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ult Plane Solutions for the Recent Earthquakes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허서윤,경재복 한국지구과학회 2008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9 No.5

        We analyzed fault plane solutions of the recent twenty-two earthquakes which occurred from 2004 to 2006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P- and S-wave polarities along with SH/P amplitude ratios. The fault plane solution shows that strike-slip fault is dominant here, especially for the events with local magnitude equal to or greater than 3.0. However, some events with local magnitude less than 3.0 show normal fault or strike-slip fault with normal components. In the case of strike-slip fault, its orientation is almost in the direction of NNE-SSW to NE-SW almost parallel to the general trend of faults, while the compressional axis of the stress field trends ENE to E-W. The result is almost consistent with the stress fiel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s reported previously. We cannot give any appropriate explanations to the normal faulting events along the western offshore and inland areas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local stress changes or tectonically unidentified extensional structures. Thus, an extension of investigations is desirable to clarify the cause of such phenomena. We analyzed fault plane solutions of the recent twenty-two earthquakes which occurred from 2004 to 2006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P- and S-wave polarities along with SH/P amplitude ratios. The fault plane solution shows that strike-slip fault is dominant here, especially for the events with local magnitude equal to or greater than 3.0. However, some events with local magnitude less than 3.0 show normal fault or strike-slip fault with normal components. In the case of strike-slip fault, its orientation is almost in the direction of NNE-SSW to NE-SW almost parallel to the general trend of faults, while the compressional axis of the stress field trends ENE to E-W. The result is almost consistent with the stress fiel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s reported previously. We cannot give any appropriate explanations to the normal faulting events along the western offshore and inland areas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local stress changes or tectonically unidentified extensional structures. Thus, an extension of investigations is desirable to clarify the cause of such phenomena.

      • KCI등재

        Immediate Effects of Lumbar Rotational Mobilization on the One-Legged Standing Ability in Healthy Individual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허서윤,김보경,문옥곤,최완석 국제물리치료연구학회 2018 Journal of International Academy of Physical Ther Vol.9 No.3

        The original focu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lumbar rotational mobilization on the one-legged standing ability. Fifteen subjects (6 men and 9 women, mean age = 22.77 (SD = 1.21), mean height = 165.46cm (SD = 11.65), mean weight = 61.46kg (SD = 8.29) volunteers from healthy individuals were recruited and randomized to a lumbar rotational mobilization (LRM) group and a trunk rotational exercise (TRE) group. Mobilization (grade 3 or 4) was applied to the LRM group on the lumbar spine (L1 to L5) in a side-lying, and trunk twist exercise (left and right side) was applied the to the TRE group with lunge position. Center of pressure (COP) and the velocity of the center of pressure (VCOP) of each participant were measured as a balance ability through one leg standing position. Results are as follows. In within-group difference, the COP of the LRM group reduced during standing with the right foot, but the VCOP change of the LR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etween-groups difference, COP of TRE group was decreased compared with LRM group only during left leg standing in the eyes (p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RM is more effective than TRE in improving balance ability.

      • KCI등재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보조기 제작 기법 적용사례 연구 : 스플린트 팬을 이용한 방법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허서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1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making orthotic device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to prevent previous problems that have been exposed from splint pan method. Infrared ray-based 3D scanning and conventional body size measurement process was conducted. Modeling and rendering tasks were performed using Autodesk 3DS Max program. We used NETFABB to save the data as a STL file and Creater K to control graphics and G-code transformation. Post processing and strapped process were carried out for final printed matter. Orthotic Checkout Examination for figure out the examination of devices and also usability evaluations. 4 fabricator made 5 types of orthosis using both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D printing technology method(23,400 kgf/㎠) indicated 3 times tensile strength stronger than conventional method (7,100kgf/㎠), but needed 730 minutes and 320,000won more than the other method. Fabricated with 3D printing technology for the orthosis could overcome previous problems and be the proper method to intervene and compensate with previous problems related to orthosis in Korea 본 연구는 첨단 제조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 제작에 도입하려는 목적이 있다. 신체 측정의 방법으로 기존의 방법과 3차원 신체 스캐닝(3D Scanning)을 모두 적용하여 측정부터 제작과 평가까지의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했다. 보조기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들이 불충분한 제도적 지원과 비용 및 시간의 문제에 직면하여 원활한 보조기 지급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기존의 보조기 제작 시 인체에 유해하거나 금기사항이 되어왔던 점을 개선할 수 있는지 근거를 마련하고,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면 보조기의 고장이나 파손에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해 낼 수 있어 장애인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소요되는 비용과 보조기를 착용하기 까지 장애인이 거쳐야 되는 절차가 혁신적으로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의료진이나 관계자들이 3D 프린팅을 할 때 기술적인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했다. 5가지 종류의 보조기를 실제 제작하는 전 과정을 규명하여 본 연구를 지침삼아 4명의 제작자가 3D 프린터와 스플린트 팬을 이용하여 동일한 보조기를 제작하였다. 인장강도는 방법과 보조기 종류에 상관없이 3D 프린팅 방법이 평균 23,400 kgf/㎠으로 7,100kgf/㎠의 물성을 보이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스플린트 보다 약 3배 더 강도가 우수했다. 소요시간의 차이는 기존의 방법이 평균 730분 덜 소요되었다. 제작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3D프린팅에 요구되는 비용이 기존 방법에 비하여 평균 32.8만원이 더 할애 되었다. 3D 프린팅을 이용한 보조기의 제작은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고, 기존의 제작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실행 기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

        허서윤,이효정,함애지,김유나,정시내,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실행 기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병 6개월 이후의 뇌졸중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무작위 난수 생성 기능을 사용하여 가상현실 치료군과 비디오 관찰군으로 두 집단을 나눈 뒤 하루 20분, 주 3회, 5주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치료군에는 NintendoⓇ 사의 Wii FitTM을 사용한 가상현실 치료(Virtual Reality Therapy; VRT)를, 비디오 관찰군에는 Wii FitTM의 데모 비디오 관찰(Video Observation; VO)을 시행하였으며 동일 기간 동안 20분의 일반 작업치료 및 운동치료를 함께 중재 받았다. 중재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판 행동 통제 척도(Korean version of Behavioral Dyscontrol Scale; BDS-K)와 기능적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ing Test; FRT),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 결과 두 집단의 중재 후 점수 간 비교에서 BDS-K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가상현실 치료군의 중재 전-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BDS-K, FRT, TUG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에서 실행 기능과 균형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며, 중재 후 두 집단의 비교 결과 실행 기능에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수행하고자 하는 치료사들에게 임상적 결정을 내리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 :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of improvements in the executive function and balance for stroke patients using virtual reality therapy. Methods : A total of 64 participants diagnosed as having a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virtual reality therapy group or a video observation group. Intervention for the VRT(Virtual Reality Therapy) group used a NintendoⓇ Wii FitTM for 20 minutes, three days a week, for five weeks. The VO(Video Observation) group watched a demo clip for the same number of times and duration. Both groups were treated with additional conventional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y for 20 minutes during the same session.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the Korean versions of the Behavioral Dyscontrol Scale(BDS-K), Functional Reaching Test(FRT), and Timed Up And Go test(TUG) were used. Results : The BDS-K score after intervention was increased more for the VRT group than for the VO group, the difference of which was significant (p<.05). For the changes after intervention, the VRT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DS-K, FRT, and TUG (p<.05). Conclusion : The clinical features of virtual reality therapy include repetitions of whole-body movements, and provide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executive functions and balance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suggests an evidence-based clinical use of virtual reality application for therapists.

      • 백석 시 「국수」에 나타난 식공간 연구

        허서윤,나정기 한국식공간학회 2015 식공간연구 Vol.10 No.1

        식생활사는 우리의 흘러가는 일상을 텍스트로 형상화하는 문학 세계에서 인간의 욕망과 이상, 사회, 문화를 담아내는 유용한 도구가 되어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전문학에서부터 동시대문학에 이르기까지 등장하는 식공간에 관한 소재는 우리 민족의 생활 풍습에서부터 시대의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현대로 와서는 대중문화를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간 진행되어온 문학 작품을 통한 음식연구는 대부분 고조리서와 문헌을 통해서 음식문화사를 고증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는 전통음식문화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전통음식을 재현 하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문학적 측면에서 음식문화를 연구하고,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적인 의미와 표현 방식에 따라 작가의 주제의식이나 가치관, 심리를 파악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식연구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여 백석의 시에 나타난 식공간 자료를 고증하고 그것을 통해 작가의 작품과 경험세계를 이해하고자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근대 문학에서 가장 많은 음식을 소재로 한 백석의 시 중에서도 단일 음식물이 처음으로 제목으로 쓰인 「국수」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한 편의 영화와 같이 감각적 이미지로 수사되는 가족들의 평범한 식탁은 그의 시 안에서 멋의 정취를 가진 유년시절의 정겨운 세계로 생생하게 펼쳐진다. 그 공간 안에서 음식은 입의 쾌락을 위해서도 아니고 배고픔을 해결하는 생계수단도 아니라 하나의 민족의식으로 존재했다. 「국수」에 나타난 ‘평양냉면’은 백석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 마을의 맛이었다. 또한 작품 외적으로 작가가 처한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면, 그 국수의 맛은 유년기를 추억하게 하는 동시에 다시는 다함께 국수를 준비하던 시절로 돌아갈 수 없음을 인지하게 하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작품 속에 드러난 식공간에 대한 서술은 당시의 깊숙한 생활정서를 함의하고 있어 시에 등장하는 국수에 대한 식문화를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음식 연구의 민속학적 측면에서 우리에게 유의미한 단서들을 제공한다. 음식에 관한 추상적 사유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문학 텍스트를 해석하는 것은 식문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접하고 작품과 작가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제 지향적 로봇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

        허서윤,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1

        목적 : 로봇을 이용한 과제 지향적인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ADL 수행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80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발표된 국외 RCT연구들 중에서 과제와 함께 이루어지는 상지 로봇 재활치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EMBASE, Ovid-Medline, PubMed, CINAHL, Cochran CENTRAL을 통해 문헌검색과 선별을 실시했고, SIGN으로 질평가를, GRADE로 근거의 수준을 마련했다. Cochrane collaboration’s tool for assessing risk of bias로 편향을 측정하고, RevMan 5.3 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개별 연구들의 대상자 수, 중재 전-후 평균값, 표준편차 등을 자료합성에 사용하였다. 결과 : 12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실험군의 대상자수는 총 341명(남성 235명, 여성 106명), 연령은 60.50±5.51세의 분포를 보였다. 대조군의 경우 대상자수가 모두 301명(남성 207명, 여성 94명)이었고 58.55±17.1의 연령대를 보였다. 운동기능 전체의 효과크기는 2.63, FMA가 2.98, BB 2.25로 기능증진에 효과가 있었고, ADL 수행능력에서는 FIM(3.04)을 제외하고 효과가 없었다. 결론 : 과제기반의 로봇상지재활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ADL 수행능력에 전반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효과가 있는지 결과변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the effects of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for stroke patients in terms of the motor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and ADL performance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RCTs were identified through a database search of MBASE, Ovid-Medline, PubMed, CINAHL, and Cochran CENTRAL from 1980 to December 2015, and through additional manual searches. Meta-analyses were separately conducted in terms of the motor function of the subjects' upper extremities and ADL performance. A qua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SIGN, the level of evidence was reviewed based on GRADE, and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collaboration tool. The statistical heterogeneities were also investigated, and RevMan 5.3 was used for a Meta analysis covering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Results: Twelve studies were selected and reviewed. The overall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group was made up of 341 participants (235 male, 106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60.50±5.51. The control subjects totaled 301 (207 male, 94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58.55±17.1). The improvement in the entire motor function of their upper extremitie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mean difference, 0.34; 95% CI, -0.30 to 4.38; p<.05; I2=65.0%) with an FMA of 2.98 (mean difference, 2.10; 95% CI, 0.72 to 3.48; p<.05; I2=52.0%), BB of 2.25 (mean difference, 2.34; 95% CI, 0,30 to 4.38; p<.05; I2=28.0%), and FIM of 3.04 (mean difference, 4.14; 95% CI, -1.47 to 6.80; p<.05; I2=73.0%). However, their WMFT, overall ADL performance, ABILHAN, and MAL did not reach a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possibility for the recovery of stroke survivors, particularly in the motor function of their upper extremities and ADL performanc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ground the evidence and support the clinical use of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 KCI등재

        과제 기반의 로봇 상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

        허서윤,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1

        목적 : 로봇을 이용한 과제 기반의 로봇 상지재활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일상생활수행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검 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80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발표된 국외 무작위 대조군 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연 구들 중에서 과제와 함께 이루어지는 상지 로봇 재활치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EMBASE, Ovid-Medline, PubMed, CINAHL, Cochran CENTRAL을 통해 문헌검색과 선별을 실시했고,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으로 문헌의 질평가를 Th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GRADE)로 근거의 수준을 마련했다. Cochrane collaboration’s tool for assessing risk of bias로 편향을 측정하고 RevMan 5.3 소프트웨어로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개별 연구들의 대상자 수, 중재 전-후 평균값, 표준편차 등을 자료합성에 사용하였다. 결과 : 12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실험군의 대상자수는 총 341명(남성 235명, 여성 106명), 연령은 60.50 ± 5.51세의 분포를 보였다. 대조군의 경우 대상자수가 모두 301명(남성 207명, 여성 94명)이었고 58.55 ± 17.1세의 연령대를 보였다. 운동기능 전체의 효과크기는 2.63, Fugl-Meyer Motor Assessment (FMA)가 2.98, Box and Block Test가 2.25로 기능증진에 효과가 있었고, ADL 수행능력에서는 기능적 독립성 측정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의 3.04을 제외하고 효과가 없었다. 결론 : 과제기반의 로봇상지재활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ADL 수행능력에 전반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로봇을 이용한 상지재활치료의 효과여부의 확인을 위해 임상 평가의 점 수나 등급으로 산출되는 결과변수에 대한 세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the effects of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for stroke patients in terms of the motor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and ADL performance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 RCTs were identified through a database search of MBASE, Ovid-Medline, PubMed, CINAHL, and Cochran CENTRAL from 1980 to December 2015, and through additional manual searches. Meta-analyses were separately conducted in terms of the motor function of the subjects’ upper extremities and ADL performance. A qua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SIGN, the level of evidence was reviewed based on GRADE, and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collaboration tool. The statistical heterogeneities were also investigated, and RevMan 5.3 was used for a Meta analysis covering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Results : Twelve studies were selected and reviewed. The overall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group was made up of 341 participants (235 male, 106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60.50±5.51. The control subjects totaled 301 (207 male, 94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58.55±17.1). The improvement in the entire motor function of their upper extremitie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mean difference, 0.34; 95.0% CI, -0.30 to 4.38; p<.05; I2=65.0%) with an FMA of 2.98 (mean difference, 2.10; 95.0% CI, 0.72 to 3.48; p<.05; I2=52.0%), BB of 2.25 (mean difference, 2.34; 95.0% CI, 0,30 to 4.38; p<.05; I2=28.0%), and FIM of 3.04 (mean difference, 4.14; 95.0% CI, -1.47 to 6.80; p<.05; I2=73.0%). However, their WMFT, overall ADL performance, ABILHAN, and MAL did not reach a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possibility for the recovery of stroke survivors, particularly in the motor function of their upper extremities and ADL performanc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ground the evidence and support the clinical use of task-oriented robot-assisted therapy.

      • KCI등재후보

        Effect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Assistive Technology Satisfaction for Disabled Adults in South Korea

        허서윤,이창희,최완석 국제물리치료연구학회 2017 Journal of International Academy of Physical Ther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CBR)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s (ADLs), quality of life and assistive technology satisfaction for disabled adults in South Korea. Fourteen community-dwelling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a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performed once a month for 2 months.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Modified Barthel Index (MBI) for assessing ADLs, EuroQol five-dimensions questionnaire (EQ- 5D) for quality of life (QoL) and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2.0 (QUEST 2.0) for assistive technolog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DLs, quality of life and assistive technology satisfaction were observed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indicated that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ADLs, quality of life and assistive technology satisfac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 하위요소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중심으로

        허서윤,박진혁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9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technical research is to determine decline of episodic memory by normal aging focucing on object, spatial location, and temporal order memory. Methods : We allocated seventy-seven of healthy adults from twenty to eighty years old, and performed computer-based cognitive tasks which were consisted of the object, spatial location, and temporal order memory. We used OpenSesame(OpenSesame Inc, OR), put ten pictures people normally see in their daily life, and evaluated those aspects through asking the objects types, object spatial locations, and picture temporal orders from 10 sheets of the picture. Results : Object and spatial location memory were not affected by normal aging whereas, temporal order memory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normal aging. Specifically, temporal order memory for in their age of for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ir age of twenty and object memory at their age of eighty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spatial location and temporal order memory. We found out that temporal order memory worse fastest and object memory lasted longest.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confirmed characteristics of declines of episodic memory consisting of object, spatial location, and temporal order memory. Notably, we could specifically identify declines of spatial location and temporal order memory with normal aging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on a limited basis using conventional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These findings would be helpful to screen impairment in episodic memory by normal aging and provide an evidence that cognitive intervention for healthy older adults needs to include spatial and temporal aspect of memory. 목적 : 본 연구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 저하 양상을 일화기억의 하위요소인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대부터 80대 이상까지의 건강한 젊은 성인과 노인 7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일화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 인지과제를 수행하였다. 인지과제는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각각 평가하기 위한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사진 10장을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사진 10장을 본 이후에 사진 속의 사물의 종류, 사물의 위치, 사진이 제시된 순서를 물어보는 과정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각 하위검사의 정답률을 연령대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사물과 공간위치 기억은 정상노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시간순서 기억은 정상노화 과정 속에서 큰 폭으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시간순서 기억은 40대 이상부터 20~30대에 비해 유의한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80대 이후에는 사물 기억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상노화 과정에 따라 시간순서 기억이 가장 먼저 감소되고 사물 기억이 가장 마지막에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의 하위요소별 저하 양상을 제시하였다. 사물 기억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신경심리학적 검사들을 통해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던 공간위치와 시간순서 기억의 저하 양상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정상노화에 따른 일화기억의 저하에서 벗어난 일화기억의 손상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정상노인에게 시행되는 예방적인 인지 중재에 공간위치와 시간순서 기억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할 근거를 제시한다.

      • KCI등재

        비대칭적 두 눈 일차하사근기능항진에서 대칭적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 시행 후 수직편위 변화

        허서윤(Seo Yoon Heo),이행진(Haeng-Jin Lee),안민(Min Ah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2

        목적: 비대칭적 두 눈 일차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수술 전 수직편위에 따른 대칭적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의 수직편위 교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비대칭적 두 눈 일차하사근기능항진과 간헐외사시로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과 외직근후전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제일안위에서의 상사시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술 전 수직편위 정도와 두 눈 하사근기능항진 차이에 따른 수술 후 수직편위 교정량, 잔여 상사시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89명 178안이 포함되었으며 제일안위 수직편위는 수술 전 3.2 ± 2.2 prism diopters (PD)에서 수술 후 0.5 ± 2.5 P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 rank test, p<0.001). 두 눈 하사근기능항진 정도 차이와 수직편위 교정량(r=0.044, p=0.684), 잔여 상사시(r=-0.084, p=0.432)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Spearman 순위상관분석). 수술 전 상사시가 클수록 수술 후 상사시 교정량이 커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r=0.733, p<0.001), 술 전 상사시양과 잔여 상사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Spearman 순위상관분석, r=0.182, p=0.087). 결론: V형 간헐외사시에 동반된 두 눈 비대칭 일차하사근기능항진에서 두 눈 외직근후전술과 같이 시행한 대칭적인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은 수술 전 수직편위가 클수록 수직편위 교정 효과가 컸으며, 수술 후 하사근기능항진과 상사시도 적절하게 교정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bilateral inferior oblique myectomy for hypertropia on the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gle in patients with asymmetric primary inferior oblique overaction (IOOA).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inferior oblique myectomy and lateral rectus recession due to asymmetric primary IOOA and intermittent exotropia,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postoperatively. Pre- and post-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gles were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correction of vertical deviation after surgery and residual hypertropia,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degree of vertical deviation and difference between bilateral IOOA, was evaluated. Results: This study included 178 eyes from 89 patients. The angle of hypertropia in the primary position was reduced from 3.2 ± 2.2 prism diopters (PD) preoperatively to 0.5 ± 2.5 PD postoperatively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01).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reoperative interocular difference in IOOA and postoperative extent of correction of the vertical deviation (r = 0.044, p = 0.684), or between the preoperative difference in bilateral IOOA and residual hypertropia (Spearman s rank-order correlation, r = -0.084, p = 0.432). Increased preoperative hypertropia correlated with a greater extent of surgical correction of the vertical deviation (r = 0.733, p < 0.001). Preoperative hypertropia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sidual hypertropia (Spearman s rank-order correlation, r = 0.182, p = 0.087). Conclusions: In 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myectomy with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for asymmetric bilateral primary IOOA with V-type intermittent exotropia,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d extent of correction of the vertical deviation was observed. Additionally, IOOA and hypertropi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ostoper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