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0년대 초반 중국 조선족 장편소설에 나타난 민족의식의 내면화

        이해영(Li Hai-ying)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7

        This paper focuses on the internalization of the national spirit in Tiger Cliff written by Li Genquan who was the representative Chinese Ethnic Korean writer of the first generation appeared in the 1950s. Compared with Jin Xuetie who appeared at the same time but was evaluated as the master of the Chinese Ethnic Koreans' literature, although Li Genquan was active in the creation and left a lot of works, he couldn't draw the attention of the Ethnic Korean academics. The main reason was that as an influential local leader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Li Genquan not only faithfully enforced the various politics and culture policy but also strove for incorporating the literary works with the mainstream of Chinese society, which were reflected from his works. The criticism and the indifference from the Ethnic Korean academics were the results of his consciousness of "Party Centralism" which was out of tune with the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this paper indicates that standing on the Chinese political reality and Yanbian's situation in the early 1960s, considering about Li Genquan's political experience and his novels which drew materials from the Ethnic Koreans' history, the one-sidedness of the above evaluation can be found. The major theme of the novel Tiger Cluff written by Li Genquan in the early 1960's was tha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Ethnic Koreans highly united to defeat the reactionary of Nationalist Party and finally got the thorough liberation, which definitely adhered to the "Party Centralism" and "Directivity of China", but the works at the same internalized Ethnic Koreans' history of their struggles even the history of Ethnic Koreans in China. In the early 60s, national problems were prohibited in political reality of Yanbian area. So Li Genquan's courage could only be explained by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his subject consciousness. Spreading out the national history under the leadership of Party and establishing the position in the big frame of country were probably called "internaliz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This kind internaliz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was the way of living which chose the Chinese Ethnic Koreans including Li Genquan, meanwhile chosen by them after National Independence. This paper discusses the way of "internaliz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with this kind of "internalization" embodied in the Li Genquan's novel Tiger Cliff. Li Genquan's novel Tiger Cliff published in the early 60s did not simply express the policy of Party and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but finally pointed to the establishment of Ethnic Koreans' national rights.

      • KCI등재

        이태준과 『위대한 새중국』

        이해영 ( Hai Ying Li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이태준의 『위대한 새중국』은 한국전쟁이라는 급박한 상황 중에 씌어졌으며, 기행문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것은 새중국의 참신한 변화와 함께 "항미원조"라는 구호아래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국의 "항미원조"에 대한 뜨거운 열기이다. 이태준은 "항미원조"를, 중국이 자국을 보위하기 위한 스스로의 혁명 즉 중국혁명의 귀결로 보았고, 중국혁명에 대한 조선인 혁명가들의 기여에 대한 보답으로 보았으며 소련을 정점으로 하는 인민민주전선 국가들의 공동 정의의 전쟁으로 보았다. 이는 이태준이 철저한 민족주의자의 입장에서, 조선의 주체성이란 입장에서 "항미원조" 중의 중조 간의 연합 문제와 중국의 지원을 바라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중국의 도움을 받아 전쟁을 치루고 있으나 조국의 주체성, 독자성은 지켜져야 한다는 그 도저한 고집의 근저에 이태준의 내면풍경이 놓여있으며 그것은 바로 약소국가의 한 지식인이 갖고 있던 민족적 자의식이었다. 이는 "항미원조"라는 성스러운 이름 아래 혈맹의 관계로 표상되고 있었으나 실제의 전쟁 중에서는 작전지휘권의 통합문제 등 북한의 주권과 직결되는 문제로 민족적 자존심에 큰 손상을 당하고 중국 지도부와 심각하게 갈등하고 있었던 북한 지도부의 인식의 한 단면에도 맞닿아 있는 것이었다. The Great New China`` of Taejoon Lee was written in the urgent situation of the Korean War and what runs through the whole travel essay is the refreshing changes in the new China and the great passion of China, one of the participants in the Korean War, about ``resisting the U.S. and assisting North Korea``. Taejoon Lee considered the idea of about ``resisting the U.S. and assisting North Korea`` as China`s own revolution to protect itself, that is, the result of the Chinese Revolution, a reward for Korean revolutionists` contribution to the Chinese Revolution, and the war for common justice of the countries on people`s democratic front centering on the Soviet Union. This shows that Lee was viewing the issue of China-Korea alliance and the support of China in regard to Korea`s independence from the view point of a thorough nationalist. Though Korea was at war with the aid of China, Lee`s fundamental belief was the persistent pursuit of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the country, which was the sense of national identity an intellectual of a weak country had. This is represented as blood alliance under the sacred banner, ``resisting the U.S. and assisting North Korea`` but is linked to the awareness of North Korean leaders whose national pride was greatly hurt and who were in serious conflict with Chinese leaders over issues directly related to the sovereignty of North Korea such as the unification of operational command authority during the actual war.

      • KCI우수등재

        僞滿洲國 조선계 작가 안수길과 ‘민족협화’

        이해영(Li, Hai-yi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본고는 당시 안수길이 위만주국 조선계의 대표적 작가로 인정받고 있었고 스스로도 본인의 위치를 그렇게 자리 매김 하려고 했던 점에 착안하여 그의 문학을 위만주국 조선계 문학 즉 위만주국의 ‘소수민족’ 문학의 위치에서 살펴보았다. 안수길의 만주시기 문학을 위만주국 ‘소수민족’ 문학의 위치에서 바라본다는 것은 바로 ‘민족협화’를 핵심 키워드로 그의 문학을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민족협화’와 그의 만주시기 문학이 지향했던 북향정신이 어떤 내적 연계를 맺고 있는지, 그가 어떻게 ‘민족협화’를 통해 그토록 끈질기게 탐구했던 민족공동체 생존의 내적 근거를 찾아냈는지를 구명하였다. 위만주국은 비록 ‘민족협화’를 건국이념으로 내세웠지만, 위만주국의 민족관계는 이와는 무관하게 여전히 모순과 갈등으로 충만되었으며 이러한 모순과 충돌, 갈등은 특히 토지의 소유권과 경작권을 둘러싼 위만주국 농촌사회에서 더욱 집중적으로 드러났다. 위만주국 농촌사회에서 일본의 개척이민정책에 의해 조선인 농민은 중국인 농민과 마찬가지로 피해자였지만 때로는 중국인 농민들에게 가해자가 되기도 하는 매우 애매하고 곤혹스러운 처지에 처해있었다. 이러한 민족관계에 대해 안수길은 당시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있었으며 때로는 매우 조심스럽게 행동하였다. 그러나 안수길의 만주시기 소설에는 이러한 위만주국 농촌사회의 토지를 둘러싼 복잡하고 미묘한 민족관계가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토지 수용령’에 의한 각 민족 간의 모순과 충돌도 드러나지 않는다. 안수길은 실제로 위만주국 사회에서 가장 미묘하고 복잡한 갈등 양상을 이루고 있는 토지를 둘러싼 농촌사회의 민족관계를 다루면서 그것을 현실과는 다른 자리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의 이상적인 화합의 장으로, 그리고 조선인과 일본인의 껄끄럽고 불편한 모순의 장으로 그려내었다. 안수길은 ‘민족협화’를 위만주국에서 조선인이 정착하고 생존을 도모할 수 있는 내적 논리 내지 길, 방법으로 보았으며 북향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길 혹은 방법으로 보았다. 안수길은 상호주의적 시각으로 만주의 원래의 주인인 만주인의 입장과 처지를 이해하고 또한 조선인들이 어쩔 수 없이 만주에 이주하여 살아가지 않으면 안되는 처지에 대해 그들의 이해를 구하고 서로 협력하면서 생존을 도모하고 만주에 정착하는 것이 만주에 이주한 조선인들의 생존의 길이라고 보았다. ‘만주국’이 붕괴되었을 때, ‘만주국’이 표방했던 복합민족국가의 파탄과 함께 ‘만주국’ 여러 민족 인민들이 겪었던 충돌과 수난은 안수길 식 ‘민족협화’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일제가 위만주국에서 일본 민족 우위를 포기하지 않는 한, 진정한 민족평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진정한 ‘민족협화’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의 만주 침략에 의한 ‘만주국’의 건국은 그 시작부터가 여러 민족 간의 반목과 불화의 시작이었기 때문이다. 안수길 식 ‘민족협화’는 ‘만주국’의 붕괴와 함께 파탄을 맞았고, 그의 북향정신 내지 이상은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Standing on the point that An Soo-gil was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writer and he also put himself on that position, this paper discussed hi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ry that could be seen to be the minority literature in Manchukuo. Putting An Soo-gil’s literature during Manchuria period on the level of the minority literature in Manchukuo means that this paper studied his literary works around the keyword “Ethnic Harmony”. Specifically speaking,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he “Ethnic Harmony” and the north hometown complex reflected in his literary works during Manchuria period and tried to find internal base of national community which was continuously expected to be built by the “Ethnic Harmony”. Although Manchukuo was built with “Ethnic Harmony”, the ethnic relations in Manchukuo was still full of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Thes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were more intensively revealed from rural community which surrounded the land-ownership and the cultivation right. Under the Japanese pioneer immigration policy, the Korean peasants could be the same victims with Chinese peasants, but sometimes could be the attacker to Chinese peasants, which was very confused. An Soo-gil was sensitively aware of this kind of ethnic relations and sometimes acted very carefully. However, his novels during Manchuria period did not show the complicated and subtle ethnic relations based on the land of rural area or all the national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ased on the land expropriation order. In fact, An Soo-gil saw the ethnic relations around the land in rural community as the most complicated and subtlest relations in Manchuria society but put it on a different position from reality, which depicted the ideal harmony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awkward contradic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 Soo-gil considered “Ethnic Harmony” as a rational way for Koreans to settle and live in Manchukuo and they way for them to realize the north hometown ideal. With the mutual vision, An Soo-gil tried not only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native Manchuria, but also helped these natives to understand the Koreans who had to immigrate to Manchuria to maintain their life. He considered the settlement under this king of mutual understanding and with mutual help to be the way for Korean immigrants to exist. When Manchukuo collapsed, its hardship of complex national state and the conflicts and sufferings of all the ethnics in Manchukuo really showed the limits of An Soo-gil’s “Ethnic Harmony”. Japanese empire didn’t give up their supreme position, the real ethnic equality and the real “Ethnic Harmony” could not be realized, which became the reasons. In addition, Manchukuo was built by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in Manchuria where the hostility and disharmony appeared at the very beginning. An Soo-gil’s “Ethnic Harmony” was frustrated with Manchukuo’s collapse, but it didn’t mean that his north hometown complex even his ideal was completely frustrated. Nowadays 2 million Chinese Korean who are living under the minority policy of the Communist Party in China has showed the realization of the north hometown ideal to people.

      • KCI등재

        논문 :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이해영 ( Hai Ying Li ),최수진 ( Su Jin Choi ),임명걸 ( Ming Jie Ren ),왕청청 ( Qian Qian Wang ),필신연 ( Xin Yan Bi ),정란 ( Lan Di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어 교육 Vol.17 No.3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social and cultural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ology major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for Koreanology majors. We had found th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must precede all other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in all classes, and so we questioned Koreanology professors and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on tha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we decided to se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aterials as follows. In the aspects of form, first, due to the materials will be for the Koreanology major students, we are to write them in Korean language. Second, according to analyzing the needs of students, they require the lecture and discussion be together, and so we present the subject for discussion or meditation in the closing parts of the materials. Third, we will put special corner and internet web site in the material for them to be practical sources. On the other hand, in the aspects of contents, under the educational goal of training integrated men of ability well-grounded in Korean language, society and culture, we t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clusively. Finally,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proportion of tradition and the present day, simultaneously re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Ocean University of China·University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Economics)

      • KCI등재

        김학철의 반제혁명 인식의 발전과 작가적 성장 : 초기 창작을 중심으로

        이해영 ( Li Hai-yi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이 글은 그동안 김학철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1945년 광복직후로부터 1953년 조선전쟁이 휴전되던 무렵까지의 초기 창작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초기 창작이 어떻게 『격정시대』가 이룩한 김학철 특유의 미학적 특징과 서사적 양식으로 연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에서는 그동안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김학철의 북한 시기의 작품인 중편소설 「범람」의 역사적 의미를 구명하였다. 일본 나가사끼 감옥에서 해방을 맞은 김학철의 서울 귀환은 작가 되기 즉 조선의용군 체험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소설을 문학지에 발표하는 것과, 조선의용군의 상이군인으로서 각종 정치단체의 집회에 초청되어 귀환보고를 하는 것 두 가지 형식이었다. 신념과 체험의 절대성과 구체성이 귀환보고에서는 선동적이고 즉흥적이었다면 소설로 표현될 때는 미처 외부세계와의 교섭을 통한 객관화와 주체화에 이르지 못하고 직접성을 띨 수밖에 없었다. 좌익에 대한 정치적 탄압을 피해 월북한 평양에서 김학철은 서울시기의 조선의용군 체험의 회상에서 점차 벗어나 새로운 소재 영역을 향해 나아가는데 그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남조선 빨치산 투쟁을 다룬 『범람』이다. 이 소설은 소재 영역에서 ‘10월인민항쟁’과 그로부터 시작된 남조선의 빨치산 투쟁을 다루고 있으며 서사내용 측면에서 남조선의 빨치산 투쟁이 김일성 ‘장군’을 위수로 하는 노동당 중앙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고 있는 것으로 그리고 있다. 정치적 망명의 최종적인 종착지로 선택된 연변은 김학철에게 이상과 현실이 합치된 운명적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며 그는 연변에 온지 1년 만에 “중국 공산당 영도 하의 연변 조선족 인민의 항일투쟁사”를 형상화한 장편소설 『해란강아 말하라』를 발표한다. 그것은 공적인 역사 쓰기를 통한 연변 역사에의 합류였다. 하지만 연변의 역사와 혁명사에 대한 이해가 전무했던 김학철에게 그것은 “남조선 빨치산 투쟁”과 마찬가지의 생소한 소재였다. 김학철은 엄청난 취재와 인터뷰, 자료조사를 통해 생소한 이야기를 자신의 체험과 비슷한 차원의 체화된 수준으로 각인시킬 수 있었으며 그 결과물이 바로 『해란강아 말하라』이다. 그러므로 정형화와 탈정형화의 동시적 체현으로 특징 지어지는 『해란강아 말하라』의 역동적인 서사적 특징은 연변 조선족 인민의 반제혁명투쟁에 대한 김학철 식의 형상화 방식 즉 체화된 이야기의 직접성과 작가 주체의 대상화가 결합된 독특한 방식이었다. 그리고 드디어 문혁이 끝났을 때, 김학철은 조선의용군체험을 전격적으로 형상화한 장편소설『격정시대』에서 개방된 서사구조, 탈정형화로 특징 지어지는 특유의 서사적 양식을 창출하기에 이르렀다. This thesis focused on Kim Hak-cheol’s early works between 1945(the year of Liberation) and 1953(the year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nd tried to find how to connect them with the special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ode of Kim Hak-cheol’s work Passion Era.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d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Floodone of Kim Hak-cheol’s novelle during North Korean period, which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Before Liberation Kim Hak-cheol was in prison of Nagasaki, Japan. He expressed his return to Seoul in two ways. One was to be a writer who published novels that literally depicted the experience of Korean Volunteer Army, the other was to be a disabled veteran of Korean Volunteer Army who was invited to give reports about ‘return’ at meetings of the various political groups. The absoluteness and concreteness of beliefs and experiences in ‘return’ reports were inflammatory and improvisational. Compared with this, it fails to achieve objectification and subje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but seems to be the directness of his novels. Kim Hak-cheol, who fled to Pyongyang to avoid political repression of the left party, Gradually came out of the recollection of the experience of Korean Volunteer Army and started to use new materials. The representative work is Flood. The work is about ‘People’s Uprising in October’ and South Korea’s Partisan Struggle after that. From this novel, we know that South Korea’s Partisan Struggle was under the direct leadership of the Labor Party Central Committee which was headed by General Kim Il-sung. Yanbian, which was chosen as the final destination of political asylum, was recognized by Kim Hak-cheol as a fateful space in which ideal and reality coincided. Only one year after he settled in, he published the Say, Hailan River, which depicted “Yanbian Korean people’s history of anti-Japanese struggl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official history wan connected with Yanbian history by his writing. However, the same as South Korea’s Partisan Struggle, Yanbian history and revolutionary history were new to him. So he collected many materials, did interviews and investigations to change these new things to be his experience and specific memories. Say, Hailan River was the result. In Say, Hailan River, standardization and de-standardization were reflected at the same time. Its dynamic narrative features is Kim Hak-cheol’s way of visualizing Koreans’ revolutionary struggle against imperialism in Yanbian. That is a special way to combine the directness of specific story with objectification of the writer himself. At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he created a special narrative method formed by open narrative structure and de-standardization in his novel Passion Era that was the visualization of the experience in Korean Volunteer Army. This means the emergence and formation of the writer himself like Kim Hak-cheol.

      • KCI등재

        안수길의 장편소설 『북향보』의 현실인식

        李海英(Li, Hai Yi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민족협화와 자치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안수길의 재만 시기의 최초의 장편소설이자 마지막 작품인 『북향보』의 현실인식을 살펴보았다. 1939년 말, 1940년 8월에 걸쳐 『만선일보』는 당시 재만 조선인들이 "만주국"의 "민족협화" 운동에 대해 대단히 부정적이고 회의적이며 어떠한 전망도 갖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북향보』가 보여주는 만인들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민족협화에서 조선인들의 적극적 위상 등은 양 민족 간 상호주의적 태도를 잘 보여준다. 안수길은 조선인이 "만주국"에서 살아남기 위해 협화해야 할 대상은 정작 같은 "제국 신민"으로서 만주의 침략자이자 지배자의 입장에 있는 일본인이 아니라 만주의 원주민과 한족을 포함한 만계인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만주국"의 "민족협화"에 대한 안수길의 이러한 인식은 그가 개인이 아닌 조선인 이민 집단 즉 민족 단위의 생존 문제를 탐구해왔다는 것 때문에 민족 단위의 삶의 방식 즉 조선인의 "자치" 문제와 연결된다. 안수길은 만주국에서 조선인 농민들의 국민 되기는 바로 그들의 건국에의 기여와 함께 농민도와 만주국이 장려하는 유축농업을 적극 발전시키는 것에 있다고 한다. 즉 안수길은 조선인 농민들이 만주국에서 국민적 권리와 발언권을 갖기 위해서는 농민도로 자신들을 특수화할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는 농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만 조선인 사회의 구성을 염두에 둔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안수길이 주장하는 북향건설의 길은 만주에 조선인의 자치를 실현하는 것 즉 이상적인 조선인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북향건설의 주체는 안수길과 같은 작가가 아니라 "만주국" 조선인의 대다수를 점하는 농민들이었다. 결국 해방과 함께, "만주국"의 붕괴와 함께 그토록 열렬하게 "만주국" 조선계 문학 건설을 주장하던 안수길을 포함한 전부의 재만 조선인 작가들은 한반도로 귀국하고 말았다. 이념적 차원에서의 작가들의 북향건설의 의지가 얼마나 허약한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에 비해 광복 후, 만주에 잔류한 조선인은 140만 가량인데, 이들의 대부분은 농민이었다. 생활에 기반한 농민들이야말로 북향건설의 실천 주체이며 그들이야말로 가장 확고한 실체임을 보여준다. 이것이야말로 북향건설의 이념적 대변인으로서 작가와 실천 주체로서의 농민이 분리되는 지점이며 안수길의 삶과 글쓰기의 괴리가 이루어진 지점이다.

      • KCI등재

        1960년대 초반 동북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민적 정체성의 재정립 ―리근전의 『범바위』 초판본을 중심으로―

        이해영 ( Li Hai-Yi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1 No.-

        리근전의 『범바위』는 광복이후 전개된 중국의 국공내전 일명 해방전쟁에서의 조선족의 공헌과 기여를 다룬 혁명서사로서 1958년부터 196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 조선족의 북한으로의 대량적 역이주로 인해 당시 조선족 사회가 처한 국민적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고 연변사회에서의 조한(朝漢) 두 민족 간의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나름의 문학적 대응이었으며 리근전은 이를 통해 위기에 직면한 조선족의 국민적 정체성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학적 대응의 하나는 조선반도에 대한 소거와 고향에 대한 재 정의를 통한 경계의 구축이다. 리근전은 소설에서 그 서사 전략으로 조선반도를 소거시키고 고향을 중국 내의 이주지로 재 정의함으로써 조선족의 이주민으로서의 성격을 지우고 국내의 소수민족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동북 조선족 사회와 혈연적 유대를 갖고 있는 조선반도 사이에 경계를 구축함으로써 국경을 견고히 하였다. 다른 하나는 조선족의 이념 선택의 과정을 통한 국민으로 통합되기이다. 소설에서 조선족의 이념적 선택의 문제는 국공 양당의 대 조선인 정책의 우열을 통한 민족의 길 찾기와 조선족의 계급적 기초 및 조한(朝漢) 두 민족의 공동의 반일투쟁의 역사에 의한 필연적인 성격의 범주로 그려지고 있다. 세 번째는 참군과 토지개혁을 통한 조선족의 국민적 자격의 획득이다. 이러한 문학적 대응에 중요한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반우파투쟁에 이어 민족정풍과 함께 연변전역을 휩쓸었던 1959년의 지방민족주의를 반대하는 운동 등 당시의 엄혹했던 정치적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용기 있는 '민족적 발화'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쩌면 리근전 개인의 용기라기보다는 중국공산당의 요청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중국공산당과 리근전이 소속되어있던 조선족 간부층의 모종 교감에 의한 것일 수도 있었을 것이다. Lee Geunjeon’s Tiger Cliff, a revolutionary narrative that deals with Korean Chinese’ contributions towards the Liberation War, is the literary correspondence of necessity of overcoming the national identity crisis in Korean Chinese society during 1958 and the early 1960s due to their massive reverse migration to North Korea and repairing the relation between Han Chinese and Korean Chinese, and also the way Lee Geunjeon tried to rebuild Korean Chinese’ national identity. This kind of literary correspondence can be observed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first on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boundary through eras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definition of hometown. In his novel, Lee Geunjeon used a narrative strategy that erased the Korean peninsula to erase the character of the Korean Chinese as migrants and redefine his hometown as immigrant areas in China to define Korean Chinese as a minority group in China so as to strengthen the bord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oundary between Korean Chinese society in Northeast China and Korean peninsula related with it by blood. The second one is to consider Korean Chinese to be national citizens through the process of their ideological choice. In the novel, Korean Chinese’ ideological choice is depicted as an inevitable result of finding the way for their nation by comparing the policies of National Party and the Communist Party towards Korean Chinese and also an inevitable thing related with Korean Chinese’ class basis and the common history of the Anti Japanese struggle of Han Chinese and Korean Chinese. The third one is to get national qualification by joining the army and carrying out land reform. The reason why this literary correspondence can be endowed with important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s that it is a ‘national speech’ under the harsh political situation that rectification movement and the anti-local nationalist movement of 1959 swept Yanbian area right after the anti-rightist campaign. This may have been at the request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rather than the individual courage of Lee Geunjeon, or it could have been a kind of sympathy betwee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Korean-Chinese cadres to which Lee Geunjeon belonged.

      • KCI우수등재

        만주국의 국가 성격과 안수길의 북향정신

        이해영(Li, Hai-ying)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0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uppet Manchukuo”, the surviving statement of the Koreans who were living in Manchuria had a great change. First of all, “Puppet Manchukuo” took “warlord tyranny, building a new country” as the theme, which satisfied the desire for stable life of various ethnic peoples who suffered from long-term tangled warfare in northeast area. Besides this, “Puppet Manchukuo” took the “Benevolent Paradise” and the “Coalition of Five Nationalities” as the faith of founding the state, which gave the illusion of autonomy to the Koreans in Manchuria. Koreans in Manchuria hoped to become the nationals of Puppet Manchukuo, to be equal with other ethnic peoples in the region of Puppet Manchukuo and to enjoy the autonomy. Also they wanted to shake off the bound of “Naisen Ittai(the Unity of Japan and Korea)” policy and clear off the “pro-Japanese” suspects by being a national of the Puppet Manchukuo. Ahn, SuGil’s “North Hometown Complex” also had deep and close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uppet Manchukuo”. Ahn, SuGil, as many Koreans who lived in Manchuria at that period of time, had never helped the Japanese imperialism but hoped to retain the entire living space of Koreans and maintain the community life. Seems to this end, he chose the “National Harmony” which raised by the Puppet Manchukuo. Ahn, SuGil leaned to the “National Harmony” and sometimes utilized its actions. Compared with other people in the same time, he seemed to be more realistic. Thus, it is better to say that he aimed at establishing the survival rights than to say that he was pro-Japanese. Ahn, SuGil advocated that Koreans in Manchuria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uppet Manchukuo. Meanwhile, he supported the national rights of the Koreans in Manchuria, accepted the agricultural policy of the Puppet Manchukuo positively and tried to fulfill the Korean farmers’ concept in Manchuria, which mainly meant to establish the particularity of the Korean farmers in Manchuria. For this reason, Ahn, SuGil tried to establish his social status by realizing the farmers’ concept and by the contributions and efforts of the Koreans in Manchuria. In addition, he advocated fulfilling the farmers’ concept, because he considered this to be the way of surviving for Korean farmers as the legitimate nationals of the Puppet Muchukuo. This is the true essence of Ahn, SuGil’s “North Hometown Complex”.

      • KCI등재

        안수길의 해방전후 "만주" 서사에 나타난 민족 인식 -타민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해영 ( Hai Ying Li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안수길의 해방전후 “만주” 서사에서 민족주의의 주요한 표상의 하나인 민족 인식에 대해 타민족과의 관계 즉 중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안수길의 만주국 시기 소설에 나타난 민족관계는 대체로 “민족협화”에 기초하고 있는데, 청국인에 대해서는 우호적 시각과 함께 연대의 사상을 강조한 반면 일본인에 대해서는 그다지 조화롭지 못하고 껄끄러우며 분명한 거리 두기를 하고 있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의 진정한 주인을 만인즉 인구의 대다수를 점하는 한족과 만족으로 보았기 때문이며 지배적 위치에 있는 일본인은 그저 남의 땅에 침입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인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남의 땅”에 이주해 살지만 일본인과 같은 지배자가 아니며 또 그렇게 되어서는 안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방 후, 안수길의 “만주” 서사의 대표적 작품인.북간도.는 이와는 매우 다른 민족관계를 보여주었다..북간도.는 “간도는 우리 땅”이라는 고토 회복론에서 출발하여 청국인과의 원론적인 대결과 항일독립투쟁을 전면에 부각시킨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 이민을 “우리 땅”에 농사 지으러 간 당당한 역사와 항일독립운동사 중심으로 서사화함으로써 만주 출신 전재민의 민족적 주체성을 세우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립군이었던 정수가 스스로 일본 경찰에 자수하는 것과 독립군이었던 아들 정수를 자수하도록 권고하는 창윤의 변화는 일본의 간도 침략 정책에 서서히 침윤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며 이는 안수길의 만주 체험의 원형이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북간도.에 나타난 청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는 만주국 시기 소설에서 보여주었던 청국인과의 연대와 일본인과의 거리 두기와는 매우 다르다. 이는 만주국 시기에는 일본의 검열법 통과와 함께 친일에 대한부담을 안수길이 느끼지 않을 수 없었으나, 해방후의 남한에서는 만주 출신 전재민들의 친일 전적이 크게 문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만주체험의 원형이기도 했던 일본과의 타협이 은밀하게 작동했던 것이다. This thesis discussed about the national recognition in An Soo-gil`s novel, as an important symbol of nationalism, by observing the relations with other nationalities like Chinese and Japanese. The national relations in An Soo-gil`s novel during Manchu empire period were mostly based on the "Ethnic Harmony". The friendly attitude and close connection towards Chinese in Qing dynasty was emphasized while disharmonious and uncomfortable feeling and also distinct sense of dista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s emphasized on the opposite, which was the result of An Soo-gil`s view that Manchurians and the Han people who took the largest part of the population were the real master of Manchukuo, Japanese who took the dominant position were only the aggressors and Koreans as the immigrants who had to move and settle on the "other`s land" for survival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dominants and also could not become the same dominants. However, after the liberation, An Soo-gil`s Bukgando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his novels about "Manchukuo" showed a very different national relations to readers. From the view of the recovery of native land, Bukgando announced that Gando was our territory, tried to arouse the confrontation with Chinese for the fundamental reason and totally highlight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struggle. An Soo-gil tried to set up the national identity of refugees in Manchu by narrating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y that the Koreans immigrants had immigrated into Manchu to do farm work on "native land" as a resonable historical fact. However the event that Jungsu, a soldier of national independence army before, gave himself up to the Japanese police and the change of his father, Changyun, who had persuaded Jungsu to give himself up showed the fact that people were gradually effected by Gando invasion policy of Japan. Meanwhile, this also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An Soo-gil`s experience in Manchu. Like this,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presented in Bukgando are very different from his novels in Manchu empire period which showed the close connection with Chinese and the repulsion towards Japanese. This is because that with the Japanese censorship law in Manchu empire period, An Soo-gil must have felt the stress of pro-Japanese and tried carefully to get rid of the suspect but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pro- Japanese experience or behavior of the refugees from Manchu before might not arouse big problems. This may also be seen as the prototype of his experience in Manchu and the result of his convert compromise towards Japan.

      • KCI등재

        ‘문명’과 ‘야만’의 서사를 통한 재‘만’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

        왕원원(Wang, Yuan Yuan),이해영(Li, Hai Yi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7 No.-

        이 논문은 ‘문명’과 ‘야만’의 대립적 서사를 통해 재‘만’ 조선인 소설에서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본인과 같은 반열에 오르려는 환상을 품었으나 진정한 국민으로 취급받지 못한 조선인에게 ‘문명’은 우위, ‘야만’은 하위라는 민족적 위계 질서가 내포되어 있는 ‘문명론’은 신분적인 낙차를 없애는 차선책이 되었다. ‘문명론’에 의해 조선인은 본민족의 ‘문명’과 우월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야만’적인 ‘만주’를 발견하였고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은 ‘만주국’이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구현되었다. 이러한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은 재‘만’ 조선인 소설의 하나의 주제로 표출되었다. 한찬숙의 「초원」은 ‘문명’을 대표하는 조선인과 ‘야만’을 상징하는 몽골인 사이에 형성된 ‘문명’화 정도의 대비를, 또한 일본인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선인은 ‘만주’ 토착민 몽골인의 우위에 서고 일본인과 동등해지려는 욕망을 그대로 나타냈다. 김현숙의 「참회」는 ‘만주국’내 일본인은 우위, 조선인은 하위의 민족적 위계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야만’적인 조선인이 ‘문명’한 일본인에 의해 구원을 받고 문명인으로 신분 상승의 가능성을 획득하는 서사를 통해 위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조선인의 욕망을 우회적으로 표출하였다. 박영준의 「밀림의 여인」은 ‘야만’적인 적대세력 공산당을 교화하는 서사를 통해 조선인 전체를 ‘만주국’ 체제에 편입시킴으로써 조선인 신분 상승의 욕망을 반영하였다. 비록 소설에 따라 욕망의 구현 형태가 다르지만 이것은 ‘문명론’을 통해 조선인의 ‘문명’과 우위를 확보하고자 했던 재‘만’ 조선인의 식민주의적 무의식이 만들어낸 허상이었다. This paper examined how the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ns was fulfilled through the contrasting narratives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ous" in the Korean immigrant novels of Manchukuo. For Koreans who were eager to obtain equal status with the Japanese but had never been treated as Japanese nationals, the hierarchical "theory of civility," which holds that "the civilized" occupies the upper position and "the barbarous" is placed in the lower position, had become the alternative choice to eliminate their status differences. With the help of the "theory of civility," Koreans found that Manchukuo"s, a "barbaric" place, highlights their national civility and status superiority; this has become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Manchukuo novels. Han Chan-sook"s Grassland used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civility between the Koreans who represented civility and the Mongols who symbolized barbarism, as well as the absence of the Japanese, to manifest the desire of Koreans to stand above the Manchukuo original inhabitants-Mongols and to obtain a status comparable to the Japanese. Kim Hyeon-sook"s Confession told a story about "barbaric" Koreans who were saved by the "civilized" Japanese, which provided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status as civilized persons while maintaining the national hierarchy in Manchukuo, where the Japanese were superior and the Koreans were inferior. This story implicitly shows Koreans" desire to improve the hierarchy. Park Young-joon"s Woman in the Jungle embodied the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ns by incorporating all Koreans into the "Manchukuo" system through a narrative that edified the "barbaric" hostile forces-the Communist Party. The desires depicted in these novels, albeit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were illusions created by the colonial unconsciousness that internalized the "theory of civility" to confirm the civility and superiority of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