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두개강내 동정맥기형에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의 결과

        이강규,박경란,이종영,이용하,Lee Kang Kyoo,Park Kyung Ran,Lee Jong Young,Lee Yong H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3

        목적 :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로 두개강내 뇌동정맥기형을 효과적으로 폐색시킬 수 있다. 저자들은 두개강내 동정맥기형으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수술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장기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4년 6월까지 본원에서 두개강내 동정맥기형으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을 시행받은 1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6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isocenter에 1800-2500cGy(중앙값 : 2000cGy)를 1회에 조사하였으며, 병소 변위부의 선량은 isocenter 선량의 80-90%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14명의 환자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적관찰이 시행되었다. 결과 : 뇌혈관 조영술은 방사선수술 후 12개월부터 24개월 사이에 13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그 중 완전폐색률은 92.3%(12명)이었다. 병소의 크기와 완전폐색률간의 연관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수술 전에 보였던 간질, 두통, 신경학적 증상들은 방사선수술 후 완전 소실되었다. 1명의 환자에서 치료 후 2개월에 뇌출혈이 발생되었으며, 다른 1명에서는 치료 후 16개월에 병소 주위에 방사선에 의한 뇌부종이 발생되었으나, 치료 후 27개월에 시행한 추적 뇌 자기공명촬영상에서 완전 회복되었다. 최대 6년까지 추적 관찰 기간 중에 방사선으로 인한 중대한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증상이 있으면서 수술이 불가능한 두개강내 동정맥기형의 치료에 있어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조작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다른 방사선수술보다 더 적절한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 Stereotactic radiosurgery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successfully obliterates carefully selected intracrani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 We Present clinical and radiological long term results after treatment with a single high dose irradiation using a linear accelerator. Materials and Methods : Rrom January 1991 to June 1994, fifteen patients with intracranial AVM were treated in our hospital with the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The radiation was delivered using a 6 MV linear accelerator. The prescribed doses at the isocenter varied from 1800 to 2500cGy (median : 2000cGy) and were given as a sin91e fraction. The radiation doses at the periphery of the lesion typically corresponded to the 80-90% isodose line. In 14 patients, complete clinical and/or radiological follow-up examination were available. Results : Angiography was available in 13 patients with a follow-up Period from 18 months to 27 months. Of 13 patients, the overall complete obliteration rate was 92.3% (12 patients). This incidence did not correlate with lesion size. Seizure, headache and progressive neurologic deficit were complete recovered. One Patient experienced hemorrhage at 2 months after treatment. One patient developed radiation induced brain edema in the white matter surrounding nidus at 16 months after treatment and showed complete resolution of the edema in MR image obtained at 27 months after treatment. After a follow-up period of up to 6 years, no radiation induced severe late complications occurre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is an effective and safe therapy for symptomatic and surgically inaccessible intracranial AVMs and the results compare favorably to the more expensive and elaborate system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 KCI등재

        kV X-선에서 원통형전리함의 선질인자 결정에 관한 연구: IAEA 프로토클 고찰과 N23333, N30001 전리함에 대한 몬테칼로 계산 및 측정

        이강규,임천일,장세경,문성록,정동혁,Lee Kang Kyoo,Lim Chunil,Chang Sei Kyung,Moon Sun Rock,Jeong Dong Hyeok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 의학물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kV X-선에 대하여 원통형전리함의 선질인자를 몬테칼로 계산과 측정으로 결정하였다. 대상 X-선은 KFDA에 설치되어 있으며 에너지스펙트럼과 선질이 명시된 $60\~300kV$ 범위의 X-선(ISO-4037)이었으며, 전리함은 PTW N23333과 N30001이었다. 이론적 계산과 몬테칼로 계산으로 구한 공기커마와 공동의 흡수선량으로부터 IAEA프로토콜의 $R_{\mu}$와 $R_{Q,Q_{0}}$인자를 결정하였다. 두 전리함의 반응 범위는 $80\~250kV$ 영역에서 모두 $\pm3\~4\%$를 보였으나, N30001 전리함의 경우에 $110\~300kV$ 영역에서 $\pm1.7\%$로서 평탄한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로부터 kV X-선에 대한 선량평가에 대하여 고찰할 수 있었으며, 프로토콜의 적용을 위하여 에너지의존성의 평가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quality factors for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s for kV X-rays were determined by Monte Carlo calculation and measurement. In this study, the X-rays of 60-300 kV beam (lSO-4037) installed in KFDA and specified in energy spectra and beam qualities, and the chambers of PTW N23333 and N30001 were investigated. In calculations, the $R_{\mu}\;and\;R_{Q,Q_{0}}$ in IAEA dosimetry protocols were determined from the air kerma and the cavity dose obtained by theoretical and Monte Carlo calculations. It is shown that the N30001 chamber has a flat response of $\pm1.7\%$ in $110\~300kV$ region, while the response range of two chambers were shown to $\pm3\~4\%$ in $80\~250kV$ region. From this work we have discussed dosimetry protocol for the kV X-rays and we have found that the estimation of energy dependency is more important to apply dosimetry protocol for kV X-rays.

      • SCOPUSKCI등재

        식도암에서의 동시화학방사선요법

        이강규(Kang Kyoo Lee),박경란(Kyung Ran Park),이종영(Jong Young Lee),신현수(Hyun Soo Shin),이종인(Chong In Lee),장우익(Woo Ick Chang),심영학(Young Hak Sh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1

        목 적 : 식도암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의 전향적이고 비무작위적인 단일 연구를 시행하였고, 이 방법으로 치료된 환자들의 생존율 및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와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경부 또는 흉부 식도에서 시행한 조직검사상에서 침윤성 암종으로 판정되었고, 원발병소가 식도 및 종격동에 국한되어 있으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거나 영역림프절 또는 쇄골상와 림프절 등까지 전이되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7주에 걸쳐 5940cGy를 조사하였고, 2차례의 화학요법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화학요법은 5-FU와 mitomycin C를 사용하였고, 5-FU는 제 1일부터 제 5일과 제 29일부터 제 33일 사이에 각각 5일 동안 1000mg/m2/day의 용량으로 지속성 정주 하였고, mitomycin C는 제 1일에 8mg/m2의 용량을 일시주사하였다.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후에 5-FU는 9주, 13주, 17주에 각각 5일 동안 1000 mg/m2/day의 용량으로 지속성 정주 하였고, cisplatin을 9주, 13주, 17주의 제 1일에 80mg/m2의 용량을 일시주사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 1989년 11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된 44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치료 후 환자의 59%가 완전관해 되었고, 41%에서 부분관해 되었다. 전체 환자의 1년,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59%, 38%. 9.6%였다(중간생존기간 : 17개월).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는 치료 후 완전관해 여부와 T병기였다. 완전관해된 26명의 환자 중 6명에서 국소재발 되었고, 3명은 원격재발 되었으며, 다른 1명에서는 국소재발과 원격재발이 동시에 나타났고, 나머지 2명은 재발 양상을 알 수 없었다. 3도 이상의 급성과 만성합병증 발생률은 각각 20%와 13.6%였으나, 합병증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의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방사선단독치료를 시행하였던 다른 연구들에 비해서 중간생존기간의 증가를 보였고, 치료와 연관된 합병증 발생률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후 완전관해된 환자들이 부분관해된 환자에 비해 생존율의 향상을 보였으며, 주 재발양상이 국소재발이므로, 향후 국소제어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survival rate and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Eligibility included biopsy proven invasive carcinoma of the cervical or thoracic esophagus, confined to esophagus and mediastinum with or without regional lymph node and supraclavicular lymph node, and ECOG performance status H0-H2.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with 5940cGy over 7 weeks and chemotherapy, consisted of 5-FU(1000 mg/m2/day in continuous infusion for 5 days, days 1 to 5 and days 29 to 33) and mitomycin C(8mg/m2 intravenous bolus at day 1). After concurrent chemoradiation, maintenance chemotherapy was followed with 5-FU(1000 mg/m2/day in continuous infusion for 5 days at 9th, 13th, and 17th weeks) and cisplatin(80mg/m2 intravenous bolus at the first day of each cycle). Results : From November 1989 to November 1995, 44 patients were entered in this study. After treatment, complete response rate and partial response rate were 59% and 41%. Overall 1, 2, and 5-year survivals were 59%, 38%, and 9.6%(median 17 months).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re response to treatment and T-stage. Among 26 complete responders, there were 6 local recurrences, 3 distant recurrences, 1 local and distant recurrence, and 2 unknown site recurrences. Acute and chronic complication rates with grade 3 or more were 20% and 13.6% and there was no treatment-related mortality. Conclusion : Concurrent chemoradiation, compared with historical control groups that treated with radiation alone, improved median survival and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reatment-related complications. Complete responders had longer survival duration than partial responders. Predominant failure pattern was local failure. So, efforts to improve local control should be proposed.

      • KCI등재후보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 화학요법과 보조 화학방사선 병용요법

        이강규(Kang Kyoo Lee),박경란(Kyung Ran Park),이익재(Ik Jae Lee),김익용(Ik Yong Kim),심광용(Kwang Yong Sim),김대성(Dae Sung Kim),이종영(Jong Young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본 연구는 AJCC 병기 Ⅱ기와 Ⅲ기의 국소진행성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 병기에서 보조 화학요법 단독에 비해 화학방사선 병행요법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AJCC 병기 Ⅱ기와 Ⅲ기의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보조 치료방법에 따라 분류를 하면 화학요법 단독군이 72명이었고, 화학방사선 병행용법군은 72명이었다. 화학요법은 수술 후 UFT를 매일 경구복용하거나 (중앙값 12개월) 5-FU를 기초로 한 항암제를 4주 간격으로 정맥주사하였고, 투여기간은 1~18차례 (중앙값 6차례)이였다. 방사선치료는 직장과 골반 내 영역 림프절 영역에 4,500 cGy를 조사한 후 수술 부위에 540~1,440 cGy (중앙값 540 cGy)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20~150개월로 중앙값은 44개월이었다. 결과 :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과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 각각 60.9%와 68.9% (p=0.0915)였고,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56.1%와 63.8% (p=0.3510)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기별로 분석하였을 때 Ⅱ기에서의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71.1%,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92.2%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379), 5년 무병생존율에서는 화학요법 단독군이 57.3%,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85.4%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482). Ⅲ기에서는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화학요법 단독군에서는 52.0%와 47.8%였고,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는 55.0%와 49.8%로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4280, p=0.7891). 국소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16.7%,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12.5%였고, 원격 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25.0%,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26.4%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Ⅱ기에서 보조 화학요법에 방사선치료를 병행함으로써 보조 화학요법 단독 치료시와 비교하여 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지만 국소재발율의 감소를 보였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CT) alone and concurrent chemoradiation (CCRT), following radical surgery, improved the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in rectal cancer AJCC stage Ⅱ and Ⅲ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144 patients with AJCC stage Ⅱ and Ⅲ rectal cancer who had had radical surgery between 1989 and 1999 were include in the study. Of these patients, 72 had been treated with postoperative CT, and the other 72 with postoperative CCRT. The chemotherapy regimen consisted of oral UFT on a daily basis for 1~12 months (median 12 months) or 5-FU (500 mg/㎡ for 5 days) intravenous (Ⅳ) chemotherapy with 4 week intervals for 1~18 cycles (median 6 cycles). Radiation of 4,500 cGy was delivered to the surgical bed and regional pelvic lymph nodes area, followed by 540~1,440 cGy (median 540 cGy) boost to the surgical bed.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20 to 150 months, with a median of 44 months. Results : The 5-year OS was 60.9% and 68.9% (p=0.0915), and the 5-year DFS was 56.1% and 63.8%(p=0.3510) for postoperative CT and postoperative CCRT, respectively. In the stage Ⅱ patients, the 5-year OS was 71.1% and 92.2%, and the 5-year DFS was 57.3% and 85.4%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The OS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379) but the DFS was not with postoperative CCRT compared to the postoperative CT (p=0.1482). In the stage Ⅲ patients, the 5-year OS was 52.0% and 55.0%, and the 5-year DFS was 47.8% and 49.8% for postoperative CT and postoperative CCR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toperative CT and CCRT (p=0.4280 and p=0.7891) in OS and DFS. The locoregional relapses were 16.7 and 12.5%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The distant relapses were 25.0% and 26.4%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postoperative CCRT compared with CT alone improved OS in stage Ⅱ patient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ddition of postoperative RT to CT reduced locoregional relapses compared to CT alone

      • KCI등재후보

        측정기에 따른 고에너지 X-선의 표면 선량 및 최대 선량 지점 고찰

        이용하(Yong Ha Lee),박경란(Kyung Ran Park),이종영(Jong Young Lee),이익재(Ik Jae Lee),박영우(Young Woo Vahc),이강규(Kang Kyoo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고에너지 X-선의 표면선량과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서의 선량분포는 일반적으로 방사선 계측에 사용되는 전리함 측정기로는 정확한 선량분포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고에너지 X-선 선량계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측정기를 이용하여 팬톰 표면에서의 흡수선량과 최대 선량 지점(dmax)을 측정하여 측정기 사이의 정확성을 비교 분석하고, 각 치료기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측정기 중 표면 선량 측정에 적절한 측정장치를 제안하고 그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에서는 6 MV와 15 MV X-선에 대해 조사면이 10×10 cm 2,SSD=100cm에서 TLD, 팀블형 전리함(thimble type ion chamber), 다이오드 검출기, 다이아몬드 검출기와 Markus 평행판 전리함 등을 이용하여 심부선량백분율(percent depth dose: PDD)을 측정하여, 표면 선량(surface dose)과 최대 선량 지점(dmax)을 비교 분석하고,또한 TLD 측정 시와 동일 조건으로 Monte Carlo 계산을 실행하여 TLD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6 MV와 15 MV X-선에 대해 Markus 평행판 전리함을 이용하여 측 정 한 표 면 선 량 은 각각 29.31%와 23.36%으로 측정되었으며, TLD는 37.17%와 24.01%, 다이아몬드 검출기는 34.78%와 24.06%, 다이오드 검출기는 38.18%와 27.8%, 팀블형 전리함은 47.92%와 36.01% 였으며, Monte Carlo 계산에 의한 표면 선량 값은 6 MV X-선에 대해 TLD 측정 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팬톰 내에 가상적인 TLD를 삽입한 경우 36.22%로 실제 측정값 37.17%와 유사하였다. 최대 선량지점의 깊 이는 모든 측정기에서 6 MV X-선에 대하여 14˜16mm, 15 MV X-선에서는 27˜29mm 사이의 측정기에 따라 작은 차이를 보였다. 결 론: 표면 선량의 경우에는 측정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Markus 평행판 전리함이 사용된 측정기 중 가장 정확한 결과를 보였고, 팀블형 전리함의 경우 다른 측정기에 비해 약 10% 이상 높은 선량을 보여 피부 표면에 가까이 위치한 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계획시에는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팀블형 전리함의 선량 값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오류가 발생하므로 가능한 표면 선량 측정에 적절한 측정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측정기 특성을 고려한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대 선량 지점(dmax)의 결과는 모든 측정기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본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측정기는 그 특성에 상관없이 최대 선량 지점 측정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It is difficult to exactly determine the surface dose and the dose distribution in buildup region of hi gh energy X-rays by using the conventional ion chamb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widely used dosimetry systems to measure the surface dose and the depth of maximum dose (d max).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percent depth dose (PDD) from the surface to the dmax in either a water phantom or in a solid water phantom using TLD-100 chips, thimble type ion chamber, d i o de detector, diamond detector and Markus parallel plate ion chamber for 6 MV and 15 MV X-rays, 10 × 10 cm 2, at SSD=100cm. We analysed the surface dose and the dmax.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TLD data, we executed the Monte Carlo simulation for 6 MV X-ray beams. Results The surface doses in 6 MV and 15 MV X-rays were 29.31% and 23.36% for Markus parallel plate ion chamber, 37.17% and 24.01% for TLD, 34.87% and 24.06% for diamond detector, 38.13% and 27.8% f or diode detector, and 47.92% and 36.01% for thimble type ion chamber, respectively. In Monte Carlo simulation for 6 MV X-rays, the surface dose was 36.22%, which is similar to the 37.17% of the TLD measurement data. The dmax in 6 MV and 15 MV X-rays was 14 16 mm and 27 29 mm,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max among the detectors. Conclusion There was are markable difference in the surface dose among the detectors. The Markus parallel plate chamber showed the most accurate result. The surface dose of the thimble i on chamber was 10% higher than that of other detectors. We suggest that the correction should be made when the surface dose of the thimble ion chamber is used for the treatment planning for the superficial tumors. All the detectors used in our study showed no difference in the dmax.

      • KCI등재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한 Ir-192 선원의 감마메드 치료기 호환성 연구

        정동혁,이강규,김수곤,문성록,Jeong, Dong-Hyeok,Lee, Kang-Kyoo,Kim, Soo-Kon,Moon, Sun-Roc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0 의학물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제작한 Ir-192 밀봉선원(IRRS20, KAERI, Korea)을 감마메드 근접치료기에 장착하고 치료기와의 호환성을 조사하였다. 기계적 호환성의 평가로서 선원의 이동간격, 채널별 이동간격, 와이어의 최소 곡률 반경, 비상시 작동을 검사하였다. 약 45일 동안 수회에 걸쳐 기준 거리에서 공기커마세기를 측정하였으며, 필름을 사용하여 기존의 선원과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KAERI 선원의 감마메드 장비와의 기계적호환성은 양호하였다. 시간에 따른 방사능 특성도 계산과 잘 일치하였으며, 선원주변의 선량분포에 있어서 기존 선원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compatibility with GammaMed-12i brachytherapy machine for an Ir-192 encapsulated source (IRRS20, KAERI, Korea) manufactured b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has been investigated. As a mechanical testing of compatibility, precise measurement of step movement with channels, measurement of curvature of radius for wire, and emergency return testing were performed. Periodic measurements of air kerma strength for 45 day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decay characteristics of Ir-192 radioisotope and comparison of dose distributions in phantom between KAERI and old sources previously used were performed by film dosimetry. KAERI source has a good compatibility with GammaMed12i machine as a result of mechanical testing. There are in good agreement with calculated values in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dose distributions around the source in comparison between KAERI and old source.

      • KCI등재

        PTW-LinaCheck 측정기의 선량 특성과 일일 출력측정 응용에 관한 연구

        정동혁,이강규,문언철,김현진,김영석,문성록,Jeong, Dong-Hyeok,Lee, Kang-Kyoo,Moon, Un-Chul,Kim, Hyun-Jin,Kim, Young-Seok,Moon, Sun-Rock 한국의학물리학회 2008 의학물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선형가속기 출력 검출용으로 상용화된 PTW-LinaCheck의 선량 특성을 조사하고 임상적 응용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6, 15MV광자선 및 4, 6, 9, 12, 16 MeV전자선에 대하여 측정값의 재현성, 선형성, 선량률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측정값의 오차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일 점검 시 검출기의 셋업의 기하학적 오차에 의한 측정값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측정의 결과로서 일일 측정 시 셋업 오차에 의한 측정값의 변화는 재현성을 포함하여 ${\pm}0.6%$ 이내로 평가되었다. 이 때 선형성과 선량률 의존성에 의한 오차는 무시할 정도였다. 이를 통하여 LinaCheck는 선량 특성과 편리한 셋업의 관점에서 양호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본 검출기를 사용한 60여 일간의 임상적 적용 사례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dose characteristics of PTW-LinaCheck designed to detect output of medical LINAC and discussed clinical use of the detector. The reproducibility, linearity, and dose rate dependency of the dosimeter were measured for photons of 6 and 15MV and the electrons of 4, 6, 9, 12, and 16MeV. To know the error ranges of the measured data in daily output measurement, the response variations due to geometrical setup errors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measurement, the error range from the geometrical setup and the reproducibility was less than ${\pm}0.6%$ for given beam qualities in daily output measurement, where the errors from the linearity and the dose rate dependency were negligible. Finally, we concluded that the LinaCheck dosimeter has a goo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ose and setup convenience in daily output measurement. In addition we have shown an examples of clinical use of this dosimeter for measuring daily output more than 60 days.

      • KCI등재

        요철 표면 팬텀을 이용한 치료계획시스템 선량계산 정확성 평가

        정동혁,김기환,이강규,문성록,김진기,신교철,오영기,김정기,조문준,김준상,Jeong, Dong-Hyeok,Kim, Ki-Hwan,Lee, Kang-Kyoo,Moon, Sun-Rock,Kim, Jhin-Kee,Shin, Kyo-Chul,Oh, Young-Kee,Kim, Jeung-Kee,Cho, Moon-June,Kim, Jun-Sang 한국의학물리학회 2008 의학물리 Vol.19 No.2

        We evaluated on the calculation accuracy of treatment planning system (TPS) with phantom having convex and concave surface. The TPS is Eclipse (Varian, USA) using both algorithms AAA and PBC for photon dose calculations. PBC algorithms have three corrections of Batho, modified Batho (M-Batho), and equivalent TAR (E-TAR). The field sizes were $10{\times}10\;cm^2$ and $20{\times}20\;cm^2$, and MLC-shaped fields for these fields. We measured doses at three depths 5, 10 and 15cm in phantom of SSD=90cm in the condition of inserted farmer chamber. For given conditions, we have calculated dose with these algorithms and compared them with measured doses. In AAA the calculated doses (dose/MU) were agreed to measured doses within ${\pm}1%$ in flat and convex surface and were under estimated with -1.9% maximum in concave surface. In PBC the calculated doses were over estimated with +1.7% and +4.1% respectively in flat and convex surface and the differences were from -3.1% to +2.1% in concave surface. In comparison of criteria from AAPM and IAEA report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s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AAA's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values and the M-Batho's results are generally good agreed with measured values among PBC algorithms.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치료계획시스템 중 AAA와 PBC (Batho, M-Batho, E-TAR)의 알고리즘이 내장된 Eclipse (Varian, USA)을 이용하여 요철 표면을 가진 팬텀에 대한 선량계산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조사면은 $10{\times}10\;cm^2$과 $20{\times}20\;cm^2$, 그리고 각각에 대한 MLC 차폐 조사면을 대상으로 하였다. 팬텀 속 측정점은 SSD=90 cm에서 깊이 5, 10, 15 cm에서 전리함을 이용한 6MV X-선에 대한 측정값과 선량계산을 알고리즘 별로 수행하고 비교하였다. AAA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산 값들은 평탄표면과 양각표면에서 ${\pm}1%$이내로 측정과 일치하였으며, 음각표면에서 단위 MU당 선량을 최대 -1.9%까지 낮게 평가하였다. PBC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산 값들은 평탄표면과 양각표면에서 측정과 각각 최대 +1.7% 및 +4.1%의 차이로서 대체로 단위 MU당 선량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음각표면의 경우에 측정과 차이가 -3.1%에서 ${\pm}2.1%$ 범위를 보였다. 계산 값들을 AAPM과 IAEA 허용기준과 비교하고 또한 통계적으로 분석할 때, AAA의 결과가 측정과 가장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C의 경우에 Modified Batho 알고리즘이 비교적 측정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주타액선에서 발생한 선양낭세포암종의 방사선치료성적

        이상욱(Sang wook Lee),김귀언(Gwi Eon Kim),박정수(Cheong Soo Park),최은창(Eun Chang Choi),이강규(Kang Kyoo Lee),박원(Won Park),서창옥(Chang Ok Suh)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8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in the major salivary gland.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for 23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jor salivary gland, who complet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t the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1981 and December 1999.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1. Median age was 50. Follow up periods were 12-180 months with the median follow-up time of 59 months. Results: Parotid gland, submandibular gland and sublingual gland were 17, 5 and 1 respectively. Overall failure rate was 26%. Local failure was observed in two patients with parotid gland origin. Five cases showed distant failure.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68% and 72% respectively. Conclusion: Major pattern of failure was distant failure. Resection margin status had not prognostic significance. Postoperative radiation treatment is an effective to control in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jor salivary gland.

      • 비인강암에서 AJCC와 Ho 병기 결정법에 따른 T병기의 비교

        이상욱(Sang wook Lee),김귀언(Gwi Eon Kim),서창옥(Chang Ok Suh),이강규(Kang Kyoo Lee),박원(Won Park)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8 No.2

        Objective: A comparison of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1988 and 1997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classifications was made in terms of patient distribution and efficacy in predicting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 1981 and Dec. 1998, 60 cases of node negative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xtent of disease each patients restaged according to the 4th and 5th AJCC system and Ho system, respectively. Results: The overall and disease free 5-year survival rates were 61.1% and 62.6%, respectively. Among T classifications of 4th AJCC, 5th AJCC and Ho staging system were not observ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disease-free survival rates, respectively. Conclusion: We observed a better patient distribution with AJCC 1997 comparing to AJCC 1988. The new classification also attained better statistical significances among stages in th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a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