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두민영 ( Doo Min Young ),신창호 ( Shin Chang 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의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 증진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교육요구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능력주의 사회 구현 및 산업 맞춤형 청년층 인력 양성이라는 설립 취지를 살리기 위한 특성화고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효과적인 학생 선발이다. 서울시에서는 2016년부터 중학교 내신 성적을 제외하고, 소질과 적성을 기반으로 지원자를 선발하는 미래인재전형을 도입하였고, 향후 확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입학전형을 담당하는 특성화고 교사들의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특성화고 입학전형 담당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입학전형 담당교사들의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역량은 ‘면접문항 개발’ 이었으며, 그 다음 순위는 ‘평가기준 개발 및 지침 이해’이다. 둘째,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은 역량은 ‘평가결과에 대한 의사결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입학 경쟁률에 따른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학교별 입학 지원자 수 및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 담당교사들에게 필요한 업무와 난이도가 다르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특성화고 입학전형 담당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입학 경쟁률 등 학교 특성에 맞게 연수 내용을 차별화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ining needs of teachers who serve on admission committee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Since 2016, special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have offered special admission programs to students who have specific career plans or entrepreneurship or to those who have special aptitudes or abilities in industries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s. In order to make appropriate admission decisions in special admission programs, teachers who serve admission committee should have competency in admission officer duties. In this study, training needs of teachers as admission offic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s are analyzed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consisting of a total of 14 competencies.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indicated that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s’ and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ranked the highest needs for training while ‘decision making skills for admission’ appeared to be the lowest level in general. In addition, training needs of teachers who perform admission officer duties were analyzed by the level competition of admission. As a result,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s,'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and 'qua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evaluation results' ranked the highest needs for training in high competition schools. However, the only one competency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 appeared to be effective to the low competition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those who serve admission committee reflecting their different training needs.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두민영(Doo, Minyoung),권회림(Kwon, Hoilym),문은경(Moon, Eunk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외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발간된 국내외 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논문 4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50개의 개별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실재감은 사회적,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실재감을 분류하 였고 학업 성과는 인지적, 정의적, 메타인지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실재감은 학업 성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효과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재감하위영역에서는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사회적 실재감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 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업 성과별 실재감 하위영역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 영역 및 메타인지적 영역의 효과크기는 큰 편이었으나, 인지적 영역의 효과 크기는 중간 정도였으며, 학업 성과 영역별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결과, 국내 연구물이 해외 연구물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보고 형식으로 학습결과를 측정는 방법이 객관적인 수치를 통한 측정방법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reviewing 47 studies with 150 effect siz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16, we performed meta-analys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f presence. In this study, presence has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social, cognitive, emotive, and teaching presence. Learning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3 areas : cognitive, affective and meta-cognitive domains.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s for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of presence subcategories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large from cognitive, teaching, emotive and social presence in ord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categorie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different learning performance typ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affective and meta-cognitive learning domains were statistically larger than its effects on cognitive domain. Last, the research findings on moderating variables explained that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 yielded larger effect sizes than thos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lso, in terms of measur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research measured learning performance using self-reported survey demonstrated large effect sizes than using test scores.

      • KCI등재

        능력중심사회에 대한 특성화고 교사들의 인식 분석

        두민영 ( Doo Min Young ),우버들 ( Woo Beodle ),신창호 ( Shin Chang 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들의 능력중심사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능력중심사회란 사회 전반에서 능력 및 직업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대우하는 사회적 시스템이 갖추어진 사회이다.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설립된 특성화고가 설립 취지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성화고 교사들의 능력중심사회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특성화고에 근무하는 교사 158명에 대한 능력중심사회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 201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능력중심사회 관련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사들은 우리사회가 능력중심사회라고 인식하는 비율보다 그렇지 않다고 인식하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 이유는 아직까지 학력과 학벌, 지연, 부모의 사회적 배경 등이 개인의 사회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고졸자는 취업 선택기회 부족과 불합리한 사회적 처우를 경험하기 때문이다. 둘째,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분야는 ‘직장에서의 공정한 평가와 보상체제 확립’ 이었으며,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학력중심 채용 시스템’ 으로 나타났다. 셋째, 능력중심사회에서 특성화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주체는 특성화고 교사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순위는 학부모였다. 따라서, 학부모 대상의 특성화고에 대한 홍보 및 진로 지도 교육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행정기관, 학생, 중학교 교사들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므로, 특성화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능력중심사회에서 특성화고 입학생 선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지표는 ‘적성 및 소질’ 및 ‘인성과 가치관’ 의 순서로 나타났다.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특성화고의 신입생 선발에서 학생들의 적성과 소질, 그리고 인성과 가치관이 중요한 기준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eachers’ perceptions of meritocracy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meritocracy indicates the society which evaluates individuals based on their capabilities at work without any bias.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ppreciate the value of meritocracy because the schools are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implementing meritocratic society. This study surveyed 158 teachers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for examining their values and concerns about meritocr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more teachers who did not regard our society as meritocratic society than those who had optimistic opinions about meritocracy. It is because the factors such as education level, social economic status and regionalism would heavily influence individuals,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might suffer from the lack of career opportunities and unfair treatment at work.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mplementing meritocratic society turned out to be the reasonable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t work. By contrast, the most hindering factor for meritocratic society is the recruitment with educational discrimination. Third,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emselves would have more responsibilities for improv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n parents, students and middle school teachers. Finally, the most important admission criteria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pplicants appeared to be aptitudes and talents of students.

      • KCI등재

        보험설계사 역량모델 연구

        두민영 ( Min Young Do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2

        보험설계사는 우리나라 보험시장에서 판매채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입사 초반의 높은 이직률, 불완전 판매 및 민원 증가, 저성과(Low performer) 보험설계사의 양산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고성과(High Performer) 보험설계사들이 갖춘 역량과 행동지표를 규명하여, 이를 보험 설계사 양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고성과 보험설계사 및 보험영업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보험설계사의 예비 역량모델 및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설계사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보험설계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영업마인드, 자기계발 및 관리 역량, 고객 지향성, 목표 지향성, 고객 컨설팅 역량, 활동 실행력 등 총 6개 역량, 22개 행동지표로 나타났다. 고성과 집단과 평균 이하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역량에서 고성과 설계사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특히 목표 지향성과 고객컨설팅 역량, 활동 실행력 역량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Given that Insurance agents are the most influential distribution channel in Korean insurance market, their competencies and capabilities impact on the sales results of insurance companies and meeting needs of insurance customers. However, the insurance company does not require specific qualifications for becoming insurance agents, so this leads to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wide performance gaps among insurance agents, mis-selling of insurance products by lower performer insurance agents, and declining customers’ trust on insurance products. For solving these current issues, this study suggests utilizing the competency model as a reference of the ultimate performance level of insurance ag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of insurance agent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ir behavioral indices. A preliminary competency model of insurance agents wa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high performer insurance agent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completed for the survey results of 106 insurance agent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six core competencies and 22 behavioral indices for insurance agents. The six core competencies include salesforce attitude, self-discipline and management, customer orientation, goal orientation, consulting skills, and finally the power of execution. A comparison between high performer insurance agents and average insurance agents on the competency model showed that high performer insurance agents achiev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average insurance agents in all the six competencies. In addition, it indicated that goal orientation, consulting skills and the power of execution are the areas required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the average insurance agent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국내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11년-2018년을 중심으로

        배윤주 ( Bae Yoon Ju ),박정아 ( Park Jeong-ah ),김성은 ( Kim Sung Eun ),두민영 ( Doo Mi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를 종합 정리하여, 교수-학습 측면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 주요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 및 교수-학습 분야의 저널을 활용하여, 2011년 1월부터2018년 10월까지 발간된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성이 낮은 연구 등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연구물 258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는 2014년에 가장 활발했으며, 2015년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둘째, 스마트교육에서 교사 및 예비교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도 활발하였다. 셋째, 스마트교육의 학습내용에서는 과학/수학/STEM 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스마트교육이 다양한 학습영역에 적용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넷째, 스마트교육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교수-학습방법은 문제기반학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자 및 학습내용에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테크놀로지(미디어 활용 유형) 측면에서는 스마트교육 연구에서 교육용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모바일 러닝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반면, 4차 산업혁명 테크놀로지인 AR/VR/MR 및 3D 프린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했다. 향후, 4차 산업혁명의 스마트 테크놀로지가 일상생활과 교육 분야에 확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smart education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perspectives. Research about smart education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1 and October 2018 in Korea were searched using academic databases and manual search for major journals in the education field. As a result, a total of 258 studie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after deleting redundant or irrelevant research from the initial search.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ighest number of research in smart education was published in 2014, however the volume of research was decreased since 2015. In smart education research, the most popular participants turned out to be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Also, science/mathematics/STEAM were the learning content that most rigorously researched in sm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the most popular instructional method in smart education. Last, in terms of technology used in smart education, there were many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learning applications(i.e. software). Smartphones and tablet PCs also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from smart education researchers.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about smart technologies of industry 4.0 for smart education, such as AR/VR/MR, IoT and 3D printing technology. However, as smart technologies permeate all aspects of our lives, the research about examining smart technologies for learning will be expected to increase in future.

      • KCI등재

        저출산,고령화 시대에서 HRD 분야의 역할과 과제

        조대연 ( Dae Yeon Cho ),유현옥 ( Hyun Ok Ryu ),김장수 ( Jang Su Kim ),두민영 ( Min Young Do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6 HRD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를 기반으로 저출산ㆍ고령화의 영향을 예측하고, 저출산ㆍ고령화를 선행한 국가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HRD 분야의 역할과 과제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ㆍ고령화 현실에서 HRD 분야가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인간의 행복 수준 또는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HRD 분야의 인구자질을 논의하였다. 또한 저출산ㆍ고령화 사회를 먼저 경험하고 성공적으로 극복한 국가에 대한 사례 분석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노동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인력 유형별로 양성 및 활용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서 성장동력으로서의 HRD 분야의 역할과 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한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서 HRD가 수행해야 할 역할은 첫째, 노동시장에 대한 센서(Sensor) 역할, 둘째, 사회와 조직 측면에서 인력 공급의 파이프라인 (Pipeline) 역할, 마지막으로, 개인 측면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위한 가교(Bridge) 역할 및 장기간 개인의 부가가치 유지를 돕는 산소공급기(Oxygenator) 역할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in the era of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The study investigates the population quality indices and the human resources distribution across different fields in the country.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with regard to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in other countries such as France, Germany, and Japan are also put under scrutiny. Our thorough literature review suggests the follow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RD as a growth engine against the setbacks caused by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First, HRD should perform as a‘sensor’for the labor market. Proactive actions are called for based on analyses on job preferences and employment statu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In order to assure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objective indices such as the population quality index need to be developed and managed with care. Second, HRD should perform as a‘pipeline’that provides human resources in terms of the society and organizations. A range of policies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activ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young labor or immigrants and also for the re-entry to the job market of retirees or women with interrupted career. An example can be drawn from Japan where elderly-friendly employment policies are prevalent and have yielded desirable outcomes. Third, HRD should perform as a ‘bridge’between individuals and the labor market, and also as an‘oxygenator’that aids individuals to hold their values for a longer time period. For instance, it is invaluable that the tertiary education provide systematical re-entry programs for women with interrupted career, which are aligned with societal and industrial needs.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가 학습자의 중도 탈락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L 기업 사이버 아카데미의 인터넷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두민영,김영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2

        최근 웹 기반 교육이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으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본격적인 사이버 학습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웹 기반 학습을 운영하는데 있어 나타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웹 기반 학습자의 극히 낮은 수료율이다. 중도탈락율의 문제는 학습자의 동기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웹 기반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동기를 어떻게 유지시킬 것인가가 관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의 여러가지 요인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relevance)이 성인 학습자에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Keller 의 ARCS 동기 모형에 근거하여 수업에 대한 관련성을 향상시키는 피드백 메시지를 개발,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L기업 자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훈련 프로그램 중 비지니스 회계I의 수강자 중 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에 대한 관련성을 향상시키는 피드백 메시지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집단에는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를, 통제집단에는 비관련성 메시지를 제공하였다. 학습 기간 종료 후, 두 집단의 중도 탈락율, 수업 참여도, 그리고 학업 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는 중도 탈락율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참여도 측면에서도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메시지가 학습자의 총 학습 시간을 증대시켜, 학습자의 수업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동기와 관련된 Keller 의 ARCS 이론에서 "관련성"만을 다루었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른 동기 요인인 주의집중, 자신감 및 만족감을 변인으로 하는 실험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levance-enhanced messages on learning in Web-based training (WBT). The effects were examined in terms of dropout rate,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y-two adult learners enrolled in a WBT cours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and each group received two types of messages by group via e-mail. After the course, the dropout rate, the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relevance-enhanced messages play a leading role in decreasing the attrition rate. Also, in terms of the learning time (how much participants logged on to learn), the relevance-enhanced messages prompted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WBT course. Contrary to prediction of the study, the relevance-enhanced messages did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is result can be attributed to a factor beyond the control. A policy of the WBT course stated that the condition of tuition exemption was earning more than sixty percent of a perfect score. That is, if learners earned less than sixty percent of a perfect score of 100, they had to reimburse their tuition themselves. Indeed, in the last two days there was a sudden surge of scores among participants regardless of group. Therefore, the unpredicted result on academic achievement could be attributed to bias from the reimbursement policy. Through the present study, enhancing the sense of relevance proved to be critical to succeeding in WBT courses. However, the effect of relevance-enhanced messages on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examined by controlling extraneous variables in future research. In addition, a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effects of customized relevance-enhanced messages by individual motivation level need to b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