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SC의 활용목적에 따른 가중치 설계

        김주은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5

        BSC is an integrated system that connects the organization and work, such as performance evaluation and strategic objectives that can be applied smoothly in various environments. Companies are subject to a screening of the first administr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limited resources. This weighting for the BSC point of view is that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of the companies. BSC perspective’s weight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ic goals of the next. However, the operating results of the BSC would not have been tested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of the weights established company entirel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of weight designs in accordance with utilizing purpose for the purpose of corporate internal and external management about post-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the BSC. It analyzed the 53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a domestic BSC. The utilizing purpose of the BSC divided into three kinds. That is strategy performance evalu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external repor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less of the utilizing purpose of BSC, financial perspective’s weight is about 43%, the weight of the customer perspective and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is 21-22% respectively,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is found to be 14%. Looking at the point of view of significant low-evaluated in each case, for the strategy evaluation, Whereas the weight of the customer and internal process is 22-23%, the weight of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is evaluated by the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13%. In Performance evaluation, the customer’s perspective is about 18%.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had been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by about 15% as compared to the equivalent weight of 25%. In contrast, when the company want to notice the performance to external stakehold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design of the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particular, the customer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were given a weight of about 7-8% for the more, the difference was very significantly higher weight compared to the design for other utilizing purposes. As a result, in case of strategy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relative importance is a sequence of the financial, customer, internal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Whereas in case of external publicity, relative importance is a sequence of the financial, customer, learning and growth and internal perspective. This may confirm the company’s intention to companies who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long-term growth and development of businesses by highlighting the results of the various relationship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is view is that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BSC is different to the context of the various decision-making. However, companies appeared to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financial perspective. This is consistent with results of previous studies part of the weight design.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Since this study is the result of empirical and only 53 companies in the sample, However, the authors expect to be provided initiatives for improved utilization of the BSC through a variety of studies for the future. BSC를 도입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은 차기의 전략적 목표에 따라 사전적으로 BSC에 대한 가중치 설계를 하게 된다. 그러나 기업의 한정적 자원의 집중과 배분을 위하여 수립된 사전적 의미의 가중치 설계대로 각 관점의 결과가 평가 받지는 않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BSC의 사후적인 성과결과에 대해서 기업 내・외부적 관리의 목적으로 성과평가 결과를 활용하고자 할 때 활용목적별로 부여하고 있는 관점별 가중치 설계의 차이를 조사하고 평가목적에 따라 중요시되는 관점을 선별하고자 한다. 활용목적은 전략수행평가, 성과평가, 외부공표 시로 구분하고, 활용목적에 따른 관점별 가중치의 크기를 비교하고 국내 기업의 평균적인 가중치 부여의 실태와 특징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전략실행평가와 성과평가 등 내부 운영관리의 목적으로 결과분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재무 42%, 고객과 내부 관점 각 21∼22%, 학습관점 14%선에서 가중치가 결정되며, 네 개 관점의 가중치 모두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반해 외부관계자들, 즉 주주, 외부 협력업체 및 공급업체, 주요 핵심고객들에 대해 기업의 성과를 공지하고자 할 때는 전략실행평가와 성과평가시의 가중치 설계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고객관점과 학습관점에 대해서 약 7∼8%의 가중치를 더 부여하며, 매우 유의하게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전략실행평가와 성과평가 시에는 외부공표시보다 내부 프로세스 관점에 대한 가중치가 7∼8% 높게 부여되었다. 결국, 전략실행평가와 성과평가 시에는 재무, 고객, 내부, 학습의 순으로 각 관점의 상대적 중요도가 부여되는 반면, 외부 공표 시에는 재무, 고객, 학습, 내부 관점의 순으로 각 관점의 중요도가 부여되었다. 이는 기업이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다양한 관계개선 및 의사결정시 이들의 성과개선에 대한 결과를 부각함으로써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발전의 가능성을 나타내고자 하는 기업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공적연금제도의 평가와 정책적 함의

        박순일,홍성하 한국경제발전학회 2015 經濟發展硏究 Vol.21 No.1

        한국은 공적연금의 운영에서 중요한 전환기를 직면하고 있다. 군인연금과 마찬가지로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연금제도는 자체 기금만으로는 수급자에게 연금급여를 지급할 수 없는 상황에 있거나 곧 그렇게 될 것이다. 또한 공적연금제도의 재정적 지급능력의 부족과 더불어 제도의 목적인 빈곤해소와 퇴직후 생활안정을 보장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한국의 공적연금제도는 빈곤해소, 생애소득의 안정화 및 재정안정이라는 제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개혁되어야 한다. 공공연금제도의개혁은 제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논리적 절차를 취해야 한다. 첫째, 각 연금제도는 재정안정화와 재정부담의 다음세대로의 전가를 막기 위해 세대내의 수익비는 1로 맞추어져 수지균등을 이루어야 한다. 둘째, 퇴직 후생활의 빈곤을 제거하기 위해 특히 공무원 및 사립하교교직원 연금급여구조에 세대내의 재분배 장치가 들어 와야 한다. 셋째, 국민연금제도 빈곤완화를 위해 동일한 논리가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Korea has faced a critical turning-point in the management of public pension systems. The systems could not pay pension benefits by their own funds in the pensions of public civil servants and private school teachers as well as military pension. The poverty and stable retirement life are not also secured by the pub;ic pension systems in addition to the financial incapacity of payment. Korean public pension system has to be reformed fundamentally to attain the system's goals, such as poverty eradication and life-time income smoothing of the aged and financial stability. The restructuring of public pension systems have to follow the formulae of attaining those purposes. The first rationale is to fix the benefit / cost ratio to be 1, namely the actuarially equilibrium state of benefit and contribution, in the same generation in order to remove financial deficit and not to transfer the financial debt to next generation. The second one is to install a redistribution mechanism in the same generation especially in public employees and teachers' pension systems which have now only theincome proportional benefit. And the National Pension system has also to be revised in the same rationale to lessen more poverty problem.

      • KCI우수등재

        통행수단별 소요시간과 비용이 가구소득계층별 통근통행자의 수단 및 목적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효용기반 접근도 개념에 근거하여 -

        장성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1

        본 연구는 통행자가 수단과 목적지를 선택함에 있어 판단 기준이 되는 선택대안들의 효용을 산술적으로 계량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통행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소득계층별 통행자가 수단과 목적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판단의 근거가 되는 효용을기준으로 통행특성을 구하고 이를 분석하였다는 점은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주택정책에서 분류하는 공공임대주택 수급자기준에 근거하여 통행자를 세 가지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별통행특성을 분석하였다. 통행목적은 통근통행으로 한정하였다. 통행수단은 자가용과 대중교통으로 구분하였고, 기종점간의 수단별 통행시간과 비용이 수단선택과 통행분포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함으로써, 통행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지역별 효용기반 접근도 산출 관련 연구에 앞선선행연구로의 의미 뿐 아니라, 효용기반 접근도 개념에 기초하여 지역간 효용기반 접근도를 산정하고, 이를 근거로 소득계층별 통행자의 통행특성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하나의 연구논문의완결성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 KCI등재

        소득 및 후생 변화를 통한 농지범용화 시범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임채환,하용현,김도훈,안동환,이향미,김관수 한국농촌계획학회 2022 농촌계획 Vol.28 No.2

        The food self-sufficiency rat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excluding rice, is around 20%, and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policies including a Multiple-Purpose Utilization of Paddy Fields project, to increase the self-sufficiency rate of major grains. The project for Multiple-Purpose Utilization of Paddy Fields is being promoted as a part of a program to create farmland infrastructure to facilitate the cultivation of crops other than rice in rice paddies, and pilot projects were started in four regions in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pilot project for Multiple-Purpose Utilization of Paddy Fields, and to propose polici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In order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we estimated the change in farm income generated by switching from rice to other crops, and measured the effect of welfare change using the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 (ED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welfare is expected to increase when the pilot project for Multiple-Purpose Utilization of Paddy Fields is implemented, and the income of the beneficiary farmers is also expected to improve compared to that of single-cropping when double-cropping is implemente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 differs depending on the crops converted. Juksan-myeon, Gimje-si, which is an area where soybean production was successful, was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ilot project. Their success factors were analyzed into four major factors: infrastructure, farming methods, edu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local agricultural organizations. If such a success story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arm household income and national economic welfare.

      • KCI등재

        스포츠센터의 스포츠 수요 만족을 위한 효율적 경영관리

        구우영,임연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like the following by the subject of 431 memberships and 230 staffs who took part in sports activities in the city of Busan or Ulsan : that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information course, utility purpose, transportation, demand items about sports center, thus to operate sports center effectively and to arrange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grasp the desire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s.The cross analysis to inquire frequence and differences about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was practic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memberships, in the course of getting information about sports center, were getting it directly in the center, while most staffs by means of somebody-family, relatives and etc. An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regarding utility purpose demonstrated that both memberships and staffs utilized sports center for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of their health. Also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transportation demonstrated that most of people utilized their cars while they went to the center.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demand items showed that memberships demanded convenience facility expansion strongly, while staffs wanted a moderate exercise environment. 본 연구는 부산, 울산 시내의 스포츠센터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스포츠센터 회원431명과 스포츠센터 종사자 230명을 대상으로 스포츠센터에 대한 정보경로, 이용목적, 교통수단, 요구사항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스포츠센터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소비자의 욕구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빈도분석과 인식도 및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론은 스포츠센터 회원과 종사자의 스포츠센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에서는 회원들은 스포츠센터에서 직접정보를 얻고 있다가 가장 높은 반면, 종사자들은 회원들이 인편(가족, 친지)등에 의해서 스포츠센터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이용목적에 대한 분석에서는 스포츠센터 회원과 종사자 모두 건강유지 및 증진이 스포츠센터를 이용하게 되는 목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스포츠센터 이용시 교통수단에 대한 분석에서도 스포츠센터 회원과 종사자 모두 자가용의 이용이 스포츠센터를 이용할 때의 교통수단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에서는 스포츠센터 회원은 편의시설확충에서 가장 높았고, 종사자는 좋은 운동환경에서 가장 높았다.

      • KCI등재

        스마트건설기술 도입목적이 스마트건설기술 유용성과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원 활용 효율성의 조절효과

        서진희,박상균,오주환,김지대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21 기술경영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introduction purposes, usefulness, and adoption inten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a construction firm.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resource utilization efficiency on this relationship. The empirical analysis with questionnaire data obtained from 150 domestic construction firm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low cost has a signigicant impact on the usefulness of softwar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e.g., BIM, IoT), while having no effect on the usefulness of hardwar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e.g., Robot, Drone). On the contrary, safety has a greater impact on the usefulness of hardwar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than softwar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Second, the usefulness of both software and hardwar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influences firms’ adoption inten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a positive way. Third, it is found that resource utilization efficien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oduction purposes and usefulness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some way.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산업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건설기술 도입과 관련하여, 스마트건설기술 도입목적 - 스마트건설기술 유용성 - 스마트건설기술 활용의도 관계를 조사하고, 자원활용 효율성 변수의 조절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국내 150개 건설시공업체를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마트건설기술 도입목적이 저원가인 경우, 소프트웨어 스마트건설기술(예, BIM와 IoT) 유용성이 크게 증가한 반면 하드웨어 스마트건설기술(예, Robot과 Drone) 유용성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스마트건설기술 도입목적이 안전인 경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스마트건설기술 유용성 모두가 증가하였지만, 소프트웨어 스마트건설기술보다는 하드웨어 스마트건설기술 유용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스마트건설기술 유용성은 모두 스마트건설기술 활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자원활용 효율성은 스마트건설기술 도입목적과 스마트건설기술 유용성간의 관계를 일정부분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맹자 번역의 몇 가지 문제제기-번역의 목적과 논리, 체재의 맥락에서-

        함영대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transla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has different pattern and implication from other general publications. The transla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has accompanied the critical mind of substantial period without stationing only in translation of classics only. This is the reason to review the purpose and reasoning of diverse translation works. Looking more in details for the translation of 『Mencius』, it demonstrates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ranslation works is based on the Collected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t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re is a tendency of interpreting Neo-Confucianism as its foundation. In the academic aspect, it may be caused by the completeness contained in the annotation of Zhu Xi, but even more important cause i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 deployment of Neo-Confucianism that retained its academic focus persist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in order to read the literature collection by the literary men of Joseon, one must understand the basic literature in Confucian scriptures, and it is reasonable to facilitate the Confucius insight that is the basis to read and record Confucian scriptures and this logic has substantial power of persuasion to share the same in the coriander class of the contemporary Confucian scriptures. However, looking into the process of translation of scriptures deployed after Annotation of Scripture that had been the critical turning point to translate Chinese writings in Korean,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purpose and reasoning of translation along with the system of realistic translation as much as the contents of translation and selection of translated version.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main translation outcome around the purpose and reasoning for transl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and Mencius. The focus and insight of th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 is confirmed to gradually take the routes of bold changes. The best and most recently assessed translated publication of Mencius included Mencius Jipju of Sung Baek-hyo, Hangul-version Mencius of Cha Ju-hwan, Mencius Gangseol of Lee Ki-dong, Mencius of Park Kyung-hwan, and Hangul Mencius of Lee Gil-ho, and for a rare case of translation by a foreign scholar, 『Mencius Annotation』 of Yang Baek-chun were assessed. The issue of erroneous translation, full translation of substantial data, translation in an aspect other than interpretation of Zhu Xi, reflection of Dasan's annotations and so forth are offers as the basis. If this trend is continued, the translated Jiao Xun(焦循)'s Definition of Mencius, Genuine Copy of Mencius of Japan's An Jung-hyung(안정형) and others will soon be assessed, and in addition, the translated publications that reflected on the annocation outcome of Joseon's scholars, including Dasan and Sungho along with various scholars would soon be assessed. What is clear is that the direction has been processed gradually toward the academic aspect, and the view to the interpretation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However, the outcome of Mencius Annotation that is intended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to children and women brings up the critical mind on the translation of scriptures that cannot be overlooked. 유교 경전의 번역은 일반적인 도서와는 그 결을 달리한다. 유교 경전의 번역은 단순히 고전의 번역에만 머무르지 않는 상당한 시대의 문제의식을 동반했다. 다양한 번역의 목적과 논리를 검토해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논의를 『맹자』의 번역으로 구체화 시켜보면 우리는 현존하는 번역본의 상당수는 주자의 집주에 근거한 것이라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전히 주자학을 근간에 두고 해석하려는 경향이 없지 않다. 그것은 학술성의 측면에서 주희의 주석이 지닌 완전성에 기인하는 점도 없지 않지만 더욱 중요한 원인은 조선시대 내내 그 학술적 중심성을 잃지 않았던 주자학의 사적 전개와도 무관하지 않다. 그러므로 조선 문인들의 문집을 읽어 내기 위해서는 그 기초문헌인 유가 경전에 대한 이해를 하지 않을 수 없고, 그 유가경전을 읽고 기록한 토대가 된 주자학적 시야를 활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논리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현대 유교경전의 향유층에 공유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문을 한글로 번역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던 경서언해 이후 전개된 경전번역의 과정을 살펴보면 번역의 내용과 번역어의 선정만큼이나 그 번역의 목적과 논리, 그리고 그것을 현실화한 번역의 체계를 한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유교경전, 『맹자』 번역의 목적과 논리를 중심으로 주요한 번역성과를 점검 본 결과 경전 번역의 중점과 시야는 점차 과감한 변화의 경로를 걷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근자에 평가된『맹자』의 가장 좋은 번역서는 성백효의 『맹자집주』와 차주환의 『한글판맹자』, 이기동의 『맹자강설』과 박경환의 『맹자』, 이을호의 『한글맹자』이 올랐으며, 외국학자의 번역으로는 드물게 양백준의 『맹자역주』가 평가받았다. 오역의 문제, 충실한 자료의 전역, 주희의 해석이 아닌 다른 측면에서의 번역, 다산의 주석 반영 등이 그 이유로 제시되었다. 이런 추세로 간다면 번역된 焦循의 『孟子正義』, 일본 安正衡의 『孟子定本』 등이 평가받을 날이 멀지 않으며, 또한 다산 뿐 아니라 성호 이익을 비롯한 다양한 조선 학자들의 주석 성과를 반영한 번역서가 평가받을 날도 멀지 않았다. 분명한 것은 그 방향은 점차 학술적인 국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해석의 시야는 점차 확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여전히 초동급부에게도 유교 경전의 내용을 보이고자 한 『언해맹자』의 성과는 여전히 간과할 수 없는 경전번역의 문제의식을 상기시킨다.

      • KCI등재

        논밭 범용화사업의 사회적 후생효과 추정 : 식량작물을 중심으로

        강민정(Minjeong Kang),민선형(Sunhyung Min),안동환(Donghwan An),김지은(Jieun Kim),김관수(Kwansoo Kim),이향미(Hyangmi Yi)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9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6 No.4

        This study examined social welfare effects of the ‘Multiple-Purpose Utilization Project for Paddy Field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project would be implemented for 41,447ha in Korea for 21 years, we found that the effects of the project depend on durable years of the infrastructure, farmers’ choices on which crops to plant, and double-cropped area. We also found that the net benefits from the project were 3,699.7~3,717.1 billion won for 51 years under 30 years durability and 4,937.1~4,956.2 billion won for 71 years under 50 years of durability. However, the project would have negative economic effects when farmers who participate keep cultivating ric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give farmers a form of incentives such as income assistance to encourage them to cultivate field crops.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선택요인 중 입지, 점포 및 상품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김진우,이장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소자본 창업 아이템으로 꼽히는 주요업종 중 하나가 커피전문점이다. 우리나라 커피시장은 단기간에 거대시장으로 고속 성장했으나 이제는 매우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커피전문점을 찾는 소비자들의 행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시장특성 파악 및 창업전략 관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에 대한 소비동기와 선택요인 등에 대한 다양한 비교와 상호 연관성 등을 실증 분석하였다. 우리는 커피전문점 방문목적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군집분석 및 분산분석 등을 통하여 방문목적, 즉 커피 소비동기의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소비동기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관점이나 이용형태 등에서 몇 가지 차별적 특성을 발견하였다. 그 중 커피전문점은 소비자에게 공간이용 효용을 제공하는 성향이 매우 유의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품, 점포 및 입지요인 등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선택요인 별로 소비자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상품요인보다 점포 및 입지요인 등이 소비자에게 더 중요하게 인식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Milliman (1986)이 고객의 구매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서 물리적 환경이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됨을 보인 것과 맥락이 같다. 결국 커피전문점은 소비자에게 공간이용 효용을 제공하는 부동산 재화와 유사한 성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근 대형 매장을 갖춘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급속한 성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Coffee specialty shop is one of ready-to-be-chosen item for small capital start-ups. Coffee market in Korea has witnessed remarkable growth in the short run, and is now facing fierce competition ahead. So,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s visiting coffee specialty shops may be critical to comprehension of market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ng start-up strategies. Our research is dedicated to empirically analyzing consumer motivation and selection drivers in coffee specialty market. Based on questionnaires we carry ou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 document that we find there are a variety of consumer motivation in coffee specialty market and that this kind of variety is related to demographics. What is differentiable in our research is that coffee specialty shops a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chosen by consumers for the purpose of enjoying utility from use of physical space. In addition, consumer recognitions are also differentiated in product itself, shops, and location, which partly supports the idea that shops and location ar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product itself. We document that we find some similarity of coffee specialty shops to real estate in that coffee specialty shops also provide utility of using physical space. Our finding is coincident with Milliman (1986), which shows that physical environment is a very critical clue to customer’s intention to buy. This finding may be helpful in explaining the trend that brand coffee specialty shops with voluminous spaces are currently growing rapidly in Korea.

      • KCI등재후보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박정진 ( Park Jungj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3 No.-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해 빈도 분석과 함께 성별, 전공별, 성적별 인식 차이를 탐색하였다. 우선, 대학생들은 쓰기 개념을 필자의 생각을 표현하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학생들은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는 하나 자신의 쓰기 능력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으며, 자신의 전공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쓰기 인식에 대한 전공별 인식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공학이나 자연계열 학생들에 비해 인문이나 사회계열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쓰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끝으로, 대학생들은 오프라인 쓰기보다 온라인 쓰기를 훨씬 더 자주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인문과 사회계열이 공학계열보다,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활발한 글쓰기를 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쓰기가 자신의 생각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즐거운 경험임을 인식하게 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자연과 공학계열 학생들의 쓰기 인식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중심의 새로운 쓰기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가 절실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writing.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surve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genders, majors, and grades. First,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concept of writing as a process of expressing writers' thoughts. And al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they felt negative about their writing skills and their awareness on its relevance to their majors was rather low. There was also a clear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writing depending on students’ majors. Compared to students who major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students who major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were relatively more positive about writing. Finally, college students were much more likely to write online than to write offline. Furthermore, both in the online writing and in the offline writing, female students were more active than males ones, and humanities and social majors were more active than engineering ones, and students in the group of higher grades were more active than those in lower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