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상거처 기준을 활용한 서울시 주택보급률의 재평가와 효과에 관한 연구

        변창흠(Byeon Chang-heum),이한일(Lee Han Il) 한국주택학회 2004 주택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정상거처 기준을 활용하여 서울시의 주택보급률을 재평가함으로써 서울시의 주거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주택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주택보급률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여 정상거처 기준의 주택보급률을 총량적인 기준에 의한 방식과 실질거주기준에 의한 방식으로 유형화하고, 각 방식별로 전체 가구 중 정상거처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의 비율을 정상거처율로 파악하였다. 1995년 2000년의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표본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의 각 자치구별로 정상거처기준을 활용한 주택보급률과 최저주거기준을 활용한 정상거처율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문제가 가장 심각한 서울시에서도 정상거처 기준의 주택보급률은 100% 에 근접하며, 최저주거기준 충족비율은 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주택정책의 방향은 주택공급위주의 주택정책을 탈피하여 거주자의 복지와 주거와 환경의 질을 개선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current research was aimed to 1) to evaluate housing capacity by estimating housing supply ratio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reasonable housing, and 2) to provid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that can be useful for housing policies, in particular ones regarding increase in the level of housing. Although housing supply ratio thus far has been widely utilized as an indicator in the field of housing policies, it might not be effective in that the concepts of 'housing' and 'household' are not clearly defined and their characteristics become more diversified. Given this context, the curr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imate housing supply ratio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nd explore its characteristics by employing a newly developed methodology and data from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addition, the reasonable housing ratio has been derived from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of housing should be significantly considered and a variety of housing indicators be developed for future housing policies.

      •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기업도시의 성격과 조건

        변창흠(Byeon, Chang Heum) 한국공간환경학회 2004 공간과 사회 Vol.21 No.-

        이 연구는 정부가 추진 중인 기업도시 건설정책의 주요 쟁점을 평가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기업도시 건설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업도시는 소수의 기업이 지역사회와 지역경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미 리 계획하거나 사후에 인정된 도시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건설되는 기업도시는 당초 기대한 기업의 경쟁력이나 지역균형발전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괴리됨에 따라 지역주민의 복지와 무관한 개발의 섬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역균형발전과 지역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요구를 반영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산업주체, 지방경제개발공사가 함께 참여하는 지역특화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ecent issues and polic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mpany Towns and to explore desirable directions for equal regional development. A Company Town is defined as a city where one or few firms play a domin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regional economics. The city may be developed with a prior plans or recognized as post hoc. As opposed to its expectations, such city cannot enhance the company’s competitiveness and achieve the goal of equalized regional development. Rather, it is most likely to become an ‘Island of Development’, resulting in detachment from the regional community and disregard for the welfare of its residents. Relative to Company Towns, regionally-specified cities considering of variety of demands and needs of private companies are more likely to attain the goal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al industries. They should be developed by the consortium comprising of representatives from the local community, regional firm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corporations.

      • KCI등재후보

        특집 : 신개발주의의 구조적 특성과 유산 극복을 위한 정책 과제

        변창흠 ( Chang Heum Byeon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4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5 No.-

        우리나라에서 발전주의(developmentalism)는 경제정책에 최우선적인 가치를 둔 국가발전전략일 뿐만 아니라 도시화와 산업화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대규모 도시개발을 뒷받침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따라서 발전주의는 곧 개발주의를 수반하게 되었고 두 말은 동의어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서울시도 마찬가지이다. 인구와 산업의 급속한 집중에 따른 공급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주의(developmentalism)를 채택해왔지만 환경 파괴와 독선적 추진 결정 등에 따른 반발로 한계가 나타나게 되었다. 신개발주의는 환경복원, 역사문화, 균형발전, 복지향상 등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개발과 경제적 성과를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개발주의와 본질은 동일하다. 이 글에서는 이명박, 오세훈 전임 서울시장 시기에 신개발주의에 기반을 두고 추진되었던 사업들을 대상으로 사업의 추진배경과 목적, 그 결과와 한계를 평가하고자 한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사업은 신개발주의가 내건 명분에 따라 크게 균형 발전, 창의혁신, 녹색생태복원, 역사복원 및 문화, 사회복지 등으로 구분했다. 대상이 되는 사업으로는 이명박 시장의 뉴타운 사업, 청계천 복원사업, 서울의 숲 조성사업, 오세훈 시장의 한강르네상스 사업과 디자인서울 관련 사업, 산업뉴타운 사업 등이다. 분석결과, 이명박, 오세훈 전임 서울시장 시기에 신개발주의의 성격을 지닌 사업들은 당초 제시했던 목표도 달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도시공간 구조나 시민의 삶의 질에 많은 부정적인 효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박원순 시장이 집권하면서 출구전략이 마련되고 있지만, 여전히 신개발주의의 후유증은 존속될 수밖에 없다. In Korea, developmentalism has served as the economy-centere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of accelerated economic growth. It has, however, also been the ideology behind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s for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for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Developmentalism in Korea has been accompanied by real estate development and become a synonym of ‘construction developmentalism’. Seoul took up the policy of developmentalism to resolve the supply-related problems that arose as a result of the rapid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industry. The limits in this policy became apparent with the protests against the environmental harms and the dogmatic manner of implementation. Neo-developmentalism operates under the slogan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history and culture, balanced development, and improved welfare, but since it prioritizes development and economic outcome, it is, in fact, identical to developmentalism in essence. This article evaluates the background, objectives, outcomes, and limits of the projects underwent during the terms of former mayors Lee Myung-bak and Oh Se-hoon on the basis of neo-developmentalism. The projects analyzed here are categorized under the neo-developmentalist causes that they uphold, which include balanced development, creative innovation, green ecological restoration, historical and cultural restoration, and social welfare. Such projects include the Newtown Project,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and the Seoul Forest project during the term of Mayor Lee Myung-bak, and the Han River Renaissance project, and projects related to Design Seoul during the term of Mayor Oh Se-hoon. Analysis shows that neo-developmentalism projects implemented during the terms of Lee Myung-bak and Oh Se-hoon did not succeed in achieving proposed goals and negatively affected the city`s spatial structures and the citizens` quality of life. The new mayorship of Park Won-soon strives to provide exit strategies on these policies, but the side effects of neo-development continue to exist.

      • KCI등재

        토지개발사업의 공공성 평가와 공공부문의 역할

        변창흠(Byeon Chang-heum)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8 No.-

          Land is a kind of product trading in market but has publicness differential from other products. Due to such a characteristic of land, public sectors are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land.<BR>  Whereas philosophy and ideology of a ruling political party make a decision roles and participation methods of public sectors in other countries, traits of real estate markets or political interests heavily impact on roles of public sector in Korea. Hence, socio-cultural speciality of Korea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roles of public sectors in regard to land, irrespective to an ideal model of land market.<BR>  The current study is aimed to estimate the degree to which publicity has been achieved in the land development projects and which roles of public sector should be played and reinforced in order to expand publicity.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publicity has hardly been attained in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land plan, performance of local development projects,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land, building and provision of houses, or expropriation from land in the land development process of Korea.

      • KCI등재

        자족성 확보를 위한 택지개발제도 개선 방향

        변창흠(Byeon Chang-heum) 한국주택학회 2005 주택연구 Vol.13 No.3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도시개발사업으로 다양한 종류의 신도시가 계획중에 있다. 이 도시들은 주거 중심의 신도시를 넘어서서 다양한 기능이 결합된 복합도시, 자족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택지개발사업방식으로 추진되어 오던 신도시 건설은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택지개발사업 제도가 자족성 확보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신도시 개발과정에서 자족성 확보를 위한 택지공급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상암 DMC에서 자족성을 확보하고 산업 클러스터를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되었던 택지공급 방식과 각 주체별 역할을 분석하여 다른 신도시 건설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신도시를 계획적으로 개발하는 경우 미리 유치할 민간기업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하여 개발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둘째, 신도시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거점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지원을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셋째, 택지공급 결정 기준에서 가격이 아니라 지역경제 파급효과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택지공급방법의 유연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신도시의 건설과 운영에서 지방정부의 참여를 확대하여야 한다. These days, various types of New Towns have been being planned as a growth center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Such new towns take a form of a multi-complex city or a self-sustained city which is supposed to undertake numerous functions beyond a housing-oriented city. So, the new towns constructed in the manner of housing lot development should seek new ways to survive. This study is aimed to locate problems of current housing lot development systems in the perspective of self-sufficiency and suggest improved measures of housing lot supply systems.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lot supply systems and roles of development agents in the Sang-am Digital Media City in Seoul are analyzed as a model of development. Furthermore, implications for new town development are discussed based on present findings. The following ideas are suggested in the current study: first, needs of private industry targeted should be fully considered when a new town development is planned;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assist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for its important role in serving as a growth center for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rd, housing supply measures should be more flexible so that regional economy effects as well as bid price can be considered as criteria for housing lot supply decision; and lastly, role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xpanded into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new towns.

      • KCI등재

        국제적 대규모 행사의 유치 경쟁에 따른 파급 효과의 왜곡 구조 사례 연구

        변창흠(Byeon, Chang-Heum)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4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장소마케팅과 지역개발의 수단으로 경쟁적으로 올림픽경기대회나 세계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위하여 경쟁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행사는 항상 지역발전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어떤 행사는 재정적자와 불균형발전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논문은 대규모 행사의 과도한 유치 경쟁이 파급효과를 어떻게 왜곡시키는지를 대규모 국제행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 대상이 되는 대규모 행사로는 인천세계도시축전, F1 자동차경기대회, 2012 여수세계박람회, 2018평창 동계올림픽경기대회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공식적인 예산서나 감사 결과서, 수입과 비용을 담은 계획서를 주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사례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는 당초의 유치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패의 원인으로는 임기 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느슨한 계획, 낙관적인 예산 전망, 과장된 명분 등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연구에서 대규모 행사는 결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자를 유발해내는 반면 파급효과는 크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의 유치구조와 집행체계는 유사하지만 지역발전효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전에 지역의 상황이나 유치 후에 건설된 시설의 활용 가능성을 미리 검토하고, 대규모 행사의 유치에 대해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years,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competed against each other to attract mega-events like the Olympic Games, EXPO etc. as a means of place-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these mega-events cannot always guarantee success in regional development and, in some regions, such mega-events have been the cause of fiscal deficit and uneven development. This articl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hosting and implementing such events. It examines the real effects of the mega-events in Korea by comparing the cases of past events, such as the Incheon World City Festival, F1 Car Racing Games as well as future events like the 2012 Yeosu EXPO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pecial attention is devoted to the fiscal aspect of these events: official budgets, audits, and reports of revenues and costs are examined. Analyses of these cases show that these events have often failed to fulfill their goals. Causes of these failures include lax planning, optimistic budgeting and exaggerated claims by chiefs of local governments seeking visible outcomes during their terms. In such cases, mega-events have often led financial deficits.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plans of future events, examining current progress and comparing their cases with similar past events in other countri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the role of agencies engaged are similar in most events, but their effects on the regional development are different.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regional context and region’s capability of utilizing the events and facilities be examined before bidding and hosting such mega-events and that regional governments conduct prudential planning prior to hosting such events.

      • KCI등재

        뉴타운사업의 정책실패 악순환 구조 분석

        변창흠(Byeon, Chang-Heum)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한때 지역주민이나 지방자치단체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던 뉴타운사업이 오늘날에는 실패의 상징이 되고 있다. 그동안 뉴타운사업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지만, 어떤 점에서 뉴타운사업이 실패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서울시 뉴타운정책을 어떤 관점에서 정책실패로 규정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뉴타운사업을 정책분석의 7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어떤 측면에서 정책실패라고 규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했다. 7개 정책분석단계는 문제인식, 목표 설정, 정책수단 선택, 정책목표 달성, 정책집행 과정, 정책 추진 효과, 정책 평가와 환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뉴타운사업은 당초 강남북 간의 격차와 기존의 정비방식의 한계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으나, 사업추진 과정에서 적절한 정책수단을 사용하지 못했고 정책목표 달성에도 실패했다. 정책집행 과정에서도 법적인 근거없이 과도하게 많은 사업지구가 지정되었고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했다. 뉴타운사업은 사업의 수익성을 보전해주는 방식의 출구전략을 추진한다면 또다시 정책실패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앞으로 뉴타운사업이 악순환 구조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뉴타운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Once coveted by residents and municipalities, ‘New Town Project’ is now recognized as the symbol of policy failure.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exact point of its failure.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analyze the reasons for which we can regard the New Town project as such.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through seven steps of analysis and evaluates how the policy has failed in each of these regards. The seven steps include problem recognition, goal setting, selection of policy means, realization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feedback.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ollowing. While the project began from an awareness of the disparity between regions North and South of the Han River and of the limitations in existing redevelopment methods, the project did not utilize adequate means in the process of actualization and has thus failed in achieving its policy goals. Furthermore, the project has designated too many districts without legitimate reasons, leading to the rise in real estate prices. The current exit strategy of maintaining the profitability of these projects by excessive subsidization only exacerbates the vicious cycle of policy failure. New Town Projects should seek, instead, to focus on vitalizing local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부동산 시장의 위기극복을 위한 금융정책의 역할 평가

        변창흠 ( Chang-heum Byeon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0 질서경제저널 Vol.13 No.4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부동산 경제구조는 급속하게 자산화, 증권화, 세계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정책에서도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방식외에 금리조절이나 대출규제와 같은 간접적인 금융정책 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그동안 부동산 정책 수단은 급변한 부동산 시장 환경을 충분히 고려할 준비가 되어 있지 못했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의 폭등을 억제하고 부동산 시장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부동산 시장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금융정책 수단의 역할을 평가하고 향후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부동산 경제구조의 특성과 변화 과정에서 자본시장이나 금융시장과 어떻게 연계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살펴보고, 이러한 구조 속에서 2005년 부동산 급등기의 위기나 2008년 세계금융위기 속에서 부동산 급락기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활용된 부동산 정책수단이 어떠한 의미와 한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2005년의 부동산 급등기에 노무현 정부는 보유세 강화, 개발이익 환수, 주택공급 확대, 주거복지와 같은 전통적인 정책수단에 치중한 반면, 거시경제를 고려한 부동산 정책수단의 채택에는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사용하였다. 특히 금리 인상과 LTV나 DTI 규제정책과 같은 금융정책수단을 너무 늦게 활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철저하게 관리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 폭등을 막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세계금융 위기 속에서 2008년의 부동산 급락기에 이명박 정부는 주택공급 확대와 주택수요 팽창정책을 추진하면서 이와 관련된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규제완화 정책과 LTV나 DTI 규제를 완화를 통한 수요 확대 정책은 부동산 가격의 급락을 방지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부동산 시장의 자율적인 구조조정과 시장가격의 조정을 방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부동산 정책은 금융정책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정책의 방향이 결정되고 다양한 정책수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안정을 위한 금융정책은 거시적인 금융정책과 미시적인 금융정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가계부채 문제와 부동산 PF의 부실을 방지하기 위한 금융정책의 역할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Since the IMF crisis, the structures of real estate economy have rapidly shifted toward capitalization, securitization and globalization. Due to these trends, indirect financial policies (i.e. interest control and loan regulation) rather than direct intervention means have been requested in real estate policy. However, the means of real estate policy could not cope with the sharp rise of real estate price and overcome crises in the real estate market because of insufficient preparation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f real estate marke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les of financial policy in overcoming the crises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measure of financial policies for the future. This paper analyses how the relations between real estate economy and capital and financial market have s changed since the IMF crisis and evaluates the meanings and limits of real estate policies to cope with the 2005 boom crisis and 2008 bust crisis. The results analyzing the impact of financial policy on the boom of real estate price in 2005 and the bust in 2008 are as follows: (a) the Roh Administration could not control the sharp rise in real estate price in 2005, because of its late use of financial policies like LTV and DTI control and poor management of loan control. Roh Goverment focused on the traditional direct means of real estate policies like increase of property taxes, redemption of development gains, expansion of housing supply and housing welfare.; (b) However, Lee Government chooses the deregulation, by which it expands expanding the housing supply and demand in real estate market for the prevention of collapse of real estate price. The deregulation policy for housing supply increase and the demand expansion policy through LTV and DTI deregulation could be expected to prevent collapse of real estate price, but in the end could also hamper the autonomous restructuring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self-regulating real estate price. This paper emphasizes that further real estate policiesy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its the inter-relationship with financial policy. Furthermore, for the stabilization of real estate market, a good balanced combination of macro- and micro financial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this paper emphasizes the role of financial p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