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주의에 관한 예술표현 연구 : 이사도라 던컨 춤 중심으로

        이미연 우석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자연주의에 관한 예술표현 연구 -이사도라 던컨 춤 중심으로- 이미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무용이란 신체를 수단으로 안무자,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다. 무용의 여러 장르 중 특히 현대무용은 클래식 발레의 인위적인 모습을 탈피하고 인간의 내부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입시위주의 경쟁 속에서 이런 전달은 무용수의 테크닉적 기량에 의해 한정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무용은 예술의 큰 뿌리를 두고 있다. 그 예술에는 보여 지는 테크닉이라는 아름다움도 포함되지만, 그 보다 더 깊은 무언가에 대한 메시지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중요한 의미를 간과하고, 단지 보여 지는 부분의 중요성만 부여한다면 무용의 예술적 가치는 상실되어 버릴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무용의 창시자인 이사도라 던컨의 자연주의 춤 사상을 통한 무용의 진정한 예술성을 고찰했으며, 또한 타 예술의 자연주의를 통한 예술적 표현을 분석했다. 이러한 이론의 체계화는 무용예술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목표라 생각하며, 또 예술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한다. 이 이론의 중요성과 현대무용의 이념을 이사도라 던컨의 춤 사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교육과 학습을 통해 무용교육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Abstract> A Study on Artistic Expression of Naturalism -Focus on Isadora Duncan dancing- Lee Mi-Youn Major in Dance Dep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ang, soon hee Dance is a mean of delivery of what a choreographer or a dancer wants to say using the body. Modern Dance among various genres of dance started to escape from artificial aspects of Classic Dance and express internal feeling of human beings naturally. In Korea, the spirit of Modern Dance is limited by technical capabilities of a dance due to severe competition caused by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Dance is a major part of art. Dance delivers a deep inside message for a certain thing, as well as containing technical beauty presented by performance. Artistic value of dance can be disappeared if only visual part is emphasized without considering importance of such invisible value.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authentic artistic value of dance by considering naturalism of dance philosophy of Isadora Duncan, who was a creator of Modern Dance and analyzes artistic expression of other arts in the naturalism point of view. It is considered that systemization of such theory is a goal sought by dance art education and a way to develop arts. This study presents importance of the theory and philosophy of Modern Dance through dance philosophy of Isadora Duncan. It is believed that dance education can be promoted by teaching and learning such philosophy.

      • 중국어 수준별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

        이미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중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점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외국어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국어의 특징을 고려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의 수준별 평가유형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을 쓰려는 목적을 밝히고, 현재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본고가 연구해야 할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외국어 평가에 대한 이론들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이론은 어떤 것인지를 밝히며 본 논문의 평가유형의 기준을 세웠다. 또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인󰡐대외한어󰡑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살펴보며 논문의 전개를 위한 중국어 수준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고, 평가문항의 개발 및 분석에 앞서 기능별 평가 영역별 세부적인 분류기준을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는 분리식 평가방식과 통합식 평가방식을 통해 평가문항을 작성하였으며, 각 평가방식 모두 초급과 중급의 실력과, 언어기능별인 말하기․듣기․읽기․쓰기로 세분화 하여 개발 및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분리식 평가방식을 통해 분류를 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통합식 평가방식을 통해 분류를 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의 평가문항의 개발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리식 평가는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는 맞춤형 평가를 하는데 적합하며, 통합식 평가는 한 문항으로서 두 가지의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있다. 하지만 분리식 평가는 한 가지 영역의 평가를 위해 다른 평가영역이 문제제시 과정에서 배제되어야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항이 단조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통합식 평가방법은 분리식 평가보다 문항에 비해 복잡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문항을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어 학습에서 평가의 중요성을 이해케 하고, 교수자가 학습자의 학습 목적에 부합하는 알맞은 평가방법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아울러 평가문항의 작성 시에 분리식 평가방법과 통합식 평가방법의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이해케 하고 보완하여, 효율적인 평가문항 작성에 도움이 되기 위한 분석과 방안을 제시하여, 더욱 발전적인 중국어 교육의 일면을 보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영화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미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영화는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수단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장점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최대한 이용하여 영어 학습을 증진시켜 보려는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한 시기이다.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은 영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과 방향을 제공해주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화의 활용은 우선 흥미 및 동기 유발성으로 인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아주 좋은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초등 영어 교육 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좀 더 다양하여 효과적인 영화 활용 학습 방법을 연구하여 수업에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도한다면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학습 동기를 더욱 고취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동기 유발을 강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법과 다양한 학습 자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많은 교사들과 영어 학습자들은 수업용 학습 교재로서 영화의 가치와 이점에 대해서 공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이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연구와 견해를 통해 문헌을 연구하고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영어 수업만을 실시하고 따로 영어를 지도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기존의 영어 수업 외에 듣고 보는 활동을 중심으로 영화를 활용한 수업을 한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그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제2장에서는 영화를 활용한 수업을 한 학습자들이 영어에 대해 더 흥미를 느끼고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키는지에 대한 실험을 한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이론들을 배경으로 한 실험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실험은 전라북도 전주시 S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기존의 영어 수업과 영화 'Monster House'를 활용한 수업을 병행하여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영어 수업 만을 실시하여 수업 후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동기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업은 주2회 40분씩 8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영화 활용 영어 학습에 대한 사전 경험 조사를 위한 설문 조사와 수업 전의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학습 흥미도와 동기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 후에는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 동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설문 조사와 비슷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화를 활용한 수업을 한 반과 기존의 영어 수업 방법만으로 수업을 한 반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 동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One of the goals of teaching English is to help the student have interests in English and communicate with foreign people in this global age. There has been a lot of emphasis on the use authentic materials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s. Therefore, it has been always a challenge to provide current, meaningful, and relevant content for students in a EFL class. To this end, movies are popular and have universal appeal across cultures, providing current language usage. They present visual context in which the dialogue takes place, action accompanies speech, and show gestures, facial expression, and other body language appropriate to the dialogue. Movies, an excellent kind of authentic materials, gives students exposure to everyday conversational English not normally taught i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fusing entertainment into the learning process, movies provide a variety of meaningful learning context. So watching movies is a great way to learn a language. This allows students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ability in English while also increasing their English vocabulary and learning new expressions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vies lesson and increase of interest and motivation of the fifth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in Jeonju. The 66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ook two classes a week for two months.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hether the class included movie lesson in their English classes or not. The movie I used here in a English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onster House, an American 2006 computer animated horror film.. Monster House is about three kids, DJ, Chowder, and Jenny, who discover that the house across the street from DJ's is alive and eats the kids who'll be trick-or-treating that Halloween night and anything that goes on its property. They try to convince the babysitter, the police, and some weirdo named Skull. They try to unravel the mystery of the house and they have to go insid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cedure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pre-viewing, viewing, post-viewing, and each section consists of some useful activities to stimulate the learners' motivation and interest in English. Questionnaire surveys were carried out to know the degree of the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after English lesson through movi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given the lesson with the English movie showed more interest in English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lessons. Second, the students showed more motivation toward English learning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lessons. Third, the horror movie such as Monster House appeared to help the children retain the English expression for a longer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authentic materials is very helpful so th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language ability and gain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English.

      • 연주기법을 중심으로 한 쇼팽 발라드 분석 :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

        이미연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쇼팽은 피아노 음악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작곡가이다. 이 연구는 쇼팽의 작품 중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을 통해 곡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쇼팽의 연주기법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 연주법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이 곡을 연주하고 공부하는 연주자들의 해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낭만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고, 쇼팽 피아노 음악의 특징 중 쇼팽 시대의 피아노, 쇼팽의 피아노 작품들, 그리고 연주법적 특징들을 운지법, 페달링, 프레이징, 장식음, 템포 루바토 등 5가지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연구한 쇼팽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의 곡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들과 연주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쇼팽은 각 손가락의 개성과 특성을 살려 용이한 운지법을 만들었고, 연주를 할 때에는 손목만을 사용하지 말고 유연함을 위해서 어깨부터 손가락 끝까지의 완벽한 움직임을 사용하여 연주한다. 둘째, 두 곡에 나타난 프레이징은 오른손과 왼손 둘 중 어느 한 손이 물음을 하면 다른 한 손은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의 프레이즈는 한 숨으로 짧게 나누어 연주하지 않도록 하고 말할 때 잠시 쉬어 가는 느낌처럼 한다. 셋째, 두 곡은 페달 사용의 표시가 자세히 나타나고 있는데 Damper 페달, Una Coda 페달 사용 등은 새로운 음향효과와 색채감, 셈여림 등을 극대화시킨다. 쇼팽의 페달링은 악보상의 흐름을 깨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주하며 연주자의 감정을 배제하고 악보를 객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곡에 나타난 템포 루바토의 특징은 일정한 박자 안에서 음악적 흐름에 따라 신중하고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장식음의 사용으로 인해 곡의 화려함과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주고 있다. 두 곡에서 쇼팽은 주 멜로디를 변화시키기 위해 장식음을 자주 사용하는데, 시작하는 첫 장식음을 첫 박과 동시에 연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리듬에 있어서 붓점 리듬, 쉼표와 당김음, 액센트, 옥타브 유니즌 등을 사용하여 곡에 생동감과 긴장감이 나타나며 액센트 연주시에는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의 곡에 나타난 특징들과 연주기법은 쇼팽의 독특한 음악 양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연주법적 분석을 통해 발라드를 좀 더 쉽게 접근하게 될 것이다. Chopin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19c Romantic period contributed to piano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how the Chopin’s performance techniques were expressed through analyzing the ballad Op.23 No.1 and Op.47 No.3 of his works and suggest the performance techniques, and then to help the performers playing and studying the piano works. This study researched the features of Romanticism, the piano of Chopin period, Chopin’s piano works, and the performance techniques among various Chopin piano music features are classified into five areas such as the Fingerings, Pedaling, Phrasing, Ornament, Tempo rubato. The music features and performance techniques exposed in Chopin’s ballad, Op.23 No.1 and Op.47 No.3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Chopin made the Fingering which is easy, featu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fingers and played works not by wrist but by flexible movement from the tips of fingers to shoulders. Second, the phrasing on both works is like one hand’s answering to the other hand whether right or left. One phrase should be played with the feeling like taking a rest for a while when speaking and not with brief divided breaths. Third, both works have marks for using pedals. The use of Damper pedal and Una coda pedal and so on maximize new sound effect, colors, and dynamic marks and so on. Chopin’s pedaling can be played within the range without disturbing the flow of music in many ways and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music notes objectively with performer’s emotions excluded. Fourth, the feature of rubato appeared in works should be realized carefully and balanced with the flow of music. Fifth, the splendid and lyrical beauty of his works is exposed by using ornament. In both works, Chopin often used ornaments in order to change the main melody and the first ornament should be played to the beat at the same time. Finally, as for rhythm, the live feeling and tension are expressed in his works by using dotted rhythm, rest, syncopation, accent, octave unison and so on and when playing accents it is better not to stress them too much. The features and performance techniques in the ballad, Op.23 No.1 and Op.47 No.3 reveal the Chopin’s unique music style and through analyzing these performance techniques, it will be possible to approach his ballad easily.

      • 교육연극을 활용한 <흥부전>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이미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판소리계 소설 교육이 판소리와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판소리가 지닌 문학성, 음악성, 연극성을 총체적으로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교육연극이며, 학습자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텍스트 내면화에 효과적인 방법이 교육연극이다. 즉, 학습 방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함으로써 판소리계 소설의 판소리와의 관련성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고, 학습 내용을 교육연극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의 작품에 대한 재해석이 가능해져 더 깊이 있는 내용 이해를 가져올 수 있다. 여러 판소리계 소설 중 <흥부전>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판소리계 소설을 교육할 때 가장 적합한 제재라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흥부전>을 형제간의 우애를 다룬 옛날이야기로 많이 들어 왔으며, 조선 후기 사회 모습과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이 녹아 있어 문학 교육이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인간 삶의 총체적인 이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흥부전>은 여러 이본이 존재하는데 그 가운데 김연수 창본이 사설 내용이 풍부하고 비극적 요소와 해학적 요소가 잘 어우러져 있어 <흥부전>을 대표하는 이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김연수 창본을 중학교 1학년에게 그대로 적용하면 학습자들이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를 쉽게 풀어쓴 <이 박을 타거들랑 밥 한 통만 나오너라>를 교재로 삼는다. <흥부전>의 학습 내용으로는 서사 구조, 인물 유형, 사회․문화적 배경, 해학적 표현으로 선정하였다. <이 박을 타거들랑 밥 한 통만 나오너라>는 12개의 소제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소제목을 중심으로 서사 구조 파악이 가능하다. 흥부와 놀부를 중심으로 등장인물의 선악과 신분에 대한 학습, 작품에 반영된 조선 후기 사회 모습과 판소리의 표현상 특징인 해학성을 학습한다.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교육연극을 활용한 <흥부전>의 교수․학습 모형으로 인지단계→준비 단계→공연 단계→정리 단계의 4단계를 설정한다. 인지 단계는 간단한 몸동작을 이용한 연극놀이를 통해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학습 목표를 인식한다. 준비 단계는 각 차시별 학습 목표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연극 공연을 준비하며, 공연 단계에서는 모둠별 토의를 통해 합의된 연극을 실연한다. 정리 단계는 본시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각 차시별 <흥부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교육연극 기법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한다. <흥부전>의 서사 구조 파악에는 판소리의 구성 요소 중 너름새(발림)와 관련성이 큰 해설이 있는 마임극을 활용하며, 인물 학습을 위해 인터뷰극을 활용한다. 인터뷰극은 판소리의 구성 요소 중 아니리와 관련성이 높은 교육연극 기법이다. <흥부전>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배경 학습을 위해서는 노래극을 활용하는데 다양한 사회 모습을 노래 형식을 빌려 표현함으로써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노래극은 판소리의 구성 요소 중 창과 관련된 교육연극 기법이다. 해학성은 현대적으로 각색하기 활동을 한다. <흥부전>에 반영된 해학성을 바탕으로 이를 현대적으로 각색하여 희곡으로 표현하는 활동이다. 이처럼 다양한 교육연극 기법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은 작품에 대한 재해석과 창작 활동을 동시에 하게 된다. 교육연극 기법은 문학 교육에서 추구하는 문학적 상상력과 창작력의 신장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인 것이다. 특히 판소리계 소설 학습에 교육연극을 적용함으로써 판소리와의 관련성을 유지한 채 판소리계 소설을 교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영화의상에 나타난 미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 영화‘왕의남자’와 영화‘음란서생’을 중심으로

        이미연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Movie costume are important means that express and pass person's personality and psychology, atmosphere of drama indirectly, and are strong medium that can recognize lif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ose days. We will appreciate movies 'King And The Clown' and 'Eumranseosaeng' that reflect period life image well that can see through period piece, and analyze about aesthetic symbolism of movie costume that appeared in two works, and search expression method of dress and its ornament of costume in historical drama and meaning and costume expression method of movie costume. As a result, we could know that movie costume is acted as important element that help story progress and is expressed sensuously imposing designer's creation with historical investigation to heighten meaning and effect of movie. Costume seen in period piece in movies are reappearing beauty of Korean tradition that upper garment is short and skirt is broad, but it reinterprets and displays person's mind into modern style through practical use of bold color and various material development. Therefore, period piece should be harmonized properly modern sense based on historic analysis, specially designer's creation.

      • 매일형 숲 유치원 운영에서의 교사역할

        이미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매일 숲에서 활동하는 매일형 숲 유치원에서의 운영과정은 어떠하며 교사 역할과 그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매일형 숲 반을 운영하는 교사에게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매일형 숲 유치원의 일과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매일형 숲 유치원에서의 교사 역할은 어떠한가? 셋째, 매일형 숲 유치원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본 연구 참여자는 매일형 숲 유치원에서 매일 숲 활동을 하고 있는 숲반 교사 8명이다. 2017년 3월부터 7월까지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매일형 숲 반의 교육활동을 참여 관찰하였으며 교사 저널, 동영상 및 사진촬영, 기타 관련 문서 등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인 읽기를 통해 범주화하고 의미를 탐색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일형 숲 유치원의 일과 특성은 하루 일과가 숲에서 시작되어 숲과 교실에서 놀이가 연계되어 이루어질 뿐 만 아니라 이러한 일과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형 숲 유치원은 등원할 때부터 매일 숲이나 실외공간에서 하루를 시작하게 되며, 숲에서 놀이했던 자연물을 교실로 가져가 숲에서의 놀이가 교실까지 연계되어 활동이 이어졌다. 또한 매일의 숲 활동을 위해 날씨나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과운영이 숲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매일형 숲 유치원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새로운 도전과 모험을 위한 숲 활동 준비자, 친구가 되어주는 숲 놀이 안내자, 함께 놀이하고 학습하는 숲 놀이 공동학습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유아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숲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유아들이 새로운 도전과 모험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데 필요한 물품이나 도구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유아와 공감대를 형성하며 함께 놀이하는 숲 놀이 친구이자 숲 활동을 하며 궁금한 것을 함께 탐구하고 해결하는 숲 놀이 공동학습자 역할을 하였다. 셋째, 매일형 숲 유치원에서 교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유아의 흥미에 따른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누리과정과 접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매일 숲에서 활동하며 체력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느끼며, 숲 반의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숲 활동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매일형 숲 유치원은 숲에서 일과를 시작할 뿐 만 아니라 숲과 교실에서의 활동이 연계되는 등 일반 유치원과는 다른 일과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과 특성에 따라 매일형 숲 유치원 교사들은 교육과정 구성의 어려움과 체력적인 한계 등으로 어려움을 가지지만 유아들의 숲 놀이 안내자로서 공동학습자로서 역할을 통해 숲을 훌륭한 교육의 현장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변인 연구 : 유아 성별,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 및 기질을 중심으로

        이미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변인과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개인변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개인변인(성별,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 기질)과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성별,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 기질 중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3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개인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측정 도구로는 유아의 성별,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의 질문 3문항과 유아용 기질 및 성격 검사(JTCI 3-6) 도구에서 기질차원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한 주간 사용시간은 학습, 동영상, 게임용도의 사용시간과 전체 사용시간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동 인터넷 중독 관찰자 척도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스마트폰 과다사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의 개인변인과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7개 개인변인(성별,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 자극추구 기질, 위험회피 기질, 사회적민감성 기질, 인내력 기질) 중 스마트폰 사용시간(전체 사용시간과 학습, 동영상, 게임용도의 사용시간)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의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관련해서 남아가 여아에 비해 스마트폰 전체 사용시간과 게임용도의 사용시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은 스마트폰 전체 사용시간과 학습, 동영상, 게임용도의 사용시간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스마트폰 과다사용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유아의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이 낮을수록 스마트폰을 과다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능력이 능숙할수록 스마트폰 전체 사용시간과 학습, 동영상, 게임용도의 사용시간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기질은 스마트폰 전체 사용시간 및 학습, 동영상, 게임용도의 사용시간과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유아의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민감성 기질이 높을수록, 인내력 기질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전체 사용시간에서 유아의 7개 개인변인 중 스마트폰 사용능력과 성별 순으로 총 2개의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습과 동영상용도의 사용시간에서는 유아의 7개 개인변인 중 스마트폰 사용능력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게임용도의 사용시간에서는 유아의 7개 개인변인 중 스마트폰 사용능력, 성별, 인내력 기질 순으로 총 3개의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스마트폰 과다사용에서는 유아의 7개 개인변인 중 자극추구 기질, 스마트폰 사용능력, 인내력 기질 순으로 총 3개의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군 유아를 위한 방안 마련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