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파울 클레 색사각형 작품에 대한 연구-괴테 색채론 중심으로

        정서영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Paul Klee's color-square paintings. - Focusing on Goethe's color theory - Jeong Seo Young Advisor : Prof. Kim Seung Hwan, Ph. D. Dept. of Aesthetics and Art Histor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aul Klee (1879-1940) took his opportunity of traveling Tunisia, Africa in 1914 to be attracted to power of color and created works of color square until the end of his life. In such works, color was just interpreted as musical influence which is inherent in him and there is a shortage of interpretation about color. Is it possible to interpret such works only through musical factors? Aren't there any other collateral factors in interpreting color of color squares? For analysis of these questions, I will look for foundations in Goethe's thought and theory of color which affected Paul Klee. His diary suggested that he read lots of books about Goethe. And his lecture about color shown in his educational sketchbook used during the years as professor at Bauhaus and comparison of 'color theory' which was used in 1922 during years of mural studio with color theory of Goethe indicate the influence from Goethe of color squa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his works in accordance with his intention and philosophy by recognizing that existing color studies of color square about Paul Klee were centered mainly on musical factors and by emphasizing the meaning of color. For this study, first of all, regarding 'color square' works, his artistic world were examined and color theory of Goethe, which became his theoretical background of work activities and color. And relation between the two was examined, and Klee's works were interpreted through Goethe's color theory.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s. In chapter 2, background of Paul Klee's color square type works ' creation and color square works will be examined. In chapter 3, Goethe's color theory,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creation of Klee's color square works' series will be examined. Composition principles of Goethe theory such as polarity, rise, and comprehensiveness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chemical color, physical color and physiological color will be examined. In chapter 4, based on Goethe's color theory, Paul Klee's color square type works will be analyz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works, the works will be divided largely into early stage(1913~1920), Bauhaus years(1921~1929), and latter years(1930~) and they will be examined with regard to composition principle of Goethe's color theory and relation with three colors. The conclusion part will analyze color principle of Paul Klee's color square type works and examin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s of use of such colors based on understanding of phenomena of various colors mentioned in Goethe's color theory.

      • 코로나19 감염병 유행에 따른 국내 청소년의 식습관 변화

        정서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9년과 2020년의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전후 청소년의 경제 상태에 따른 식습관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중·고등학생으로 2018년 60,040명, 2019년 57,303명, 2020년 54,948명이었다. 2019년 조사는 COVID-19 발생 전인 2019년 6월에 실시되었으며, 2020년 조사는 COVID-19 발생 후인 2020년 8월에서 11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 5일 이상 아침식사를 거른 청소년의 비율은 2019년 35.7%, 2020년 37.3%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크게 높았다. 2. 청소년의 주 5회 이상 과일 섭취 비율은 2019년 31.4%, 2020년 28.9%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감소했다. 3. 2020년에는 탄산음료와 단 음료를 주 3회 이상 섭취한 청소년의 비율이 2019년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4. COVID-19 발생 전후 청소년의 식습관 경제상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발생이 청소년들의 식습관 변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COVID-19 발생 후 식습관 변화는 청소년의 가족경제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of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using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in 2019 and 2020.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60,040 in 2018, 57,303 in 2019 and 54,948 in 2020. The 2019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2019,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2020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and November 2020,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skipped breakfast more than five days a week was 35.7% in 2019, and 37.3% in 2020,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2.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consumed fruit more than five times a week was 31.4% in 2019 and 28.9% in 2020, which decreas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3.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consumed soda and sweet drinks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was significantly lower in 2020 than in 2019.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of adolescents in eating habi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that the outbreak of COVID-19 was related to changes in adolescents' eating habits. And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eating habit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were not related to the family economy of adolescents.

      • 사립유치원 원감의 애환과 보람 그리고 희망

        정서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치원 안에서 조직의 구성은 교육을 전달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그 중에서 교육철학을 가지고 원을 운영하는 원장과 유아들에게 직접 교육을 전달하는 교사 사이에서 원감은 중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원감들이의 중간자적 위치와 삶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현장에서 원감들이 느끼는 현실적인 애환과 그 속에서 찾는 보람된 요소들, 그리고 앞으로 한발 짝 더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희망들을 찾아보려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경기지역과 천안, 대전에서 현재 교직중인 원감 중 다양한 경력과 특성을 고려하여 11인을 선정하였으며, 총 11주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연구 참여자 별로 심층면담과 전화면담, 이메일면담을 병행하였고, 연구자의 저널쓰기를 통해 연구의 흐름과 특징을 기록하였다. 면담 중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자료는 이틀 이내로 전사하여 주제별, 질문 내용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크게 애환, 보람, 희망이라는 3가지 주제로 요약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감들은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겪는 다양한 애환들이 있었다. 그 애환의 첫 번째 요소로는 유치원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원장과 유아와 가장 가까이서 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와의 사이에서 매개체 역할을 하는데서 오는 어려움을 들 수 있었다. 유치원 운영의 실정을 잘 아는 원감으로서는 교사들이 주장하는 요구들을 모두 들어주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지만, 원감 자신들도 교사의 길을 걸어왔기 때문에 교사들에게 힘든 생활들을 무조건 이해하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교사들과 잘 융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행사와 유치원 업무 밀어붙이기 식의 행동은 자칫 교사에게 신뢰감을 떨어트리고, 교사를 도와줄 수 없는 ‘원장편’이라는 선입관이 생겨 원감이 유치원 업무를 수행하는데 따르지 않는 일이 생긴다. 심지어 교사들끼리만 관계를 형성해버리는 일이 생기기도 하여 원감들은 본인이 교사였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과의 관계에 무척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애환의 두 번째 요소로는 언제든, 어디서든 모든 오류와 발생하는 민원을 처리해야 하는데서 오는 혼란스러움이다. 내 잘못과 내 반 학부모의 일만 해결하면 되었던 교사시절에서 유치원 모든 것의 부분에 관여하고 내가 잘못하지 않은 것까지 책임져야 하는 무거움에 뒤엉켜버린 실타래를 푸는 기분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특히 서로에게 예민할 수밖에 없는 교육비 문제나 학부모의 민원사항들을 해결해줘야 하는 어려움은 원감으로 하여금 어디론가 숨어버리고 싶은 마음을 들게 하는 큰 애환이 아닐 수 없었다. 세 번째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안전문제와 그로 인한 학부모와의 어려움이 원감을 지치게 하는 요소가 되었으며, 아이들의 아주 작은 부분까지 예민하게 반응하여 항상 긴장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애환의 요소 네 번째는 체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단계를 밟아나가는 공립과는 달리 원장의 재량에 의해 연수나 자격 없이 원감을 맡는데서 오는 어려움을 들 수 있다.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떠한 정보교류나 지식 없이 부딪혀서 겪어나가는 원감들은 스스로 어려움을 느낄 뿐만 아니라 유치원 구성체계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다섯 번째 요소로는 과도한 원아모집 경쟁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지나친 과잉행동으로 원리와 원칙이 무너지는 유치원의 현실을 들고 있었다. 또한 학부모들의 목소리가 높아져 교사와 반을 맘대로 골라 요구하거나 다른 유치원으로 쉽게 발을 돌리는 학부모로 인해 나날이 어려워지는 유치원 원아모집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애환의 마지막 요소로는 육아와 교사일을 병행하면서 오는 어려움을 들 수 있다. 사립유치원 원감들은 일의 특성상 자녀들과 함께 유치원에 다니는 경우에 아이 앞에 당당히 나설 수 없는 것에 죄책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원감이 앞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보람들로는 원장의 인정을 가장 큰 요소로 찾았고, 학부모의 격려와 행사가 잘 진행된 대서 오는 만족감과 성취감을 통해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원감의 위치에서 교사들이 불만 없이 잘 따라와 주고 함께 생활하며 유치원이 하나씩 채워져 갈 때마다 보람된 마음을 갖을 수 있다고 하였다. 원감 연수를 받고 학교를 진학하여 스스로의 성장됨을 통해 주변에서의 인정과 부러움으로 자신의 지위에 보람을 찾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한 계단 씩 밟아 걸어 올라가는 정통적인 유아교육자의 길을 가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자부심을 갖는 가장 큰 희망으로 두었다. 원감 다음으로 원장연수를 받아 본인의 원을 경영하게 되어 마음껏 좋은 철학과 프로그램들을 교육하리라는 목표를 이야기 하였다. 사립유치원 교사로서 유치원 원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The personnel organization in a kindergarten finds the significance in transmitting and developing of education. Among them the vice-principals plays an important part as a mediator between the president who runs the kindergarten with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the teachers who directly teach th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osition and life of the vice-principals who carry out their duties as a mediator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it.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I have tried to find the actual difficulties that the vice-principals feel on the spot, the joysful elements found on the scene, and the hope that is the motive power to make them move forward. The eleven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are selected out of the vice-principals serving in Gyung-gi and Cheon-an, dae-jeon province considering various careers and characteristics. The duration of the research lasted for eleven weeks. To collect the data I used in-depth interview, phone interview, and e-mail interview with each participant and wrote a journal to record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I recorded the interviews with their consent, transcribed them in two days, and classified them by the subject and the sorts of quest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ncluded and summarized as the three subjects, difficulties, joys, and hope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ivate kindergarten vice-principals had so much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ir duties. The first element can be the difficulties in playing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 president who substantially runs the kindergarten and the teachers who educate the children near by. As a vice-principals who knows the actual management of the kindergarten it would be difficult to listen to the teachers' demand. However, since they were teachers before it would be hard to tell the teachers to bear with the situation. An action without harmony with the teachers or business-driving action will end up losing the trust from the teachers creating a preconception against the vice-principals as the president's man and not listening to their directions. Moreover, things like teachers forming a group happens it becomes really hard to make a relationship with teachers even though they themselves were one of the teacher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ident puts all the responsibilities only on the vice-principals hurting their pride before teachers, or changes a decision by themselves without discussion, it degrades their authority resulting in lowering the efficiency fo the work. The second element of difficulties is the confusion caused by dealing with all the errors and public grievance whether anytime or anywhere. They were spending day by day as though untying entangled thread because they had to take responsible for all the matters that happen in the kindergarten unlike when they were a teacher that just had taken care of their class's matters only. In particular, one of the greatest difficulties is that solving the sensitive matters like tuition or complaints of parents is so difficult that it makes the vice-principals want to go hide somewhere. The third element is the safety issue of the children that can takes place any time and dealing with the parents with that issue. Due to the low birth rate nowadays there are one or two children each home so the parents get to react so sensitively which keeps the vice-principals always strained. The intense actions without grasping the situation make the private kindergarten vice-principals much more troubled. The forth element is to choose the vice-principals out of the president's authority unlike the public kindergartens that hire through systematical steps to be a vice-principals. By undergoing the difficulties without any prepar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or knowledge, the private vice-principals's not only have a hard time but also negatively affect the organization of the kindergarten. The fifth element is the excessive competition in recruiting new students leads to overaction that ruins the principle and fundamental rule. On top of that, the power of the parents grew bigger selecting teachers or class in their favor or easily moving to another kindergarten. It seems getting harder and harder to recruit the new students. The last element is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both teaching and raising their own kids at the same time. When the private vice-principals's go to the kindergarten together with their kids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they feel guilty of not being able to act flawlessly in front of their own children. Secondly, they felt worthwhile, having the motive power that enables the vice-principals's to move forward when they get the recognition from the president, which turned out as the best factor. Other factors also can be an encouragement from parents, a feeling of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fter an event. Besides, when the teachers are cooperative and new students keep signing up they find it worthwhile. Getting a recognition or envious looks from people around them for self-improvement such as finishing the vice-principals training, going to higher level school make them feel worth it. Thirdly, the participants found the biggest hope in the systematically legitimate way of children educator that became most considerable meaning and they could get the feeling of the pride. After that, they talked about getting a training to be a president that can be the next goal for them to run their own kindergarten adapting good philosophy and programs.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out that as a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o make the business active and to achieve the dream, they think that there should be the consistent investment for the self-improvement, and the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in harmony of the president's philosophy and the teachers' cooperation. Furthermore, they have emphasized the importan

      • OSC 프로젝트의 최적 설계안 선정을 위한 DfMA 평가모델

        정서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Off-site construction (OSC) refers to a building production method of final structures using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by transporting building members that were planned, produced, and pre-fabricated in, for example, factories, as opposed to on-site construction, which takes place at the construction site of a building or structure. OSC can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the standardization, modularization, and repetitive production of the design, engineering, production, and construction phases, and ensure product quality and safety through reduced on-site work. Due to these advantages,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OSC as a solution to the limitations of existing on-site construction-centered production methods. As a result, the adoption and use of OSC are increasing, particularly by advanced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US and Europe. Other nations are also making efforts to proactively adopt and use OSC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a 52-hour workweek system, aging construction workers, and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However, there remains a need for the adoption and use of OSC and its various advantages. OSC has not become a commonly accepted process in the construction market due to environmental and technical constraints(Azhar et al., 2013; CII, 2013; Park et al., 2016), design errors caused by the lack of experience and expertise of project participants (Azhar et al., 2013; Blismas & Wakefield, 2009; Wuni & Shen, 2020a; Wuni & Shen, 2020b; Wu et al., 2019; Jung et al., 2021), and degraded completeness (Blismas & Wakefield, 2009; Hyun et al., 2022). The OSC method has many constraints concerning production environments and technologies, and these are different from the constraints of existing production methods.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design drafts that reflect these constraints and to select optimal alternatives for production efficiency. Failure to properly consider constraints in the design process or select optimal alternatives for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detrimental to construction projects due to the delayed production caused by re-design and re-work, the jeopardizing of occupational safety, production quality degradation, etc. To alleviate these problems, it is critical to develop optimal design drafts—considering their suitability in the production process—and select optimal design alternatives conducive to high production efficiency. To derive optimal designs in OSC projects, the building industry has focused on the Design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DfMA). DfMA is a concept that has been developed to minimize design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a design approach that prevents possible errors in advance in the production and assembly phases and improves production efficiency by inspecting various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product production phase in advance of the design phase. OSC-advanced nations such as Singapore, the UK, and the USA recognize the need for the use of DfMA. Thus, they have devised guidelines and strategies on how to apply it, with research on how to use DfMA in the building industry currently underway. However, most DfMA developments in the OSC field thus far have been guidelines and strategies concerning how to progress a production process in an OSC project and how DfMA should be applied. These guidelines only provide background knowledge for designers concerning how to design and do not clearly identify and itemize what factors designers must consider. Additionally, they cannot determine whether a DfMA concept is fully reflected in a design draft to examine its suitability for an OSC production environment, nor can they confirm which is the optimal choice among multiple design alternatives. This study developed an integrated assessment model of OSC and DfMA. It consisted of the OSC-DfMA production suitability assessment model and OSC-DfMA production efficiency assessment model to support decision-making for the selection of optimal OSC design drafts. The scope of research was limited to precast, concrete-based OSC projects in Korea. We developed OSC-DfMA evaluation items by mix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s, structured interviews, and content validity analysis methods. Additionally, we developed an OSC-DfMA production suitability assessment model to review whether design drafts were suitable for the OSC production environm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checklist and matrix techniques. Furthermore, we developed an OSC-DfMA production efficiency assessment model to select an optimal alternative for production efficiency among multiple design drafts. Moreover, we conducted a case study to validate the us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OSC-DfMA assessment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offer several academic contributions. They highlight the need for DfMA applications for OSC projects and design optimization. The results also have practical contributions as they can aid DfMA development for OSC projects in Korea and provide the basis upon which to expand the applicability of DfMA. OSC(Off-Site Construction)는 건축물의 부지가 아닌 공장 등의 장소에서 계획, 생산, 조립된 건축물 부재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 시공하는 방식으로 최종 목적물을 생산하는 건축생산방식으로 기존의 현장 시공 중심의 생산 방식과는 달리 설계 및 엔지니어링, 제조, 시공 단계의 표준화·모듈화·반복생산을 통해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외작업의 감소로 생산 품질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정점이 있어 기존 건축 생산 방식의 한계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미국, 유럽 등 건설 선진국을 중심으로 OSC의 도입 및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건설 근로자의 고령화, 외국인 근로자의 급격한 증가 등의 이유로 인해 OSC의 도입 및 활용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자 하는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OSC의 도입 및 활용의 필요성과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생산환경 및 기술상 제약사항(Azhar et al., 2013; CII, 2013; Park et al., 2016) 및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경험 및 전문지식 부족(Azhar et al., 2013; Blismas & Wakefield, 2009; Wuni & Shen, 2020a; Wuni & Shen, 2020b; Wu et al., 2019; Jung et al., 2021)으로 인한 설계 오류 및 완성도 저하(Blismas & Wakefield, 2009, Hyun et al., 2022)와 같은 저해 요인들로 인해 OSC는 아직 건설시장 전반에 완전히 자리잡지 못하였다. OSC 방식은 기존 생산 방식과 달리 생산환경 및 기술에 따른 제약사항들이 다수 존재하며, 이를 적절히 반영한 설계안을 개발하고, 생산 효율 측면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설계과정에서 이와 같은 제약사항들이 적절히 고려되지 않거나, 생산 효율 측면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지 못할 경우에는 재설계 및 재작업으로 인한 제작 납기의 지연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작업 안전 및 생산 품질의 저하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생산 과정에서의 적합성을 고려한 최적 설계안의 개발 및 생산효율성이 높은 최적 설계 대안의 선택이 중요하다. 이에 건설업계에서는 OSC 프로젝트의 최적 설계안을 도출하기 위해 DfMA(Design for Manufacturing & Assembly)에 주목하고 있다. DfMA는 제조분야에서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된 개념으로 설계 단계에서 제품 생산 단계와 관련한 여러 상황들을 설계 단계에서 미리 검토함으로써 생산 및 조립 단계에 발생가능한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 접근방식을 의미한다. 싱가포르, 영국, 미국, 등 OSC 선도국에서는 DfMA 적용의 필요성을 인정하여 OSC 산업 특성에 적합한 DfMA 가이드라인 및 적용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이 건설업에 DfMA를 융합하는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되어 사용되어오고 있는 OSC 분야의 DfMA는 대부분 OSC 프로젝트의 생산 프로세스의 진행 방식에 대한 설명 및 적용 전략에 대한 가이드라인 형식으로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가이드라인 성격의 DfMA 적용방식은 단순히 설계자들로 하여금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에 대한 배경지식만을 제공할 뿐이며, 설계시 반드시 고려해야할 내용이 명확하게 식별되어 항목화 되어있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설계안에 DfMA 개념이 충실히 반영되어 OSC 생산 환경에 적합한지에 대한 검토할 수 없으며, 복수개의 설계 대안 중 어떤 대안이 최적의 대안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SC의 최적 설계안을 선정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OSC-DfMA 생산적합성 평가모델 및 OSC-DfMA 생산효율성 평가모델로 구성되는 OSC-DfMA 통합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OSC 유형 중 국내 PC 기반의 OSC 프로젝트를 주요 연구 범위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 구조화된 인터뷰, 내용타당도 분석 방법을 혼합하여 OSC-DfMA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체크리스트 기법 및 매트릭스 기법의 적용틀 통해 설계안의 OSC 생산 환경에서의 적합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OSC-DfMA 생산적합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복수개의 설계안 중 생산효율성 측면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OSC-DfMA 생산효율성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OSC-DfMA 평가모델의 활용성 및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OSC프로젝트에 DfMA의 적용의 필요성 및 설계 최적성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데 일조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PC기반의 OSC 실정에 적합한 DfMA 평가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OSC 프로젝트에 적합한 DfMA 개발에 일조하고, DfMA 적용성 확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 역함수에 대한 교사의 MKT 연구

        정서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함수와 관련하여 중등 수학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교수적 행동을 분석하고 교사의 전문성 강화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는 한편 교사들의 수업 준비나 학생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함수에 대한 교사의 교수활동을 위한 수학 내용 지식(Mathematical Know- ledge for Teaching, 이하 MKT)을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함수의 대응적 관점에서 역함수의 존재성에 대한 MKT는 어떠한가? 1) 중등 수학교사의 역함수의 존재성에 대한 수학적 이해는 어떠한가? 2) 중등 수학교사의 역함수의 존재성에 대한 교수적 행동은 어떠한가? 2. 함수의 공변적 관점에서 역함수의 의미에 대한 MKT는 어떠한가? 1) 중등 수학교사의 역함수의 의미에 대한 수학적 이해는 어떠한가? 2) 중등 수학교사의 역함수의 의미에 대한 교수적 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복수 사례연구를 설계하였으며, 과제기반 반구조화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면담은 고등학교에서 역함수에 대한 지도경험이 있는 중등 수학교사 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로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역함수의 존재성과 의미 각각에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를 정하고 과제지와 면담 질문을 구성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을 관찰하였다.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교사 2명이 상대적으로 강력한 수학적 이해를 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들은 역함수 존재성 여부를 적절하게 판단하였고, 함수와 합성함수를 분리하지 않고 전체와 부분에서 일대일대응을 양방향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정의역에 대한 인식이 가변적이지 않았으며, 함수를 되돌림(Undoing)하여 역함수를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들 교사 2명의 교수적 행동이 실제에서 학생들에게, 보다 영향력 있는 교수활동으로 변형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은 모두 자신의 수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의 이해에 반응하고 지도 목표를 계획하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교사 1명이 보다 강력한 수학적 이해를 갖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교사는 함수와 역함수 관계를 동일한 관계로 인식하였는데, 문맥적 함수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를 동일한 그래프로 작성하였고, 변수의 의미를 유지하고 좌표축에서 양방향으로 해석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역함수 식을 구할 때 전환 및 해결(Switching and Solving)을 사용하고, 역함수 그래프를 직선 에 대칭 하여 그렸다. 그러나 이 사이에 불균형 발생 없이 분명하게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 교사의 교수적 행동이 실제에서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영향력 있는 교수활동으로 변형될 것처럼 생각되었다. 다만 교사는 고등학교의 역함수 학습 내용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자 하였기 때문에 교수활동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지도가 달라질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역함수 존재성과 의미에 대해 지도하는 과정에서 되돌림 활동을 강조하고, 일대일대응을 부분과 전체에서 양방향으로 고려하며, 정의역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 역함수의 식과 그래프를 다룰 때 전환 및 해결 활동을 지도하되 되돌림 활동과 함께 활동의 의미와 이유를 분명하게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둘째, 역함수의 존재성과 의미에 대해 지도하는 과정에서 교수적 행동에 앞서 교사의 보다 강력한 수학적 이해에 대한 구성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역함수의 존재성과 의미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두 대응관계를 연결한 대응그림이나 문맥적 함수의 그래프와 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학습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넷째, 교사들은 역함수 개념을 학습한 이후의 연관된 다른 수학적 개념의 학습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를 교수활동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면담을 통해 교수적 행동을 알아보았기 때문에 교사가 실제 교수활동 상황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또한, 본 연구와 관련한 학습자료 개발연구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역함수와 연관된 다양한 수학적 주제에 대해 변형적 관점에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를 알아보거나 교사의 MKT와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초등교육에서 문화다양성 무용교육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Merleau-‐Ponty 이론을 중심으로

        정서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교육에서 문화다양성 무용교육 프로그램 경험이 초등학습자들에게 철학적, 문화적, 교육적 의미로써 어떻게 수행되고 전유 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2022 교육부에서는 사회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따른 대응으로써 그에 맞는 교육과정을 반영하면서 교과목 전반에 일상적 경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학습될 수 있는 과정으로 변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교육이 찰나적, 분절적인 학습과정이 아니라 생애주기 학습과정으로 변화를 시도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다양한 문화들이 혼재되어있는 현시점에서 초등체육교육에서의 신체 움직임은 다양한 문화를 신체라는 도구로써 그 의미를 학습하고 내재화할 수 있는데 원동력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22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신체를 통해 학습하고 체화하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Merleau-Ponty의 철학적 접근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신체를 매개로 한 학습의 교육적 효과와 가치를 의미화시키는데 중요한 관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는 Merleau-Ponty 이론을 중심으로 몸을 수단으로 하는 무용교육에서 문화다양성 요소와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초등교육에서 문화다양성 무용교육 프로그램 경험이 어떠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에 기능적, 이론적으로 논의를 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방법으로써 문헌분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통한 관찰일지, 질문지, 심층 인터뷰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초등 5학년 체육 교과과정 내 표현활동에 포함되어있는 ‘탈춤’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적 계층을 통해 문화다양성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에 B지역 초등학생 5학년 10명에게 ‘탈춤’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문화다양성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정을 위해 Merleau—Ponty의 이론을 근거로 삼아 중심 키워드를 제시하고 설명한 것이다. 이에 연구 결과는 신체성을 매개로 하여 크게 인지·정서·행동적 3가지 교육적 의미와 가치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은 계층과 차별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몸 자체 경험학습을 통해 인지적 관점이 성숙하게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몸으로 경험하여 정서적으로 공감·이해·인정·존중으로 사회화되는 과정으로 발전되어 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 간 상호 존중하는 문화다양성 역량을 신체, ‘몸’ 그 자체로 체화하고 발현할 수 있는 매개체로써 함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학습자들이 초등무용교육에서 특히, ‘탈춤’ 교육내용 학습 기회를 통해 문화다양성의 교육적 가치를 신체로 경험하고 나아가 단기적으로 끝나는 학습이 아니라 지속적인 학습과정으로 체화되는 교과목임을 밝힌 것이라 하겠다. 이는 Merleau—Ponty의 「신체를 통한 지각」 이론을 기반으로 문화다양성의 의미가 초등무용교육 내용 분석에 철학적, 문화적, 교육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교육적 실천으로 거듭날 수 있는데 기반을 제공한 것이라 하겠다. 더욱이 민속표현영역 ‘탈춤’의 교육적 의미는 문화다양성 요소를 이해하고 함양하는데 적절한 교육내용이라 하겠다. 이에 초등교육에서 문화다양성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구체적인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그 의미가 이론적, 기능적 접근으로 설명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경기 국내 시청자 집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정서영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정 부분 마니아(Mania)층을 형성하고 있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경기 국내 시청자 집단을 대상으로 그 특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디어 이용을 설명하는 데 많이 동원되는 이용충족모델을 근거로 시청동기, 시청몰입도, 시청만족도 그리고 시청 후 행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시청동기가 몰입도, 만족도 그리고 시청 후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로, 연구 대상은 전국 시, 도 단위에 거주하고 있는 10대 이상의 남, 녀 중에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로 설정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0년 4월 17일부터 5월 6일까지 약 20일간 진행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이 중 불성실한 응답 15부를 제외한 총 285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회수된 설문지를 통계 프로그램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미어리그 국내 시청자 집단의 주요 시청동기는 ‘정보추구’, ‘소통추구’, ‘오락추구’의 3가지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즉, 프리미어리그를 즐겨보는 국내 시청자들은 프리미어리그를 시청하며 정보나 선진축구기술을 획득하기 위해 혹은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맺거나 자신과의 내재적 감정 소통을 위해 혹은 오락적 재미와 흥미를 얻기 위해 시청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청동기의 패턴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그리고 시청행태 즉, 시청 횟수, 시청 콘텐츠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리미어리그 국내 시청자 집단의 시청몰입도는 ‘관여도’, ‘심취도’ 2가지로 구분되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시청몰입도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여도는 3.00, 심취도는 2.47로 나타나 관여도가 심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이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 시청 횟수, 시청 콘텐츠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리미어리그 국내 시청자 집단의 시청만족도는 ‘내용만족도’, ‘과정만족도’ 2가지로 구분되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시청만족도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6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용만족도는 3.91, 과정만족도는 3.24로 나타나 내용만족도가 과정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이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 시청 횟수, 시청 콘텐츠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리미어리그 국내 시청자 집단의 시청 후 행동은 ‘지속시청의도’, ‘행동의도’ 2가지로 구분되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시청 후 행동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75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시청의도는 3.20, 행동의도는 2.14로 나타나 지속시청의도가 행동의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이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 시청 횟수, 시청 미디어, 시청 콘텐츠 유형에 따른 시청 후 행동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앞의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의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락추구 동기는 내용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프리미어리그 시청자의 시청동기가 몰입도, 만족도, 시청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보추구, 소통추구, 오락추구 동기는 몰입도인 관여도, 심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도인 내용만족도와 과정만족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시청동기가 시청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보추구, 소통추구, 오락추구 동기가 지속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소통추구, 오락추구 동기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프리미어리그 시청자의 시청몰입도가 만족도, 시청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몰입도인 관여도, 심취도가 내용만족도와 과정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청 후 행동인 지속시청의도, 행동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미어리그 시청만족도가 시청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시청만족도인 내용만족도, 과정만족도가 지속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과정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국내에서 일정부분 소위 마니아 층을 형성하고 있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축구경기를 즐겨보는 사람들은 크게 세 가지 동기 즉, ‘정보추구’, ‘소통추구’, ‘오락추구’의 동기를 가지고 프리미어리그 경기를 시청하며, 시청하는 동안 선수와 자신을 동일시하거나 상호작용을 하는 등 시청 시 몰입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는 곧 경기 내용 자체뿐만 아니라 시청 과정의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청에서 얻은 만족감은 이후 지속적 시청 의도나 관련된 후속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 기존연구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시청행태와 비교 시 상대적으로 충성도 높은 시청행동이 특징임을 보여주었다.

      • 안토니 후크마의 신학사상에 대한 비평 연구

        정서영 서울기독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안토니 후크마(Anthony Andrew Hoekema)가 주장하는 신학 사상에 대한 비평 연구를 하고자 한다. 후크마는 벌콥(Louis Berkhof) 이후 개혁주의 조직신학을 한 단계 끌어 올린 신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그는 언약사상의 학문 연구를 통해 칼빈(John Calvin), 바빙크(Herman Bavinck), 보스(Geerhardus Vos) 등의 언약사상을 깊이 연구하여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으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후크마의 주장은 일목요연하게 3부작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종말론 분야에서는 「성경과 미래」(The Bible and The Future, 1994), 인간론 분야에서는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피조물」(A Created In God's Image, 1986), 구원론 분야에서는 「은혜로 구원받음」(Saved by Grace, 1989) 등이 있다. 후크마가 주장하는 조직신학의 각 분야는 단지 기존의 이론을 종합하는데 그치지 않고 독특한 이론을 전개하고 있으면서도 개혁주의 신학에 충실하고 있다. 후크마의 이론적 특성은 성경 주해에 있다. 그는 성경 본문의 해석을 우선으로 하여 이론을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기존 용어를 재사용하여 이를 공인된 신학적 용어로 만들기도 하며 그 자신만의 신학적 용어를 창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로 인해 비판에 직면하기도 한다. 후크마의 이론 중 먼저, 종말론 분야에서 천년왕국에 대해 무천년설(Amillennialism)을 주장한다. 이는 그의 벌콥이 무천년설을 당연시하여 설명하지 않았던 것을 후크마는 이론의 정립화를 시도하여 이 이론의 완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인간론 분야에서는 영․육통일체(Psychosomatic Unity)를 주장하면서 삼분설(trichotomy)이나 이분설(dichotomy)을 배격하였다. 그에 의하면 몸, 혼, 영과 같은 술어들이 인간의 분리될 수 없는 여러 능력들이 아니라 전인(全人, the whole person)을 보는 여러 방식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구원론 분야에서는 특히 그는 구원의 서정(order of salv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우선 그는 구원을 순서적으로 분석한다. 그러나 그는 구원이 단계별로 영화(glorification)에 이르게 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그 내용을 달리한다. 그는 구원은 순서도 중요하지만 그 순서는 즉각적(definitive)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This thesis aims for a critical study on the theological thoughts of Anthony Andrew Hoekema. Hoekema is regarded as a theologist who upgraded the reformed systematic theology after Louis Berkhof. Especially, he deeply studied the covenant theology of John Calvin, Herman Bavinck, Geerhardus Vos, etc. through academic studies and developed them into the core of the reformed theology. Hoekema’s theory is shown very clearly in three parts: the area of eschatology is shown in The Bible and The Future(1994), the area of human theory in Created In God's Image (1986), and the area of salvation theory in Saved by Grace (1989). Each area of Hoekema's systematic theology does not stop at putting together the existing theories but develops unique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faithful to the reformed theology. The characteristics of Hoekema's theory are his explanatory notes to the Bible. He unfolds his theories based on the explanation of the main Texts of the Bible. In doing so, he uses the existing terms again to make them certified theological expressions or creates his own theological terms. He is sometimes criticized for doing so. Firstly among Hoekema’s theories, in the area of eschatology, he advocates Amillennialism about the millenium. While Louis Berkhof did not explain Amillennialism as a matter of course, Hoekema attempted to establish the theory and completed it. Furthermore, in the area of human theory, he insisted Psychosomatic Unity and rejected trichotomy or dichotomy. According to him, terms like the body, soul or spirit are not inseparable abilities of human being but various ways of looking at the whole person. In the area of salvation theory, he especially used the term of the order of salvation. Most of all, he analyzed salvation in order. However, he had an opinion different from the reformist theologians on the point that salvation reaches glorification stage by stage. He insists that while the order of salvation is important, the order could also be definitive

      • 억제통제훈련이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의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섭식의 조절효과

        정서영 계명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wan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inhibition control training on high calorie food intake on women who are dieting after inducing food craving.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the impact would depend on the participants' levels of emotional eating and the level of external eating. All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crave food through the task of inducing food hunger, and the degree of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food hunge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ask. Subsequently, inhibition control training was conducted randomly assigned into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measuring chocolate intake through a mockery taste task, the difference in chocolate intake between the two groups was verified wit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In addition, the effect of moderating the participants' emotional eating and external eating levels was analyzed through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emotion before and after the task of inducing food craving, and negative emotion and food craving increased. Second, after inducing food craving, chocolate intake was less in the training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eating on the inhibition control training on chocolate intake after inducing food hunger was significant,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external eating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emotional eating caused by negative emotion, inhibition control training may be more effective at an automatic level.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음식 갈망 유도 이후 실시하는 억제통제훈련이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영향이 참가자들의 정서적 섭식 수준과 외부적 섭식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실험에서 음식 갈망 유도 과제를 실시하였고 해당 과제 전, 후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음식갈망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랜덤으로 훈련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여 억제통제훈련을 실시하였으며, 모의 맛 과제를 통해 초콜릿 섭취량을 측정한 후, 두 집단 간 초콜릿 섭취량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정서적 섭식과 외부적 섭식 수준의 조절 효과를 조절 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 갈망 유도 과제 전, 후로 긍정정서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은 증가하였다. 둘째, 음식 갈망 유도 후 초콜릿 섭취량은 억제통제훈련의 훈련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적었다. 셋째, 음식 갈망 유도 후 억제통제훈련이 초콜릿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정서적 섭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했지만 외부적 섭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정정서로 인해 야기되는 정서적 섭식의 경우, 자동적인 수준에서 음식을 억제하도록 하는 억제통제훈련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청소년을 위한 통합형 집단상담 프로그램 매개 효과 검증 연구

        정서영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내-외부 통제성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현실치료 집단 상담프로그램’과 현실 치료와 이야기 심리학 이론을 동시에 접목한 ‘통합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각 2개의 프로그램을 실제로 적용하여 그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1차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00 소재 00고등학교 남학생 총 30명이었으며, 연구자는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재구성절차는 총 11회기로 재구성하였으며 주 2회 회기당 100분씩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내-외부 통제성에서 유의미한 효과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역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1차 연구 결과를 토대로 00 소재 00고등학교 여학생들을대상으로 ‘이야기 심리학 이론’과 현실치료를 동시에 접목한 통합형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진행하여 매개 효과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총 2개의 프로그램, 남·여 학생 연구참여자의 경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개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 및 매개 효과 내용을 보다 확장시켰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자기효능감과 내-외부통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총2개의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효과 매개검증을 하였으며, 비슷한 또래, 각기 다른 지역에 살고 있는 남학생과 여학생 각기 다른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여 실험의 신뢰도를 높였다는 데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