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경구피임제를 복용한 여성에서 임신중 발생한 간세포암

        박흠례(Heum Rea Park),최덕주(Duck Joo Choi),박현철(Hyun Chul Park),박종재(Jong Jae Park),이성광(Sung Kwang Lee),강동훈(Dong Hoon Kang),김주현(Ju Hyun Kim),김득조(Duk Jo Kim),오수용(Soo Yong Oh),강영숙(Young Sook Kang),이정남(Jong Nam 대한소화기학회 199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0 No.1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regnancy is very rare.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high maternal and fetal rnortality, the risk group of developing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regnant women must be closely monitored. The risk group includes pregnant women who are HBsAg carriers with cirrhosis, long term users of oral contraceptives, and who have a history of multiparity. An elevated a fetoprotein(AFP) level is useful for the diagnosis. The risk group should be closely monitered with a careful physical examination and AFP measurement. Then hepatocellular carcinoma can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 pregnant woman with an elevated AFP level who was an user of oral contraceptives and had a history of multiparity. It was confirmed by operation and histologic examination. (Korean J Gastroenterol 1997;30:126-130)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화기 ; 유전자형 1형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혈청 인터페론감마유도단백질-10의 의미

        이영선 ( Young Sun Lee ),김태형 ( Tae Hyung Kim ),이범재 ( Beom Jae Lee ),김지훈 ( Ji Hoon Kim ),김선원 ( Sun Won Kim ),이현정 ( Hyun Jung Lee ),김재선 ( Jae Seon Kim ),연종은 ( Jong Eun Yeon ),변관수 ( Kwan Soo byun ),박종재 ( Jo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6

        목적: 최근 1형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CXC 케모카인중 하나인 IP-10의 치료 전 혈중 농도가 지속적 바이러스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인자일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1형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용 투여 시 T 림프구 특이성 케모카인인 IP-10의 혈중 농도 변화와 이들과 여러 바이러스 반응들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유전자형 1형 만성 C형 간염으로 진단받고 초 치료로써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용 치료를 받은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보관되어 있는 환자 혈청을 이용하여 치료 시작 1개월 전과 1개월 후의 IP-10 수치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치료 전 IP-10 수치와 여러 바이러스 반응과의 관계 및 치료 전과 치료 후의 IP-10 수치 변화와 여러 바이러스 반응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평균 53.5±10세이고, 21명(58%)이 남자였으며, 치료 전 HCV RNA의 평균은 5.7±0.9 log10 IU/mL이었고, IP-10 정량 결과는 평균 432.2±343.7 pg/mL이었다. 치료 전 환자의 IP-10 정량 값과 HCV RNA 정량 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치료 전 환자의 IP-10의 평균값은 432.2±343.7 pg/mL이었고, 치료 1개월 후의 IP-10의 평균값은 306.5±246.1 pg/mL로 그 감소 정도는 유의하였다(p=0.033). 여러 바이러스 반응과 치료 전 IP-10치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바이러스 반응 유무에 따른 치료 전 IP-10 값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각각의 바이러스 반응을 보인 군과 그렇지 않은 군에서치료 전과 치료 후의 IP-10의 변화를 확인해 본 결과 바이러스 반응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치료 후 IP-10 값은 감소하는 모습이었으나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결론: 치료 전 IP-10 수치와 치료 한 달 전과 한 달 후의 IP-10 수치의 변화는 지속적 바이러스 반응의 예측인자는 아니었다. 하지만 더 큰 규모의 연구를 통하여 IP-10 수치와 바이러스 반응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erum interferon γ-inducible protein-10 (IP-10) concentration decreased after pegylated interferon and ribavirin therapy, and was associated with a sustained virologic response (SV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pretreatment IP-10 level and change in serum IP-10 level between 1 mon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various virologic responses in patients having chronic hepatitis C (CHC) with genotype 1 undergoing pegylated interferon and ribavirin therapy. Methods: Thirty-six patients having CHC with genotype I undergoing pegylated interferon and ribavirin therapy who had available stored sera 1 mon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Serum IP-10 levels were measured by ELISA. Serum HCV RNA was measured by RT-PCR (detection limit<50 IU/mL).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n=36; 21 men) was 53.5 years, and the mean of pretreatment HCV RNA levels was 5.7 log10 IU/mL. The serum IP-10 level at 1 month after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32.2 to 306.5 pg/mL (p=0.033). The rate of rapid virologic response (RVR), early virologic response (EVR), end-of-treatment response (ETR), and SVR were 58%, 83%, 74%, and 57%,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treatment IP-10 levels was observed between the patients with (RVR, EVR, ETR, and SVR) and without various virologic responses (p>0.05). The change in serum IP-10 between 1 mon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had no clinical meaning based on various virologic responses (p>0.05). Conclusions: The level of pretreatment IP-10 and change in IP-10 level between 1 mon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not predictive factors of a SVR. Additional large-scale studies to determine the SVR-predicting role of serum IP-10 levels in patients with CHC are needed. (Korean J Med 79:652-660, 2010)

      • KCI등재후보

        소화기 ; 판토프라졸이 난소 적출한 ICR 생쥐의 골교체에 미치는 영향

        임은혜 ( Eun Hye Lim ),김기현 ( Key Hyeon Kim ),이범재 ( Beom Jae Lee ),주문경 ( Moon Kyung Joo ),고진성 ( Jin Sung Koh ),이준영 ( Joon Young Lee ),임상아 ( Sang Ah Lim ),김지훈 ( Ji Hoon Kim ),연종은 ( Jong Eun Yeon ),박종재 ( Jo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1

        목적: 장기간의 양성자 펌프 억제제 투여는 골다공증과 연관된 병적 골절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장기간 사용이 어떤 기전으로 골절의 위험을 높이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난소 적출한 ICR 생쥐의 골교체에 양성자 펌프 억제제인 판토프라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동물로 난소를 적출한 암컷 ICR 생쥐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무작위로 판토프라졸군(n=10) 및 대조군(n=10)으로 나누었다. 판토프라졸군은 매일 20 mg/kg의 판토프라졸을 복강 내로 두 차례씩 주입했다. 4주간의 실험이 끝난 뒤 이들을 희생시켜 골밀도 및 경골의 건중량을 측정하였고 채취한 혈액으로 ELISA를 이용하여 골교체 표지자인 osteocalcin 및 CTX-1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장을 추출하여 균질화한 후 RT-PCR을 통해 파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골대사와 연관이 있는 혈청 calcium, phosphorus, ALP (alkaline phosphatase) 등도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 osteocalcin 농도는 판토프라졸군에서 의미있게 낮게 측정되었으나(p=0.023) 골밀도, 경골의 건중량, 그리고 혈청 ALP, calcium, phosphorus, CTX-1 농도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T-PCR을 통해 측정한 IL-1β의 발현은 판토프라졸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8), TNF-α, IL-1β, IL-6의 발현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번 실험에서 판토프라졸은 난소를 적출한 ICR 생쥐의 혈청 osteocalcin 농도 및 비장 세포에서의 Il-1β 활성도를 감소시켜 판토프라졸이 골형성 및 골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추후 보다 많은 개체수를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Long-term exposure to proton pump inhibitors i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however, the mechanism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ntoprazole on osteoporosis and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ICR mice fed a calcium-free diet. Methods: Ovariectomized fe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a pantoprazole group (n=10) and a control group (n=10). The mice in the pantoprazole group were given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antoprazole at 20 mg/kg twice daily. After 4 weeks, the mice were humanely euthanized,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dry tibia weight were measured. Serum osteocalcin and CTX-1 levels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cytokines that stimulate osteoclast differentiation were determined using RT-PCR. Serum calcium, phosphorus,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levels were also analyzed. Results: Serum osteocalc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ntoprazole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23). There was no difference in BMD, dry tibia weight, or serum ALP, calcium, phosphorus, or CTX-1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β was lower in the pantoprazole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lower (p=0.058). The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L-6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Pantoprazole, a proton pump inhibitor, decreased serum osteocalcin and suppressed IL-1β expression, suggesting that pantoprazole affects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in ovariectomized ICR mice. Further studies using larger sample sizes are needed. (Korean J Med 2011;80:56-62)

      • SCOPUSKCI등재

        만성 B형 간염에서 라미부딘 치료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의 임상 결과

        안수현,장윤정,오성남,최도원,백수정,정원석,최창원,김경오,임형준,조남영,박종재,김재선,박영태,이명석,연종은,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중 발생하는 약제 내성 변이종은 임상적으로는 치료 중 음전되었던 혈청 HBV DNA가 다시 양전되는 viral breakthrough 로 진단할 수 있다. 현재 약제 내성 변이종이 발생했을 경우라도 라미부딘 치료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viral breakthrough 발생 예들의 장기적 임상경과가 아직도 불명확하여 이것을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라미부딘 사용 중 viral breakthrough 가 발생한 예들을 대상으로 그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9개월 이상 라미부딘을 투약한 만성 B형 간염 환자로 viral breakthrough가 발생한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여 54/20, 평균연령 42세). Viral breakthrough 후 혈청 ALT치, 총 빌리루빈치, HBV DNA 역가, HBeAg, anti-HBe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면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Viral breakthrough 후 라미부딘의 투약기간은 평균 13개 월(1-41개월)이었다. 결과: Viral breakthrough 발생후 혈청 ALT치가 정상으로 유지되었던 환자는 8예(11%)에 불과했고 나머지 66예(89%)에서는 ALT치가 증가하였으며, 이중 30예(41%)에서 급성 악화(ALT 정상 상한치의 5배 이상 상승)를 보였다. 급성악화는 viral breakthrough 후 3개월 내에 19예 (63%)에서 발생하여 3개월 내에 발생한 예가 많았으나 12개월 이상 지나서 나타나는 예도 약 20%에서 있었다. 비대상성 악화는 6예에서 관찰되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가 일어난 예와 없었던 예의 비교에서 급성악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HBeAg이 음전된 예는 8예(11%)였으나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 않았다. 결론: 만성 B형 간염 환자 에서 라미부딘 투여 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 중 상당수에서 급성악화가 발생하였으며, HBeAg 이 소실되더라도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만은 않았다. Viral breakthrough 발생 후 주의 깊은 임상경과 의 관찰이 요구되며, 앞으로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 예에 대한 대규모 연구와 적절한 치료방향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ong-term lamivudine therapy can induce the emergence of lamivudine resistant hepatitis B virus (HBV) mutants. Clinically emergence of the mutant is expressed by the reappearance of disappeared HBV DNA in serum. Continued lamivudine treatment has been usually recommended in cases of viral breakthrough. However, the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viral breakthrough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ourse of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Methods: A total of 7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ho showed viral breakthrough after at least 6 months of lamivudine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had positive HBeAg and HBV DNA before treatment.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after breakthrough was 13 months. Results: After viral breakthrough, only 8 patients (11%) maintained normal ALT levels and 66 patients (89%) showed elevation of ALT. 30 patients (41%) showed acute exacerbation of hepatitis (ALT increase over five-times upper normal limit). These acute exacerbations occurred within three months after breakthrough in 19 patients (63%). In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6 patients showed decompensated progression such as elevation of serum total bilirubin. One of them died of hepatic failure. A predictive factor for acute exacerbation was not found. HBeAg seroconversion occurred in 8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but their clinical course was highly variable. Conclusions: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ho had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should be followed carefully and regularly in mind of potential clinical deterioration. New strategies are needed to manage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after viral breakthrough.(Korean J Hepatol 2002;8:389-39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