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연계 고등학생과 공학 전공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이효녕 ( Hyon Yong Lee ),임영구 ( Young Goo 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글쓰기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광역시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자연 계열 318명과 전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공학 계열 학생447명을 대상으로 이공 계열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글쓰기 능력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효녕 외(2009)에 의해 개발된 이공계열 글쓰기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응답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에 대한 기초 인식 조사 결과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글쓰기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글쓰기에 관한 어려움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이수과목은 대부분 기초 글쓰기과목이고 이공 계열 글쓰기에 대한 과목은 거의 이수하지 않았다. 공학 계열 대학생의 전공별 글쓰기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조사에서 각 전공별로 학생들이 요구하는 글쓰기 교육의 수준이 달랐다. 글쓰기 교육의 전반적인 필요성에서 화학공학 계열이 가장 높았고 기계공학 계열과 전자공학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와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는 글쓰기를 가르치는 교사나 교수에 대한 연구, 글쓰기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그리고 대학의 전공별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track and engineering majo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A total of 318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track from two high schools in a metropolitan area and 447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from three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sked to response their perceived status and needs of writing education for science-engineering track. The survey instrument, developed by Lee et al.(2009), was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for Windows for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latively perceived that writing education was less necessary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 found writing less difficult than university students do. In related to studying their experience with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almost no high school students have taken writing classes and university students have taken an average of one class. Most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writing classes took basic writing classes that were not programmed for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e basic survey to revitalize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different majors, the level of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required by students in each major was different. Writing wa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students majoring in Chemical Engineering, followed by students majoring in Mechanical Engineering and Electronic Engineering. The study of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and college should extend to studies on teachers or professors who teach writing, studies on contents and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a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programs for different majors in university.

      • KCI등재

        Writing Anxiety Among Japanese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 Yoko Suganuma Oi ) 범태평양 응용언어학회 2023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지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analyse how Japanese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riting anxiety in academic writing classes changed over nine months. A total of 102 Japanese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an academic writing class. Two assessors evaluated the students’ compositions, using the same writing assessment rubric.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low, middle, and high proficiency groups―based on the results of a placement test before entering university. The students also complete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the Second Language Writing Anxiety Inventory (SLWAI).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LWAI scores for the first, middle, and final writing tests and among low, middle, and high proficiency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high proficiency group had different writing anxiety tendencies. It was found that somatic anxiety in students in the higher-level English proficiency group decreased, and that cognitive anxiety was reduced for the students in all proficiency groups. On the other hand, avoidance behaviour anxiety was not decreased.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writing anxiety might be related to English proficiency, because the ideas about academic writing varied among the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 KCI등재

        외국인 대학생의 ‘성찰 글쓰기’ 과목 개설을 위한 연구 - ‘자아 정체성’과 ‘문화 적응 스트레스’, ‘한국어 능력’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신윤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5 언어와 문화 Vol.11 No.3

        This thesis focuses on foundation research to outline content and direction of ‘self-reflection’ writing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class has been positioned as a ‘must’ not only a ‘necessary’ subject in un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Various writing classes such as writing classes tailored by departments, classic literature reading and writing, discussion and writing, show the writing classes have been diversified by considering students background and collaborated with related studies. The ‘self-reflection’ writing is related with a process of finding ‘self-identity’. Like other students,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are also in the stage of finding their own ‘self-identities’. Therefore, it’s necessary to design separate ‘self-reflection’ writing classes only for foreign students like other writing classes in universities today, as there are clear differences or common grounds between foreign and local students. However, ‘self-reflection’ writing is still very new concept to foreign student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correction between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self-identity’ finding such as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or stress from ‘cultural adoption’ and the ‘self-identity’ finding process. The research may provide a direction on ‘self-reflection’ writing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 process of finding ‘self-identity’ and ‘Korean proficiency’. This analysis result shows that ‘self-reflection’ writing class is a necessary class for all foreign students without regarding their level of Korean proficiency because their ‘self-identities’ finding process does not depend on Korean proficiency. However, there is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process of finding ‘self-identity’ and the level of stress for ‘Korea cultural adoption’, which shows a direction to design content for the ‘self-reflection’ classes. In a different word, providing content helping students’ Korean cultural adoption leading to reduce the stress of the cultural adoption process can help them to find their ‘self-identity’. Finally, it’s necessary to tailor the level of difficulties of literature material when we provide it to students, as the research shows the lower the Korean proficiency students have, the higher stress level they have for Korean cultural adoption.

      • KCI등재

        지방대 학생들을 위한 위안의 글쓰기 방안 연구 -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윤정안,장윤준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3

        이 글은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글쓰기를 통해 지방대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해 기획되었다. 글쓰기 수업에서 자기 성찰 글쓰기를 도입하여 학생들에게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고, 현재의 자신에게 자존감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한국의 대학은 서열화되어 있어, 지방대 학생들은 패배자로 인식되곤 한다. 이에 따라 지방대 학생들은 학습 의욕을 잃는 경우가 많다.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글쓰기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다니는 대학의 장점을 이해시키는 데 초점을 둔다. 이는 일종의 위안과 치유의 글쓰기로 볼 수 있다.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는 학술적 글쓰기 연습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으며, 3단 구성의 5단락 글쓰기로 진행된다. 학생들에게 작성 요령을 가르치고 함께 예상 독자를 분석한다. 이 글쓰기에서는 학생들과 함께 학교의 장점을 공유하는 과정이 필수이다. 분량이 적은 만큼 장점을 카테고리화시켜서 제시하며,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요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다니는 학교가 제법 괜찮은 학교임을 이해하게 된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되며, 학습 의욕을 갖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교수자에게도 의욕을 가진 학생들과 마주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 글쓰기를 진행한 후 수업 평가를 통해서 학교 선택에 대한 이유를 떠올리며 자부심을 느끼는 사례가 있기도 했다. 지방대는 지역의 산업은 물론이거니와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교육기관이다. 그러므로 지방대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대학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글쓰기가 지방대 학생들의 자존감과 학습 의욕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devised to enhance the self-esteem of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and promote their enthusiasm for learning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titled "Introducing Our School's Advantages." It is part of an initiative to incorporate self-reflective writing into the curriculum, allowing students to introspect and develop self-esteem in their current academic pursuits. In South Korea, universities are often ranked, and as a result,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can sometimes be unfairly stigmatized as underachievers. Consequently, many students lose their motivation to learn. "Introducing Our School's Advantages" focuses o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merits of the university they attend. It can be seen as a form of consolatory and therapeutic writing. The project is fundamentally designed as an exercise in academic writing, following a three-part structure with five paragraphs. Students are provided with guidelines for writing and engage in an analysis of their expected audience. In this writing task, it is essential for students to collaborate in sharing the strengths of their university. Given the limited length, the advantages are categorized and presented, and students are encouraged to provide concrete evidence.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ome to realize that the university they attend is indeed a reputable institution. As a result, students develop a sense of pride in their university and regain their enthusiasm for learning, allowing them to plan for their future with renewed vigor. This also means that educators encounter students who are eager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ir studies. In fact, there have been cases where students, after completing this writing task, reflected on their reasons for choosing their school and felt a sense of pride, as confirmed through course evaluations. Local universities are vital for the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of local industries and culture. To achieve this,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need to take pride in their academic institutions. "Introducing Our School's Advantages" aspires to contribute to this process.

      • KCI등재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인식 분석을 통한 교과 운영 개선 방안 : J대학의 학생 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조보람(Bo-Ram Cho),박종호(Jong-Ho Ba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찾고자 J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학습 내용, 글쓰기 자기 능력평가, 글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 글쓰기 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글쓰기 교육의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론 수업보다는 실제 글을 써보고 피드백을 받는 실제적인 글쓰기 수업을 원하였다. 또한 글의 내용을 구성하고 전개해가는 부분에 대한 능력을 키우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교육이 대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역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론 강의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글을 써볼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부여해야 하며, 전공 맞춤형 실무글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수업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글쓰기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하며, 대학 졸업 인증 요건 등의 방법을 통해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해서도 글쓰기 능력이 실무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는 글쓰기와 관련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writing learning, self-evaluation of writing ability, recognition of writing ability, and recognition of writing education direction to J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writ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ways to improve writing education. Through this, the improvement plan of writing education was discussed. As a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college students perceived writing ability as important, and they wanted practical writing classes that received feedback and wrote actual writing rather than theoretical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construct and develop the contents of the article. In order to make writing education a practical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theoretical lectures are important, but it is necessary to give enough time and opportunity to write in practice, and to develop customized practical writing.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writing clas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o make writing ability lead to practical competence even after graduation through the method of university graduati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ek the direc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writing.

      •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글쓰기 프로그램 -재외국민 학습자를 대상으로-

        송명진 ( Myung Jin Song ) 시학과 언어학회 2013 시학과 언어학 Vol.25 No.-

        This paper seek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Korean overseas resident students in the global project of university in Korea. Furthermore, tried to propose writing program for cultivating men of global ability. Korean overseas resident students were the bicultural human being. Most of them lived in a foreign country during an adolescent period. But they have a sense of identity as a Korean though long years of living abroad. Because of this Korean identity, They entered university in Korea. Therefore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 global elites concentrated on Korea. Writing education systems of university in Korea has been considerate of Korean overseas resident students unlike any other lectures. But writing education program must be more developed in two ways. The first, Korean overseas resident students should actively choose lectures of writing. Students must check ability of writing by oneself and must attend a lecture for writing level. For the purpose of active students, various classes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offered. The second, writing curriculums related to globalization need to be established. Global writing curriculums will be the basis of cultivating men of global ability. This paper is insufficient. But this paper will be important because of emphasis on Korean overseas resident students in the global project of university in Korea.

      • KCI등재후보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자기표현적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인 글쓰기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박영기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5 사고와표현 Vol.8 No.2

        This research seeks desirable lesson direction by introducing curriculum case study of expressive writing lecture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by introduc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effect of expressive writing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practical example of expressive writing lessons. Because there were rapid increase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nd there were increased needs of writing lesson for them lat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foreign students that they have better emotional stability and college life by expressive writing lesson. Students write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nd letter-writing during the expressive writing lesson. These activities can help their inner growth and healthier and satisfying college life in Korea. Examples of fellow student who took same lesson last semester are provided with class assignment. These examples act as medium which enha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ost of students could write outputs which contain introspection and his future aspirations by reading fellow’s examples. After they finished their writing, they can talk about themselves in front of their friends. By sharing innermost feeling each other, foreign student’s class became harmonious and their class attitude changed positively. And aside from this, student’s expressive writing outputs are shared in e-class and corrected by the teachers. Students can consult with teacher and after they submit their revised output at the end of term, it is evaluated by the teacher.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생의 자기표현적 글쓰기 수업의 교과 운영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바람직한 수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표현적 글쓰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적 효과, 예시문 활용을 통한 표현적 글쓰기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 외국인 대학생의 숫자가 늘어나고,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 학생들이 표현적 글쓰기를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내적으로 충만한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자기표현적 글쓰기 중 자기소개글과편지를 쓰게 되는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반추하고 표현함으로써내적으로 성장하고, 교우들과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여 만족할 만한 유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 때 지난 학기에 수강했던 동료들의 예시문이 수업 과제와 함께 제공되는데, 예시문은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들이 서로 간에 스스럼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매개체로 기능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 학기 동료 학생들이 쓴 예시글을읽으면서 공감했다. 편안한 상태에서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자신이 앞으로 꾸려나갈 미래에 대해 포부를 밝히는 글쓰기를 결과물로 남길 수 있었다. 글쓰기가끝난 후에는 자신의 글을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었다. 서로의 내밀한 감정에 대해 공유한 후에 외국인 반의 수업 분위기는 더욱 화목해지고 수업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후에 학생들이 쓴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결과물은 e-class라고 하는 사이버 강의실에 탑재하여 공유되고 교수자의 첨삭을 받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으며, 학기 말에 학생들이 수정하여서 제출하면 평가에 반영된다.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수업의 의의는 첫째, 경험을 매개로 하여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글로 표현함으로써 자아를 성찰하고 내적으로 성장하는 기회를 갖는다. 둘째, 어렵고 복잡한 구성과 형식을 취하는 다른 글쓰기에 비해 비교적 형식적 제약이 적으므로 자신감을 갖고 내적 체험을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다. 셋째, 자신의 경험을 스스로 정리하거나 타인에게 공표함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글쓰기에 대해 심리적거리감을 갖고 있던 학생들이 흥미와 함께 자부심을 얻고, 다음 단계의 정보 중심적인 글이나 학술적인 글쓰기를 계획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교양 글쓰기 운영과 개선방안 - G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분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백애송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시행된<생활과 글쓰기>수업에서 진행한 글쓰기 방식을 공유하여 외국인 유학생에게 글쓰기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는 것이다.외국인 유학생들에게 한국어 학습 목적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것도 중요하지만,정확한 글쓰기에도 중요하게 적용되는 부분이다.실제 말하기,읽기,쓰기,듣기 중 외국인 유학생들은 ‘쓰기’의 영역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있다. 이에 2장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학습자들의 글쓰기 확장 과정을 분석하였다.4단계에 걸쳐 외국인 유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글을 면밀하게 살펴보고,한국어로 된 작문을 통해 스스로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1단계 ‘유의미한 단어 의미 파악하기’,2단계 ‘문장 만들기’,3단계 ‘문단을 활용하여 한 편의 완성된 글작성하기’,4단계 ‘글다듬기’의 과정으로 학습자들이 스스로 단계별 한국어 학습을 통해 자신감과 함께 성취감 및 자기 함양이 향상되는 효용성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글쓰기 수업을 운영할 때 필요한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첫 번째는PBL을 활용한 팀티칭을 통해 자율적이면서도 자기 주도적인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방법이다.둘째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1:1 전용 튜터링을 상시 운영하는 것이다.튜터링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자신의 학과와 관련된 글쓰기 및 과제의 수행능력,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이러한 개선방안이 마련된다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고 더욱 전문인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과되는 학문 목적의 글쓰기뿐만 아니라 동기들과 원만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어려움을 극복하여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초교양으로써의 글쓰기 학습이 필요하다.다양한 학습법 제시가 미비하였다는 점에서 차후 더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접근의 차원에서 효과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by sharing the writing method conducted in the <Life and Writing> class conducted as a customized curriculum for foreign students. For foreign students, it is important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ut it is also an important part of accurate writing. Among actual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listening, foreign students are complaining of the most difficulties in the field of ‘writing’. Accordingly, Chapter 2 analyzed the writing expansion process of foreign student learners. In four stages, foreign students carefully examined their own writings and examined in detail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mselves through writing in Korean.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stage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eaningful words,” the second stage of “making sentences,” the third stage of “writing a completed article using a paragraph,” and the fourth stage of “stamping” increased learners’ confidence and self-cultivation. In the third chapter, the improvement plan to improve the necessary improvement of foreign students.The first is a method of providing self-directed writing ability to function while using PBL.Second is to operate a customized tube for foreign students.Through tuning, foreign students can promote writ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related to his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s related to his department.If this improvement plan is provided, learners can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more professional. It is necessary to learn successful universities by overcome difficulties in college students, not only writing difficulties to communicate with synchronization, but also need to communicate with synchronization with synchronization.In that various learning laws,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discussions in terms of various learning laws and empirical approaches.

      • KCI등재

        학부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 실제: P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문정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학부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 실제:P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문 정 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능력 제고를 위해 교과와 연계한 유학생 전용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운영 사례를 보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생활 현황과 쓰기 능력을 살피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교양교육에서의 글쓰기 수업 현황과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유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교양 지식을 함양시킬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 내용: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실제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수업 방법 및 내용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 및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외국인 유학생에게 결여되어 있는 교양 및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학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과 연계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핵심어: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 글쓰기,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 쓰기 교육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8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본 논문은 2022학년도 배재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됨. ** 배재대학교 기초교육부 조교수(Professor, Pai Chai Univ., Email: hyun@pcu.ac.kr) The Practice of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InternationalStudents: Focusing on the Operation Cases of P UniversityJunghyun Mu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n extra-curricular program connected with regular subjec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esent actual operation ca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life and the writing 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Additionally,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classe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nalyzed. Then, a case study of the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 with specific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at can develop their writing ability and liberal arts knowledge was presented. Further, th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survey verified the program's efficiency, and implications and subsequent task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 surve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ar writing, the program helped to acquire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that international students lacked and showed the necessity of the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 for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Key Words: Extra-curricular Program, University Writing, International Students, Liberal Arts Education,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글쓰기 교재 분석 -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글쓰기1, 2(류학생용)』(2013)을 중심으로

        오현아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18

        South Korea's research on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is accumulating to some extent, but research on the analysis of writing textbooks published by Kim Il Sung University and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s currently not conducted. Therefore, I tried to examine how writing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and conduct a full-fledged textbook analysis using Writing 1, 2 (for foreign Students) (2013)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id-2010s.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Writing 1, 2 (for students) (2013)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emphasizes grammar as a basic knowledge of writing, and an integrated approach to writing and grammar areas from a functional grammar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ocess-oriented writing textbook that expands from "sentence writing" to "paragraph writing" and "writing according to narrative type." In addition, not only everyday writing types but also writing types for academic purposes in specific major fields were presented, suggesting that the purpose of foreign students coming to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was not only for general purposes but also for academic purposes.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writing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hile boosting academic discussions in this field.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