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교사-아동 갈등관계 변화 유형화, 영향요인 및 학교적응 차이 검증

        김지윤(JiYoon Kim),임예림(Yerim Lim),이나연(Na Yeon Lee),박성민(Seongmin Park),홍세희(Sehee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 아동을 대상으로 교사-아동 관계 내 갈등 요소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개인 특성 및 부모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교사-아동 갈등의 발달을 방지하기 위해 학교와 가정에서 개입 가능한 지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아동 갈등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시기 학교적응에서의 차이를 확인하여 아동기 바람직한 교사-아동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아동패널의 9~13차(초2~초6)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아동 갈등관계 변화에 적합한 변화함수를 추정한 뒤 종단적 변화 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이와 관련된 아동의 개인, 부모 요인의 영향 및 학교적응에서 보이는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아동 갈등관계의 종단적 변화에는 1차 함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적용한 결과 3개의 잠재프로파일(‘감소’, ‘유지’, ‘증가’)로 유형화되었다. 영향요인의 검증을 수행한 결과, ‘유지’ 집단을 기준집단으로 설정한 경우, ‘증가’ 집단과의 비교에서 외현화 난점이, ‘감소’ 집단의 비교에서는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도와 외현화 난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감소’ 집단을 기준집단으로 설정한 경우, ‘증가’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외현화 난점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류된 3개 집단에 따라 전반적으로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유지’ 집단이 ‘감소’ 집단보다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아동간 갈등관계의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typify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impact of children's personal and parental fa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in the trajectories of changes in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school adaptation across types of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s. Methods Utilizing data from the 9th to 13th waves (2nd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study estimated a change function suitable for the changes in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s and applied it to classify latent classes. A growth mixture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related child, parental factors, and school adaptation.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a first-order function model was suitable for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s, and three latent profiles (‘Decreasing’, ‘Maintaining’, ‘Increasing’)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model. Upon ver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compared to the ‘Maintaining’ group set as the reference group, externalized difficulties were significant in the ‘Increasing’ group, while parental interest in school life and externalized difficul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ecreasing’ group. Furthermore, when the ‘Decreasing’ group was set as the reference group, externalized difficulties emerged 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in comparison with the ‘Increasing’ group. In addition, there were overall differences in school adaptation among the three classified groups, with the ‘Maintaining’ group showing a high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than the ‘Decreasing’ group.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possible measures for improving the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 KCI등재후보

        에이스침대 사례의 성장요인 : R&D를 통한 기술 이노베이션과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김지윤(Jiyoon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3

        본 연구는 에이스침대의 성장요인을 R&D를 통한 기술 이노베이션과 마케팅 전략으로 나누어 기존 문헌과 임직원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에이스침대의 첫 번째 성장요인은 R&D를 통한 기술 이노베이션이다. 이는 고도의 기술이 집약된 국내 유일의‘침대공학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에이스침대는‘침대공학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인체공학연구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내 최초, 세계 최초 타이틀의 다양한 침대 기술 관련 수상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성장요인 두 번째는 마케팅 전략에서 찾을 수 있는 데, 이는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제품의 저관여도에서 고관여도로의 이동, 경쟁군 내에서 차별화를 통한 완벽한 제품 포지셔닝, 가구시장과 침대시장의 과감한 분리와 세분시장별 효율적 대응, 소비자 마인드를 완벽히 바꿔줄 강력한 광고 문구사용이 그것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에이스침대는 1963년 창업시점 부터 50년이 지난 현재까지 업계 최고의 독보적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술 혁신과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은 저성장 시대에 국내 기업들이 반영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을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rowth factors of ACE BED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through R&D and marketing strategy through existing literatures and interviews with employees. The first growth factor of ACE BED identified in this study is technology innovation through R&D. This has been done by ACE BED R&D Institute, which is the only one in Korea with an intensive and a high level of technology. ACE BED has invested a lot in body engineering research, which is being performed by ACE BED R&D Institute. As a result, it has won the prizes in various bed technologies in the country and also in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The second growth factors can be found in marketing strategy which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movement from low involvement to high involvement in products, perfect product positioning through differentiation within competitive product group, drastic segregation of furniture market and bed market and efficient response on each segmented market and the use of powerful words to completely change consumer mind. Those factors have allowed AED BED to maintain the title of matchless company in bed industry for over 50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1963. It is considered that those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can provide domestic companies with a direction in the stage of sluggish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평가에서의 사회문화적 능력 측정 기초 연구

        김지윤 ( Kim Jiyoon ) 반교어문학회 2023 반교어문연구 Vol.- No.65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attempted to develop a construct that can measure sociocultural competency in speaking evaluations. Communication is mostly accomplished through language, and because language involves sociocultural components, sociocultural competence is a cru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result, sociocultural competence was set as an evaluation construct and assessed in the current speaking evalua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did not capture all of the elements that appear in Korean society and did not cover cultural asp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sociocultural competence. Therefore, in this study, sociocultural competence was largely divided into phonology, vocabulary, grammar, text, culture, and a sociocultural competence evaluation construct was established that included those who were unable to evaluate sociocultural elements using existing items.

      • KCI등재

        여론조사의 대표성

        김지윤(Jiyoon Kim),강충구(Chungku Kang)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4 평화연구 Vol.22 No.2

        여론조사가 정치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정확한 조사를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시도되어 왔다. 한국 여론조사는 최근까지 상용되어 오던 할당표집(quota sampling)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임의번호걸기(random digit dialing)을 시도하기도 하고, 유선전화의 한계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무선전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또한 분량이 긴 조사를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조사를 도입하여 새로운 기술적 진일보를 이루려 노력해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국 여론조사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할당표집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한 후, 한국에서 시도되는 다양한 조사방식에 대해 소개했다. 다음으로 다른 조사방식으로 구성된 표본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조사방식에 따라 표본의 인구통계적 요소뿐 아니라 정치성향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이중 표집틀 조사(유선+무선)와 혼합 조사(인터넷+전화)가 또 다른 표본 편향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론조사의 정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현행 조사 방식의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 난무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를 신중하게 받아들일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As the demand for public opinion polls increases in Korea, varied efforts to enhance the quality of surveys have been made. Random digit dialing(RDD) begin to replace traditional quota sampling and cell phones emerge as a indispensible survey device. Recently, advantages of internet survey are recognized by numerous researchers. In this paper, we first compare and explai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andline RDD, cell phone and internet surveys. Then we analyze data samples to examine if there is any demographic difference depending on sample collecting methods. Our result confirms presence of significant demographic gaps among landline respondents, cell phone only respondents and internet respondents. More importantly, the demographic gaps lead to political and ideological difference between sample groups. Our finding suggests a more cautious usage of mixed sampling methods such as dual frame or mixed mode survey.

      • KCI등재

        1950~60년대 재야공간으로서의 다방과 문인 네트워크 : 문단의 ‘명동시대’를 중심으로

        김지윤(Kim, Jiyoon)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0 No.2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 that established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through the ‘Dabang’(cafe) space, which formed the ‘myeongdong era’ of Literary Society in the 1950s and 1960s.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exchange of literary people centered on Dabang , they tried to connect the network of writers in Busan refuge with the network of writers in the so-called ‘Jaeya’(out of the system) before and after.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d in the context of what kind of people interacted and what kind of genealogy it became in the “Jaeya and jaeya space,” or the space that became the base of literary researchers. Such work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movements of those in the day who resisted the power that had invaded in the absence of authority and tried to overcome the plight of the times through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nd the publicness.

      • KCI등재

        부모 양육태도가 아동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우울을 매개로

        김지윤 ( Kim Jiyoon ),박은혜 ( Park Eunhye ),이종은 ( Lee Jongeun ),강현아 ( Kang Hyunah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 수면시간 간의 관계에서 아동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초 패널 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1,939명의 초등학교 학년 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통계분석방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긍정적 양육태도를 가질수록 아동의 수면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아동 수면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 둘 다 아동 우울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수면시간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우울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아동의 우울은 부정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수면시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 우울이 아동 수면시간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 증진과 아동의 우울 감소를 위한 다양한 개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s depression i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s sleep duration. For the purpose, the data of the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Data gained from 1,939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rearing attitudes considered good for their children influenced child’s sleep duration. However, child rearing attitudes considered harmful to their children did not directly affect child’s sleep duration. Second, child rearing attitudes were shown to influence significantly child’s depression. Lastly, we did not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s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child rearing attitude considered good and child’s sleep dur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child’s depress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attitudes considered harmful nd child’s sleep dur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attentions are warranted to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s depression on child’s sleep.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