통적인 주인공 여성의 외형을 탈피하여 유색인종으로 설정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영화, 게임 시장에서도 주인공 캐릭터로 소외되었던 유색인종, 여성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성적 소수자성 역시 적극적으로 개입시키는 등의 변화를 만들어 냈다. 이런 변화는 평단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내기도 했지만, 많은 대중들이 거부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대중들의 거부감은 익숙한 소재에서의 탈피에 원인이 있기도 하지만, 그보다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정치적 올바름의 상황에 대한 혐오에 원인을 두기도 한다. 맥락과 무관하게 쓰였다고 여겨지는 캐릭터, 소재들에서 대중들은 차별에 대한 반대를 읽은 것이 아니라, 상업주의에 영합하는 콘텐츠 기업들의 전략적 선택만을 느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이와 같은 ‘정치적 올바름’의 추구를 거두어들일 수는 없다. 우리가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것은 그런 소수자들에 대한 배려와 콘텐츠 내에서의 소수자성에 대한 추구가 특별한 것이 아니라 너무도 자연스러워 그것이 ‘정치적 올바름’에 의한 것이라는 인식조차 사라질 세상이기 때문이다. 물론 오늘도 ‘정치적 올바름’은 분란의 이유일 수는 있지만, 그것조차 차별 없는 세상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라 생각해야 할 것이다. Political correctness began with the movement not to use expressions of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in relation to race and gender, religion, sexual orientation, occupation, etc. However, Internet bulletin boards are being talked about for different purposes. Political correctness is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cultural content and has shown various reactions. In the animation, the traditional female characters are removed. And the main character of the colored race takes over the place. There was also a growing interest in people of color and women in movies and games. In addition, the number of sexual minorities is increasing. The change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critics. However, the public also expresses disapproval. That's why the public's reluctance is out of the familiar. But what's bigger is that political correctness is optional. Especially in characters and materials used without context, the public feels only corporate commercialism. Of course, that doesn't mean we can give up our pursuit of political correctness. What we really need to pursue is not consideration for minorities. Beyond that, it should be able to go beyond what minorities perceive as special. For this reason, I think today's disruption of political correctness could be a step toward tomorrow.

      • KCI등재후보

        고전문학 : 오누이 대립 서사의 전개양상과 계승의 문제

        정제호 ( Je Ho Jeo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5 漢城語文學 Vol.34 No.-

        본고에서는 오누이 서사에 등장하는 오누이 대립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표적인 오누이 서사인 < 남매혼설화 >, < 오누이힘내기전설 >, < 여우누이 >, <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에는 모두 오누이 대립 서사가 존재한다. < 남매혼설화 >에서는 대홍수 후 인류절멸의 위기에서 오빠가 누이동생에게 부부가 될 것은 제안하고 이를 동생이 거부하면서 대립이 일어난다. < 오누이힘내기전설 >에서는 죽음을 건 내기를 누이동생이 제안하면서 대립이 일어난다. < 여우누이 >에서는 누이동생이 여우로 태어나 가축을 죽인다는 것을 오빠가 발견하며 대립이 시작된다. 마지막으로 < 해와 달이된 오누이 >에서는 누이동생이 계속해서 호랑이의 추격을 허용하게 하는 빌미를 작용한다는 점에서 대립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이 대립에서 승리하는 것은 모두 남성인 오빠이다. 누이동생은 모두 이 대립에서 패배하고만다. 이와 같은 오빠의 승리는 자신의 능력보다는 제 3자의 조력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특징적이다. 오누이를 둘러싼 모든 요소가 오빠의 승리를 돕는다는 것이다. 이는 오누이의 대립이 한 집안, 더 나아가 인류의 계승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계승에 있어서 그중심에 있는 오빠의 승리를 돕는 것이다. 전통사회에서 계승의 문제는 여성이 아닌 남성을 중심으로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이에 여성은 계승 문제에서 차별받고 소외된 존재로 여겨져 왔다. 이런 이유로 오누이 서사에서의 대립이 모두 오빠의 승리로 귀결되고, 남성 본위의 계승관계를 강화·확립하는 형태로 서사가 전개되었던 것이다. 오빠의 승리는 남성의 승리를 통한 사회, 체제의 안정을 말하는 것이지만, 역으로 보면 사회와 체제의 안정을 위한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집단적 폭력’이라 볼 수 있다. 즉, 공동체의 위기의 원인을 여성에게 전가하는 형태로 서사가 전개되어, 이를 극복함으로써 공동체의 평안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오누의 서사에서의 대립은 모두 오빠의 승리로 귀결되는 것이고, 이 결과 남성 본위의 계승관계를 확립 및 강화되는 형태로 전개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opposition of brother and sister. < Brother and Sister Marriage Folktale >, < Brother and Sister Competition >, < Fox Sister >, <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Sun and Moon >, all there exists opposition. However this opposition ended up finishing a victory of the brother. Because everyone helps the victory of his brother. The reason is Male-dominated order what the victory of the brother in this way. It is that Resolving the crisis in the community for men by shifting responsibility to women. Thus,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continuously maintains the order of male-centered. Discourse of sexuality is inherent in the brother and sister narrative.

      • KCI등재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여성 지위에 따른 전개 양상 고찰

        정제호(Jeong, Je-Ho)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5

        이 논문은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여성 지위에 따른 전개 양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이루어졌다.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는 동일하게 후실(後室)라는 악인형 인물이 등장한다. 하지만 <칠성풀이>에서는 후실의 지위가 처(妻)인 반면, <문전본풀이>에서는 첩(妾)에 불과하다. 이 차이는 두 신화의 전개 양상을 다르게 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칠성풀이>에서 ‘칠성님’은 ‘매화부인’을 다자출산(多子出産)했다는 이유로 소박(疎薄)하고, ‘옥녀부인’과 재혼한다. 이때 매화부인과의 관계는 일종의 이혼으로, 매화부인과의 관계가 청산되었기 때문에 옥녀부인은 처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이와 달리 <문전본풀이>에서 ‘남선비’는 ‘여산부인’과의 혼인 관계를 유지한 채 ‘노일제데귀일의 딸’을 첩으로 맞이한다. 이에 옥녀부인은 처, 노일제데귀일의 딸은 첩의 지위를 갖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지위의 차이는 아버지가 후실의 치병(治病)을 위해 자식의 목숨을 거두려 할 때 전혀 다른 대응으로 나타난다. <칠성풀이>에서는 자식들이 기꺼이 자신들의 목숨을 내어 놓는 반면, <문전본풀이>의 자식들은 적극적으로 항거한다. 이것은 <칠성풀이>의 옥녀부인은 아버지가 선택한 사람으로 처의 지위를 획득했기 때문이다. 자식들은 옥녀부인이 후실이기는 하지만 처였기 때문에 어머니로서의 예(禮)를 다해야 했다. 후실에 대한 자식들의 효행은 후실뿐만 아니라 가부장인 아버지를 향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문전본풀이>에서 노일제데귀일의 딸은 첩이었기 때문에 자식들은 죽음을 받아드리지 못하였고, 적극적으로 항거(抗拒)한다. 이에 첩을 징치(懲治)하였고, 더 나아가 노일제데귀일의 딸을 여산부인으로 오해하고, 첩을 살리기 위해 자식들에게 위해(危害)를 가한 남선비 역시 징치한다. 결국 후실의 지위 설정의 차이는 두 신화의 신격 좌정(坐定)의 형태를 다르게 구성한다. <칠성풀이>의 일곱 형제는 자신들을 죽이려한 후실에 대해 끝없는 효를 다함으로써 아버지와의 관계를 공고히 한다. 이에 후실을 징치하고, 친모를 환생시켜 기존의 가족이 회복되면서 부-자로 이어지는 ‘계승’의 관계로 신격이 전이(轉移)된다. 이와 달리 <문전본풀이>에서는 무능한 아버지와 간악한 후실을 징치하고, 부-자 관계의 ‘전복’을 통해서 신격이 전이된다. 즉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여성 지위의 차이는 신격 좌정에서 ‘계승’과 ‘전복’이라는 차이로 귀결되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different of the shape of things to co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women of <Chilseongpul-i> and <Munjeonbonpul-i>. There is the same bad person who called ‘second wife’ in <Chilseongpul-i> and <Munjeonbonpul-i>. However, her position is a real wife in <Chilseongpul-i>, her position is a concubine in <Munjeonbonpul-i>. This different is the decisive point about these two mythology. ‘Chilseongnim’ threw ‘Maehwabuin’ out because she was a multiple birth, he got married for the second time with ‘Okneobuin’. He divorced with ‘Maehwabuin’ and eventuall ‘Okneobuin’ became a real wife of him. On the contrary to this ‘Namseonbi’ made the concubine who called ‘Noiljedaekuil-Ttal’ during he got married with ‘Yeosanbuin’. That’s why ‘Okneobuin’ was a real wife and ‘Noiljedaekuil-Ttal’ was a concubine. We can see the different about when the father tried to kill his son because treating his second wife. His son risked his wife to his father in <Chilseongpul-i> but he completely defied in <Munjeonbonpul-i>. Because ‘Okneobuin’ in <Chilseongpul-i> got the position of real wife who was selected by father. The children took care of ‘Okneobuin’ Even if she was a second wife. Because the children’s father was so paternalism so, they had to take care of their second mother. On the contrary to this story, she was a concubine who called ‘Noiljedaekuil-Ttal’ so, the children couldn’t accept the death. So, he punished his concubine and punished ‘Namseonbi’ who got misunderstanding ‘Noiljedaekuil-Ttal’ to ‘Yeosanbuin’ and harmed the children for the concubine. Eventually, it made up different these two deification to the difference the position of wives. There are seven sons took care of the second wife to the end who tried to kill them. The second wife was corrected and succeed the father-son line in <Chilseongpul-i>, on the contrary to this, incompetent father and the bad second wife was corrected, the divinity spread according to the overturn of the relationship of father-son line in <Munjeonbonpul-i>. So, the difference of women’s position became the difference ‘succession’ and ‘overturn’ in <Chilseongpul-i> and <Munjeonbonpul-i>.

      • KCI등재

        혐오의 정치학, 그리고 ‘지장본풀이’

        정제호(Jeong, Je-ho) 한국무속학회 2021 한국무속학 Vol.- No.42

        신화 연구에 있어서 주요한 흐름 중 하나는 서사에 내재된 남성지배질서의 폭력성을 간취하는 것이었다. 이는 연구사적 흐름에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했지만, 실제 많은 신화들이 그런 남성지배질서의 폭력성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전통사회 여성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폭력에도 불구하고, 남성지배질서의 수호자로서의 삶을 자처한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 함께 여성들의 삶 역시 과거와 달라진다. 게다가 현대사회는 여성들이 오히려 남성들보다 우위에 있다고 말하는 시선들도 많다. 하지만 과거에 ‘제도’로서 핍박받았던 여성들은, 현재 ‘혐오’라는 새로운 차별 속에서 고통받고 있다. 특히 현대 미디어 및 인터넷 환경을 통해 이 혐오가 끊임없이 확대재생산 되고 있어 더욱 문제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지장본풀이〉의 지장아기씨를 만날 수 있다. 지장아기씨는 아무런 근거 없이 남편과 가족을 죽인 사람으로 치부되었다. 그렇게 항거할 수 없는 혐의를 뒤집어 쓴 지장아기씨는 세상의 사(邪)를 자신이 모두 가지고 떠난다. 이런 지장아기씨를 통해 여성들은 잠시지만 자신들에게 주어졌던 사회의 낙인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또 위안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현대사회의 여성들은 여전히 제도를 대신한 혐오 안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런 사람들에게 지장아기씨가 줄 수 있는 위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필요한 것은 지장아기씨의 존재가 전혀 필요치 않는 세상을 만들어내는 일이라 하겠다. One of the main trends in mythological research was the revelation of male domination order. This is because the real myth contains the violence of the male domination order. In particular, women in traditional societies lived as guardians of the male domination order. However, women’s lives change with the change of times. In addition, women are considered to have the upper hand over men recently. But in the past, women were persecuted by the system. And now they are discriminated against in disgust. Such disgust is growing through modem media and online. We can meet Jijang-agissi of Jijangbonpuri in this social trend. Jijang-agissi was accused of killing his family without any grounds. The accused Jijang-agissi leaves with all the wickedness of the world. Through Jijang-agissi, women are freed from social stigma for a short time. Also, women can be comforted. Women in modern society live in disgust on behalf of the system. Jijang-agissi’s consolation is a must for these people. But what’s more important than that is to create a world where Jijang-agissi does not need it.

      • KCI등재

        『삼국사기』소재 「도미설화」의 구비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 -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정제호 ( Je Ho Je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2

        본고는 충남 보령 지역에서 구비전승되는 『도미설화』에 대한 연구이다. 충남 지역 『도미설화』는 다른 각편과 몇 가지 차별점을 갖는다.첫째, 도미의 직업이 목수로 나타난다. 둘째, 권력자가 도미 부인을 겁탈하기 위해 도미에게 건축을 맡겨 부재 상황을 만든다. 셋째, 도미 부인이 훼절을 피하기 위해 몸종으로 자신을 대신하게 하는 서사가 등장하지 않고, 자신의 부정을 핑계로 말미를 얻는 방법을 선택한다. 이러한 충남 지역 『도미설화』의 특징은 문헌과 구전을 통해 전승되고 있는『도미설화』의 전승양상과 비교할 때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충남 지역 .도미설화.는 서사무가 『성주풀이』와 매우 유사하다. 『성주풀이』에서도 주인공이 목수로 등장한다. 또한 황우양이 상부의 지시로 인해 건축에 동원되면서, 부재 상황이 만들어진다는 점도 흡사하다. 게다가 황우양 부인이 훼절이라는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몸의 부정을 핑계로 시간을 번다는 점 역시 충남 지역 『도미설화』와 유사하다 하겠다. 이렇게 볼 때, 충남 지역 『도미설화』는 전승에 있어 『성주풀이』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다만 『성주풀이』는 경기 남부의 화랭이 집단을 중심으로 전승되기에 두 자료 간의 간극이 느껴진다. 하지만 경기 남부의 화랭이는 활동 영역이 충남까지 이어졌으며, 충남 보령 역시 주요 활동 무대였음이 기존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이렇게 볼 때,충남 지역에서 『도미설화』의 전승에 있어 『성주풀이』가 일정한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version of the Domi myth which comes from Boryeong, located in the Chungnam region. The Chungnam version of the Domi myth features several distinctive elements vis-a-vis other versions. First, Domi is a carpenter. Second, the powerful individual entrusts Domi with a building job in order to ensure his absence and then tries to rape Domi’s wife. Third, Domi’s wife avoids rape by asserting her own uncleanness, rather than a maid being a replacement. These elements represent a grea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versions. In particular, the Chungnam version of the Domi myth is very similar to the shamanic Seongjufuri myth. A carpenter also appears as a character in the Seongjufuri myth. Hwang-uyang is also absent due to being involved in building construction due under the direction of the upper class. In addition, Hwang-uyang’s wife also avoids rape due to her own uncleanness. The Chungnam version of the Domi myth was influenced by the Seongjufuri in transmission. But was Seongjufuri passed down in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S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myths. But the Haraeng-i of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also played in the Chungnam region. So it is possible that Seongjufuri may have influenced the Chungnam version of the Domi myth.

      • KCI등재

        희생제의 서사의 문화적 함의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양상

        정제호(Jeong Je Ho)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4

        희생제의는 희생제물을 신앙의 대상에게 바치는 의식으로 이제는 사라진 과거의 산물이다. 특히 인간을 제물로 하는 인신공희의 경우 특수한 환경에서 거행되었던 특별한 의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희생제의를 ‘일상화’하여 표현하고 있는 영화가 있어 주목된다. 이 영화는 바로 <캐빈 인 더 우즈>이다. <캐빈 인 더 우즈>에서는 고대신에게 인간 제물을 바쳐 인류의 안녕을 구한다. 다만 희생제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이를 거행하는 관리자들의 태도가 지나치게 일상적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그들에게 희생제의는 늘 하는 행동이자, 하나의 업무로만 표현될 뿐이다. 이렇게 <캐빈 인 더 우즈>에서 일상화되어 표현된 희생제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희생제의 설화를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희생제의를 서사화한 작품들은 뚜렷한 주제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네장터>에서는 희생제의를 모티프로 삼으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선행’에 대한 권장을 주제로 한다. 선한 행위를 한 처녀가 인신공희의 굴레를 끊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백일홍> 전설 역시 희생제의 자체보다는 처녀가 영웅의 실패를 오인하고 ‘정절’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끊은 부분에 더 초점이 맞춰진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다고 생각한 여인의 순절 행위가 아름다운 꽃으로 변화하게 된 것에 주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동자삼>에서 역시 ‘효’라는 윤리적 주제가 부각된다. 자식 살해를 뛰어넘는 절대적 가치로 효행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 세 설화에서는 희생제의를 모티프로 하면서도 그 제의의 종식을 말한다. 또한 이 종식을 말하면서 당대에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윤리적 주제를 새롭게 도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희생제의를 통해 희생양들에게 가해졌던 폭력에 대한 일종의 ‘변명’이 함께 한다. 선, 절, 효라는 절대적 가치를 추구한 사람은 희생제의를 뛰어넘을 수 있었다는 것 이면에는 희생당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았다는 말이 함께 하기 때문이다. 결국 희생제의 모티프는 새로운 윤리적 주제를 이끌어 내기 위해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당대 설화 향유층들이 중요하다고 여긴 가치를 부각하기 위해 희생제의를 활용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캐빈 인 더 우즈> 역시 희생제의를 활용함에 있어 특정한 ‘의도’가 자리한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캐빈 인 더 우즈>에서 일상적으로 그려진 희생제의는 그동안 계속해서 반복되었던 ‘슬래셔 무비’의 클리셰에 대한 일종의 변명이라 할 수 있다. 영화의 계속된 반복은 그동안 이 희생제의를 지속했기 때문이라는 변명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캐빈 인 더 우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방식을 활용한다. 모든 슬래셔 무비의 인물들을 하나의 희생제의 시스템이라는 세계 속에 모음으로써, 그동안 지루하게 반복되었던 클리셰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물론 <캐빈 인 더 우즈>는 단순한 변명만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희생제의의 반복을 통해 더 이상 사람들이 슬래셔 무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버리게 한, 그래서 마치 일상처럼 놀라고 무서워하지 않게 된 상황에 대한 풍자를 함께 하고 있다고 하겠다. In The Cabin in the Woods, there is a sacrificial rites. What s unique, however, is that the rite is expressed as routine. The setting of the film is very unique, considering that the sacrificial rites comes from a special situation. This is because they treat sacrificial rites as a daily task. To understand this, we re going to share some of the stories. It’s Jinejangteo, Baekilhong and Dongjasam. In these stories, ethical themes such as good deed, chastity and filial piety are emphasized. The motif of sacrifice is to highlight the values that people of the time considered most important. Behind the highlight of the ethical theme is the excuse for the scapegoats. It is to find justification for the violence they have committed. The Cabin in the Woods also has an excuse for a slasher movie that has been repeated. To this end, it uses the method of Transmedia Storytelling. A similar story is said to be repeated for the purpose of sacrificial rites. Along with this excuse, there is also a satire about slasher movies. A movie that was so repeated that it s not as fun as it is now. The satire about this is what appears in The Cabin in the Woods.

      • KCI등재

        서사무가에 나타난 <왕랑반혼전> 수용의 양상과 의미

        정제호 ( Je Ho Jeong )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1 No.-

        왕랑반혼전 의 주요 연구 경향은 근원설화 에 대한 탐색이다 하지만 왕랑반혼전 과 분명한 유사성을 갖는 근원설화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연구자들마다 이견을 남긴 채 근원설화 탐색에 대한 논의는 더 이상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고에서는왕랑반혼전 에 나타난 종교적 속성을 기준으로 하여 관련성을 보이는 또 하나의 작품을 제시하였다본고에서 왕랑반혼전 과 함께 다룬 작품은 서사무가 맹감본풀이다 선행연구에서 이미 장자풀이 라는 서사무가와 왕랑반혼을 비교하여 다룬 바 있다 하지만 왕랑반혼전 과 장자풀이는 등장인물 설정 징치 이유 도액 방식 연명 방법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때문에 두 작품의 관련성을 깊게 논의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하지만 맹감본풀이 는 등장인물의 설정 징치 이유 도액 방식연명 방법 등에서 왕랑반혼전 과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왕랑반혼전 과 맹감본풀이 는 모두 부부 관계를 통해 이야기가 시작된다또한 징치 이유와 도액 방법에 있어 종교적 속성이 깊이 관계된다그리고 연명 방법에 있어서 두 작품 모두 명부 수정의 방식을 취하고있다는 점에서도 유사성을 보인다 장자풀이 를 비롯해 연명 화소를 공유하는 다른 작품들에서 찾기 어려운 유사성이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이와 같은 유사성에 기초하여 왕랑반혼전 과 맹감본풀이 가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을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런데 제주도의서사무가 중 고전소설 그 중에서도 왕랑반혼전 과 같은 불교 서사를 수용한 작품들이 여럿 존재한다 불교 서사를 수용하는 것이 하나의 경향이라는 것이다 더욱이 수용 방식에 있어서도 고전소설의 화소와 제주 지역 고유의 신화소를 융합하는 특성이 나타는데 맹감본풀이 의 서사 역시 같은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정황을 통해 본고에서는 기존 논의들과는 다르게 맹감본풀이 가 왕랑반혼전 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왕랑반혼전 과 맹감본풀이 가 보이는 유사성이 제주도 지역의 서사무가의 특성과 일치점이많기 때문이다 이에 제주도의 고전소설 수용을 통한 서사무가의 형성 및 변이의 맥락 안에 왕랑반혼전 을 함께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he study that examines about < Wangrangbanhonjeon > acceptability which appeared in Shamanistic Epics. We already dealt with < Wangrangbanhonjeon > compared with Shamanistic Epics which was called < Jangjapuri > on the previously study. However, they have differences between < Wangrangbanhonjeon > and < Jangjapuri > about character set-up, correction excuse, the way of a charm against evil influence, the way of the prolongation of life and so on. That``s why it is difficult situation to deeply discuss between the relation of two works. However, they have many similarities between < Maenggambonpuri > and < Wangrangbanhonjeon > about character set-up, correction excuse, the way of a charm against evil influence, the way of the prolongation of life and so on. It starts through the couple relationship both < Wangrangbanhonjeon > and < Maenggambonpuri >. Also, they have deeply relationship when it comes to correction excuse, the way of a charm against evil influence. And they have similarities that they take the way of directory modification when it comes to the way of the prolongation of life. Besides < Jangjapuri >, we can see similarities in these two works which hardly find in other works. On the basis of these similarities, we can inference possibilities that < Wangrangbanhonjeon > and < Maenggambonpuri > have a steady relationship. There exist some works that accept Buddhist Narration like < Wangrangbanhonjeon >, classical novel, Shamanistic Epics of JeJu Island. It is a trend to accept Buddhist Narration. Besides, there has character that conflates the myth of classical novel and the Mythmes of JeJu Island, there has same character in < Maenggambonpuri >. This article refers possibilities that < Maenggambonpuri > in < Wangrangbanhonjeon > influenced otherwise previously discussions. There are meeting points that the similarity is shown to < Wangrangbanhonjeon > and < Maenggambonpuri > and the character of Shamanistic Epics in JeJu Island. That``s why we plan to discuss that < Wangrangbanhonjeon > and the context of change and the formation of Shamanistic Epics through accept of classical novel in JeJu Island.

      • KCI등재후보

        진단방사선 및 핵의학 검사에 의한 한국인의 의료상 피폭

        권정완,정제호,장기원,이재기,Kwon, Jeong-Wan,Jeong, Je-Ho,Jang, Ki-Won,Lee, Jai-Ki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0 No.4

        Although medical exposure from diagnostic radiology procedures such as conventional x-rays, CT and PET scans is necessary for healthcare purposes,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resulting radiation dose to patients is much of worth because medical radiation constitutes the largest artificial source of exposure and the medical exposure is in a trend of fast increasing particularly in the developed society. Annual collective doses and per-caput effective doses from different radiology procedures in Korea were estimated by combining the effective dose estimates per single medical procedure and the health insurance statistics in 2002. Values of the effective dose per single procedure were compiled from different sources including NRPB reports, ICRP 80, MIRDOSE3.1 code and independent computations of the authors. The annual collective dose reaches 27440 man-Sv (diagnostic radiology: 22880 man-Sv, nuclear medicine: 4560 man-Sv) which is reduced to the annual per-caput effective dose of 0.58 mSv by dividing by the national population of 47.7 millions. The collective dose is far larger than that of occupational exposures, in the country operated 16 nuclear power plants in 2002, which is no more than 70 man-Sv in the same year. It is particularly noted that the collective dose due to CT scans amounts 9960 man-Sv. These results implies that the national policy for radiation protection should pay much more attention to optimization of patient doses in medicine. 의료 목적으로 X선 촬영이나 CT, PET과 같은 진단방사선 피폭은 불가피하지만 선진국에서 의료 방사선이 최대의 인공 피폭원을 구성하고 있고 또 빠르게 증가하는 경향에 있음을 고려하면 의료상 피폭의 특성이나 그 결과로 인한 환자 선량 크기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2002년도를 기준으로 단위 진료행위별 선량과 국내 의료보험 통계자료를 결합하여 방사선 진료절차별 집단선량과 1인당 유효선량 평가하였다. 절차의 유효선량 값은 NRPB 보고서, ICRP 80, MIRDOSE3.1 및 우리가 독립적으로 산출한 자료들로부터 편집하였다. 평가 결과 연간 집단선량은 진단방사선 22880man-Sv, 핵의학 4560man-Sv로서 총 27440 man-Sv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인구 4770만 명을 나눈 1인당 연평균 의료상 피폭선량은 0.58mSv였다. 이 집단선량은 2002년 16기의 원전을 가동한 우리나라의 직업상피폭 70man-Sv보다 크게 많다. 특히 CT 촬영만의 집단선량도 9960man-Sv에 이름은 주목할 일이다. 이 결과는 국가의 방사선방호 정책이 의료에서 환자선량 최적화에 보다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