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창의인재역량 비교

        박숙희(Sook Hee Park),김영주(Young Joo Kim),조득창(Deuk Chang Cho),한윤영(Yoon Young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별 창의인재역량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H대학교에 재학 중인 450명의 대학생에게 박숙희‧안혜진 ‧권유선‧한윤영(2014)이 개발한 창의인재역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는 창의인 재역량이 하위 3개 차원(인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7개 문 항에 대해 4점 Likert척도에 응답하도록 되어있다. 연구결과 응용예술에 해당하는 디자인전공 학생들의 유창성(인지적 차원) 요인이 사회과학(사회복지, 아동보육, 지역개 발, 도시행정) 전공생보다 높았으며, 과제집착력과 위험감수(정의적 차원) 요인에서는 인문, 사회과학, 순수예술 및 이공대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순수예술 전공 집단에서는 창의인재역량의 다수의 하위 요인들과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인재역량 강화를 위한 전공별 교수학습 프로그램 설계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게 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undergraduates’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by their major. For data collection, a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Scale developed by Park, Ahn, Kwon, & Han (2014) was conducted for 450 undergraduates who are attending H university located at the metropolitan area. This scale is composed of 3 dimension of the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cognitive, affective, social) on 4-point Likert scale for 57 items.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in the fluency factor (cognitive dimension) students who major in design of the applied art were higher than that of majors in social science (social welfare, child care, regional development, urban administration). Besides, in the task commitment and risk-taking factors (affective dimension),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who major in humanities, social science, pure art and science & engineering. Also, in the pure art major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ny sub-factors and the total score of the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useful data for designing an instructional-learning program by major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so contribute to raising efficiency of a program.

      • KCI등재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 만족도 관련 요인

        박숙희(Park, Sook Hee),조인주(Cho, In J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참여 특성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그들의 자활사업 만족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참여자의 참여 특성은 건강상태, 자활수급 지위, 자활사업 참여 이전 구직노력 여부, 자활사업 참여기간, 자활센터 역할 인식 정도, 자활사업 적성 적합도, 급여만족도, 자활사업에 대한 태도로 구성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주거형태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자활센터에서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402부이고, 회수된 289부의 설문지 모두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자활사업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은 자활센터 인지도, 적성적합도, 급여만족도, 자활사업 태도, 연령, 학력, 결혼상태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활사업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satisfaction in self-sufficient program.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a total of 40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89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t program in Jeonbuk area.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wareness of center’s role, aptitude suitability, salary satisfaction, attitude toward self-sufficient program,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self-sufficient program.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to intervene self-sufficient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4세와 5세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의 관계

        박숙희(Park Sook-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창의성 교육을 위해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다루게 되는 구인인 ‘창의적 능력’을 구성하는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4세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16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4세와 5세 유아 전체집단 및 각 연령별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4세와 5세 유아 전체집단에서는 창의적 사고(도형영역)와 창의적 인성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별 분석 결과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4세 유아집단에서는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 두 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세 유아집단에는 창의적 사고검사의 도형 영역과 창의적 인성 요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맥락에서 창의적 능력이 발휘되는 것은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의 조화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chool period is the most importan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is study aimed to conceptualize the creative abilit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0 kindergartners and day care center children of 4 and 5 year-old in Seoul and Gyung-gi do.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Preschoolers developed by Lee and Lee(2003) and TCT-DP by Urban and Jellen(1996) were used to measure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using the SPSS for win 10.0 ver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Second, there were differentiated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by ag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figural domain) and creative personality at the 5 year old, bu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ere not found at the 4 year old.

      • KCI등재

        논문(論文) : 고려(高麗) 다시(茶詩)에 나타난 탈속(脫俗)과 양생(養生)의 미학(美學)

        박숙희 ( Sook Hee Par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茶는 고조선 때 유입되어 우리 민족과 고락을 같이 하면서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이어 오고 있다. 처음에는 신에게 올리는 제물로 사용되었으나, 삼국 시대, 고려, 조선을 거치면서 점차 생활에도 확산되어 궁중은 물론 서민에 이르기까지 의식 때에는 물론이요 일상적으로도 즐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차는 차도구의 필요에 의해 도자기의 발달은 물론이요, 다실의 필요에 따른 건축 양식, 차와 곁들여 먹던 茶食, 차를 마실 때 입던 茶禮服 등 우리 생활의 여러 가지 부문에 걸쳐 다양한 발달을 가져오는 계기를 마련했다. 특히, 지식층에 속하는 일부 우리 선조들은 漢詩를 짓고 즐기는 생활을 하였는데, 그 중에서는 차를 소재로 한 것들도 많이 있다. 이러한 차를 소재로 한 茶詩는 다른 한시가 갖는 시대 정황이나 지은이의 사상 외에 시대별로 선조들의 차 생활과 차 정신을 속속들이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차를 즐겼던 수많은 유학자, 승려, 道學者들은 나름대로의 차 생활을 즐기면서 茶禮儀式, 茶禪一如 思想, 神仙 思想의 법도와 체계를 세웠는데, 이러한 사상들은 단순히 차 생활이나 차 정신의 바탕뿐만이 아니라 그 시대를 지배하는 사상과 철학, 예술, 종교 정신의 바탕이 되었다. 이것은 충효 정신, 선비의 지조와 절개, 부녀자의 정절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우리 민족이 자랑스럽게 여기는 전통 문화의 근저를 이루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古代로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우리나라 茶詩의 시대적인 발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사회적, 문학적 배경을 提高해 보고자 한다. 선비들의 높은 차정신의 세계와 기풍, 茶詩를 통한 벗과의 돈독한 교분, 자연과 합일하여 그 속에서 안정과 교감을 이루고 脫俗의 경지에서 자연의 이치를 즐긴 생활, 차의 약리적인 면을 귀중히 여겨 생활의 일부로 음용했던 지혜의 면모를 살펴봄으로써 茶詩의 특징과 내면의 멋을 되새겨 보는 계기로 삼아, 이들 속에서 茶詩가 갖는 문학적 가치를 논해봄으로써 우리 차 문화의 정신을 나름대로 정립해 보고자 한다. The tea was first introduced to people of Korea from the time of Kochoson(early ancient times) as part of their life to these days. From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Koguryo, Backjae, and Shila), Koryo, and Chosun, the tea was first used as an offering to god in a ceremony. However, it has been further expanded not only to the national ceremonies, but also to the ordinary people ot Korea in their daily home life. Furthermore, the tea has brought out many other important aspects in our lives. For example, it has lead to the development of ceramic wares used for drinking tea; introduced various kinds of food that can be eaten with tea; provided ideas for building constructions which was to be built for enjoying tea in a pleasant surroundings; and also lead to development of clothing that were proper attire for tea ceremonies Many classical scholars enjoyed writing poetries in Chinese. Among their poetries, there were many poetries that were especially related to tea. The importance of tea was apparent in their writings. Not only their thoughts and period of their lives were apparent, but the tea custom and psychological aspect of the tea were also apparent un their poetry. Among the confucianists, many classical scholars, as they enjoyed the tea, experienced and sought the important aspects of the tea and self-discipline. These aspects of tea not only represent custom or tea and its psychological aspects but also ruled its period of different thoughts and philosophy, artistic, and religions. We tend to observe our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our ancient times by studying the development of tea poetry. As our classical scholars have done in the past, by sharing a tea time together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have gained an intimate friendship among themselves. Moreover, due to the fact that the tea served a great deal in human health,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our daily lives. Above all, through the cultural education literature of tea poetry, we hope to portray more accurate view of our cultural aspect or tea.

      • KCI등재

        영재성 연구의 역사에 관한 소고

        박숙희(Sook Hee Park)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998 한국가족복지학 Vol.3 No.1

        The purpo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the following terms of genuis, precocity, prodigy, talened and giftedness and to review the research history about giftedness from the ancient to the recent times. Individuals who are gifted and creative do not have a disability that presents obstacles to their learning and participating in society. However, they can be handicapped by our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s, which present barriers to achieving to their potentials. Gifted individuals possess unique intellectual and creative abilities that need to be fostered and developed. I think that for gifted education to flourish in our country, it needs to be Korean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창의성의 측정

        박숙희(Park, Sook-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0 창의력교육연구 Vol.3 No.1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Korean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through the formulation of a conceptual and measure frame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ccomplished by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which to understand the study of creativity. And the instrument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conceptual framework. Next, the reliability and valid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various validation process were examined. In order to estimate of the reliability test-retest, equivalent-form, Cronbach ɑ, inter-rater, intra-rater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relied upon, and concurrent validity coefficients were estimated for the instruments validity. Finally, 330 pupils of type Ga and 336 pupils of type Na respectively passed through the process of validation.

      • KCI등재후보

        교사 창의성의 관련 변인 탐색

        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창의성은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여겨진다. 교사 창의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교사의 창의적인 능력 그 자체보다는 창의적 수업에 대한 교사의 태도나 인식, 창의성의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이해 여부가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사의 창의적인 능력 자체와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기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BR>  본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 집단과 비교집단(교직과정 이수자 및 일반 대학생)으로 분류한 총 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TCT-DP를 실시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창의성과 관련된 변인으로 추정되는 연령, 성별, 학업성취(학부 성적), 교직경력, 담당 교과목(전공)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교사 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성 및 관련 변인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교사집단의 창의성은 비교집단의 창의성보다 의미 있게 낮았으며, 교사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성은 모두 담당 교과목(전공)의 차이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교사집단의 창의성이 연령, 성별, 학부성적, 교직경력의 차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비교집단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BR>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집단의 창의성 관련변인들은 다른 집단의 창의성과는 다른 양상을 가지므로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행 창의성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e variables with teachers" creativity. Subjects were 94(30 teachers, 31 teachership course students, 33 undergraduate students) in undergraduate & graduate school, H university. The instruments employed here were TCT-D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d F-test.<B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BR>  First, creativity scores of teacher group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creativity scores.<BR>  Second, teachers" creativity w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high and low group of age, grade, teaching careers, and between groups of males and females.<BR>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of the new directions in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creativity.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Perfectionism and Self-Rated Creativity between Intern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박숙희(Park Sook Hee),유경훈(Lew Kyoung H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고등학교 학생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창의성에 대한 자기평가의 관계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한 국제고등학교 1-2학년생 107명과 일반계 공립 고등학교 1-2학년생 134명을 대상으로 Hewitt와 Flett (1991)의 다차원 완벽주의성향 척도(MPS)를 실시하고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얼마나 더 창의적이라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 5점 척도로 반응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국제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2학년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다차원 완벽주의 성향 척도 중 하위척도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차원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t=3.12, p<.01),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차원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았다(t=2.02, p<.05). 창의적인 자기에 대한 인식에서는 국제고 학생들의 평균점수(M=3.72, SD=.75)가 일반고 학생들의 평균점수(M=3.09, SD=1.58)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t=5.20, p<.001).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국제고등학교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자기지향 및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고, 자신을 보다 더 창의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perfectionistic and creative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approach this, Hewitt & Flett (1991)'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and self rated creativity scale were conducted on 241 high school students at a private international and a general high school;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s was calculated and t-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a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s (t=3.12, p<.01) And, self-rated creativity was verified between the distinguished groups of the international(M=3.72, SD=.75) and the general (M=3.09, SD=1.58) high school students(t=5.20, p<.001).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the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er tendency toward self-orient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rated creativity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 KCI등재후보

        자아존중감, 창의적 인성, 그리고 창의적 사고의 관계

        박숙희(Sook Hee Park),유경훈(Kyoung Hoon Lew)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수도권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106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측정도구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 하주현(2000)의 창의적 인성검사, 그리고 Urban와 Jellen(1996)의 창의적 사고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창의적 인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창의적 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 교육의 방향이 어느 특정요인의 증진에만 관심을 두는 방식으로 단편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보다는 좀 더 다각화된 연구결과의 축적을 기반으로 하여 종합화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The responses of 106 university students on RS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CPS(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TCT-DP(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 α coefficient,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 t-test, regression and Barron & Kenny’s mediational analysis by using SPSS 11.5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Secon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creative thinking were mediated by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

        Korean Undergraduates’ Conceptual Structure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박숙희(Sook Hee Park)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4 Global Creative Leader Vol.4 No.2

        교육은 왜 필요한가? 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 교육의 목적은 국가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 그리고 개인적 차원에 따라 서로 다를 수는 있겠지만, 초등교육이든 고등교육이든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의 자아실현에 있다. 자아실현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과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자아실현교육의 방법에는 차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자아실현교육을 위해서는 우선 자아실현인의 일반적인 특성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Maslow와 Rogers가 정리한 자아실현인의 특성들이 잘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대학생을 위한 자아실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대학생들이 자아실현에 대해 어떤 개념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실현인의 특성’에 대해 한국의 대학생들이 어떠한 개념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한 수도권 대학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2-4학년생 47명이다. 학생들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자아실현인의 특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관해 자유롭게 적어내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자가 검토하고 분석한 후 유사한 항목끼리 범주화하여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자아실현인의 특성에 대해 총 241개의 특징을 적어냈으며 1인당 평균 5.1개의 반응을 하였다. 응답내용을 검토하여 유사한 항목끼리 1차적으로 범주화한 결과 총 19개의 특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것을 다시 유사한 항목끼리 2차적으로 범주화한 결과, 총 6개의 하위요인을 찾아낼 수 있었다. 그것은 창의성(10.79%), 행복감(16.60%), 성취와 전문성(7.88%), 도전감과 목표지향성(23.65%), 인간관계(7.88%), 그리고 자기이해(33.19%)였다. 본 연구는 자아실현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의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자아실현인의 특성에 대한 개념구조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hat conceptual structure Korean undergraduates have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So, this study was done for 47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who are attending liberal arts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 After explaining an intent of the research,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down freely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they think. Researcher examined and analyzed collected data, categorized similar descriptions, and then derived sub-factors. A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those undergraduates wrote down 241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with the average 5.1 responses per one person. Upon investigation of response contents, similar items were categorized firstly, leading to the total 19 characteristics. And again, as the result of the second categorization on similar items. 6 sub-factors could be identified. They were creativity (10.79%), sense of happiness (16.60%), achievement and professionalism (7.88%), challenge and goal orientation (23.65%), human relationship (7.88%) and self-understanding (33.19%).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a conceptual structure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Korean undergraduates think applicable to education of self-actu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