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은선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업의 사회 책임 활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아직까지는 많은 연구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결론짓지 못하고 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는 연구 방법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업 평가 지수나 기업 간행물의 내용을 분석하거나, 또는 여론 조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들은 각 항목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증되지 않았을 뿐 더러, 여론 조사를 통한 연구는 조사 대상자의 감정이 개입되기 때문에 모든 기업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가 될 수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측정 기준 제공을 위하여 기업의 기부 활동과 종업원 복리후생비와 교육훈련비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 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 변수들은 개인의 감정이 들어가 있지 않은 객관적 데이터다. Smith(1994)는 소비자의 기업 명성 인식과 고용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R&D비용을 줄이고, 규제 정책과 같은 장애물을 극복하는데 자선 활동을 전략적으로 이용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Varadarajan & Menon(1988)은 이익극대화라는 경제적 측면과 사회복지 혹은 삶의 질 향상이라는 사회적 성과를 함께 다루는 차원에서 기업의 장기 이익의 극대화에 초점을 맞추는 투자 개념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긍정적 이론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해관계자론(Stake holder theory)이다(Johnson,1971). 사회의 요구를 외면할 경우 결국 사회 전체의 비용으로 되돌아오게 되어 기업의 비용 지출이 증대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 전체의 발전이 기업의 발전에도 유리하다는 논리이다(Carroll,1999). 또한 Freeman(1984)은 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관심이 주요 이해관계자 그룹과의 관계를 개선시키기 때문에 더 좋은 기업 성과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따라서 가설은 기업과 이해관계자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의 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부금,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를 독립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종속 변수로는 기업의 성과 변수로 매출액 총 이익률을 사용하였다. 또 기업의 종업원 수, 자기자본비율을 통제 변수로 처리한 후, 회귀 분석을 하였다. 이들 데이터들을 2009년 재무제표에서 공통적으로 모두 얻을 수 있는 기업은 319개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변수 모두 기업의 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매우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지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많이 한 기업일수록 더 좋은 성과를 얻는다는 것이다. 둘째, 이해관계자 집단과의 관계에서 고객과 사회, 종업원에 대한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성과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사회적 활동 중 가장 객관화 할 수 있는 측정도구인 기부금과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에 대한 분석의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 부여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eories of stakeholder. There exist a great number of studies that discuss ho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and yet, not many of them have come up with a clear conclusion about its actual effect. Differences in such contentions may have resulted from unstandardized research methods that measu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ost researchers have used either a method of survey or analyzed contents of corporate publications and the index of corporate ratings. These research methods have not been proven to be accurate in measur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specially verbal responses can never be absolutely objective due to the intervention of interviewee's emotion. In order to conduct a more precise research, I selected corporate donation, welfare and education expenditure as measurement variables. These variables are considered objective in explaining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ing no distinct correlation with emotion.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performance of Korean enterprises.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give practical lessons to corporate managers by suggesting a right direc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mith(1994) suggests that enterprises strategically use contribution activities to decrease the cost for R&D, to overcome regulation, to enhance employee productivity and to gain positive reputation among consumers. Stakeholder theory, the representative of all positive perspectives ,states that social responsibility is a beneficial strategy for corporate gains(Johnson,1971). The development of whole society will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enterprise (Carroll, 1999). Freeman(1984) suggests that a concern for social outcomes of enterprise results in better performance since it improves stake-holder's relationship.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came up with hypothesis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ositively (+) affects the corporate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is stated above, I collected data from 319 enterprises in 2009. I used donation, welfare, education expenditure as independent variables, performance data such as the gross profit on sale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number of labor, capital adequacy ratio as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used data from KisValue program that Korea Investors Service(KIS) provides and analysed data using STATA 10.0, statics program. Base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have confirmed my proposition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ffect positively corporate performance. Especially, I have a focus,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the society, customers and employees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paper have three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an enterprise with abundan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generally perform better. Second,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the society, customers, and employees have a great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Lastly, this research set ground work for the analysi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by introducing objective and general measurement. By using the donation, welfare, education expenditure as an independent variables, we have reached at more precise conclus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also achieved a deeper understanding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동아시아 청소년의 골밀도와 신체구성의 관계

        김은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동아시아(한국·일본·중국·대만)의 10~15세의 성장기 청소년(남자: 1,321, 여자: 1,269)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골밀도와 신체구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골밀도 검사는 정량적 초음파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골강도를 의미하는 초음파 투과속도(SOS)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가 간의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구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으며,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지방량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측정값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둘레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대만이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한편, 체지방률과 골밀도와의 관계에서는 남자의 경우 체지방률이 높으면 골밀도가 낮은 부적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여자의 경우에는 체지방률이 높아도 골밀도가 높게 나타나는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자의 경우에는 골밀도와 체지방율과의 관계에서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지만, 여자의 경우에는 골밀도와 체지방율과의 관계가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성장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연구와, 연령 증가에 따른 발육·발달과 성호르몬 등의 변화 등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for the teenagers aged 10 to 15 in East Asia(Korea, Japan, China, Taiwan). As part of this study, the body mineral density is inspected by measuring the speed of sounds(SOS) of bone strength using quantitative ultrasound method. There is an evide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each country, and the measures (height, weight, BMI(Body Mass Index), body fat(%), and fat mass) ascend as age groups are higher. Moreover, the body girth in Taiwa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As far as body fat(%) and body mineral density are concerned, men have negative correlation: high body fat corresponds to the low bone mineral density. However, women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high body fat corresponds to the high body mineral density. To sum up the abov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body fat supports former researches in case of men. On the other hand, this relationship is little different from the former researches in case of women. Therefore, we need not only ext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es for adolescents, but also continuous researches under the consideration of growth or development with aging, and changes in sex hormones.

      •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은선 백석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resources that are helpful in solving practical career problems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drama & theatre majors in credit bank system, and verifying it empirically. Research problems based on this purpose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analysis of the level difference of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rama & theatre majors group in credit bank system? Second, how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drama & theatre majors in credit bank system? Third, how is the mediated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drama & theatre majors in credit bank system? As for career barriers as a survey tool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job decision scale by Tak Jin-guk and Lee Gi-hak (2001) was used. As for major satisfaction, the measuring tool that Kim Gye-hyeon and Ha Hye-suk (2000) developed in research for factors of subject satisfaction. As for the measuring too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short form(CDMSE-SF) by Betz, Klein and Taylor(1997), that Lee Eun-jin (2002) adapted, was used. A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cale by Kim, Bong-hwan (1997) was used. As the method of direct survey through this procedur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notes were explained and distributed to 8 persons in charge of act majors in credit bank system.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8 to 24, 2017, and a total of 8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687 were collected. 625 effective samples were obtained except for the inadequate answers.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drama & theatre majors in credit bank system.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Lastly, the mediated effect was analyzed using bootstrapping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difference of research variables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of drama & theatre majors in credit bank system. Females had higher career barriers than males, while lower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uggesting females are in relatively poor situation in terms of career and majo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younger, the more satisfied with major. But when relatively older, it is interpreted to become impatient due to the disadvantag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As for the grader variable, the second graders are more anxious and worried than the first graders about the reality and situation of employment. The lower the credits,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s, while the higher the credit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re recognized and behaved respectively. It means that low credits might also be an element of career barriers. In addition, the level difference of research variables was ver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current major is matched with the desirous career major or not.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current major matched with desirous career major had low career barriers, while perceived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ighly. Second, it is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drama & theatre majors in credit banking system. It was investigated if the direct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is significant.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s, the lower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him/herself, the lower the major satisfaction as well as the self confidence to career and personal conviction. However,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s, the more actively engage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ddition, the care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ore positive effect it ha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Lastly, the mediated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showed also a double mediated effect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is because the major satisfaction can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direct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xerted a partial mediated effect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verified a perfect mediated effect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smoothly the realistic career problem of the drama & theatre majors in credit banking system, it was found out to be important to grasp more in-depth career barri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s implies tha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the drama major in credit banking system should be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systematic preparation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socioeconomic factors.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현실적인 진로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집단별 특성에 따라 연구변인의 수준 차이 분석은 어떠한가? 둘째,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 도구로 진로장벽은 탁진국, 이기학(2001)의 직업 결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전공만족도는 김계현, 하혜숙(2000)의 학과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사 도구는 Betz, Klein과 Taylor(1997)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CDMSE-SF)를 이은진(2002)이 번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은 김봉환(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8개의 학점은행제 연기전공 담당자에게 연구 취지와 유의사항을 설명하고 배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24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포, 687부의 설문지가 회수하였다. 이 중에서 불성실한 답변 등을 제외한 625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수집된 자료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집단 간의 수준 차이를 검증하고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최대우도법을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집단별 특성에 따라 연구변인의 수준 차이가 검증하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진로장벽은 높지만,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은 낮은 것을 의미하여 상대적으로 여성이 진로와 전공 만족에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린 나이일수록 전공에 만족하고 있지만, 나이가 들면 전공 특성상 불리하여 조급한 면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학년에 따른 변인으로는 1학년보다는 2학년이 취업 현실과 상황에 대한 불안과 걱정이 많아짐이 나타났다. 학점에 따라 진로장벽은 학점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은 학점이 높을수록 더 높게 인식 및 행동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낮은 학점 또한 진로장벽의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전공과 희망진로전공과의 전공일치 여부에 따라 연구변인들의 수준 차이가 검증하였다. 현재 전공과 희망진로전공이 일치하는 집단은 진로장벽이 낮지만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은 더 높게 인식 및 행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이다. 연구변인 간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유의한지 살펴보면,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낮아지고 진로준비행동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미치는 것을 나타냈다. 이는 자신이 지각하는 진로에 대한 장애요인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는 떨어지고 진로에 대한 자신감과 개인의 신념도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더욱 진로에 대한 사전준비를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하였다. 전공만족도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전공만족도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사이에서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전공만족도가 직접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현실적인 진로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욱 심층적인 진로장벽을 파악하고 진로준비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점은행제 연극전공자의 진로준비행동은 개인적인 요인과 사회 경제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더욱 포괄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준비가 기반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긍정심리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부모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은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y - based literatherapy program for mothers of youths on the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parenting efficacy. This program grafts positive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y onto the literatherapy program and is expected to show some active effect through using diverse literary media. The processe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chose 20 mothers who have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between YeongTongGu and PalDalGu in Suwon, GyeongGi province. A group of 10 mother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also consisted of 10. A standadized parenting stress test and a parenting efficacy test were used to mesure t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literatherap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ne. The program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rom March to April, 2012, each time taking 90 minutes and 12 sessions. A pre-test was taken before the program, and a post-test, during the final session, and a follow - up test, 4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es of variance.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reduce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as supported.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would improve the mothers of youths subjective parenting efficacy was supported. 3. The improved effect was also found to be maintained nearly at the some level even after the program finished. In conclusion,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has proven its effectiveness i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and improving the parenting efficacy on the part of the mothers of youths. In order for the literatherapy to become a more effective stategy of the therapy for various classes and many problems in the futur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ssue is urgently needed. key terms : positive psychology, literatherapy,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부모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긍정심리의 긍정요소와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네 단계를 접목하였으며 다양한 문학적 매체 활용을 통하여 적극적인 활동 효과를 기대하며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어머니들을 최종 20명 연구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이들을 긍정심리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 실시 집단, 비실시 집단에 각각 10명으로 무선 배정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된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2012년 3월부터 4월까지 주2~3회 90분간, 총 12회기로 실시 집단에 긍정심리 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비실시 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한 달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긍정심리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향상시켰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긍정심리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모효능감을 향상 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추후에도 효과가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양육스트레스와 관련한 프로그램으로 문학치료에 긍정심리를 시도하였으며, 실제로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부모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핵심용어 : 긍정심리학, 문학치료,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 청소년의 가족가치관과 기대자녀수에 관한 연구

        김은선 한국교통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청소년의 가족가치관과 기대자녀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가치관이 미래 출산력을 예측할 수 있는 기대자녀수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청소년의 가족가치관에 대해 결혼관, 자녀관, 가족관의 하위영역을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청소년의 가족가치관과 기대자녀수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 인문계 C 고등학교의 전학년 청소년을 전수조사하여, 694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족가치관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가족가치관과 기대자녀수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관 경향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관과 기대자녀수와의 관계는 결혼관이 긍정적 일수록 기대자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소년일수록 미래 기대자녀수도 높았다. 둘째, 자녀관 경향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이며, 종교가 있는 경우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관과 기대자녀수와의 관계는 긍정적인 자녀관을 갖고 있는 청소년일수록 기대자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의 경향에 있어서는, 주관적 경제 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소년이 자신의 경제수준에 대해 ‘매우 잘 산다’고 인식하고 있거나, ‘매우 못사는 편’이라고 인식하는 경우, 가족관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가족가치관의 하위영역 중 자녀관은 기대자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기대자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학년, 성별, 종교유무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학년이 높을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종교가 있으면 기대자녀수가 높게 나타났다. 가족가치관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단기간에 변화하기도 어렵다. 우리사회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적 혹은 경제적 문제로 인해 소자녀관 형성에 주력해 왔다. 따라서 새로운 친가족적인 가치관 형성을 위해서는 이제 긴 호흡을 가지고 사회구성원들이 노력해 나가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가정, 학교, 사회가 청소년의 학교 급별, 성별,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친가족적인 가치관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가야 할 것이다. 동시에 낮은 기대자녀수가 사회에 미칠 영향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설득력 있는 가족가치관과 이에 따른 기대자녀수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시각이미지 분석에 따른 한국의 국가이미지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김은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미지는 사실과 객관적인 정보로 파악되는 대상의 본체라기보다는 인간의 심상에 각인된 주관적인 지각의 하나이다. 그러나 주관적 지각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행동과 대상의 가치를 논정하는데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그 대상이 국가라는 존엄한 대상일지라도 국가의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경제적 규모와 크기, 제도와 같은 보편적 방법에서 벗어나 이미지나 상징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 의미와 관념이 어떠한 평가 기준보다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도 인간의 행동과 가치를 논정하는 영향력과의 관계성에 의한 것이다. 음성과 문자를 수단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심에서 심상이나 감각적 영상인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으로의 인식 전환은 사회적 환경과 국가를 이해하기 위한 근거와 정보의 형태를 변화시켰다. 본 논문은 신문매체가 대상 국가의 어떠한 사실이나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문자적 도구만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여 프레이밍 된 시각이미지를 국가이미지 연구의 새로운 변인으로 제시하였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신문에 보도된 시각이미지를 수집하여 실증적인 국가이미지의 실상을 파악하고 부각되는 한국의 이미지 속성과 평가 태도를 연구하여 국가이미지 형성에 있어 보도 시각이미지의 영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부적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문별 보도 시각이미지 분석 첫째, 국가이미지와 언론에 보도된 시각이미지 노출 빈도의 관계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국의 유에스에이 투데이, 일본의 요미우리신문,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자이퉁, 프랑스의 르피가로를 대상으로 70개의 한국관련 이미지를 수집하고 선정한 분석 요인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분석 결과 한국관련 시각이미지 수는 전체 기사 대비 4.6%, 보도 시각이미지 대비 11.1%로 여전히 신문매체의 보도 비중이 낮아 한국의 경제 규모와 국제 사회 영향력에 비해 상대적 공유 가치와 중요도가 낮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신문별 한국에 대한 관심 분야는 다르게 나타나며 대중지는 스포츠 분야에, 정론지는 경제 분야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스포츠 분야는 인물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경제 분야는 휴대폰과 자동차 등 제품에 대한 관심과 그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과 관련된 관심 대상은 노출 빈도가 높은 인물과 제품으로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한 관심보다는 대상에 대한 관심으로 이미지가 보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현재 시점의 이미지로 보도되고 있으나 실제 한국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보도 비율은 인용 이미지를 제외한 전체 8.5%로 국내에서 작성된 이미지 사용 빈도가 매우 낮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국내 정치나 사회 분야의 보도 비중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다섯째, 보도 태도에 있어서는 대중지 60.5%, 정론지 40.6%로 대중지가 한국과 관련하여 긍정적 이미지로 보도하고 기업 비리와 폭력 사태에 대한 이미지는 전체 부정적 이미지 중 41.6%를 차지하여 비리와 폭력은 여전히 한국의 부정적 이미지를 각인시켜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보도 시각이미지에 따른 평가 태도 변화 측정 첫째, 신문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5개의 국가이미지 측정 항목을 도출하여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관련 보도 시각이미지의 접촉 유무에 따른 평가 태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둘째, 분석 결과 분야별 항목에 차이는 있으나 보도 시각이미지가 대상을 평가함에 있어 기존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지적 이미지 요인에 있어서는 보도 시각이미지가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으나 관계적 이미지 요인은 태도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정서적 이미지 요인과 행동적 이미지 요인 또한 평가 대상에 따라 기존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 사회이미지에 있어서는 보도 시각이미지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치관련 시각이미지를 제공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인지적 이미지 요인을 제외한 항목에서 부정적 태도 변화가 나타나 보도 시각이미지는 직접적 관련도가 낮은 다른 분야 평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문화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적어 보도 시각이미지가 태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경제와 스포츠,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는 평가 태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그 또한 긍정적 태도 변화로 변모하여 경제와 스포츠, 인물에 대한 보도 시각이미지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의 국가이미지 평가 태도 분석 첫째, 한국의 정치이미지는 권위적이고 보수적으로 평가하여 고정적 개념인 인지적 이미지 요인을 상대적으로 높게 가지고 있다. 고정 관념에 의해 정형화되어 생성된 부정적 이미지는 추가적인 정보 노출에도 무시되거나 관심이 중지되어 기존 태도에 있어 이미지 수정과 변화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둘째, 경제이미지는 강하고 동적이며 진취적인 이미지로 평가하여 행동적 이미지 요인이 높게 나타나 경제 발전에 따른 빠른 움직임과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하는 의지에 있어서 긍정적 이미지를 평가하고 있었다. 셋째, 사회는 권위적이고 보수적이나 동적이고 강인한 이미지로 평가하고 있어 인지적 이미지와 행동적 이미지에 의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 보도 시각이미지에 의한 태도 변화의 영향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문화이미지는 국가별 공통된 이미지를 도출할 수 없었으며 시각이미지의 태도 변화 영향성도 타 분야에 비해 관련성이 낮아 보도 시각이미지가 문화이미지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스포츠이미지는 진취적이고 동적인 이미지로 평가하며 언론 노출이 높은 일본과 미국이 평가에 있어 적극적인 태도가 나타나고 있다. 꾸준한 언론매체의 노출은 긍정적 이미지로의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여섯째, <친근하다>라는 항목은 분야별 어디에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해 국가이미지 평가에 가장 큰 문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국가를 구성하는 요소별 관계뿐만 아니라 국가에 가지고 있는 친숙함과 익숙함에 대한 정도로 한국이라는 나라에 있어 심리적 거리감을 가지고 친숙하지 못한 나라로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박물관 전시공간의 시각적 연속성 표현방법에 의한 디자인 연구

        김은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age of cultural pluralism various functions and shape factors coexist, a museum is changing into the 'communicative' action space. Such a change of the museum makes visitors interpret things relativistically from the diverse viewpoints so it's possible to collect their needs and opinions through many routes. Changing into a communicative space with visitors, Changing into a communication-oriented space with visitors, the museum is requiring for a complex spac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beyond the single purpose of viewing. A design expression to respond to the complex space is also demanding a change. And expecially, a continuous flow by the visual comes to be a tendency for spatial expression. It's an expression to give a continuous change of perception or experience to the visual change caused by motion of visitors, and means continuity of the various scenes and experiences by motion. This study on sequence at the museums has significance in that it took notice of the visual experience caused individually by a stimulus to the space through a series of visitors' motions. Therefore, this study inspect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spatial expression by sequence as the expressive tendency of the museum in the age of cultural pluralism. And it was done giving more weight on the design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s as the design expression of visual sequence. For design research, Hangeul Museum was selected. And design was developed centered on composition of interior-exterior spaces. Through such a process, a design study came to a conclusion like followings below. A complex space is required to perform the various space programs beyond the single purpose of viewing in the changing society. And, as the corresponding spatial expression, an expressive method by visual sequence can maximize social needs of the museum. It means a space having a close correlation with a multi-functional programs. It reflects a close correlation of the social demand and space-functional program, and multi-functional programs refer to the multi-functional space. In other words, sequence is applicable to the entire space by the visual flow, ties elements of other function together, gives continuous consistency to the entire space, so can accept combined programs. Second, non-materialized expression of the transparent finishing materials is represented into interior-exterior spaces, so a shape of the space is broken up. It separates the space physically but integrates it visually so the interior is expanded into the exterior and vice versa.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to make the space lightweight, makes visitors recognize even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interior-exterior by perception through emphasizing transparency, so spatial expression areas are extended and various spaces are created. Third, continuously repetitive composition of interior-exterior space was represented as a flow by the change among volumes. Such a volume change of continuously repetitive composition can achieve the whole composition with a space. And, visitors perceive a space occurred based on the situation of exhibitions through the integrated perception rather than on the position of viewing. So, through this, they can experience and feel a continuous space and change of the visual sequenc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xpressive method of sequence through the museum design. It aims at helping visitors with understanding exhibition through spacial cognition by visual integrating of connection among spaces. And then, in planning design of the exhibition spaces, visual sequence functions as the important element. So, multilateral design research is required on the expression of the visual sequence in the exhibition space design. 다양한 기능과 형태요소가 공존하는 다원화(cultural pluralism) 시대의 박물관은 ‘상호 소통적인’ 행위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의 변화는 관람자들에게 다양한 관점으로 상대주의적 해석을 가능케 함으로써 여러 방법을 통해 관람자들의 요구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박물관이 관람객과의 소통을 지향하는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관람이라는 단일한 목적을 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적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복합적 공간에 대응하는 디자인표현 역시 변화를 요구 받고 있으며, 그 중 시각에 의한 연속적인 흐름이 공간표현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관람객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시각적 변화에 지각이나 경험의 연속적인 변화를 부여하는 표현으로서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장면과 경험의 지속을 의미한다. 박물관에서의 연속성에 관한 본 연구는 관람자들의 일련의 움직임을 통해 공간에 대한 자극으로 인하여 개인별로 발생하는 시각적 체험에 주목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원화 시대의 박물관 디자인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연속성에 의한 공간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시각적 연속성의 디자인표현으로서 박물관 전시공간 디자인 전개에 비중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디자인 연구 대상으로는 한글박물관을 선정하였으며, 내-외부 공간구성 중심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다변화하는 사회에서 박물관은 관람이라는 단일 목적을 넘어 다양한 공간 기능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적 공간으로 변모하며, 그에 대응하는 공간표현으로 시각적 연속성의 디자인표현 방법이 사회적 요구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곧 사회적 요구와 공간 기능 프로그램과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반영하며, 여러 기능의 프로그램은 다기능(多技能)을 갖는 공간을 말한다. 시각적 연속성의 디자인표현은 시각의 흐름으로 전체 공간에 적용되어 다른 기능의 요소를 하나로 묶어주며 공간 전체에 연속적 일관성을 부여하게 되어 복합적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다. 둘째, 투명한 마감재의 비 물질화 표현들이 내-외부 공간으로 표현되면서 공간의 행태는 해체된다. 이는 물리적으로 공간을 분리하지만 시각적으로는 통합되어 보이게 하여 내부는 외부로 외부는 내부로 확장된다. 또한 공간을 경량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투명성이 강조되어 관람객의 지각에 의해 내-외부의 환경요소까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공간의 표현 영역이 확장되어 다양한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셋째, 공간 속의 내-외부의 연속적인 반복 구성은 볼륨간의 변화를 통해 하나의 흐름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연속적인 반복구성의 볼륨변화는 하나의 공간으로 전체적인 구성을 이룰 수 있으며, 통합적인 지각으로 관람객은 관찰 위치에 따른 것이 아닌 전시물의 상황에 근거해서 나타나는 공간을 지각한다. 이를 통해 연속공간을 체험하고 느낄 수 있으며 시각적 시퀀스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전시공간 디자인을 통해 시각적 연속성의 표현을 구현해 보았다. 공간간의 연계성을 시각적으로 통합하여 관람객에게 박물관의 공간인지가 전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전시공간 디자인 계획에 있어 시각적 연속성에 대한 계획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전시공간 디자인의 시각적 연속성 표현에 관한 다각적인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 문제행동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한 과제중심모델의 적용 사례연구

        김은선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he case study that applies the task-centered model to high risk yo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whether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s increased by effort that reduce the risk and by apply the task-centered model to high risk youth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which is qualitative research and study for reducing high risk youth.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3 female students, in 2 middle school, whom teacher of K middle school in Seoul requests. They had misbehavior such like violence, smoking, leaving home, despoilment in their school. The case study period of study is form April 14, 2003 to May 29, 2003. We assign 50 minute to each person for a session and it is total 10 sessions which are composed of session 1 with the pre-test and pre-research and session 9. Also, the pro-test is held on May 29. We used the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which is re-composed by Song Won Young(1998) as self-report form with total 21 sections and Sentence completion test(SCT) which is used by Cho Hae Yeon(002) and which is for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the scale of self-efficacy of student as measurement tools. Analyzing method used the pre and pro-analyzing to know changed tendency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nd case analyze to record and report the case which is applied task-centered method to misbehavior of youth.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1) K's case K's concrete task are set up as ① I recite 5 English word a day ② I study 4 pages of English text book a day ③ I stop the smoking ④ I clench my fist and put my hand in my pocket when I want to bit my nail. K got the good result for task ① and ②. This result is relate with K's confidence and is important chance to change her attitude. In case of task ③, even though the result didn't show statistical meaning change, K's smoking is reduced a third after applying the task-centered method. Task ④ is well accomplished. According to result of task ④, we estimated that K had a recognition and effort to stop bit the nail about the problem which is recognized. K's efforts brought her to improved definite result about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fter applies the task-centered method to her. (2) J's case J's concrete task are set up as ① I will return to home until 10 o'clock at least ② I will study 5 pages of English text book a day ③ I will smoke a cigarette per a couple of day and will stop the smoking. In case of ① and ②, it wasn't well done. There are two reasons. First, the researcher didn't exactly estimate J's basic studying capacity. Second, K's stress situation is an obstacle to K's positive change for carry out the task-centered method. Task ③ is well carried out. According to pre and pro-test, there is no change about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s reduced. We can estimate the reason that is experience of discouragement and loss of will to do task-centered method by circumstantial factor and is lack of recognition and insight about her problem in the first stage and she was difficult to reveal herself before making a relationship with researcher in pre-testing. (3) Y's case Y's concrete task are set up as ① I will return to home until 10 o'clock at least ② I will study 6 pages of mathematic text book a day ③ I will smoke a cigarette per a couple of day and will stop the smoking. Task ① wasn't carried out. For task ② case, even though statistical change is little, there is certainly positive in task check table and task ③ is well carried out. Even though Y's result is generally bad, the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This result show that the meaning of red change is different from meaning of statistical change. Actually, Y is conscious of positive change about the estimation of result of task-centered method and is very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ask-centered.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ask-centered model for high risk youth is demonstrated to have a numerical and practical effect through analysing the result, even though the task-centered result of student didn't get a high value.

      • 중학생의 역사교과서 사고도구어 이해와 역사해석

        김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교과서에 쓰이는 용어는 학술적으로 기초어휘, 사고도구어, 전문용어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관점이나 역사해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용어는 사고도구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역사교과서 사고도구어 이해와 그에 따른 역사해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역사교과서의 사고도구어를 8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사고도구어의 유형은 ① 역사적 사건명의 사고도구어, ② 역사적 사실을 평가하는 사고도구어, ③ 갈등 관계에 있는 세력들을 선악으로 대비하는 사고도구어, ④ 상이한 세력(문화) 간의 접촉 양상을 보여주는 사고도구어, ⑤ 역사적 사건의 인과관계를 드러내는 사고도구어, ⑥ 문화나 사회 현상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사고도구어, ⑦ 문화(재)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고도구어, ⑧ 수식어로 쓰이는 사고도구어다. 둘째, 중학생의 사고도구어 이해와 그에 따른 역사해석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사고도구어 유형마다 2개의 소재를 골라서 선택형과 서술형으로 제작하였다. 셋째, 같은 군에 소재하는 2개의 중학교 3학년 118명을 조사한 뒤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몇 가지 유형의 사고도구어들을 바탕으로 비슷한 역사해석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이해 양상에 따라 3가지 범주로 사고도구어를 재분류하였다. 첫째, 역사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사고도구어다. 같은 사건을 서로 다른 사고도구어로 제시했을 때, 학생들은 단어에 따라 관점을 달리하며 사건을 해석하였다. 둘째,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사고도구어다. 학생들은 사고도구어에 따라 역사적 행위를 정당하거나 부당하게 인식했고, 세력 관계를 달리 받아들다. 또한 교과서 저자의 의견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역사적 사실을 평가하기도 하였다. 셋째, 문화 전파 및 상호작용 이해와 관련된 사고도구어다. 학생들은 사고도구어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 간 접촉 양상을 일방적인 영향력 행사 또는 상호작용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가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과 역사수업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교과서에 쓰는 사고도구어는 학생들의 이해수준 및 단어의 뉘앙스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역사 서술에 쓰이는 사고도구어에 저자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음을 학습해야 한다. 셋째, 사건명에 들어가 있는 사고도구어가 한자어일 경우, 단어의 뜻을 알아야 한다. 넷째, 역사 배경지식을 함양할수록 사고도구어 사용에 대한 판단 능력이 정교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