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유산기에 나타난 한라산 등람배경과 관행

        고윤정(Ko, Yoon-Jeong),오상학(Oh, Sang-Hak)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6 No.-

        본고는 조선시대 한라산을 올랐던 제주목사와 관리 및 유생들의 유산기록 총 13편을 토대로 한라산 등람여정과 등람관행, 그리고 한라산 정상부에 존재하는 자연경관과 역사문화경관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유산관련 사료들은 제주도민이 아닌 제주에 부임해 온 관료들이나 제주도에 유배해왔던 문사들의 기록이 대부분이며, 제주 도민이 직접 저술한 사료는 1편에 불과했다. 16세기 유산기 문헌으로는 임제의 기록이 있으며, 17세기 문헌으로는 김상헌과 김치, 이증, 김성구, 이익태의 유산기 등 5편이다. 18세기 문헌으로는 이형상과 이해조, 조관빈의 기록 등 3편이며, 19세기에는 윤제홍의 그림과 이원조, 최익현, 김희정의 유산기록 4편이다. 한라산 등람여정과 등람관행을 살펴보면, 등람동기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것이 산수유람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한라산신제 제관으로서의 산행, 자연풍물에 대한 체험과 기록을 위한 산행으로 나눌 수 있다. This paper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landscapes as wel l as the natural heritage that exists at the summit along with the records of climbing jour neys based on a total of 13 heritage records written during the sojourn of the Jeju Gover nor, administrators and scholars on their hike up to Halla Mountain.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that have come under scrutiny are mostly records written by literary scholars wh o had been exiled to Jeju or government appointed officials and not the Jeju people. Only one record exists that was written directly by a Jeju resident. A literary record about cli mbing in the 16th Century written by Yim Jae exists to this day, while 5 records written about the pleasures of hiking by Kim Sang-heon, Kim Chi, Yi Jeung, Kim Sung-gu and Y i Yick-tae in the 17th Century has been passed down. As for the 18th Century, 3 such r ecords exist by Yi Hyeong-sang, Yi Hae-jo, and Jo Kwan-bin while in the 19th Century, a total of 4 records exist which includes a painting by Yoon Jae-hong, and 3 other recor ds written by Yi Won-jo, Choi Yick-hyeon and Kim Hee-jung can be seen.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과 소장 『조선지도』의 지도사적 의의

        이우형(Woo-Hyung Lee),오상학(Sang-Hak Oh)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1

        This article is about the cartohistor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Joseon-jido. 朝鮮地圖, Map of Korea』, the copy of the 『Dongguk-daejeondo, 東國大全圖 Great map of Korea.』 by Jeong Sang-Gi(鄭尙驥), which is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by the contents of the map, it is presumed that the map was made between the years 1757-1767. Therefore, it is easy to assume that the map was made in 1740s. Among the others, the map was made in the earliest days. Second, the 『Joseon-jido』 was drawn on the fine silk with the delicate lines, and the map has rvtanchuria of China and Japan, which were presumed to be included in the original map. Also, comparing the copies of 『Paldo-bundo, 八道分圖 Maps of Eight Provinces』 by Jeong to the map by trigonometry calculation, we can presume that both of the map were made by the same scale. By these reasons, the 『Joseon-jido』 is presumed to be the Dongguk-daejeondo in 『YoungJo Sillok, Annals ofKing YoungJo』, which Jeong Hang-Ryung(鄭恒齡). son of Jeong Sang-Gi(鄭尙驥). brought from home and copied it to provide the map to the HongMoonKwan(弘文館, Office of Special Advisers) in 1957(33th year of King YoungJo) Third, there are over 2200 place names mentioned in the 『Joseon-jido』, and these names are also mentioned in the Dongguk-daejeondo and the Paldo-bundo. Most of the place names of the natural features were that of the mountains. and the name of the hills were mentioned in detail. Most of the place names of the civil features were that of the military facilities, such as military camps and the mountain castl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ap had administrative and military purpose. Fourth, the expression of the landscape followed the classic mountain range-centered understanding while at the same time stressing the six Jeongmaks(正脈, Secondary Mountain Range), the important military defence line. The traffic route was expressed in detail among the other civil features, and the mountain castles. military camps and the signal fire were also expressed in detail with the more symbolized marks. Fifth, unlike the existed articles. the map expressed the changes in the military camps, mountain castles, traffic routes, stations and the signal fi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울릉도ㆍ독도 인식의 변화

        오상학(Sang-Hak Oh)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6 문화 역사 지리 Vol.18 No.1

          조선시대 이전 울릉도ㆍ독도 지역의 인식은 울릉도 一島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1402년에 제작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조선전기에는 울릉도 지역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울릉도와 우산도 二島를 중심으로 인식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부도인 『東覽圖』에서 잘 드러난다. 조선후기로 접어들어서 울릉도ㆍ독도 인식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17세기 말 안용복의 도일 사건으로 인해 우산도가 울릉도의 동쪽에 위치해 있고 일본에서 부르는 송도라는 인식이 확립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정상기의 『동국지도』에 표현되어 후대의 전도에 계속 이어졌다. 또한 울릉도의 정기적인 수토가 진행되면서 박석창의 『울릉도도형』과 같은 지도가 제작되었는데, 우산도를 죽도에 비정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 19세기에도 울릉도 단독 지도에서의 인식이 대축척의 전도에서 계속되었고, 정상기의 『동국지도』에서 확립된 주류적 인식은 여러 전도에서 이어졌다.   The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before Joseon Dynasty was made with Ulleungdo as the central figure and was represented in 「Honilgangniyeokdaegukdojid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was made with Ulleungdo and Usando as the central figure and was represented in 「Dongnamdo」, an appended map of 「Sinjeungdonggukyeojiseungn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pernican change in the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was happened. It was represented in 「Donggukjido」 made by Jeong sanggi. In 19th century the main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shaped in 「Donggukjido」 continued in several complete maps.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의 현황과 유형별 특성

        오상학(Oh Sang-hak)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3 No.-

        제주도에 대한 조선의 관심은 지도로 표출되었다. 조선전기부터 제주도만을 단독으로 그린 지도들이 조정에서 제작되어 활용된 사실들은 여러 사료에서 확인된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들은 16세기 이후의 지도들이다. 대부분 필사본 지도이지만 목판본 지도도 여러 종 남아 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제주도의 지도들을 지도의 크기와 축척, 양식, 표현 기법 등을 토대로 유형을 분류하면 대축척 단독지도, 군현지도책의 지도, 전국지도첩(책)의 지도, 지리지의 지도, 회화식 지도, 기타 지도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대축척 단독지도는 최신의 정보를 반영한 가장 정교한 지도로 관청에서 행정이나 군사적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군현지도책의 지도는 이전 시기의 사본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중앙 관부에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전국지도책에 수록된 제주도 지도는 대축척의 전국지도책에 수록된 지도이다. 지리지에 수록된 지도는 지리지의 부도로 제작된 것이고, 회화식 제주 지도는 실경화의 형태를 지니지만 지명이 수록되어 지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The fact that the Jeju Island maps drawn by Joseon government alon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and used in the administration is confirmed in various sources. The existing maps of Jeju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are maps from the 16th century onwards, and are scattered around the museum libraries nationwide, and more than 60 kinds of them are reported. Most of them are manuscript maps, but there are many kinds of wood-block printed maps. The existing maps of Jeju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the large scale maps of the government, the maps prefectures, the maps of the national atlas, the maps of the gazetteer, the map of painting style, and other maps by classifying the types based on the producer, the size of map, the style and expression technique. The large scale map of the public service is the most sophisticated maps reflecting the latest information, and it was produced for administrative or military purposes. The maps of prefecture atlases are relatively small, and paintings such as the Tamnasibgyeongdo have been produced and continued to the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CO<sub>2</sub> 인벤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오상학,김대욱,류지원,차재규,정응호,Oh, Sang-Hak,Kim, Dae-Wuk,Ryu, Ji-Won,Cha, Jae-Gyu,Jung, Eung-Ho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공간 특성에 따라 분포되고 있는 탄소 배출 규모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공간대응형 탄소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함으로서 온실가스 저감형 도시 공간구조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친환경적인 녹색 도시로의 변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기초 Data 중 속성정보는 대구광역시 에너지 부문(전력, 도시가스)의 2009년 연간 사용량을 가지고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Tier 1에 대입하여 $CO_2$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공간정보는 대구광역시 건축물 대장과 지적도를 연계하여 지번에 따라 건축물 용도별로 토지이용 분류를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에너지 부문의 $CO_2$ 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접목함으로서 공간별 $CO_2$ 배출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토지이용에 따라 $CO_2$ 배출 현황이 각기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CO_2$ emission quantities by spatial characteristics using GIS were investigated for building a $CO_2$ emission inventory. Eventually,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lines to buil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for reducing greenhouse gas and contributes to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al friendly green city. The attribute data for GIS were energy (electricity and gas) usage in the city of Daegu for 2009 and used for Tier 1 as suggested by the IPCC guideline to estimate amount of $CO_2$ emission. The spatial data were built based on land use types categorized by building purposes with connecting building registers to cadastral maps for Daegu city. Spatial $CO_2$ emission quantities could be calculated by combining $CO_2$ emission inventory for energy and GIS. Also, $CO_2$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y land use types.

      • KCI등재

        목판본『大東輿地全圖』의 특징과 가치

        오상학(Sang-Hak Oh)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1

        『대동여지전도』는 표기된 지명과 『대동여지도』와의 관련성으로 볼 때, 1861년대에서 1866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동여지전도』는 일부에서의 주장처럼 내용이 조잡하고 오류가 많은 지도가 아니라 오히려 『대동여지도』의 표현기법을 활용하면서도 최신의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道里의 표기에서는 19세기의 대표적인 목판본 지도인 『해좌전도』보다 훨씬 뛰어나다. 『대동여지도』가 군사ㆍ행정적 목적에서 제작된 官府用지도라면 『대동여지전도』는 군사ㆍ행정적 사항뿐만 아니라 사회ㆍ경제적 내용들도 많이 반영된 대중용 지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대동여지전도』에는 당시 사람들이 지니고 있던 산천인식 체계가 잘 반영되어 있는데, 국토를 살아있는 생명체에 비유하는 유기체적 관점이 지도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山水分合의 원리가 지도상에 잘 구현되어 있으며 도로망과 거리의 표시, 潮水영향권의 표시 등은 현대지도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The production period of Daedongyeojijeondo is estimated from 1861 to 1866 in consideration of place names. Daedongyeojijeondo is elaborated enough that there are the latest data in, especially is better than Haejwajeondo that is a representative map in the 19th century in marking distance. Daedongyeojido is an official map for national defense and administration, on the other hand Daedongyeojijeondo is a popular map in which social and economical contents are included. The recognition of mountains and rivers based on organic view of the land is also represented in Daedongyeojijeondo, and the principle of the whole of mountains and rivers is well reflected. It is far better than modern maps in the expression of road system and distances, tidal area in rivers.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CO₂인벤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오상학 ( Sang Hak Oh ),김대욱 ( Dae Wuk Kim ),류지원 ( Ji Won Ryu ),차재규 ( Jae Gyu Cha ),정응호 ( Eung Ho Ju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공간 특성에 따라 분포되고 있는 탄소 배출 규모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공간대응형 탄소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함으로서 온실가스 저감형 도시 공간구조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친환경적인 녹색 도시로의 변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기초 Data 중 속성정보는 대구광역시 에너지 부문(전력, 도시가스)의 2009년 연간 사용량을 가지고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Tier 1에 대입하여 CO₂배출량을 추정하였다. 공간정보는 대구광역시 건축물 대장과 지적도를 연계하여 지번에 따라 건축물 용도별로 토지이용 분류를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에너지 부문의 CO₂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접목함으로서 공간별 CO₂배출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토지이용에 따라 CO₂배출 현황이 각기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CO₂emission quantities by spatial characteristics using GIS were investigated for building a CO₂emission inventory. Eventually,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lines to buil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for reducing greenhouse gas and contributes to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al friendly green city. The attribute data for GIS were energy (electricity and gas) usage in the city of Daegu for 2009 and used for Tier 1 as suggested by the IPCC guideline to estimate amount of CO₂emission. The spatial data were built based on land use types categorized by building purposes with connecting building registers to cadastral maps for Daegu city. Spatial CO₂emission quantities could be calculated by combining CO₂emission inventory for energy and GIS. Also, CO₂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y land use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