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회림 ( Hoilym Kwon ),문은경 ( Eunkyung Moon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의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5년까지 한국에서 발행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최종 학술논문 34편과 학위논문 5편을 분석하였으며, 총 91개의 개별 효과크기 및 학습효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차이를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블렌디드 러닝의 학습효과가 유의미하며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지적, 정의적 학습 효과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결과, 두 영역 모두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는 학급규모에 영향을 받으며 학급규모가 증가할수록 학습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 중학급규모 외의 변인들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지금까지의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개별연구들의 현황 및 실태를 정리하고 향후 개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들은 향후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처방적인 전략의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Korea with a meta-analysis. There were 34 journal articles and 5 dissertations being published by 2015 that studied the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91 individual effects being examined in those studies were identified and the size of each effect and the total effects were calculated with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3.0. The results were followed: First, the effect size of blend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bigger than those without blended learning. Secondly, The effect size of blended learning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were both significant. Thirdly, the learning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size of class, and the bigger the class size is the more effective. Fourthly, the effect size blended learning was not affected by other variables than class size. Based on these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blend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 KCI등재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조형정(Cho Hyung Jeong),권회림(Kwon Hoi Ly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3

        2015년 7월 󰡔인성교육진흥법󰡕에 의해 교원영성기관은 인성교육을 위하여 의무적으로 인성관련 교과를 개설 및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에서 인성관련 교직교과를 수강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에 필요한 인성교육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원양성과정의 ‘학교폭력예방 및 이해’ 수업에 참여한 110명 학습자 중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 42명과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예비교사 43명을 대상으로 인성교육관련 설문을 실시하여 차이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예방 및 이해’ 교과를 이수하고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시점에서 측정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결과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와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예비교사 간 인성교육 인식은 ‘인성교육을 위해 필요한 논의사항’, ‘학교현장의 인성교육 여건과 분위기’, ‘인성교육에 적합한 시간’, ‘인성교육 장애요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인성교육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으로는 타인을 위한 배려, 감정통제, 정직 등과 같이 인성의 근본적인 요소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과 생활지도와 상담교육 그리고 효과적인 교수법 및 커뮤니케이션 등 실질적인 내용을 필요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과 예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이 교원양성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education that pre - service teachers recognize and to identify the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needed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t was analyzed in relation via t-test with 42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chool field experience and 43 pre-service teachers who did not have on school field experience. As the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before the school field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recog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chool field experience and pre-service teachers who did not have school field experience was some difference in ‘need for Personality Education contents’, character education condition and atmosphere , time suitable for character education , and character education disability factor .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required practical instructional content such as life guidance, counseling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follow - up study so that the teacher practice and character education for the pre - service teachers can be operated effectively in the course of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중등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 연구 동향

        이예다나 ( Yedana Lee ),권회림 ( Hoilym Kwon ),문은경 ( Eunkyung Moon ),유현옥 ( Hyunok Ryu ),손승현 ( Seung Hyun So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학교현장실습은 예비교사들이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는 교사 역량 및 전문성을 키우고 성찰할 수 있는 직접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연구기반의 전략들이 제공되어야 하며, 효율성을 기반으로 하는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이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5년 8월까지 수행된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총 40편의 해당 연구들을 주제와 연구 방법, 키워드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사범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예비 교사교육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분석 결과, 연구의 주제는 총 7개의 대주제, 13개의 중주제, 47개의 소주제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연구들에서 최종적으로 90건의 소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예비교사와 현장실습에 대하여 다루고 있었다. 주제를 세분화시켜 살펴본 결과 반성적 실천이나 교직 신념을 다루는 교육프로그램과 예비교사의 지식과 신념을 고찰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적용된 연구 방법의 경우, 질적연구가 19편인 47.5%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연구의 키워드 분석 결과, 총 164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교육실습``, ``예비특수교사``, ``현장실습`` 등의 단어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요구분석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provides a direct chance to foster and reflect the teacher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that can be utilized later in actual teaching at schools. This addresses the needs to create such a program in a way that it delivers research-based strategies for teaching in schools, and guarantees efficient teaching components and activiti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examine the current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Universities by analyzing 40 papers published from the year 2000 to August of 2015. The primary focus of the analysis is research methods and key words.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exists the classification of 7 major themes, 13 subthemes and 47 sub-subthemes, most of which focus on pre-service teachers and school training. Further analysis reveals that most popular themes are about training programs that address reflective practice or a teacher`s creed and also about knowledge and beliefs as a pre-service teacher. As for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methods are most commonly used and found in 19 papers (47.5%). With regard to key words, 164 units are identified, the most central are "teacher trai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raining at school." The findings will be useful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to conduct a need analysis and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urther, it is argued that a theoretical framework should be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approach, which is essential for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and that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a variety of needs from diverse learners.

      • KCI등재

        유아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유진(Park, Eugene),권회림(Kwon, Hoilym),문은경(Moon, Eun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5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5년에 발표된 국내 연구 총 48편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은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감정이입 및 조절’에 대한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간의 효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연령, 시행기간, 총 시행 횟수, 주당 시행 횟수에 따라 유아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연구의 질적향상과 효과적인 현장 적용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evelopment program, which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ogram. Relevant domestic studie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2005 and 2015 were analyzed, and 48 studies were selecte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geared toward improv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1.198, which indicated the size produced huge effects.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was also revealed as the highest effect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ocial behavior. In addition, four variables(i.e., target age, period of implementation, total number of implementations, and number of weekly implementations) had been determined as substantial moderator variables for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on promot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udy and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field.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직교과 수업의 사례 연구

        조형정(Hyung Jung Cho),권회림(Hoilym Kw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It particularly intends to focus on the potential of the course using PBL as well as the change in learner’s perception on school violence through the student’s daily study log. The subjects of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38 university students from S university enrolled in a cours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for a period of 15 week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PBL activity papers, self-reflection diary, and answers from the class evaluation.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class as well as school violence after the student took the PBL applied cla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Class evaluation results were categorized to positive evaluation and requests to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PBL applied cours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The perception change of the learner was categorized in to change of perception towards school violence, change of perception towards teachers personality(quality), and a change of perception towards the cla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Each individual learner’s perception has changed to a more mature and developmental status, and the experience has been effective in reestablishing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 role of a teacher.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in that it has identified that PBL used in courses related to school violence has positively altered the attitude of prospective teachers.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방법을 적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직교과의 수업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PBL를 활용한 활동과정을 통해 본 교과의 가능성과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학습자의 인식변화를 성찰일지를 바탕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대학교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수업을 수강하는 38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15주간 수업을 운영하였다. 분석 자료는 PBL 활동지, 성찰일지, 수업 평가 내용을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PBL을 활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수업을 수강한 후 본 수업에 대한 평가와 학습자의 인식변화를 도출하였다. 수업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면과 요구사항으로 분류하여 PBL을 적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학습자의 인식변화는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과에 대한 인식변화, 학교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변화, 교사의 태도에 대한 인식변화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인식은 성숙하고 발전된 방향으로 변화되었고, 예비교사로서의 자세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PBL을 활용한 학교폭력관련 수업은 학교폭력에 관한 예비교사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본 사례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플래시카드와 문제풀이 앱 활용의 교육적 효과

        정종원(Jung, Jong Won),권회림,(Kwon, Hoi Lym),김돈한(Kim, Don Ha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모바일 기술과 기기의 기술적 발전을 토대로 이를 교수학습장면에 적용하려는 다양한 연구와 실천이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학습의 교육적 가능성과 이점에 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교육적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사실, 개념수준의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모바일 플래시카드와 문제풀이 앱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모바일 앱의 활용이 예비교사의 학업성취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앱 사용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중부권과 지방광역시에 위치한 2개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102명의 학습자를 앱활용 집단과 미활용 집단으로 나누어 교직실무 교과를 운영하였고, 기말고사 점수를 통해 앱의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앱활용 학습자에게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앱 사용성 인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앱을 활용한 집단의 학업성취도가 미활용집단에 비해 높았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인 것으로 나타나 플래시카드와 문제풀이 앱의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앱활용 집단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도 앱활용 이전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습평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활용된 앱의 사용편의성, 유용성, 만족감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학습을 통한 교육적 효과성 향상이라는 논의과 정에 있어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모바일 환경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 다양한 변인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Recent development in mobile technology and device has evoked increasing practice and research about mobile learning. Although there are ongoing debates regarding the instructional potential of mobile learning, few studies have presented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impact of mobile learning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mobile flash cards and assessment app use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102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wo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divided in app-use group and non-use group. A final exam score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In addition, survey assess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usability of the developed app were implemented for the app-use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app-use group outperformed on final exam compared to non-use group and the group difference on achievement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post-test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result that showed the positive impact of app us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who used mobile flash cards and assessment app reported positive perception on easy of use, us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developed app. This study could give meaningful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of mobile learning especially issues on instructional effects of mobile learning.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두민영(Doo, Minyoung),권회림(Kwon, Hoilym),문은경(Moon, Eunk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외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발간된 국내외 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논문 4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50개의 개별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실재감은 사회적,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실재감을 분류하 였고 학업 성과는 인지적, 정의적, 메타인지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실재감은 학업 성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효과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재감하위영역에서는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사회적 실재감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 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업 성과별 실재감 하위영역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 영역 및 메타인지적 영역의 효과크기는 큰 편이었으나, 인지적 영역의 효과 크기는 중간 정도였으며, 학업 성과 영역별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결과, 국내 연구물이 해외 연구물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보고 형식으로 학습결과를 측정는 방법이 객관적인 수치를 통한 측정방법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reviewing 47 studies with 150 effect siz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16, we performed meta-analys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f presence. In this study, presence has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social, cognitive, emotive, and teaching presence. Learning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3 areas : cognitive, affective and meta-cognitive domains.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s for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of presence subcategories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large from cognitive, teaching, emotive and social presence in ord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categorie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different learning performance typ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affective and meta-cognitive learning domains were statistically larger than its effects on cognitive domain. Last, the research findings on moderating variables explained that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 yielded larger effect sizes than thos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lso, in terms of measur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research measured learning performance using self-reported survey demonstrated large effect sizes than using test scores.

      • KCI등재

        국내 교과교실제 연구의 동향 분석

        가신현(Ka Shin Hyun),문은경(Moon Eun kyung),권회림(Kwon Hoi ly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교실제를 주제로 수행한 학술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등 네 가지 분석 준거를 마련하고, 연구수행 시기 및 자료의 유형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론적 연구보다는 실증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사용된 연구방법론은 양적접근을 통한 기술통계방법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혼합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연구대상으로는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구주제는 학습환경과 정책효과부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한계점과 제한점, 수정·보안해야 하는 점들이 교과교실제의 시행정책에 반영되고, 현장개선을 위한 노력에 대해 분석하는 연구 등의 새로운 연구 방향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subject classroom system and to explore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developmental tasks to date. Research subjects include academic papers, dissertations, and research reports. The five criteria for analysis are research purpose, research field,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The five analysis criteria analyzed the research trend according to the market price and the type of data. As a result, the precedent studies were mostly the actual research rather than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y appeared in education method, education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 facility field. As a research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ften used. In addition, research topics have been studied with emphasis on instructional models, classroom management, and policy effects. Therefore, in - depth study such as theory - related research and verification studies and review in various fields should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