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람의 성산자극 호르몬 α-Subunit 유전자와 결합하는 Trans-Acting Factor의 확인 및 분석

        송석민,백상기,김균언 충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1999 생물공학연구지 Vol.7 No.-

        The 5' flanking region of the α-subunit gene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was tested for the binding with the nuclear extracts of the JAR choriocarcinoma cells. Gel mobility shift assay has demonstrated that two BstNI restriction fragments, 150 bp and 340 bp respectively, have binding activities with the nuclear extracts. The 150 bp fragment was chosen to examine in detail, since several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sites have already been reported within the 340 bp fragment. Band competition assay showed that the binding of 150 bp fragment is highly sequence-specific. The binding activity was further narrowed down to a 55 bp fragment, which was generated by Nsi1 digestion of the 150 bp fragment. DNasel footprinting assay revealed the binding sites on the nucleotide levels from -511 to -499. The binding sites were again confirmed by a oligonucleotide-directed mutagenesis of the 150 bp fragment followed by a gel mobility shift assay. Functional aspect of this binding was evaluated with the DNA-mediated gene transfer techniques. However, in several appoaches tried so far, no effect on the transcription efficiency was observed, implicating a structural role of the binding. In this line, it is worth to note that the binding activity of the 150 bp fragment was observed in every cell or tissue nuclear extracts tested so far.

      • KCI등재

        Analysis of the Tsyganenko Magnetic Field Model Accuracy during Geomagnetic Storm Times Using the GOES Data

        송석민,민경국 한국우주과학회 2022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39 No.4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spacecraft available in the Earth’s magnetosphere at any given time,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direct measurements of the fundamental quantities, such as the magnetic field and plasma density, with a spatial coverage necessary for studying, global magnetospheric phenomena. In such cases, empirical as well as physics-based models are proven to be extremely valuable. This requires not only having high fidelity and high accuracy models, but also knowing the weakness and strength of such models. In this study, we assess the accuracy of the widely used Tsyganenko magnetic field models, T96, T01, and T04, by comparing the calculated magnetic field with the ones measured in-situ by the GOES satellites during geomagnetically disturbed times. We first set the baseline accuracy of the models from a data-model comparison during the intervals of geomagnetically quiet times. During quiet times, we find that all three models exhibit a systematic error of about 10% in the magnetic field magnitude, while the error in the field vector direction is on average less than 1%. We then assess the model accuracy by a data-model comparison during twelve geomagnetic storm events. We find that the errors in both the magnitude and the direction are well maintained at the quiet-time level throughout the storm phase, except during the main phase of the storms in which the largest error can reach 15% on average, and exceed well over 70% in the worst case. Interestingly, the largest error occurs not at the Dst minimum but 2–3 hours before the minimum. Finally, the T96 model has consistently underperformed compared to the other models, likely due to the lack of computation for the effects of ring current. However, the T96 and T01 models are accurate enough for most of the time except for highly disturbed periods.

      • KCI등재

        왕십리역 주변 상업지역의 하수관거를 중심으로 악취발생 현황조사

        송석민,김기현,서웅교,이명재,이혁진,조우성,조효재,설경과,김수진 한국냄새환경학회 2015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4 No.2

        Odor problems in urban areas have become a common cause of public complaints. In order to gain a betterunderstanding of odor problems, we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ants originating from manholes(n=22) and stormwater catch basins (n=48) (SCBs) around Wangsimni station in Seoul. To this end, concentrationsof H2S and NH3 were measured after arbitrarily dividing the whole study area into five different districts. Ourmeasurements were made to allow comparisons between three different criteria: (1) manholes vs. SCBs, (2)temporal variation between morning vs. afternoon, and (3) water content in the sewer system. The averageconcentration of H2S in manholes and SCB were 2.39 ppm and 0.81 ppm, respectively. In contrast, their NH3counterparts were 1.86 ppm and 1.02 ppm,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touring method made to identify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dorants a relatively lowland site D was expected to work as a significantemission source in light of the transportation patterns of a sewer system. Moreover, higher concentrations ofodorants were prevalent in the afternoon (as the prime time for commercial activities) relative to before noon. Ifconcentration data are converted into odor intensity, H2S was the predominant component exerting controls onthe odor pollution in these underground environments.

      • Agrobacterium법을 이용한 고온건조스트레스 저항성 잔디의 개발

        인자,홍민지,박미영,선현진,김우남,신현숙,권용익,고석민,강홍규,이효연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4 No.07

        잔디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중요한 단자엽 식물중의 하나이며, 세계 4대 작물 중 하나인 옥수수 다음으로 큰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Lee. 1996). 잔디는 도로, 하천, 비행장의 토양 침식 방지에서부터 주택, 공원, 정원, 골프 장, 스포츠 경기장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어 매년 잔디조성 면적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 한 잔디는 주로 전통적인 육종방법에 의하여 신품종이 개발되어져 왔으나 현대의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 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신품종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작물의 생리장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전자(내염성, 내건성, 내한성, 녹기연장, 음지내성 등)를 이용한 biotic 및 abiotic 스트레스 저항성을 갖는 기능성 형질전환잔디 개발에 많 은 투자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스트레스에 관여하는 유전자 중 벼 유래의 OsWRKY11유전자를 크리핑 벤트그라스와 들잔디에 도입함으로써 고온 및 건조스트레스에 저항성이 있는 잔디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들잔디 와 크리핑 벤트그라스의 완숙종자로부터 배발생 callus를 유도 및 증식하여 OsWRKY11유전자가 도입된 Agrobacterium에 24시간 감염 하였다. 그 후 공동배양, shoot 유도 및 선발, root 유도 및 선발 과정을 거쳐 형질전환 식물체를 생산하였으며, 확보된 형질전환 식물체는 분자생물학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왕십리역 주변 상업지역의 하수관거를 중심으로 악취발생 현황조사

        송석민,서웅교,이명재,이혁진,조우성,조효재,설경화,김수진,김기현 한국냄새환경학회 2015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4 No.2

        Odor problems in urban areas have become a common cause of public complaints. In order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odor problems, we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ants originating from manholes (n=22) and stormwater catch basins (n=48) (SCBs) around Wangsimni station in Seoul. To this end, concentrations of H2S and NH3 were measured after arbitrarily dividing the whole study area into five different districts. Our measurements were made to allow comparisons between three different criteria: (1) manholes vs. SCBs, (2) temporal variation between morning vs. afternoon, and (3) water content in the sewer system.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2S in manholes and SCB were 2.39 ppm and 0.81 ppm, respectively. In contrast, their NH3 counterparts were 1.86 ppm and 1.02 ppm,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touring method made to identify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dorants a relatively lowland site D was expected to work as a significant emission source in light of the transportation patterns of a sewer system. Moreover, higher concentrations of odorants were prevalent in the afternoon (as the prime time for commercial activities) relative to before noon. If concentration data are converted into odor intensity, H2S was the predominant component exerting controls on the odor pollution in these underground environments.

      • 교배육종기술을 이용한 제초제 저항성 왜성 잔디(탐라그린) 개발

        인자,배태웅,정옥철,선현진,권용익,강홍규,고석민,이효연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4 No.07

        잔디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유전자원 중의 하나로 최근 급격한 수요 증가와 더불어 잔디와 관 련된 사업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 잔디는 전통적인 육종방법을 이용하여 개발되어 왔으며, 전통적 육종 기술로 개발할 수 없는 형질들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신품종 잔디를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 비자의 요구에 맞는 잔디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분자생물학적기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잔디에 전통적 교배육종 기술을 도입하여 잔디 육종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제초제저항성 들잔디(JGJ21)의 경우 포복경의 생장 및 증식이 빠르고, 토양활착 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초제저항성 기능이 있기 때문에 도 로의 법사면 및 경사지에 적합하다. 그러나 공원 및 정원 등의 조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키가 작고 밀도 가 높은 잔디형질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JG21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금잔디와 교배육종을 수 행함으로써 초고 및 초장이 짧고, 잔디 직립경의 생육밀도가 높은 계통을 선발하였으며, 그 중 가장 우수한 계통은 탐라그린3으로 명명하여 특허출원하였다(국내출원번호 10-2014-0025262). 탐라그린3은 공원 및 정원 등에 사용 하여 잔디 재배시 문제가 되고 있는 예초 및 잡초방제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농약의 과다사용으로 인 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경제작물이 될 것이다.

      • 노화지연 GM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의 제조

        박미영,선현진,인자,강홍규,고석민,권용익,이동희,이효연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4 No.07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는 난지형 잔디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자생하고 있다. 내한성이 강 해 국내에서는 전국 어디서나 잔디밭으로 쉽게 조성할 수 있으며, 더불어 내건성, 내서성도 강해 일반 정원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자연강우만으로도 생육이 가능하다. 또한 내답압성 뿐만 아니라 심근성이어서 묘소, 공원, 골프장, 경사면 녹화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잔디의 이용범위가 확대되면서 한계점이 있는 전통 육종법 대신 분자육종에 의한 신품종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분자육종법을 이용하여 신품종 잔디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배양이 쉬운 성숙종자 유래의 캘러스를 유도하고, 이 중 재분화 효율이 높은 캘러스 라인만 을 선발하여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형질전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몇가 지 요인들을 조사하여 노화지연 GM 들잔디를 제조하였다. 들잔디의 완숙종자에서 유도/증식하여 선발한 재분화 효율이 높은 배발생 캘러스를 노화지연의 표현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애기장대 유래의 AT-hook 유전자들 (ATPG3, ATPG4)을 도입한 Agrobacterium (OD600=0.1)에 24시간 동안 감염하고, 3일간 공동배양, 신초유도 및 선발, 뿌리유 도 및 선발 과정을 거쳐 증식하여 각각 약 20개체씩의 형질전환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확보한 ATPG3, ATPG4 유전 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식물은 순화/증식하여 분자생물학적 특성 분석, 표현형적 특성 분석, 기능분석 등을 수행하 고 있다.

      • KCI등재

        Expression Analysis of an APETALA1/FRUITFULL-like Gene in Phalaenopsis sp. ‘Hatsuyuki’ (Orchidaceae)

        인자,Tatsuya Fukuda,석민,Takuro Ito,Jun Yokoyama,Hiroyuki Ichikawa,Yoh Horikawa,Toshiaki Kameya,Akira Kanno,이효연 한국원예학회 2011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2 No.2

        Members of the APETALA1 (AP1)/FRUITFULL (FUL)-like gene family of MADS-box genes play important roles in controlling the development of floral organs.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floral development in orchid,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a Phalaenopsis AP1/FUL-like gene, PhalFUL. The results of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PhalFUL is in the monocots group of AP1/FUL-like gene. PhalFUL transcripts were detected in the flower buds, but not in vegetative organs. Moreover, in situ hybridization experiments revealed PhalFUL hybridization signals in all floral organ primordia at a very early stage of floral development, and continued expression in the column of whorls 3 and 4 until late developmental stages. These expression pattern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UL-like genes in Arabidopsis (FUL) and Antirrhinum (DEFH28), suggesting that the PhalFUL is similar in function to FUL and DEFH2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