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각 형용사의 의미 도식과 확장 원리에 대한 연구

        김민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article intends to concretize the semantic system of Korean taste adjectives and describe its schema clearly. Through this, it will examine the extension principle of word meaning. Ultimately, this can be the process of generalizing the semantic system of not only taste adjectives but sensory words and general vocabulary as well.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will get to discuss mainly the ‘category and schema’, ‘polysemy and metaphorㆍmetonymy’, and ‘iconicity’ based on the cognitive semantic research grounded on human cognitive ability. They are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human beings cannot be separated from linguistic meaning, so they can be highly persuasive in explaining the ‘semantic system and extension principle’. The process of this discussion will be as follows. Chapter Ⅰ will define taste adjectives as ‘sweet’, ‘bitter’, ‘sour’, ‘salty’, ‘spicy’, and ‘puckery’ series and ‘complex taste’ series adjectives and introduce how to analyze them by applying cognitive linguistic methodology. Chapter Ⅱ will select taste adjectives in each series which are actively being used and closely examine their meaning through corpus analysis. Based on this, it will also check the patterns of semantic extension concretely as figuring out the semantic category and schema of each word. Next, Chapter Ⅲ will investigate the ground that forms the semantic schema of taste adjectives discussed earlier in Chapter Ⅱ by dividing the mechanism inducing the semantic extension of words into metaphorical and iconic mechanism. This paper explains metaphorical mechanism as dividing it into metaphor and metonymy and deduces the semantic extension principle of taste adjectives from the ‘complex operation of metaphor and metonymy’. Furthermore, it will also study how effectively ‘quantitative iconicity’ and ‘orderly iconicity’ play a role as iconic mechanism in enriching the meaning of taste adjectives. Chapter Ⅳ will sum up the above contents to finish this article.

      • 미용성형 병원 선택에 영향을 주는 온라인 검색성향과 오프라인 요인에 관한 연구 : 연령별 및 성형시기 중심으로

        김민혜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성형병원을 선택하는 고객들의 온라인 검색성향과 오프 라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최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알 아보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미용성형 정보를 검색하고 상담 받을 병원 을 결정하는 행동유형과, 최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오프라인 요인을 분 석하여 미용성형병원의 마케팅 방향과 고객만족 전략에 방향성을 제시하 는 것이다. 고객의 검색성향과 오프라인 요인을 연령별, 성형시기별로 세 분화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20대~60대 이상 남녀 성인 354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 였다. 데이터 코딩(data cor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가설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미용성형병원 선택에 있어 젊은층과 최근 수술한 고 객일수록 모바일 기반의 인터넷(성형관련 어플리케이션, SNS 등)을 이용 한 정보 검색을 하였다. 둘째, 미용 성형 정보의 온라인 검색은 20대는 부 작용 및 수술 전/후 주의사항, 수술사례 및 전/후 사진, 비용 및 할인이벤 트를 주로 검색 하였고, 40대는 병원의 의료장비, 친절성, 병원의 규모, 의 사의 이력 등을 주로 검색하였다. 시기별로는 수술시기 1년 미만의 고객 은 수술방법, 부작용 및 수술 전/후 주의사항, 비용 및 할인이벤트, 의료 장비, 친절성 등을 주로 검색하였으며, 4~5년 전 수술 고객은 병원에 방문 한 유명인, 불만 시 대처방법, 의사의 이력 등을 검색하였다. 성형 시기와 관계없이 수술 사례 및 전/후 사진을 주로 검색하는 검색 성향을 확인하 였다. 셋째, 온라인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유용성 평가는 20대가 가장 유용하다고 판단했으며 30대, 40대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수술 3년 미만의 고객이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넷째, 인적 서비스와 이미지의 중 요도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전 연령대에서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성형시기 1년 미만의 고객이 중요도를 높게 평가했 다. 다섯째. 의료서비스의 중요도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성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술 1년 미만의 고객이거나, 수 술 경험이 없는 경우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여섯째, 인지도의 중요도는 연령이 높은 경우, 성형시기가 오래됐거나 성형 경험이 없는 경우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미용성형의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병원을 결 정하고 인적서비스 및 의료서비스에 만족해야 최종 결정을 하는 고객의 행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연령별, 성형시기별로 검색성향과 중요시 하는 요인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빠르게 변화되는 인터넷 환경 에 적응하고 고객의 성향을 파악하여 최종 선택으로 이르게 하는 요인들 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미용성형병원의 홍보나 마케팅, 고객만 족을 위한 객관적 정보 제공과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final selection of a plastic surgery clinic by analyzing the online search tendency of customers and the offline importance. It is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marketing dire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strategy of plastic surgery clinics by analyzing the types of behaviors that determine the clinics to get consultation and the offline factors affecting the final selection. It investigated the customers' tendency to search the Internet and off-line factors dividing them into ages and time for plastic surgery. The subjects were 354 men and women who are between in their twenties and sixties. Data cording and data cleaning were used. It also use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or analysi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younger people and customers who got surgery recently used mobile based internet programs such as plastic surgery applications and SNS more than the other groups. Second, people in their 20s search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ide effects of the surgery, things to take care of before and after a surgery, photos before and after a surgery, expenses and discount events. People in their 40s mainly searched the information about the medical facilities of a clinic, kindness, the size of a clinic and the career of a surgeon. Customers who had a surgery in less than a year search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urgery method, side effects, things to take care of before and after a surgery, expenses and discount events, medical equipment and kindness. Customers who had a surgery 4~5 years ago searched the information about the celebrities visiting a clinic, response to a complaint and the career of a surgeon. No matter when they had a surgery, they tended to search the surgery examples and the pictures before and after a surgery. Third, people in their 20s mostly estimated that online and application information were useful, followed by people in their 30s and 40s. Considering the time of surgery, people who had a surgery within three years thought they were useful. Fourth, the importance of human service and imag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ages. People in all ages thought they were important. People who had a surgery in less than a year highly estimated them.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medical service according to 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of surgery. People who had a surgery less than a year ago or people who had no experience of surgery thought it was important. Sixth,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when the customers are older and when they don’t have any experience in the surgery. This study analyzed the behavior of customers who make a final decision afte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plastic surgery online and satisfying with human services and medical services. Through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arch tendency and importance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surgery time. By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internet environment and identifying the tendency of the customers, it trie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final choice.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by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for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 promotion and marketing of plastic surgery clinics.

      • 연암 박지원 한문단편의 소수자 형상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 연구

        김민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인성교육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을 인성교육의 교육내용으로 제안한다. 연암을 풍자와 비판에 능한 실학가로 한정 짓던 틀에서 벗어나 사회에서 주목받지 못한 비주류와 소수자들의 삶을 한문단편에 형상화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소수자의 개념을 확인하고 전(傳)양식으로 쓰여진 연암의 한문단편 속 인물들의 모습을 살펴보며 소수자에 속하는지 확인했다. 이어서 한문단편에 형상화된 소수자의 예외적인 면모를 살펴보았는데 여기에서 자기지향적 인성교육내용과 타자지향적 인성교육내용이 드러난다. 자기지향적 인성교육내용은 등장인물의 자기의식에서 드러나는데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도덕성을 갖추고 비판적이고 개성적인 주체로서 자기자신을 확립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성교육내용은 자기증명의 욕구에서 벗어나려는 <광문자전>, 자신의 처지에 한정하지 않고 큰 포부와 안목으로 세상을 경영한 <허생전>, 출세욕이 좌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스스로 치유하는 유머와 낙천적 태도를 가진 <민옹전>에 나타난다. 타자지향적 인성교육내용은 등장인물을 바라보는 서술시각에서 나타나는데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타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기반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성교육내용은 세상사람들의 부정적인 평가에 휩쓸리지 않고 소수자의 뛰어난 능력을 알아본 <우상전>, 신분과 직업에 대한 차별 없는 태도로 소수자를 보고 그의 인품과 덕성을 칭찬한 <예덕선생전>, 여성 역시 보편적 인간성을 가진 존재임을 알고 인정받지 못하는 삶을 연민 했던 <열녀함양박씨전>, 사회 주류의 사상에서 벗어나 특이한 삶을 추구하던 소수자들을 이해하고 공감한 <김신선전>에서 드러난다. 이어서는 본고의 논의를 매개로 하여 ‘연암 한문단편을 감상하고 자신만의 전(傳)쓰기’라는 인성교육 방안을 단계적으로 설계해보았다. 먼저 연암의 한문단편을 읽을 때에 유의할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고전작품을 바로 활용하는 것은 어렵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우리시대 전의 사례를 통해 연암의 작품이 현대에 어떻게 계승되고 변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전(傳)쓰기과정 5단계를 제시하였고 설계한 활동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진행했다. 인성교육프로그램 시행 후 학습자들의 응답을 통해서 태도와 인식의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암의 한문단편을 파악하고 전(傳)쓰기를 하는 것이 자아를 확립하고 나아가 타자의 삶을 이해하는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본고에서 제안한 인성교육내용과 방안을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연암이 소수자에게 주목했던 면모와 이에 대한 인성교육적 활용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헤겔의 국가·시민사회론 연구

        김민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헤겔은 근대적 인간의 분열상이라고 할 수 있는 공적영역으로부터의 분리를 극복하고, 나아가 인간의 공적 활동성을 회복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했던 철학자 가운데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헤겔의 철학을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조망하기 위해 우선 개별자로서의 인간과 공동체의 문제에 천착했던 근대 계몽주의에 대한 헤겔의 평가를 검토한다. 인간과 공동체의 문제를 다루었던 계몽주의 사상을 절대적 권위의 정당화 문제에 집중했던 홉스의 사상과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의 자유의지에 기반 한 일반의지를 토대로 공동체의 형성을 설명하려 했던 루소의 사상으로 구분하여 개괄한 후에 이에 대한 헤겔의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헤겔의 정치이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편 프랑스 혁명은 헤겔 철학의 내용과 방식을 규정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현실정치에 대한 직접적인 개혁보다는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관조를 통해 국가이념을 도출하고, 나아가 그 이념의 제도화를 꾀하는 헤겔의 철학적 문제제기는 프랑스 혁명의 경험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홉스의 정치사상에 대한 헤겔의 비판은 홉스가 인간을 공동체적 존재가 아닌 원자화된 개별자로만 다루고 있다는 방법론에 대한 것과 인간 자유의 문제를 외부적 조건과의 관계 속에서만 고찰하기 때문에 인간의 창발적 자유의지를 사장시킨다는 점에 집중된다. 한편 헤겔은 루소가 국가형성의 기본적 토대로서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개별자들의 의지를 토대로 일반의지를 형성하고자 하기 때문에 자의적이고, 무질서한 정치적 혼돈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이론적 결함을 지닌다고 평가한다. 따라서 헤겔은 루소의 사상과 그것의 역사적 귀결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 혁명의 전개과정에 대한 통찰을 거쳐 인간의 자유의지를 토대로 국가이념을 구성하되, 제도화 과정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헤겔은 시민사회를 '욕구의 체계'로 규정한다. 욕구의 체계라는 개념을 통해 헤겔은 배타적 이익의 추구라는 시민사회의 경향 이면에 노동을 통한 욕구의 상호충족 및 소유의 상호인정이라는 공동체적 요소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아가 헤겔은 시민사회와 국가를 매개할 제도적 장치로서 경찰행정과 직업단체, 의회, 관료제를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헤겔의 국가 개념을 이념형과 구체적 제도, 헤겔의 역사철학적 입장과 개별주체에 대한 강조라는 틀을 토대로 4가지로 구분하고, 그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보편과 개별의 통일로서의 인륜적 국가' 개념에서는 헤겔의 국가개념이 도출된 철학적 토대를 개괄하고, 헤겔 당대의 사상적 편향 또는 이상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 폴리스적 공동체의 이념과 헤겔 국가개념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국가의 이념을 제도화하는 것에 대한 헤겔의 강조로부터 '의미 있는 분화의 제도화로서의 국가'라는 개념을 도출하였다. 또한 '개별자로서의 인간의 강한 주체성을 요구하는 교양적 국가' 개념을 통해서는 헤겔 철학이 개별자로서의 인간을 논의로부터 배제하기 때문에 실천적 의미가 없다는 평가를 반박하고자 했으며, 마지막으로 개별자로서의 인간의 역할에 대한 강조와 대비되는 것으로 보이는 헤겔의 역사철학적 경향으로부터 '역사철학적 입장에서 본 국가' 개념을 다루었다. 역사철학적 입장에서의 국가 개념은 '이성의 간지'라는 세계사적 계기와 더불어 제기될 때, 헤겔 국가개념의 존재론적 지위를 약화시키는 주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런데 헤겔 철학의 역사철학적 경향은 기존의 사회계약론이 갖는 몰역사성이라는 한계를 보정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세계사를 통해 현재의 문제를 바라보는 헤겔의 '관점' 자체의 유의미성을 부각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헤겔 정치철학에 대한 비판은 주로 그의 국가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이 글에서는 맑스와 포퍼의 헤겔 국가론 비판을 고찰한다. 국가 및 시민사회를 고찰하는 방식에 있어 헤겔과 맑스의 차이는 사회의 모순에 대한 상이한 시각으로부터 비롯되며, 따라서 시민사회 내의 모순을 지양하기 위한 대안 역시도 차이를 보인다. 한편 20세기 들어 헤겔의 정치철학에 대한 해석에 있어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포퍼의 헤겔 비판을 포퍼의 전체주의 비판과 관련해 살펴본다. 헤겔의 국가론에 대한 포퍼의 비판은 실제로 존립하고 있는 특수한 국가와 제도들을 볼 것이 아니라 그 이념 자체를 파악해야 한다는 헤겔 자신의 의도를 근본적으로 곡해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포퍼가 헤겔의 논의가 전개된 역사적 상황과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헤겔 철학의 논리적 외형을 전체주의 논리와 결부시키는 그릇된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헤겔이 제시하는 국가개념은 그것이 도출된 이론적, 역사적, 정치적 배경에 대한 고려 속에서만이 생명력을 지닐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헤겔 정치사상의 사상적 원류를 근대 계몽주의 시기로부터 되짚어 보고자 한다. 나아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문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의 정치성의 상실, 정치영역으로부터의 괴리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점에 헤겔이 주목하였고, 이에 대한 헤겔의 문제제기는 그의 구체적 대안들의 실효성과는 별도로 지속적인 의의를 지닌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요컨대 헤겔은 아리스토텔레스가 폴리스의 삶의 방식으로 규정한 국가헌법을 현대적인 조건 아래에서 복원하고자 시도한다고 볼 수 있으며, 헤겔의 이러한 실천철학적 지향은 인륜적 공동체로서의 국가 개념을 통해 제시된다. Hegel is one of the major figures of the German philosophical scene, those who are purposed to cope with the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te sphere which is seemed to be the dissociation of modern people. Additionally, he devoted himself to developing his ideas on the rehabilitation of public activity in his times, as a philosopher. This thesis is primarily focused on the Hegel's ideas in view of modern practical philosophy, in order to account of Hegel's appreciation about the man as a atomic individual and modern Enlightenment. Hobbes is concerned with the Enlightenment from a justification of absolute authority, while Rousseau is seen as offering the community on the basis of 'general will' which is composed of 'free will'. The two thinkers' ideas on the Enlightenment are investigated by and large in this thesis, and from this Hegel's ideas on politics is deduced. An important consequence of Hegel's ideas concerns the French Revolution, which is recognized as a historical development or progress. As an advocate of the French Revolution, Hegel is seen as asserting a way of build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an ideas on the state from the objective and historical point of view. For Hegel, Hobbes stands on the ground that man is not the being of a community, but an atomic individual, and the problem of freedom is only concerned with exterior conditions. It is thus that Hobbes keeps the creative and spontaneous 'free will' idle. Likewise, although Rousseau lays stress on 'free will' as a base of state building, his thought is likely to arouse a political confusion because his 'general will' is founded on the individual 'free will'. Thus what differentiates Hegel from Hobbes and Rousseau is that the idea of state should be grounded on 'free will' and go in a relation of institutionalization. This idea of Hegel has an important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of Hegel's conception of the state from that of Rousseau. Hegel defines civil society as 'a system of need'. In civil society, according to Hegel, are individuals grasped as 'bearers of rights' abstracted from the particular concrete relationships to which they belong. Hegel emphasizes in this system of civil society, a peculiarity of community, that is, reciprocal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labor. Additionally he asserts such a vehicle apparatus between civil society and state, as police administration(politeia), occupational group, parliamentary system and bureaucracy. Hegel's ideas on state, in this thesis, are divided into a type of idea, concrete institution, Hegel's stands on historical philosophy and individual subject. The interrelationship of these four concepts are closely examined in this thesis. Hegel's discussion of spirit starts from what he calls "Sittlichkeit" (translated as "ethical order" or "ethical substance"), "Sittlichkeit" being a nominalisation from the adjectival (or adverbial) form "sittlich," "customary," from the stem "Sitte" - "custom" or "convention." This concept is for Hegel carried out into Sittlichkeit State. Thus his ideas on "Sittlichkeit Staat as a unification of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offers what the philosophical ground of Hegel's ideas on state is. Along with this, in this thesis, are dealt with the relations of the ideas of Greek community and Hegel's Sittlichkeit Staat. Also, with Hegel's ideas on Buildung Staat, which needs for intense subjectivity as individual, this thesis refutes an attempt to devaluate him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of no practical meaning because man as a individual is excluded in Hegel's philosophy. Given that the notion of Staat in view of historical philosophy is introduced with 'List der Vernunft', the ontological status of Hegel's notion of Staat seems to be declined. However Hegel's orientation to historical philosophy, I think, compensate the theory of social contract for its ahistorical aspect. Therefore this thesis place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Hegel's viewpoint, which regards the present as important through the history of world. The critique of Hegel's political philosophy is chiefly focused on his idea of Staat, in line with that, this thesis examines the critical stance of Marx and Popper on the Hegel's theory of Staat. For example, Marx develops his own scientific approach to state and civil society quite different with Hegel, with priority given to social contradiction. On the one hand, Popper, who is one of the philosophers of influence in interpreting Hegel's politic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regards Hegel's thoughts as a kind of totalitarianism. In fact, to many critics Hegel not only was an advocate of a disastrous political conception of the state and the relation of its citizens to it, a conception prefiguring twentieth-century totalitarianism. But Popper's critique of Hegel's state theory has some aspects which basically distort hegel's intention. Popper got a wrong trial to relate the logical structure of Hegel's Philosophy with a totalitarian logic without any consideration to historical situation and context. In short, Hegel concentrated on how to cope with the problematic situation(the loss of public activity or the separation from public sphere), which continues on today. It can be said that Hegel's problematic can get some meaning, irrespective of any practical effects. Hegel made plan to restore the concept of constitution, which Aristotle indicated in the 'Polis', under the modern condition, and this orientation was seen through the concept of the ethical state.

      •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에 대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김민혜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depression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b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focusing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through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PsycINFO, KoreaMed, Kmbase, NDSL, KISS, and RISS from the oldest accessible research until August 2022. Of the 2,401 studies search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12 studies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risk of bias was evaluated using the 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for randomized trials (RoB) 2.0. To estimate the effect size,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program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ected 12 RCTs studies, the most influential 8 studies (66.7%) were published from 2010 to 2019, and 12 studies (100%) were all from foreign countries. As for the intervention type, 3 studies were about exercise (25.0%), other 2 studies (16.7%) were about acupressure, other 3 studies (25.0%) were abou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ther 2 studies (16.7%) were about relaxation therapy, and other 2 studies (16.7%) were about aromatherapy. Among the intervention providers, nurses were the most common in 7 studies (58.3%). In the intervention formats, individual intervention formats were the most common in 9 studies (75.0%).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was 3 times a week (6 studies, 50.0%). The most common ‘length per session’ was more than 60 minutes (5 studies, 41.7%), the most common ‘total intervention period’ was less than 4 weeks (5 studies, 41.7%), the most common ‘total intervention session’ was 8 sessions (5 studies, 41.7%). As for the measure of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7 studies, 58.3%) was most frequently used. And almost studies did not report the follow-up period after intervention (11 studies, 91.7%). 2. As a result of the risk of bias analysis, 25% of studies have ‘low’ risk of bias. 66.7% of studies have ‘some concern’ risk of bias, and 8.3% of studies have ‘high’ risk of bias. 3. As a result of meta-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Hedges' g) of th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was -0.68 (95% CI: -0.93 to -0.43)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5.29, <.001). 4. I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type, exercise was -1.10 (95% CI: -1.49 to –0.71), acupressure was -0.96 (95% CI: -1.45 to -0.47),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0.64 (95% CI: -1.02 to -0.26),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the effect sizes of relaxation therapy and aromatherap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nurse provided the intervention, the effect size was -0.64 (95% CI: -0.95 to -0.34), and when the multidisciplinary team provided the intervention, the effect size was -1.04 (95% CI: -1.53 to -0.56).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between the two groups. In individual intervention formats, the effect size was -0.70 (95% CI: -1.00 to -0.39), and in the group intervention formats, the effect size was -0.64 (95% CI: -1.17 to -0.1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interventions were provided for less than 30 minutes per session, the effect size was -0.49 (95% CI: -0.90 to -0.08), and when more than 30 minutes were provided, the effect size was -0.77 (95% CI: -1.07 to -0.48), b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was -0.53 (95% CI: -0.77 to -0.29) when the total intervention period was less than 9 weeks, and -1.11 (95% CI: -1.55 to -0.67) when the total intervention period was more than 9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effect size was -0.51 (95% CI: -0.90 to -0.12) when the total intervention sessions were less than 9 sessions, and -0.88 (95% CI: -1.25 to -0.52) when the total intervention sessions were more than 9 sessions. B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sub-analysis resul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tervention type and total intervention period were identified as modulating variables explaining the heterogeneit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eff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depression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as confirmed. In particular, among the intervention types, exercise had the greatest effect, and acupressure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ere also found to be effective, so these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nursing practice. On the other hand, relaxation therapy and aromatherap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so there will be limitations in using these as an intervention for reducing depression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bout the intervention provi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by nurses and multidisciplinary teams, suggesting that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basis for the expanded role of nurse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intervention formats, so the optimal approach c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vention and situational condition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when plann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since the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more effective when the total intervention period was longer than 9 weeks comparing with when it was shorter than 9 weeks. However, when the intervention length per session was longer than 30 minutes comparing with when it was shorter than 30 minutes, and when the total intervention sessions were more than 9 sessions comparing with when they were less than 9 sessions, the effect size on depression reduction was greater, b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ptimal conditions for providing interventions when future studies will be accumula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감소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국내·외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중재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방법: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를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헌검색은 2022년 8월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PsycINFO, KoreaMed, Kmbase, NDSL, KISS 및 RIS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행하였다. 국내·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된 2,401편의 논문 중 12편이 선정되었다. 비뚤림 위험은 수정된 Cochrane Risk-of-Bias (RoB) 2.0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고, 효과크기를 추정하기 위해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종 선정된 RCT 연구를 분석한 결과, 12편(100%)이 국외에서 출판된 연구였으며,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연구가 8편(66.7%)으로 가장 많았다. 중재유형은 운동이 3편(25.0%), 지압요법이 2편(16.7%), 인지행동요법이 3편(25.0%), 이완요법이 2편(16.7%), 아로마요법이 2편(16.7%)이었다. 중재제공자로는 간호사가 7편(58.3%)이었고, 개인 중재방식이 9편(75.0%)으로 가장 많았다. 중재빈도는 일주일에 3회가 6편(50.0%)으로 가장 많았고, 회기당 중재시간은 60분 이상이 5편(41.7%), 총 중재기간은 4주 이내가 5편(41.7%), 총 중재회기는 8회기가 5편(41.7%)으로 가장 많았다. 우울 측정도구는 BDI가 7편(58.3%)으로 가장 많았고, 중재 후 추적기간을 보고하지 않은 연구가 11편(91.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비뚤림 위험 분석 결과, 비뚤림 위험이 낮은 연구가 25.0%, 비뚤림 위험이 약간 우려되는 연구가 66.7%, 비뚤림 위험이 높은 연구는 8.3%로 분석되었다. 3. 메타분석 결과,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비약물적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Hedges’ g)는 -0.68 (95% CI: -0.93 to -0.43)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5.29, <.001). 4. 중재유형에 따른 효과크기에서 운동은 -1.10 (95% CI: -1.49 to -0.71), 지압은 -0.96 (95% CI: -1.45 to -0.47), 인지행동요법은 -0.64 (95% CI: -1.02 to -0.26)로 산출되었고,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로마요법과 이완요법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간호사가 중재를 제공한 경우 효과크기는 -0.64 (95% CI: -0.95 to -0.34), 다학제팀은 -1.04 (95% CI: -1.53 to -0.56)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개인 중재방식은 -0.70 (95% CI: -1.00 to -0.39), 그룹 중재방식은 -0.64 (95% CI: -1.17 to -0.10)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회기당 30분 미만 중재 제공 시 효과크기는 -0.49 (95% CI: -0.90 to -0.08), 30분 이상 제공 시 -0.77 (95% CI: -1.07 to –0.48)로 나타났으나,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총 중재기간이 9주 미만일 때 효과크기는 -0.53 (95% CI: -0.77 to –0.29), 9주 이상일 때 -1.11 (95% CI: -1.55 to -0.67)로 나타냈으며,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총 중재회기가 9회기 미만인 경우 효과크기는 -0.51 (95% CI: -0.90 to -0.12), 9회기 이상인 경우 -0.88 (95% CI: -1.25 to -0.52)로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비약물적 중재의 하위분석 결과, 중재유형과 총 중재기간은 비약물적 중재 효과의 이질성을 설명하는 조절변수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근거로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감소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중재유형 중 운동 중재가 가장 큰 효과가 있었고, 지압과 인지행동요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간호 실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이완요법과 아로마요법은 우울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감소를 위한 중재로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재제공자는 간호사가 단독으로 중재를 제공한 결과와 다학제팀에 의한 중재 효과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이는 추후 간호사의 확장된 역할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재방식도 개인과 집단 중재방식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므로 중재유형과 상황조건에 따라 최적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중재기간이 9주 미만보다는 9주 이상인 경우가 통계적으로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므로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감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는 9주 이상으로 수행하기를 제안한다. 그러나 회기당 중재시간의 경우 30분 미만보다는 30분 이상일 때, 총 중재회기가 9회기 미만보다는 9회기 이상일 때 우울 감소에 대한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집단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는 추후 연구가 축적되었을 때 최적의 중재 제공 조건을 재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고등학교 '사회문화' 및 '기술가정'의 가족 관련 단원 내용 분석 : 구조기능론과 갈등론을 중심으로

        김민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 목적은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와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에서 가족이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되어 있는지를 구조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족 관점에 대한 교과서의 개선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문과 참고자료, 사진과 그림을 대상으로 가족구조, 가족역할, 발달주기, 가족관계, 노후적응, 결혼과 출산이라는 6가지로 분석요소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의 대단원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에 속한 ‘가족 생활과 친족 관계의 이해’와 대단원 ‘인간과 문화 현상의 이해’에 속한 ‘문화의 속성과 일상 생활의 이해’ 중, ‘혼인과 가족 및 친족’에 관한 부분을 가족구조, 가족역할과 관련된 내용에서 구조기능론과 갈등론 관점으로 얼마나 표현되어 있는지 본문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심층 분석하고 또한 가족 구조와 가족역할에 관련된 내용을 사진과 그림, 본문과 참고자료의 가족의 예를 통하여 계량 분석한다. 둘째,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의 대단원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에 속한 ‘가족 생활과 친족 관계의 이해’와 대단원 ‘인간과 문화 현상의 이해’ 에 속한 ‘문화의 속성과 일상 생활의 이해’ 중, ‘혼인과 가족 및 친족’에 관한 부분을 갈등·가족문제 해결, 노후적응, 성·이성교제 및 배우자선택과 결혼, 부모됨과 출산 및 자녀양육과 관련된 내용에서 구조기능론과 갈등론적 관점으로 얼마나 표현되어 있는지 본문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심층 분석한다. 셋째, 고등학교 교과 중 가족을 다루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를 선택하여 위의 사회·문화 교과서를 분석한 방법과 동일하게 분석한다. 기술·가정 교과에서 분석 범위에 해당하는 가족 관련 단원은 ‘가정 생활의 설계’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 분석에서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가족 생활과 친족 관계의 이해’ 단원과 ‘문화의 속성과 일상 생활의 이해’ 단원의 관점을 비교해본 결과 다섯 가지 분석요소 모두에서 갈등론적 가족 관점이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보다 많게 나왔다. 갈등론적 관점이 가장 많이 서술된 분석 요소를 순서대로 정리해보면 가족관계, 가족구조, 결혼과 출산, 가족역할, 노후적응 이었다. 전체적으로 갈등론적 가족 관점이 총 122줄로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 30줄보다 무려 4배 이상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분석 결과 알 수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의 설계’ 단원의 관점을 비교해본 결과 갈등론적 가족 관점이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보다 많게 나온 분석요소는 총 4항목으로 가족역할, 가족구조, 결혼과 출산, 노후적응 순이었다.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이 갈등론적 가족 관점보다 많이 나온 분석요소는 총 2항목으로 발달주기, 가족관계 순이었다. 그리고 발달주기 분석요소에서 특히 발달론 관점이 갈등론적 가족 관점보다 약 6배정도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이 총68.5줄로 갈등론적 가족 관점 62.2줄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화 교과서는 구조기능론적 관점(19.7%)에 비해 갈등론적 관점(80.3%)에 비중을 두어 서술하고 있는 반면에, 같은 가족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는 구조기능론적 관점(52.4%)이 갈등론적 관점(47.6%)과 비슷하지만 더 많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거울처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가족의 모습을 반영할 수 있어야하며, 그에 따라 현실에 적응가능한 가족 이념을 배우고 습득하여, 가족을 바라보는 현실적이고 올바른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 이것이 사회·문화 교과의 학습목표이자 기술·가정 교과의 목표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았을 때, 사회과는 가정과 보다 좀 더 변화는 가족의 모습에 맞추어 서술되어 있으며, 변화 속에 일어나는 여러 가족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고 서술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문화 교과서 역시 현실과 괴리되거나 본문의 관점과 시각자료의 관점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었다. 사회·문화 교과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갈등론적 가족 관점은 현대 가족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한 것이다. 교과서는 이러한 적합한 관점을 바탕으로 가족에 일어나는 문제들을 구조기능론적 관점에서처럼 묵인하거나 부정적인 것으로만 보지 않고,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능동적이고 민주시민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학생들을 지도할 자료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장의 적용측면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칠 때 현재 교과서의 구조기능론으로만 서술되어 현실 적용에 부족한 내용을 갈등론적 관점으로 접근해야한다. 이를 위해 최근의 현대 가족의 모습을 반영하는 인터넷자료나 신문자료 등의 다양한 매체자료를 참고해서 고등학생 수준에 적합한 건강가정 관점의 활동자료를 개발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social & culture'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in the 7th Curriculum from two theoretical viewpoints: structure functionalism and conflict theory. A quantitative and in-depth cont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the six elements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family life cycle, adjustment to the aged, marriage and childbirth. From the in-depth analysis the 'social & culture' textbook, a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as reflected in the all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adjustment to the aged, marriage and childbirth elements. Bur from the in-depth analysis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as reflected in the family role, adjustment to the aged, elements and a structure functionalist viewpoint was found in the family structure, family relation, marriage and childbirth element. The family life cycle elements reflected a strong tendency of structure functionalism(family development theory).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consisting of pictures, illustrations, examples indicated that a structure functional viewpoint was prevalent in both the family structure and family role elements. Overall,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ere reflected more than structure functionalism in the 'social & culture' textbook. But structure functionalism and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ere reflected at similar level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teaching methods and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민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적응력이 낮은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목적 및 개발원리, 차시별 목표, 프로그램 내용 및 시행절차를 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발달수준과 단계에 적합한 성장소설을 선정하여 Hynes와 Hynes-Berry(1994)의 독서치료 발문유형 4단계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교적응력의 하위요인인 학교환경적응, 학교교사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생활적응으로 구분하여 활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적응력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참여자의 차시별 경험보고서를 질적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요구조사 분석 및 Hynes와 Hynes-Berry(1994)가 제안한 독서치료 과정인 인식, 고찰, 병치, 자기적용의 4단계 원리를 바탕으로 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교적응력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교환경․생활적응, 학교교사적응, 학교수업적응 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학교적응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교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본다.

      • 그림자를 통한 일상적 순간의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민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그림자를 통한 일상적 순간의 표현’을 화두로 삼고, 연구자가 2010년부터 현재까지 창작한 작품을 대상으로 그 이론적 토대의 정립과 조형적 특징 및 제작기법을 분석한 논문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는 ‘순간’의 개념에 대한 검토, ‘일상’의 가치에 대한 고찰 및 ‘그림자’에 대한 동·서양의 인식과 예술표현 연구 등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개인적인 경험으로부터 출발해 발전해온 작업의 조형적 특징과 제작기법을 연구․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탐구하고자 했다. ‘순간’의 개념은 찰나, 즉 일시성을 특징으로 한다. 세상의 모든 것은 한 순간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변한다. 흘러가 버린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고, 인간은 만물의 끊임없는 변화 속에서 존재한다. 여러 존재의 상실과 감정의 소멸은 인간을 무기력하고 허무하게 만든다. 그러나 순간의 ‘일시성’(變)은 순환하고 반복(常)된다. 만물은 변화하지만, 그 변화한다는 사실만큼은 늘 그러하고, 스스로 그러하고, 변하지 않는다. ‘봄’이라는 시간 속의 어느 ‘순간’은 한 번 흘러가버리면 영원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여름과 가을 그리고 겨울이라는 변화를 거쳐 다시 찾아온다. 본 연구자는 시시각각 소멸되어 버리는 것으로 인식하기 쉬운 ‘순간’이라는 시간 속에 일정한 내재규율이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순간’의 일시성(變)을 순환하고 반복되어 항구적인 개념(常)으로 보는 인식의 전환을 하면서 일시적인 순간과 감정에서 받은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했다. ‘일상’의 일차적인 사전적 의미는 ‘매일 반복되는 생활’이다. ‘순간’의 반복인 것이다. 시간 속에 존재하는 순환이라는 내재규율을 통해 ‘순간’은 ‘일상’의 일부분이며 ‘일상’ 또한 ‘순간’과 하나의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자는 ‘일상’의 의미를 특별하지 않은 ‘소외된’ 개념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하였다. 흔히 현대 문명인들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일상적 순간보다는 특별한 순간의 가치만을 추구한다. 그러나 항상 곁에 존재하지만 인지하지 못했던 소외된 ‘일상’의 가치는 삶의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 범위에 포함된 작품들은 모두 일상생활 속의 소소한 소재를 채택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일시적 ‘순간’이라는 찰나의 시간성을 주제로 삼았지만, 그 일시성이 반복하고 순환하는 ‘일상’적인 것임을 인식하고 이를 ‘일상적 순간’이라는 용어로 규정하였다. ‘일상적 순간’의 개념과 가치는 ‘그림자’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표현하였는데, 그 의미를 고찰하여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본 연구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Ⅰ장 머리말’, ‘Ⅱ장 일상적 순간의 개념 고찰과 예술표현’, ‘Ⅲ장 그림자에 대한 동·서양의 인식과 예술표현’, ‘Ⅳ장 조형적 특징과 창작 기법’, ‘Ⅴ장 작품분석’, ‘Ⅵ장 맺음말’ 로 이루어져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을 통해 ‘일상적 순간’과 ‘그림자’에 대해 고찰하게 된 동기를 소개하고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서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일상적 순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순간’을 단절된 시간으로 바라보는 입장인 변(變)과 ‘순환’ 하는 개념으로 바라보는 입장인 상(常)에 대해 동서양의 사상과 철학적 배경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소외된 일상’을 화두로 삼은 여러 예술 표현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작업의 큰 소재 및 주제로 등장하는 ‘그림자’에 대한 동양과 서양의 역사․철학적 인식을 소개하고 회화 속에 등장하는 그림자를 살펴보았다. 서양회화의 기원이 된 그림자 그림을 통해 서양 사상의 핵심 개념인 ‘모방’과 ‘본질과 허상’을 명확히 구분 짓는 이원론적 인식에 대해 논의 하였다. 그러나 동양에서는 기본적으로 그림자를 타자화 시키지 않고 대상과 동일시하는 일원론적 인식을 보인다. 동양에서 ‘그림자’의 언어학적 기원과 회화의 발달에 대해 살펴보고, 사군자의 기원 설화를 통해 ‘정수(精髓)’ 와 ‘전사(轉寫)’의 관계를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연구 작품의 주된 조형적 특징과 창작 기법을 여백과 화면 구도, 필법(筆法)의 활용, 전사(轉寫) 기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대상 작품 군을 시기별로 ‘풀의 숨결’, ‘이름없는 사물의 존재’, ‘본질과 허상’, ‘공간 속의 회화’, ‘궤적과 흔적’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여 서술하였다. Ⅵ장에서는 본문에서 서술한 내용을 요약하고 그림자의 표현을 통한 일상적 순간에 대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살펴보며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전망해보았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본인은 그림자가 가진 ‘일상적 순간’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수묵의 필법을 활용한 조형언어로서 표현하였다. 본 논문연구는 이제까지의 작업을 정리하고 객관적으로 체계화 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본인의 삶과 예술의 발전과정에서의 작업의 의미와 가치를 재정립함으로써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발전시키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 단독주택지 토지이용실태와 범죄특성에 관한 연구 : 지방중소도시 지구별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김민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me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land-use status of three districts (the 1980s ~ 2000s) targeting detached housing that was developed as the home lots development project zone and to propose urban planning and countermeasure of CPRTED for creating safe residential areas in the future. The paper analyzed the population・the land use status・residential environment of each district and each season・day・time zone・arrest status of theft・violent crime materials (Year 9-13). In addition, it derived crim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zones of each street system and the main purpose of buildings, the Type I and 2 Neighbourhood Living Facility and locations of licensed liquor sales facilities, and vacancy and crime occurrence status. As a result, the resident population of the S-1 zone, the oldest among the three districts is steadily reducing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elderly aged 60 and over. Since the residential buildings were built in the early 1990s,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regions are divided by fences and outdoor stairs, and there is no means to control the access of visitors in the upper residential areas. Because the Type II Neighbourhood Living Facility was permitted, the rate of non-residential facilities was the highest at 14.8% compared to other districts and the rate of vacancy was high at 190 units. The status of crime occurrence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crime cases were 191 cases which were 3.6 - 10.0 times higher than other districts. And the rate of theft occurrence was slightly high in summer and the rate of violence occurrence was slightly high in fall. The rate of crime occurrence was high on Fridays and nights・early mornings. Whereas the arrest rate was high at 81.4% for violent crimes, it was low at 31.9% for theft crimes. The rate of crime occurrence was high in the zone where pass-through traffic took place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While 46.9% of all violent crimes occurred in the buildings located in the Type II Neighbourhood Living Facility and adjacent streets, 35.6% occurred near vacancies. The S-2 district is a residential area built in the mid-1990s. Its population per household was 1.2 persons, and the population rate was the highest at 20- to 39-year-old which was analyzed that the rate of a single-person household at 20’s and 30’s was high. The type of buildings was a mixture of the general type (house types with side staircase and with central staircase) and the piling type (an open all-round type and a partially open type) and the Type II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were permitted. And non-residential facilities were spread in the buildings adjacent to collector roads where pass-through traffic took place and housing inside the blocks connected to the local roads. As the share of Rest I (restaurants) and Rest II (liquor sales facilities) among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were high, there was much entry of visitors’ vehicles and parking in the street. Many numbers of the floating population created noise and bad smell which caused residents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life and to fear crimes. While the average number of crimes per year was about 53 cases, the rate of theft crimes was high in winter, on Wednesdays and at nights, and the rate of violent crimes was high in fall, on Fridays, and in the early mornings. And the arrest rate of violent crime was 74.1%, and the arrest rate of theft crimes was 26.7% which presented that the arrest rate of theft crimes was low. The occurrence of crimes was concentrated in areas where pass-through traffic was heavy and liquor sales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And 41.9% of violent crimes occurred in the areas where the Type II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was located. The development of the S-3 district was completed since the mid-2000s. Its population per household was 1.5 persons and there was a large population of infants and youth at 0- to 19-year-old. The Type I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was only allowed to locate inside the blocks, and the rate of welfare facilities was the highest. The average crime occurrence per year was approximately 19 cases; the cases were reduced to less than 10 cases since 2013. And while the rate of theft crime occurrence was high in fall, on Fridays, and in early mornings, the rate of violent crime occurrence was high in summer, on Wednesdays, and in early mornings. The crime rate per zone was 62.6% of all crimes which occurred inside the zone. As an overall analysis of three districts, there are differences in a population composition by age, a number of through highways, the width of local roads (street environments), building types, a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ots, the permission status of Type I and 2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detailed use and locations, and a number of vacancy. In order to promote future urban planning and CPTED, residents shall share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prevention of crime occurrence and establish a close network with local experts, public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to prepare countermeasures that match conditions of each area. As the crime rate is high in the section where pass-through traffic takes place, a method of controlling pass-through traffic is required.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ft crime occurrence depending on building types, differentiated crime prevention shall be designed. Districts with the high crime rate in the Type II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need controlling measures by changing district unit planning and designate as a special management district after the council of residents and local networks examine. As the vacancy rate in the decrepit district is high, and the crime rate near the vacancy is high, the owners of the buildings and the residents should seek ways to manage through agreement form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the projec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create a synergy effect of crime prevention in connection with city planning such as the maintenance business of small-scale houses and the New Deal project of urban regeneration that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 협동학습 모형 중 Jigsaw I 과 G.I 모형을 활용한 음악 감상지도 방안

        김민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School education should teach students the way of adapting and dealing with a new turn in the knowledge based fast-changing world. The ability to adapt and deal with the new circumstance is the creativity. Music education should help them to develop and use musical creativity. Music education consists of vocal, instrumental, composing, appreciation learning. The appreciation, in particular, is regarded as important part as it is based on other musical parts. The appreciation of music in school is mainly conducted by the teacher, but the study on Cooperation Learning that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is needed. In this paper, therefore, I propose that Cooperation Learning model based on music appreciation would be applied to music class. The Concentrated Subject System,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of 2009 curriculum, makes it possible to finish whole class time for a year just to one semester. Due to the system, school hours per week increase and I propose research regarding the class applied to the first or the second class was necessary. Thus, teaching-learning method is designed, using Jigsaw I model and G.I model which is task-centered model of Cooperation Learning Models. The songs for teaching plan design is properly selected by the melody frequency,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 and analysis of eight sorts of 8thgrade text book according to 2007 education curriculum. This paper studies a set piece of music consist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lass respectively. The basic contents on a set piece would be learned in the first class, Jigsaw I model applied; and advanced learning could be made in the second class, G.I model applied. I propose that Jigsaw I model is suitable for learning basic contents and G.I model is fit for advanced learning such as students for themselves choose the topic and give a presentation. I propose that Jigsaw I model is suitable for learning basic contents and G.I model is fit for advanced learning. This paper studies a set piece of music consist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lass respectively. The contents on music would be learned in the first class to which Jigsaw I model applied; and advanced learning could be made in the second class to which G.I model appli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ask-centered Cooperation Learning can expect positive effects to teaching-learning in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and easily learn by helping each other to solve the difficult tasks. If task-centered Cooperation Learning model applied to not only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but also vocal, composing, and instrumental music classes, students could learn a variety of concept and they would study effectively. Thus, the constant researches that task-centered Cooperation Learning Model can apply to other musical activities should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