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냉전기 중립주의의 발흥과 남‧북한의 반응

        김도민 한국역사연구회 2022 역사와 현실 Vol.- No.126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both South and North Koreas perceived and responded to the concept of Neutralism, which emerged all around the globe after the Korean War. Analyzed in particular is rather ‘symmetrical responses’ display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to global events that occurred in the wake of such ideology emerging in the 1950s, such as the Bandung Conference in 1955, Austria’s Neutralization and Unification during the same year, the Hungarian Revolution in 1956, and the drafting of the first version of the Yugoslav Communist Alliance Code in 1958. Research shows that both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responded rather symmetrically toward the Asian and African regions where Neutralism prevailed(as we can see from the Bandung Conference), the Free World(as in the case of Austria), and the Communist realm(as in cases of Hungary and Yugoslavia), during the Cold War of the 1950s. Their such response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could benefit from the effects of supporting neutrality. Previous studies of the Cold War History, either from Korean scholars or from scholars abroad, have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 between ‘Central regions,’ or relations between regions which were rather ‘Central’ while the other was mostly categorized ‘Peripheral.’ Attempted in this work conversely is to define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s that could both be considered as ‘Peripheries.’ It should be noted that South and North Koreas have together formed one of the last front-lines of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always been perceived as a ‘Peripheral region,’ and that other countries which declared Neutralism in the hope of escaping clutches of the polarizing nature of the Cold War order were also such peripheries.

      • KCI등재

        1950년대 중후반 남·북한의 ‘중립국’ 외교의 전개와 성격: 동남아시아·중동·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김도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아시아리뷰 Vol.10 No.1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diplomacy of South and North Korea towards ‘neutral countries’ during 1950’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om 1954, the Third Forces emerged, advocating anti-colonialism, peace and neutralism, and refusing to belong to the two camps of the Cold War. In 1957, North Korea entered into trade agreements with major Asian and African neutral countries (India, Indonesia, Burma, Egypt, Iraq, etc.). By contras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busy criticizing neutral countries that were leading neutralism and peace movement, because it regarded neutralism and peace movement that arose from 1954 as offensives by the communist camp.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had to face a considerable drop in the percentage of votes in its favor in the 1957 UN General Assembly vote on the Korea issue. Many of the abstentions were caused by the so-called new independent nations entering the United Nations, claiming ‘neutralism.’ As a resul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ent the first friendly delegation to Asia and Africa to resolve the voting ‘crisis’ on the Korea issue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this wa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passive in its diplomacy towards neutral countries, acting under pressure from the UN diplomatic crisis. 본고는 1950년대 냉전의 최전선이자 ‘주변부’이던 남·북한이 또 다른 냉전의 주변부이자 탈식민 신생국이던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의 ‘중립국’들에 대해 어떠한 대외정책을 펼쳤는지를 밝혔다. 1956년 국내외의 복잡한 상황이 정리됨으로써, 자율성을 확보한 북한 지도부는 1957년부터 비사회주의 ‘중립국’들에 대한 ‘양자외교’를 펼쳐 나갔다. 그 결과 1957년 북한은 처음으로 비사회주의 ‘중립국’ 인도네시아·인도·버마·이집트 등과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남한 정부는 1957년 커져가는 유엔발 외교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친선사절단을 ‘중립국’이 포함된 아시아·중동·아프리카 지역에 처음으로 파견했다. 흥미롭게도 남·북한 모두 1957년 방문한 동남아시아 및 중동 지역의 탈식민 중립국들에서 식민경험에 주목했다. 이처럼 1957년 실행된 남·북한 ‘중립국’ 외교의 시작은 북한이 무역협정 및 문화협정을 체결하는 등 적극성을 보인 반면 남한은 유엔에서 발생한 위기에 대응하는 수동적 성격이 컸다.

      • KCI등재

        냉전과 탈냉전 시기 한국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성격: 전쟁과 평화, 통일 문제를 중심으로

        김도민 강원사학회 2019 江原史學 Vol.0 No.32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nationalism in the period of the Cold War and the Post-Cold War era, and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Korean nationalism around the issue of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nationalism has sometimes pursued horizontal solidarity among the minorities as a resistance nationalism, but it has also functioned as a vertical discrimination power of a strong and superior nationalism. As the South-North Korea relations and North Korea-America relations change in 2018, the issue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ttracting attention. Korean nationalism should be reconstructed for horizontal solidarity while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vertic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nd the value of the horizontal solidarity must be peace and human rights. 본 논문은 한국 민족주의가 냉전과 탈냉전 시기 어떠한 형태로 역사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를 둘러싸고 한국 민족주의가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했다. 냉전 시기 한국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는 1950년대 이승만 정권과 1960년대박정희 정권 시기를 살펴보았다. 첫째 이승만정권은 한국 민족주의의 반공적 성격을 혈연적, 폐쇄적인 단일 민족주의 특성과 연결 시켰다. 그러나 한국 지식인들은 냉전의 한복판을 살았음에도 약소민족에 대한 연대와 반식민, 반전 사상을 노래하기도 했다. 둘째 1960년대 박정희정권은 민족 주체성, 한국적 민족주의를 주장했으며 반면 저항세력은 한일협정반대를기점으로 박정희 정권은 가짜 민족주의이며 자신들이 진정한 민족주의 세력임을주장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일협정 반대 세력들은 1965년 베트남파병에 대해침묵함으로써 약소민족과의 연대성을 상실했다. 탈냉전 시기 한국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는 1990년대와 2000년 전후를 중심으로살펴보았다. 첫째 1990년 전후 탈냉전의 도래와 함께 한국 민족주의는 고양됐는데, 특히 반미(反美)와 반일(反日)의 형태를 보였는데 이는 모두 ‘가부장’ 성격을 지니고있었다. 즉 1990년대 일본군 ‘위안부’와 미군 ‘위안부’는 등장했음에도 그들은 남성적, 반일 혹은 반미 민족주의라는 맥락에서 주목받았을 뿐, ‘위안부’ 시스템을 낳은전쟁체제와 여성인권은 한국 민족주의의 고양 속에서 외려 배제되었다. 둘째 2000년을 전후하여 평화와 인권을 중심에 둔 아래로부터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아래로부터의 평화를 향한 새로운 흐름은 문재인 정권이 이전 정권과 달리2018년 평화와 번영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능케 한 원동력이었다. 즉 평화와 인권, 차별없는 사회에 대한 고민이 기존의 가부장적, 발전주의적, 혈연적, 폐쇄적이던 한국 민족주의를 아래에서부터 변화시키고 있었다. 2018년 남북 관계와 북미 관계가 변화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가 주목받는 현재, 한국 민족주의는 수직적 차별과 배제의 역사를 성찰하면서 수평적 연대를 위해 재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수평적 연대의 가치는 평화와 인권이어야한다.

      • KCI등재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 경험과 그 영향

        김도민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early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went to study in West Germany in the 1960s and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s on the Korean military. Under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Germany in 1964, from 1965, the 2 cadets of Korea military academy sent to West German Army Academy as a status of military cadet, and at the same time, officers attended the West German Command and Staff college. Looking at the related research papers, there is only research on the study of Korean military to the United States.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little literature on Korean military's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this article revealed the specific types and experiences of military study in West Germany by analyzing the oral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military collect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Oral History Research Group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10 ROK military officers were dispatched to three locations, including a military academy, a commanding and staff college, and a general university in West Germany. Furthermore, this article revealed how ROK military West German students tried to apply the German military system within the Korean military since the 1980s, when military officers or officers at the level of military officers experienced military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and promoted up to become a Korean military general. For example, the German mission-based tactics were included as an FM(Field Manual) and the German decree on military service were not only translated and but applied to some ROKA units. Not only did some of the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had experienced studying in West Germany studied American military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able to confirm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merican military system and German one. It is expected that the concrete situation of West German military study by the Korean military will be restored through the voices of experienced peoples, as well as fill the gap of hist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Germany 본고는 1960년대 서독으로 군사유학을 갔던 초창기 한국군 장교의 경험과 그들의 경험이 한국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1964년 한국과 독일 간 협정에 따라 1965년 한국군은 처음으로 서독에 육군사관학교 생도 2명을 파겼했으며, 이후 한국군의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들도 서독 지휘참모대학에서 수학했다. 그동안 한국군의 해외 군사유학에 관련한 연구는 미국 지역에만 한정되어 있었다. 본고는 처음으로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의 양상과 실태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본고는 한국군의 서독 군사유학 관련한 문헌자료가 거의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단이 수집한 한국군 관련 구술자료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서독 군사유학의 유형 및 경험을 밝힐 수 있었다. 초창기 한국군 장교들의 서독 군사유학은 육군사관학교·지휘참모대학·일반대학 등 세 곳에 10명 남짓 파견되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한국군의 사관생도이거나 위관급 수준의 장교들이 초기 서독 군사유학을 경험한 후, 1980년 전후부터 한국군 내에서 장성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군 내에 독일식 군사 시스템을 적용하려고 했다. 특히 독일식 임무형 전술이 교범 내용으로 중요하게 포함되거나 독일군의 복무규율이 그대로 번역되어 한국군 일부 부대에서 적용되는 사례 등이 있었다. 흥미롭게도 독일 군사유학을 경험한 한국군 장교들 중 일부는 미국 군사유학도 동시에 했다. 따라서 미국과 서독의 군사유학을 모두 경험한 인물들은 미국식 시스템과 독일식 시스템의 비교 및 평가하는 구술을 남기기도 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에 전혀 밝혀지지 못했던 한국군의 초창기 독일 군사유학의 구체적인 실태를 실제 경험한 구술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복원했을 뿐 아니라, 군사적 차원의 한독관계사의 양상을 밝힘으로써 기존 한독관계사 연구의 공백도 채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1964~1968년 박정희 정부의 중립국 외교와 유엔에서 한국문제의 ‘자동상정’ 문제

        김도민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diplomacy of South Korea towards ‘neutral countries’ from 1965 to 1968.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inherited the military government’s active neutrality diplomacy. However,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in 1964, the neutral country diplomacy faced great difficulties. First, in 1965, the South Korean government faced the diplomatic difficulty of being excluded from the list of invited nations to the second Asia-Africa Conference. Second, South Korea suffered a blow to UN diplomacy in 1965 when France, a free camp, opted out from co-sponsoring the Korean issues at the UN General Assembly because of Korea's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In response to this crisis in neutral diplomacy, in 1968,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of avoiding the annual automatic presentation of the Korean affairs at the UN General Assembly. 본고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박정희 정부가 펼친 중립국 외교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그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박정희 정부는 군사 정부의 적극적인 중립국 외교의 기조를 그대로 이어받았다. 그러나 1964년 한국군의 베트남파병을 기점으로 중립국 외교는큰 어려움에 봉착했다. 첫째 한국은 제2차 아시아·아프리카 회의의 초청국에서 제외 당했다. 둘째 한국은 1965년 자유진영의 프랑스가 한국의 베트남파병을 이유로 유엔총회에서 한국문제의 공동제안국에서 빠짐으로써 유엔외교에서 타격을 입었다. 이러한 중립국 외교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써, 1968년 박정희 정부는 유엔총회에서 한국문제의 연례자동상정 지양정책을 실행했다. 이로써 약 20년 동안 한국 정부가 견지해온 유엔외교는 전환점을 맞이했다.

      • KCI등재

        Buckling analysis of thin-walled box beams under arbitrary loads with general boundary conditions using higher-order beam theory

        김도민,최수민,장강원,윤영 대한기계학회 2019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3 No.5

        When a higher-order or generalized beam theory is used for the buckling analysis of thin-walled beams, the analysis accuracy critically depends on the number and shapes of the cross-sectional modes associated with warping and distortion. In the study, we propose to use the hierarchically-derived cross-sectional modes consistent with the higher-order beam theory for the analysis of pre-buckling stress and buckling load. The proposed formulation is applicable to any box beams subjected to arbitrary loads and general boundary conditions.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performing buckling analyses for axial, bending, torsional, and general loadings. Length-to-height ratios of the beams are also varied from 1 to 100. If up to fifty cross-sectional and rigid-body modes are employed, the calculated buckling loads are found to match favorably those predicted by the shell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at a unified buckling analysis under general loads is developed for box beams,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s new possibilities for the efficient buckling analysis of more general box beam structures involving several joints.

      • KCI등재
      • KCI등재

        유닛 모듈러 공법의 특성요인 분석 및 시장진출전략

        김도민,이정석,주형,재준,Kim, Domin,Lee, Jeongseok,Kim, Juhyung,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1

        Modular system is a construction method which installs factory-manufactured units on site. It enables to reduce the dur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Nevertheless, the unit modular system is restrictively applied to domestic market such as barracks, education facilities, low-rise housing. To motivate the application of unit modular system, this study figures out important attributes of the unit modular system in a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Finally this study suggest marketing strategies and influential factor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based on those attributes focusing on the apartment housing. As a result, Unit modular System in the domestic market has strength on constructability, but it show weakness on usability and economic aspects which are more important in apartment housing market. Thus an improved technology in usability and economic aspects are required to activate the market. 유닛 모듈러 공법은 공장생산에 의한 공기단축, 품질관리, 친환경성 등 기존공법과 다른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군 병영시설, 학교, 소형주택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공법의 시장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해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특성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및 기술수준을 IPA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모듈러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유닛 모듈러 공법을 공동주택 시장에 적용함에 있어 사용성 및 경제성 측면의 특성요인들이 중요하게 평가되었으나, 현재 기술수준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시공성 측면의 특성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유닛 모듈러 공법을 공동주택 시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공성 측면의 높은 기술수준을 바탕으로 사용성, 경제성 측면의 특성요인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화천 ‘평화의 댐’의 ‘물문화관’ 전시 내용 분석과 개선 방향

        김도민 강원사학회 2023 江原史學 Vol.- No.41

        본고는 연구자가 2022, 23년에 걸쳐 화천 ‘평화의 댐’ 내 ‘물문화관’을 여러차례 방문한 경험을 토대로, 이 기념관의 전시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제시한 것이다. 먼저 본고는 2018년 재개장한 현재의 물문화관의 전시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현재 전시 내용은 주로 신문 자료를 활용해 ‘반공적’ ‘반북적’ 관점에서만 제시하고있을 뿐, 관련 논쟁이나 현지 주민의 시각은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전시 내용의 개선 방향을 자료와 관련하여 두 가지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당대 지역사의 맥락을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관점을 포함하는신문자료를 정리, 분석했다. 특히 본고는 평화의 댐 관련하여 당대 발행된 지역 신문인강원일보를 처음으로 연구에 활용했다. 또한 중앙일간지에서 확인 가능한 지역 관련기사, 즉 현지를 방문한 기자가 작성한 기사를 정리했다. 이로써 지역에서 바라본 평화의댐이란 무엇이었는지, 그것이 중앙이나 일반 국민의 관점과 무엇이 같고 다른지를 포착하고자 했다. 둘째 본고는 2023년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사료관에서 처음으로 공개한외교사료를 활용하여, 관련한 역사적 사실을 보완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제안했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of visiting the 'Water Culture Museum' within Gangwon-do's 'Peace Dam' several times over 2022 and 2023, the exhibition contents of this memorial hall were analyzed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First, this paper specifically analyzed the exhibitions of the current Water Culture Center, which reopened in 2018. The current exhibition contents only present newspaper materials from the time from an ‘anti-communist’ and ‘anti-North Korean’ perspective, and do not present any related controversies or the perspectives of local residents.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ed to suggest two ways to improve the exhibition contents in relation to the materials. First, it aims to reveal the context of local history at the time. Second, this paper used diplomatic records released for the first time by the Republic of Korea Diplomatic Archives in 2023 and proposed matters necessary to supplement related historical facts.

      • KCI등재

        1970~75년 북한의 쁠럭불가담(non-alignment) 인식과 활동: 쁠럭불가담 회의를 중심으로

        김도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3

        본고는 1970~1975년 북한의 쁠럭불가담(non-alignment) 관련 인식과대외활동의 양상을, 쁠럭불가담 회의의 한반도 결의안과 북한의 가입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북한은 1970년부터 다시 열리기 시작한 쁠럭불가담 수뇌자회의에 대해적극적으로 대외활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특히 북한은 1973년 열리는쁠럭불가담 수뇌자회의의 한반도 문제 관련 선언·결의문에 김일성이 내세운 조국통일 5대강령의 내용이 반영되게끔 다방면으로 노력했다. 이는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제4차 쁠럭불가담 수뇌자회의 최종 선언문이발표된 직후, 북한은 한반도 관련 선언 및 결의문이야말로 자신들의 ‘자주적 대외정책’의 승리라고 규정하며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이러한 성과를이어받아, 1975년 페루 리마에서 열린 쁠럭불가담 외상회의에서 북한은남한을 따돌리고 홀로 가입에 성공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에 대해 북한은 자주적 대외정책의 성과이자, 김일성의 한반도 통일 방안에 대한 국제적 지지이며, 나아가 사회주의 진영의 강화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This study examines North Korea’s diplomacy toward the non-aligned countries from 1970 to 1975, focusing on the res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question at the Non-aligned Movement (NAM) conferences and North Korea’s membership in NAM. At the NAM Summit in 1973, North Korea made various lobbying efforts to ensure that declarations and resolutions related to Korean Peninsula issues were included in the agenda following a plan based on Kim Il-sung’s ‘Five-Point Program for National Unification’, which he proposed while criticizing South Korean president Park Chung-hee’s June 23 Declaration. Diplomatically, North Korea was quite successful. Later, at the 1975 NAM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Lima, Peru, North Korea’s NAM membership was officially accepted. Regarding this series of outcomes, North Korea claimed that it was the result of its independent foreign policy and that this strengthened the socialist cam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