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410A 대체냉매 적용 지열히트펌프 개발

        김지동(Kim Ji Dong),정봉철(Chung Bong Chul),정일권(Jeong Il Kwon) 대한설비공학회 200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2

        The growth of domestic energy demand is rapidly increased for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s. It is also recognis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and high efficient equipment. Ground Source heat pumps(GSHP) using earth as heat source or sink are outstan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systems which have high thermal efficiency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heating and cooling system. So government employs a policy and increase investment for expanding renewable energy market volume. Especially is established a system for obligatory usage of renewable energy to achieve 5% renewable energy diffusion rate by 2011. And the market demand for the ground source heat pump is rapidly growing due to its strong advantages. However domestic situation usually have been depended on the import of ground source heat pumps.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a ground source heat pump using refrigerant R410A are reported.

      • KCI등재

        설악산 대청봉일대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유형 및 관속 식물상 특성

        김지동 ( Ji Dong Kim ),박고은 ( Go Eun Park ),임종환 ( Jong-hwan Lim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임학회 201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6 No.2

        기후변화에 취약한 한반도 아고산대는 한대성 북방계식물의 서식처이다. 본 연구는 아고산대 산림의 군집생태학적접근을 통한 복원 및 관리방안의 기초자료 제공목적으로 설악산 대청봉 일대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및 식물상을 구명하였다.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 31개소의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 중요치, CCA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분비나무군락에서 군단위로 눈잣나무군, 만병초군, 바디나물군, 이상 총 3개의 식생유형(VU)으로 분류되었다. 식별종군으로는 눈측백 식별종군, 자주솜대 식별종군을 포함하여 총 7개 종군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균상대우점치 분석(MIP) 결과, VU 1의 MIP는 잣나무(24.1), 분비나무(23.6), 사스래나무(10.5) 등, VU 2의 MIP는 잣나무(26.2), 분비나무(20.8), 사스래나무(10.5) 등, VU 3의 MIP는 잣나무(22.2), 분비나무(16.4), 사스래나무(13.5) 등의 순이었다. 층위별 주요 경쟁수종인 잣나무와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VU 1의 교목층에서 잣나무가 46.7, 분비나무는 26.1로 잣나무가 우세하나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에서는 분비나무의 중요치가 잣나무에 비해 높았고, VU 2와 VU 3에서도 교목층은 잣나무의 중요치가 높았지만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냈다. CCA ordination 분석 결과, 눈잣나무군은 해발고, 바디나물군은 출현종수와 다소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은 11분류군, 희귀식물은 24분류군으로 북방계 식물의 비율이 62.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류된 3개의 식생단위와 분비나무 및 잣나무의 층위별 중요치 변화에 대한 식생학적 접근의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희귀특산식물에 대한 개체군 및 군집생태학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subalpine zone which i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could be functioning as a habitat for northern plant species especially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classification of phytosociological community type and investigation on flora of vascular plants of Daecheongbong area in Mt. Seorak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an ecological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the vegetation through community ecological approach.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1 of quadrates from May to October, 2016. We analyzed vegetation types with phytosociological method, importance value with Curtis & McIntosh method, CCA using PC-ORD program tool, and flora of vascular plants. As a result,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Abies nephrolepis community. The community was divided 3 groups such as Pinus pumila group, Rhododendron brachycarpum group and Angelica decursiva group. Therefore, the vegetation had 3 kinds of units. The differential species group, it was classified into total of 7 species group units including Thuja koraiensis and Smilacina bicolor differential species group. The mean importance percentage (MIP) in VU 1 was shown Pinus koraiensis (24.1), A. nephrolepis (23.6) and Betula ermanii (10.5), and in VU 2, it was P. koraiensis (26.2), A. nephrolepis (20.8) and B. ermanii (10.5), and in VU 3, it was P. koraiensis (22.2), A. nephrolepis (16.4), B. ermanii (13.5) in the order, respectively. As for importance values of P. koraiensis and A. nephrolepis representative competition species, were different at each layers. The former (46.7) was higher than the latter (26.1) in tree layer, but the latter was higher than the former in subtree and, shrub and herb layers of VU 1. VU 2 and VU 3 also indicated the same tendency. P. pumila group and A. decursiva group were shown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altitude and present species, respectively. The designated as the endemic plant was 11 taxa and, as the rare plant 24 taxa and 62.5% of vascular plant was northern plant specie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further long-term monitoring of 3 vegetation units, IV of main competition species (P. koraiensis and A. nephrolepis) with stratum and main specific species (rare plants and endemic plants) considering vegetation science and, population and community ecology approaches.

      • Windows NT 운영체제 커널에서 Disk mirroring 기능 설계

        성관(Kim Sung-Kwan),장승주(Jang Seung-Ju),지동해(Gi Dong-Hea),학영(Kim Hak-Young),이정배(Lee Jung-Bea),노영욱(Lho Young-Uk)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Ⅲ

        Disk mirroring 시스템은 안정성과 고 가용성(High Availability)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성능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indows NT 커널에 remote node에 대한 disk mirroring 기능을 추가하여 시스템 자체에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고자 한다. 설계 시스템은 Windows NT TDI 계층을 사용하여 network으로 연결된 두 대의 시스템이 master node와 slave tolerance 기능을 제공하여 node의 장애 발생 시 log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장애가 발생한 node에 대하여 데이터 복구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 KCI등재

        백두대간 바람재일대 식생유형 및 천이경향

        김지동 ( Ji-dong Kim ),이준우 ( Jun-woo Lee ),박병주 ( Byeong-joo Park ),이혜정 ( Hye Jung Lee ),이동혁 ( Dong-hyuk Lee ),허태임 ( Tae-im Heo ),변준기 ( Jun-gi Byeon ),안지홍 ( Ji Hong Ah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3

        본 연구는 바람재일대의 산림생태계복원 이후 식생유형에 따른 천이경향에 대한 산림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바람재일대의 식생유형 분류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식생조사법에 따라 총 81개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소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단위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단위에서 떡갈나무전형소군, 버드나무소군, 신갈나무전형소군으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식생단위 1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 떡갈나무, 식생단위 3은 소나무, 그리고 식생단위 4는 버드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천이계열에 따라 층위별 이입 종의 우점도 차이를 보였다. 식생유형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천이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를 분석한 결과, 1축(33.2%) 및 2축(28.9%)로 종합 설명력 62.1%로 나타났다. 복원 이후, 천이경향은 식생단위 1과 식생단위 2가 가장 광범위한 식생으로 발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단위 2와 식생단위 4에 해당하는 버드나무소군은 초기식생 발달에 이입된 종이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바람재 일대는 단계적 천이계열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succession by vegetation type after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in the Baramjae area. Vegetation of the Baramjae area was classified using a survey of 81 sites from May to October 2019.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with both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 densiflora typical community. The group unit was further classified as the Quercus dentata typical subgroup, Salix koreensis subgroup, and Q. mongolica typical subgroup. Such as Q. mongolica, Quercus variavilis in vegetation unit 1, Q. mongolica, Q. dentata in vegetation unit 2, P. densiflora in vegetation unit 3 and S. koreensis in vegetation unit 4 were shown a high importance value. The difference in species by vertical layer is explained by sere. Based on the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system,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trend of succession. Since restoration, vegetation unit 1 and vegetation unit 2 were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the most extensive vegetation. In vegetation unit 2 and vegetation unit 4, many of the species found were in the early vegetation development in S. koreensis subgroup. Accordingly, vegetation in the Baramjae area can be categorized as a stepwise succession.

      • KCI등재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

        김지동 ( Ji Dong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07 동북아연구 Vol.22 No.2

        동북아지역은 세계 어느 지역보다 안보적 대결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지역이다. 2007 년 후반기 들어서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6자회담이 원만하게 타결되어 현재 북핵 불능화작업이 추진되고 있고, 2차 남북 정상회담이 순조롭게 마무리되어 종전선언까지 논의 되고 있음에도 북한의 대남 전략은 크게 변화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남북관계에서 북한은 6·15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장관급 회담 둥 당국간 대화를 지속하면서 개성공단 건설, 금강산 관광사업 등 실리위주의 남북 교류·협력사업 둥을‘통해 경제적 실익을 추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주한 미군의 철수를 주장하고 반미투쟁을 선동하면서 우리 사회의 국론분열과 한미 동맹관계의 이간을 도모하고 있다. 아직도 냉전의 열기가 식지 않고 있는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협을 종식시키고 진정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째, 지속적인 군사력 건설, 둘째, 북핵문제의 조속한 해결, 셋째, 한미 군사동맹 강화, 넷째, 주변국과의 대외 군사협력관계 추진 등 다각적인 노력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는 남북한이 군사분계선 (MDL)을 사이에 두고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다는 냉엄한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특히 북한의 핵능력을 비롯한 군사적인 위협에 유비무환의 자세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대내적으로는 군사력건설을 확실하게 추진하여 국방력을 다져 나가고, 대외적으로는 주변국가와 군사·외교적 협력 둥을 강화해 나감으로써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더 나아가서는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를 도모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Northeast Asia the most unstable area of security in the world. In the second half of 2007. six-party talks o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dramatically reached the settlement. As a result, two Koreas agreed to the ultimate goal of the peninsula``s denuclearization. In addition, the 2nd South-North Korea summit talks come to a happy end and the declaring end to Korean War is under discussion. However there are no change of policy and power of the military of North Korea even now. Resuming inter-Korea cabinet level talks after 6.15 inter-Korea summit talk. North Korea pursuits its economic benefits through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nd pragmatic business such as building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propelling Mt. Kumgang tourism project. But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is continuously scheming to make a division of allianc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U.S.A. insisting on the withdrawal of U. S. Forces in Korea and instigating anti-US social movement by standing national mutual assistance. According to 「the 2006 Defense White Paper」, as of December 2006 South Korea``s military power is 67 myriad, and North Korea``s is 117 myriad. So military power of North Korea is superior to South`` of 1.6 times in troops and 1.9 times in armament. Our counter plan to maintain peace and to put an end the threat of the war in the Korea Peninsula where a heated atmosphere of cold war is not yet getting cold is first, the continual construction of military power. second, the rapid handling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rd, the strengthening of military alliance of U.S.A. and Korea. And finally we should try to do various efforts to promote military cooperation with circumferences. Also,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we two Koreas stand face to face with MOL, especially we should cope with the threat of the military of North Korea including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by attitude of"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Therefore, when we develop our national defense power by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power inside, we strengthen out cooperation of military and diplomacy outside, we can expect the change of North Korea and the security and peace of the Northeast Asia.

      • KCI등재

        지리산 기후변화 취약수종 분포지의 산림식생 유형 및 희귀-특산식물 분포 특성

        김지동 ( Ji Dong Kim ),박고은 ( Go Eun Park ),임종환 ( Jong-hwan Lim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2

        우리나라의 아고산대는 기후변화에 지역적 취약성을 띄는 지역으로, 아고산대의 산림식생은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지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리산 아고산대의 기후변화 취약수종 분포지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 유형 및 희귀-특산식물 분포 특성에 대해 구명하였다.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37개소에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 분류를 통해 종조성을 파악하고, 종의 우점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치를 이용하여 식생유형별 층위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8개 종군유형과 5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은 17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북방계식물의 비율은 41.2%이며, 식생단위별 해발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희귀-특산식물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구상나무는 모든 식생단위에서 평균상대우점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층위별로 보았을 때 식생단위 1을 제외한 단위들에서는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수종과 경쟁관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 뿐만 아니라 식생학적 접근을 통한 장기 모니터링의 기초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Subalpine zone is geographical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Forest vegetation in this zone is one of the important basic indicator to observe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was conducting phytosociological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endemic-rare plants investigation based on vulnerable species to climate change at the subalpine zone, Mt. Jiri.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by 37 quadrate plots from March to October, 2015.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es composition of plant sociological vegetation types and the ecological impacts of species, we analyzed the layer structure of vegetation type using important values.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eight species groups and five vegetation units. The vegetation types can be suggested as an indicator on the change of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There were 9 taxa endemic plants and 17 taxa rare plants designated by KFS(Korea Forest Service) where 41.2% of them were the northern plant. Endemic-rare plants increased as the altitude of vegetation unit increase. Importance valu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 importance value of Abies koreana was highest of all vegetation units. Based on analysis of each layer, all units except vegetation unit 1 were considered to be in competition with the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new pattern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ddition, it can be a basic indicator of long-term monitoring through vegetation science approach.

      •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임분동태 및 환경인자의 상관성

        김지동 ( Ji-dong Kim ),임종환 ( Jong-hwan Im ),윤충원 ( Chung-weon 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임분의 변동과 구조에 관한 관찰연구는 지역 또는 경관 규모에서 식생의 수직적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내륙에 위치하는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을 대상으로 환경변화, 서식지 축소 등으로 멸종위기 위협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구상나무를 중점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① 첫 번째 목적은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구조 변화 관찰. ② 두 번째 조사지의 침엽수종과 활엽수종 개체목 밀도, 고사 개체 밀도, 그리고 구상나무 치수 밀도의 변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다. 치수의 연도별 변동 패턴은 masting 해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③ 세 번째 침엽수종 고사개체 밀도와 환경요인(해발고도, 경사도, 암석노출도, 사면 방위, 수고, 흉고단면적, 수관열림도, 종풍부도) 간에 상관관계를 검정하고자 한다. ④ 구상나무 치수 밀도와 환경요인 간에 상관관계에 대해 가설을 제시하는 다양한 연구에 근거하여, 환경요인(기후도, 해발고도, 경사도, 암석노출도, 사면방위, 수고, 흉고단면적, 수관열림도, 종풍부도, 초본식피율, 구상나무 고사 개체 밀도)과 구상나무 치수 밀도의 상관관계에 대해 경험적 가설검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지리산 구상나무와 설악산 분비나무에 대해 제시되었던 다양한 이론과 가설을 다중모델 추론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2015년부터 지리산에서 모니터링 수행하기 위해 노고단-반야봉 8개속, 세석-거림 15개소, 장터목-천왕봉 13개소 총 37개소 정방형구(400㎡)를 설치하였다. 조사자료 수집 항목은 기상청의 기후관측데이터와 매목조사, 식생조사, 치수조사, 환경조사 모니터링 데이터를 2년 간격으로 수집 및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층위별 식생구조, 흉고직경급 변화, 구상나무 치수 밀도 변화, 환경요인 독립변수 추출, 일반화 회귀분석, 다중모델 추론으로 구성하였다.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층위별 식생구조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그리고 잣나무 침엽수종의 평균상대중 요치가 높았고, 당단푸나무, 신갈나무 등 낙엽활엽수종은 낮게 나타났다. 초본층에서 실새풀 중요치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교란 이후 빠르게 정착하게 되는 근계식물인 Calamagrostis 속은 초기에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기도 한다. 그러나 2차천이 이후 상층식생이 우점하게 되면서 점차 그늘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초본식물이 쇠퇴하면서 유기물층 형성, 온도 조절효과, 그리고 수분함양 등의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 2015년도부터 흉고직경급 분포 변화로 구상나무는 역 J형태이며 20cm 미만에서 가장 많은 수의 구상나무 개체가 고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이러한 구상나무의 대량 고사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이 되면 해당 종의 멸종위기를 심각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전에 적절한 치수갱신이나 masting이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그 외에 조사지에서 함께 나타나는 종들의 흉고직경급 분포 형태로 가분비나무 종모양, 잣나무역 J형태, 신갈나무 종모양, 사스래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등 역 J형태로 나타났다. 가문비나무, 잣나무는 구상나무와 마찬가지로 20cm 미만에서 대부분 고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활엽수종은 10cm 미만에서 많은 개체가 고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모니터링 기간동안 관찰된 모든 종의 낮은 흉고직경급의 고사현상은 너무 이례적인 현상이 아니며, 침엽수종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닐 것이다. 다중모델 추론을 바탕으로 지리산 구상나무 고사개체밀도와 환경인자 상관관계 분석 결과 경사도와 수고가 강한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p < 0.05). 다중모델에 의해 추출된 독립변수 사이에 상대적 중요도는 경사도(62.25), 수고(37.75)로 경사도가 상대적으로 변수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 치수 변동 패턴을 살펴보면 매년 치수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 < 0.05). 같은 기간 동안 가문비나무 치수(p < 0.05), 잣나무 치수(p < 0.001)도 치수밀도가 촉진되었다. 이와 같이 침엽수종 치수 밀도가 전반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보이는 것은 기후도표와 연관하여 주론해보았다. 기존 다양한 가설 중에서 수분에 의한 치수의 생장과 생존이 제한적인 것은 아닐 것이며, masting 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치수 밀도를 촉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궁극적으로, 저온피해, 수분스트레스, 이론의 실증적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 침엽수종 치수와 기상환경을 고려하였다. 구상나무 치수와 환경인자의 상관관계의 다중모델 추론 결과 암석노출도(p< 0.001), 초본식피율(p < 0.001), 그리고 종풍부도(p < 0.01)가 선택되었다. 암석노출도가 높은 지역에서 구상나무 치수 밀도가 높은 이유는 종간 경쟁을 피하고 적절한 수분의 유지가 가능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암석 표면에는 선태류, 변과, 사초과 등의 적절한 깔개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위에 구상나무 치수의 종자가 발아하여 생장 및 생존의 생태적 전략일 것이다. 또한, 초본식피율과 종풍부도의 적절한 피도는 구상나무 치수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예를 들면, 건조한 침엽수림에서 벼과나 사초과의 역할은 열 보존, 수분 증발 감소, 그리고 토양 수분의 증가와 같은 치수의 생장과 생존에 큰 역할을 한다. 다만 덩굴성 수종이나 광역분포 종의 침입으로 인한 경쟁은 침엽수종의 생장을 방해하므로 서식지 내 기계적 관리를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다중모델추론에 의해 선택된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는 초본식피율(54.25), 암석노출도(31.46), 그리고 종풍부도(14.29)의 순서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지리산 구상나무 치수는 서식지 환경구배에 따라 치수의 출현 및 생존이 생물적 환경요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으며, 침엽수종 갱신에 있어 환경적 특징인 암석노출도는 구상나무 치수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생태적 특성에 대해 첫 번째 설명을 제시하며, 지리산에 서식하는 구상 나무의 비교 고찰은 아고산대 전나무속의 다양한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접근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R410A 대체냉매 적용 지열히트펌프 개발

        김지동(Kim-Ji Dong),정봉철(Chung-Bong Chul),정일권(Jeong-Il Kwon)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 2007 한국지열에너지학회논문집 Vol.3 No.1

        The growth of domestic energy demand is rapidly increased for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s. It is also recognis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and high efficient equipment. Ground Source heat pumps (GSHP) using earth as heat source or sink are outstan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systems which have high thermal efficiency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heating and cooling system. So government employs a policy and increase investment for expanding renewable energy market volume. Especially is established a system for obligatory usage of renewable energy to achieve 5% renewable energy diffusion rate by 2011. And the market demand for the ground source heat pump is rapidly growing due to its strong advantages. However domestic situation usually have been depended on the import of ground source heat pumps.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a ground source heat pump using refrigerant R410A are reported.

      • 양자 특성 기반 칩을 활용한 엔트로피 소스 모델 수립 방법에 관한 연구

        대형(Dae-Hyung Kim),주빈(Jubin Kim),지동화(dong-Hwa Ji)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2

        5세대 이후의 이동통신 기술은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 중, 안전한 초연결의 기술적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IoT 서비스의 말단에 해당하는 저사양 IoT 기기들도 고사양 서버와 동일한 수준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보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암호알고리즘에서 필요한 정도의 안전성을 가진 암호키들이 요구되고, 암호키는 보통 암호학적 난수 발생기로부터 생성된다. 이때 난수 생성을 위해서는 좋은 잡음원들이 필요한데, 저사양 기기 환경 특성상 충분한 잡음원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TRNG와 같은 하드웨어 난수 발생기를 사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를 예측할 수 없다는 양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칩을 사용하였으며, 이 칩이 출력하는 신호를 기반으로 이진 비트열 형태의 엔트로피 소스를 얻는 여러 방법(TRNG)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TRNG에서 출력된 값의 엔트로피에 대해 NIST SP 800-90B 테스트를 이용하여 각 방법에 대한 엔트로피 양을 비교하였다.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fter 5th generation requires high speed, hyper-connection,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order to meet technical requirements for secure hyper-connectivity, low-spec IoT devices that are considered the end of IoT services must also be able to provide the same level of security as high-spec server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these security functions, it is required for cryptographic keys to have the necessary degree of stability in cryptographic algorithms. Cryptographic keys are usually generated from cryptographic random number generators. At this time, good noise sources are needed to generate random numbers, and hardware random number generators such as TRNG are use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low-spec device environment to obtain sufficient noise sources. In this paper we used the chip which is based on quantum characteristics where the decay of radioactive isotopes is unpredictable, and we presented a variety of methods (TRNG) obtaining an entropy source in the form of binary-bit series. In addition, we conducted the NIST SP 800-90B test for the entropy of output values generated by each TRNG to compare the amount of entropy with each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