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백영숙(Young Suk Paik),강병재(Byeong Jae K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서울과 경기 및 광주와 전남북 지역에서 어린이집 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은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과 결합되었을 때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더욱 잘 설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eacher - 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are 229 day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in Seoul, Kyung-ki province and Gwangju province, Jeolla north and south province. Analysis of data is conducted with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teaching efficacy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s of day care center teachers. Second,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teaching efficac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refore,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ar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teaching efficac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 KCI등재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른 유아의 행동 특성 분석

        강병재(Kang Byeong-Jae),백영숙(Paik You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과다 사용이 유아의 일상생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구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을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총 621명의 만5세 유아 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결과, 유아가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많을수록 연구에서 설정한 일상생활영역, 교육기관영역, 또래관계영역 그리고 병리현상영역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하는 유아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스 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일 평균 10분미만인 1집단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하는 유아의 비율보다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일일 평균 45분 전후인 2집단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하는 유아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보다는 일일평균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85분이상인 3집단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하는 유아의 비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만5세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많을수록 부정적인 행동을 하는 유아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대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심과 기준이 필요하며 나아가서는 스마트 기기 사용이 유아의 긍정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지도와 감독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negative effects of overuse of smart devices on the overall daily life of young children. The study was conducted on five-year-old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re time the smart device is used, the more young children have problem behaviors in daily life, educational institution, peer relationship and pathology. Specifically, the proportion of young children who have negative behaviors in the group 2 with the smart device usage time around 45 minutes per day i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young children who have negative behavior in the group 1 having less than 10 minutes of daily smart device use.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young children who had negative behaviors was higher in the group 3 with more than 85 minutes of daily average smart device use time than the group 2. Therefor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ve-year-old, the more time to use the smart device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children who have a neg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usage time of the smart device can be predicted to influence the negative behavior of the young children. Therefore, attention and standards are needed at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use of smart devices by children, and further guidance and supervision should be made so that the use of smart devices can affect the pos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화(Kim, Myung Fa),백영숙(Paik, Young 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S 유치원의 만 5세아 2학급의 원아 총 40명이었으며, 실험집단(20명), 비교집단(20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Salovey와 Mayer(1990) 체크리스를 수정하여 김경희(1998)가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림표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성애(200)가 개발한 그림표상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절차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을 다루는 책을 선정하여 활동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을 정서적 경험 활동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 활동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정서지능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그림 표상능력에서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 activity based on picture book reading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40 young children aged five years who were attended one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South Korea. Twenty two young children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three young children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interacted with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nd those who comparison group listened to picture books’ story. To measur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checklist was used, that was created by Salovey & Mayer(1990), and modified and adapted by Kim, Kyung-Hee(1998). To measure the picture representation ability, the picture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Chi, Sung-Ae(2001) was used.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Pearson’s co - relations and T- paired test using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enhance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enhanced young children"s Picture representation ability. In conclusion,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were meaningful process through shar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main character"s behavior and gathering various view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results imply that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worth using a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

        백영숙(Paik, Young Suk),오현숙(Oh, Hyu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수업역량을 매개로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유아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종속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 매개변인인 수업역량 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 그리고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도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확인한 결과 매개변인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종속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와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가 놀이에 대한 올바른 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갖추고 놀이지원을 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its effect when ‘teaching competencies’ as a medium.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play belief,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argeting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24.0. 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the dependent variable,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he mediating variable, teaching competencies.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competencies wa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so confirmed to hav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play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sub-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on pla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above process, as for the mediating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was confirmed to be partially mediating for all of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lay. Conclusion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that can support play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the right beliefs about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and at the same time, to seek a strategy for re-education or training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백영숙(Young-Suk Paik),오현숙(Hyun-Suck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343명을 대상으로 교수창의성, 교수효능감, 교수몰입에 관한 설문지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8.0을 이용하였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교수창의성, 교수효능감 간의 상관을 밝히기 위하여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이 교수효능감과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밝혀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구체적인 통계적 의도를 밝히기 위해서는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 및 교수효능감 간의 상관을 살펴 본 결과 교수몰입 중 자의식의 상실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수몰입은 교수효능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수창의성은 교수몰입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교수몰입과 결합하여 교수효능감을 높이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몰입이 일어나는 동안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in the mediating effects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were 343 day care center teachers who work in Gwangju provinc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teaching flow,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ing efficacy in day care center teachers. Second, teaching flow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with teaching efficacy in the mediating effects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refor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to explain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백영숙(Paik, Young-Suk),강병재(Kang, Byeong-J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아교사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지역에서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교수창의성 간에 정적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둘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수창의성은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교수창의성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에 교수창의성과 더하여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보다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에 교수창의성이 더해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더욱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수창의성은 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을 설명하는 의미 있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on 302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Seoul, Kyunggi, Kwagju, and Southern Jeolla provinces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guidance strategy for troubled behavior.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guidance strategy for troubled behavior,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guidance strategy for troubled behavior.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instructional creativity, combined with their empathetic ability, foun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mediating variable for guidance strategy for young children’s trouble behavior. Therefor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can b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guidance strategy for trouble behavior.

      • KCI등재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멘토링과 멘토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백영숙 ( Young Suk Paik ),김준자 ( Joon Ja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종사자들이 멘토링과 멘토 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이를 위해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멘토링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보육시설의 시설장, 원감, 주임교사, 일반교사 330명이고,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멘토링과 멘토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멘토링에 대한 인식으로는 어린이집 종사자들은 경력별로 멘토링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고, 직위, 시설유형, 경력에 관계없이 모두 참여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다. 멘토링 방법에 대한 요구로는 시설유형별로 편한 대화 형식의 멘토링을 요구하는 경향을 높게 보였다. 둘째, 멘토 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멘토 대상자는 시설유형별과 경력별로 같은 어린이집의 다른 학급연령을 담당하는 대상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멘토 교육은 직위별로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길 원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멘토링이 필요하며 멘토를 위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hows the recognition and the demands on the mentoring of the Child Care teachers. Subjects were 330 child car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hi Square using SPSS 15.0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ntoring question shows that the teachers highly recognize the need of the mentoring that require the mentoring relationship through the informal and continuous conversation. Second, the mentor education question shows that a senior teacher who is the same institution and the different age-class with good personality would be the feasible mentor, and the mentor has to be educated as its role. The mentor-education would be good with a seminar through discussion and run by the unit of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mentoring is required considerably and the mentor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child care teachers.

      • 6-교수학습방법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백영숙 ( Young Suk Paik ),오현숙 ( Hyun Suck O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in the mediating effects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were 343 day care center teachers who are working in Gwangju provinc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teaching flow,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ing efficacy in day care center teachers. Second, teaching flow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with teaching efficacy in the mediating effects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refor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s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과의 관계

        백영숙(Paik, Young-Suk),강병재(Kang, Byeong-J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6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직무만족과 교수 효능감이 교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경기, 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 지역 어린이집 교사 346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교수 효능감, 교수 창의성 설문지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직무만족 하위요인 중 직무자체 및 교수 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개인적 효능감은 교수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인에 영향력을 미치는 설명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직무만족 하위요인 중 동료관계, 원장과의 관계 및 교수 효능감 하위요인 중 개인적 효능감은 교수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인성적 요인에 영향력을 미치는 설명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수 창의성과 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수 효능감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직무만족도는 교수효능감과 결합하여 교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변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job satisfactions, teaching efficacy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were 346 child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Seoul, Kyung-ki province, Gwang-ju province, and Jeola north and south province and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by using multi regression with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job satisfaction, teaching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Second, Job satisfactions and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components of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Job satisfactions and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personal components of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These results imply that development of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needs supporting system for teacher in-service training in the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