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를 바라봄": 플라톤과 플로티누스를 중심으로

        이순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이 논문의 의도는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서 "미를 바라봄"의 의미를 모색하는 가운데, 감각적인 미에 대한 시각적 경험에서 예지적인 절대미에 대한 관조로 나아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감성계의 아름다움에 눈을 돌리는 "보는 힘"이 바로 진정한 아름다움, 즉 진리의 원천을 인식하는 출발점임을 강조하는 데 있다.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 미는 사물이 미의 형상에 참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되는 사물의 한 속성이다. 그래서 영혼은 아름다운 사물을 바라보면서 영혼이 이전에 보았던 미의 형상을 상기함으로써 미를 시각적으로 경험한다. 감성적인 미의 원인은 예지적 원리이다. 모든 감성적인 미는 일자로부터 유출된 형상에의 참여에 근거하므로, 오직 조화, 균제, 비례와 같은 단일성의 현상 형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적 특질을 지닌 감성적 미는 아름다움의 원인인 비가시적인 근원을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따라서 감성적 미의 원인이 본질적 의미에서 아름답다. 우리의 영혼이 감성적 미로부터 그것의 원인인 예지적 원리를 보는 것은, 스스로가 단일한 존재인 형상 혹은 지성이 되는, 자기 자신으로의 상기적인 회귀 즉 영혼의 정화를 통해서이다. 이때 모든 덕들은 영혼을 자신의 고유한 원리로 인도해 가는 일종의 정화로서, 영혼을 단일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영혼은 덕의 미에 의한 정화를 통해서 감성적 미를 벗어나 예지적 미를 볼 수 있다. 스스로 지성이 된 덕스러운 영혼은 더 나아가 모든 미의 원천인 절대적인 미 즉 일자를 추구한다. 영혼은 정신적 수양을 통해 육안을 닫고 심안을 떠야 마침내 단일한 절대적 미를 관조할 수 있다. 심안을 통해 영혼은 자기 자신을 확인할 뿐 아니라 내적으로 아름답게 된다. 일자는 절대적 미이며 모든 미의 초월적인 원인으로서, 모든 존재자들에게 단일성을 부여하며 그와 동시에 모든 것을 아름답게 만든다. 이때 미는 자신의 원인인 일자의 비가시적 초월성을 매우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즉 미는 일자의 가시화이다. 따라서 영혼은 미를 봄으로써 미의 현상적 특징인 단일성을 단서로 하여 감성적 세계에서 예지적 세계로, 더 나아가 자신의 원천인 일자에 도달하는 정신적 상승을 성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도 가시적인 상을 통해 예지적 원리를 비쳐 보임으로써, 우리 영혼에게 미의 원천을 상기시켜 예지적 세계로 나아가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 있어서 "미를 바라봄"은, 우리 영혼이 감각적 세계로부터 예지적 세계로 나아가 진리에 이르는 애지의 출발점이자 "디딤돌"이며, 따라서 영혼은 감각적 미를 바라보는 경험을 동인으로 하여 감각계와 예지계의 매개를 성취할 수 있다.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at the sight's ability to turn one's eyes to the sensible beauty is the starting point to apprehend the true beauty, the source of truth by examining the process of proceeding from the visual experience of sensible beauty to the contemplation of the intelligible and absolute beauty, in exploring the meaning of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For Plato and Plotinus, beauty is a property of things which are made beautiful by participating in Form of beauty. So the soul perceives visually beauty by recalling the Form of beauty which the soul have seen before, in looking at a beautiful thing. The cause of the sensible beauty is the intelligible principle. Every sensible beauty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Form which is emanated from the One and therefore it appear only in the phenomenal form such as symmetry, proportion and harmony. The sensible beauty of this phenomenal quality is transparent about the invisible origin, or the cause of beauty. Therefore the cause of the sensible beauty is intrinsically beautiful. Our soul attains from the sensible beauty to its intelligible principle, or its cause through purification that is its anamnestic return to its original self by which soul itself becomes the Form or intellect(vovs) as single being. Here all virtues make soul single and beautiful as a purification of soul bringing it back to itself and its origin in intellect and the Forms. So soul is able to leave the sensible beauty and see the intelligible beauty through purification by the beauty of virtue. Further the virtuous soul which itself has become intellect seeks the absolute beauty, or the spring of all beauties, the One(τo εν). When soul shuts its eyes and wakes the inner sight through a spiritual discipline, just then it can contemplate the single and absolute beauty. By the inner sight soul goes back into itself and further makes itself beautiful internally. The One is the absolute beauty and the transcendent cause of all beauties, and so it gives unity to all beings and makes all things beautiful at the same time. Here beauty is transparent about the invisible transcendence of the One, its own cause. In other words, beauty is the visibility of the One. Therefore soul can ascend from the sensible to the intelligible and further to the One, or its own source by seeing beauty and making the unity that is a phenomenal character of beauty its motive. In this way, soul achieves the spiritual ascension. In this sense, art is also able to play a role in helping soul go up to the intelligible world. For works of art are transparent about the intelligible principle through their visible image, they are fully capable not only of recalling the source of beauty but of providing direct access to intellect and the One. Thus, "the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stepping stone for "philosophia" which goes from the sensible to the intelligible and then toward the truth. So, soul realizes the link between the sensible and intelligible, by being provoked from the experience to look at the sensible beauty.

      • KCI등재

        마르실리오 피치노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

        이순아 ( Soon Ah Lee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논문의 의도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Marsilio Ficino, 1433-99)의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플라톤과 플로티누스가 하나의 통일적인 근본사상으로 소생되어 있는 피치노의 사상은 미는 선의 광휘라는 플라톤주의적 성찰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르네상스 예술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인문주의와 <플라톤 아카데미>를 배경으로, 피치노는 `플라톤 신학`을 통해 플라톤 철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본질적인 일치를 증명하였다. 『플라톤 신학』의 부제는 영혼불멸성으로서, 영혼을 중심적 위치로 하는 우주론적 존재위계를 체계화하였다. 우주의 매개자로서의 인간영혼의 목표는 점진적인 내적 상승 즉 관조를 통한 신과의 합일이며, 이때 인간은 영혼불멸을 얻는다. 따라서 영혼불멸성은 인간의 존엄과 신성의 근거이다. 피치노의 우주론과 관련하여, 미는 능동적으로 사랑을 베푸시는 신이 맨 먼저 천사들을 비추고 나서 인간의 영혼을 조명하고 마지막으로 물질세계를 밝혀주는 신의 자태의 광휘이다. 이러한 미의 본질적 특성이 현상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미의 또 다른 원리는 수적질서이다. 따라서 미는 `신성이 빛나는 비례`이며, 사랑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인간영혼의 상승의 동인이다. 신적 선의 광휘로서의 미를 향유하려는 욕구인 사랑은 우주적 조화와 통일의 원리로서, 신적·예지적인 것과 감각적인 것을 매개한다. 사랑의 광기를 통하여 인간영혼은 신과 합일하고 지고한 행복과 영혼불멸을 얻는다. 바로 이것이 피치노의 `플라톤적 사랑`의 의미이다. 이로써 피치노 사상의 궁극 목표인, 플라톤주의 전통으로부터 유래하는 인간영혼의 신에게로의 내적 상승이라는 관념을 전제로 하고, 그의 철학의 지축인 영혼불멸성 및 미와 사랑의 관계와 관련하여, 피치노에게 미는 인간영혼의 내적 상승의 동인이다. 즉 피치노의 `플라톤적 신학`에서 미 개념의 실제적 의미는, 바로 인간이 신적 선함이 반사된 아름다운 사물을 봄으로써 불러 일으켜져서 자기 자신을 성찰하게 되고 내적으로 아름다운 선한 존재로 변형되어 자신의 신성을 발견하게 된다는 데 있다. The intention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beauty in the philosophy of the Italian Renaissance philosopher Marsilio Ficino(1433-99). In Ficino`s writings Plato and Plotinus are revived as a unified doctrine, and the Platonic reflection that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good is central. As such, Ficino`s thought had a vast influence on the culture and the arts of the Renaissance. With humanism and the Platonic Academy in the background, Ficino proved, through `Platonic theology,` the essential unity between Platonic philosophy and Christian theology. The subtitle of Theologia Platonica i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this work, he systematized the cosmic hierarchy of being in which the soul occupies the central place. The goal of the human soul as the mediator of the universe is the gradual inner ascent, or unity with God through contemplation, and this is when man acquires an immortal soul. Accordingly, the immortal soul is the evidence of human dignity and divinity. In connection with Ficino`s cosmology,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divine countenance, in which the actively loving God first lights the angels, then illuminates the human souls, and lastly shines the material world. Another principle of beauty, as the precondition for the revelation of this beauty, is the mathematical order. Accordingly, beauty is the lucid proportion(lucida proportio), and it motivates the ascent of the human soul by arousing love. Love, which is the desire for enjoying beauty as the radiance of divine goodness, is the principle for cosmic harmony and unity; it mediates the divine and intelligible, and the sensible. Through love, the human soul becomes a union with God and acquires beatitude and immortality. This is the meaning of the "Platonic love," espoused by Ficino. Thus, in terms of the ultimate goal of Ficino`s thought, which takes as its premise the notion of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o God from the Platonic tradition, and in connection with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love, the two axes of his philosophy, beauty is the motive for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he real meaning of Ficino`s concept of beauty consist in the very fact that man is provoked by seeing the beautiful things which reflect the divine good so that he reflects on himself, transforms himself into the internally beautiful being, or Good itself, and finally finds his own divinity.

      • KCI등재

        의식 이론의 관점에서 본 『볼데마르』 -헤겔 『정신현상학』을 기초로-

        남기호 ( Nahm Ki 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2 가톨릭철학 Vol.- No.39

        이 글은 헤겔 『정신현상학』의 양심 부분에서 전개되는 아름다운 영혼의 두 의식 형태들을 야코비의 소설 『볼데마르』의 두 주인공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 해석은 구조적 유사성에 토대를 둔 정신현상학적인 소설 읽기라 할 수 있다. 야코비의 철학 소설 『볼데마르』는 아름다운 영혼들의 양심을 둘러싼 갈등과 화해의 이야기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헨리에테는 『정신현상학』에서 언급되는 행위하는 의식으로서 불행한 아름다운 영혼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 행위하지 않고 오직 판정하려고만 하는 볼데마르는 『정신현상학』에서 등장하는 경직된 마음의 아름다운 영혼이라 할 수 있다. 야코비는 이 소설을 통해 볼데마르가 내적으로 고수하고자 하는 순수한 우정과 헨리에테가 실천하고자 하는 순수한 사랑의 이원론적 양립을 유지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사랑이 지니는 실천적 생의 능력을 더 강조하고자 한다. 이는 『정신현상학』 양심 부분에서 아름다운 영혼들의 고백과 용서를 통한 화해의 공동체 형성과 연결된다. 이렇게 순수 사랑의 실천을 통해 신과의 만남을 초대하는 『볼데마르』는 종교 장(章)으로의 입문이기도 한 『정신현상학』의 양심 부분에서 잘 읽어낼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interpret the two forms of consciousness of the beautiful soul developed in the conscience part of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as the two main characters of Jacobi’s novel, Woldemar. This interpretation is a spirit-phenomenological novel reading based on structural similarity. Jacobi’s philosophical novel, Woldemar, is a story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over the consciences of beautiful souls. Henriete, who appears here, corresponds to an unfortunate beautiful soul as an acting consciousness mentioned in Phenomenology of Spirit. Woldemar, who does not act and only tries to judge, can be said to be a beautiful soul with a rigid heart appearing in Phenomenology of Spirit. In this novel, Jacob tries to maintain the dualistic compatibility between the pure friendship that Woldemar wants to hold internally and the pure love that Henriette wants to practice, while ultimately further emphasizing the practical life ability of love. This is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f reconciliation through the confession and forgiveness of beautiful souls in the conscience part of Phenomenology of Spirit.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Woldemar, which invites an encounter with God through the practice of pure love, can be read well in the conscience part of Phenomenology of Spirit, which is also an introduction into the religion chapter of it.

      • KCI등재

        미켈란젤로의 서정시와 ‘플라톤적 사랑’

        이순아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12 중세근세영문학 Vol.22 No.2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see that ‘Platonic Love’ is the motive for the art and life of Michelangelo by examining the concept of beauty and love in Michelangelo’s lyric in the context of Ficino’s Platonism. The core of the Renaissance Platonism with Ficino as its head are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love. The human soul 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acquires immortality and beatitude by contemplating God through the gradual inner ascent in which the soul leaves the body and purifies itself. The other aspect of the soul’s ascent for God is love. In this sense, the genuine love is the desire for turning to the divine beauty by being provoked from looking at the sensible beauty. This is ‘Platonic love,’ coined by Ficino. The concept of beauty in Michelangelo’s lyric is the heavenly beauty which manifests as the pledge of the divine in the material. In this regard the activity of the artist is the realization of images, ideas visions of beauty which he has in his mind. This is Ficino’s concept of beauty which takes God as its ontological source. The concept of love in Michelangelo’s lyric aims at the friends which he loves. The Genuine love is the agent for the union with God by raising the human soul from the mortal earthly beauty to the immortal heavenly beauty, and makes him reach beatitude. Thus, Ficino’s ‘Platonic love’ is the inspiration which leads Michelangelo’s life and art.

      • KCI등재

        피치노의 사랑론과 예술적 영감

        이순아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11 중세근세영문학 Vol.21 No.2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love(amor) and the artistic inspiration that it provided for Renaissance art by examining the Italian Renaissance philosopher Marsilio Ficino's Commentary on Plato's Symposium. The core of Ficino’s Platonism i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for which the goal of the human soul as the mediator of the universe is the union with God through a contemplative ascent. Accordingly, the immortal soul is the evidence of human dignity and divinity. The other aspect of the ascent of the soul is love. Love is the motive force of the whole universe, the universal pursuit of God, and so the key to Ficino’s entire system. In connection with Ficino’s cosmology, beauty is the radiance of the divine goodness, in which the actively loving God lights the universe. So it appears as a harmonious structure in the universe. That is, beauty is the lucid proportion(lucida proportio), and it motivates the ascent of the human soul by rousing love. Accordingly, love is the principle for cosmic harmony and unity, and so through the divine madness(furor divinus) of love, the human soul becomes united with God and acquires beatitude and immortality. This is the meaning of the ‘Platonic love,’ espoused by Ficino. According to Ficino’s thought which was influential in Renaissance period, art, which handles, changes, and forms the materials of the world, is the production of a god on earth, and a reflection of the divine. So, the concept of love became the inspirational principle for the exalted artist as the divine maker. Thus the role bestowed upon Renaissance artists was to intuit and represent the supreme beauty by the ascent to intelligible principles from sensible experiences through the divine madness of love for beauty. The divine madness was the creative motive for artistic activity. Thus, love is the motive for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Indeed, through love for beauty as the splendor of the divine goodness, man can ascent from the earthly love to the heavenly love to unite with God, and artist can intuit the divine beauty from the sensible beauty for artistic creation.

      • KCI등재

        “실러의 칸트 수용과 ‘아름다운 영혼’ 그리고 샤프츠베리”

        김주휘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8 No.-

        While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relationship of Schiller’s thought and Kant’s, it is undeniable that Schiller owes much to Kant. What distinguished Schiller from other Weimar thinkers at his time, such as Goethe, Herder and Wieland, was that unlike them Schiller accepted Kant’s project of critical philosophy. In fact, Schiller did not just accept it, but tried to interpret and formulate anew the relation of beauty and morality and some other aesthetical-ethical ideals on the basis of the new philosophy. Schiller’s famous project of ‘aesthetic education of mankind’ itself is the product of such an endeavor. In this work we follow the history of Schiller’s acceptance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and ruminate over its implications. And then, we’ll show that Schiller’s ‘beautiful soul’ in Grace and Dignity (1793), which is often suggested to be a proof of Schiller’s conflict with Kant, was understood on the basis of Kant’s moral theory. In this part of the work, we compare Schiller’s ideal of the ‘beautiful soul’ and Shaftesbury’s ethical thought, which is often presumed to be its background. From this comparison we’ll be able to see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disparity, despite apparent similarities, between Schiller’s and Shaftesbury’s ethical ideals, which is due to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sources, that is neo-platonic metaphysics and Kant’s critical philosophy. 실러의 사유와 칸트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실러가 칸트에게 진 빚이 크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괴테나 헤르더, 빌란트 등 당대 바이마르의 다른 이들과 실러를 구분해 주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들과 달리 실러가 칸트의 비판 철학의 기획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데에 있다. 또한 실러는 칸트의 철학을 단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토대 위에서 미와 도덕의 관계 및 자신이 예전부터 품어오던 윤리적·미학적 이상들을 새로이 해석하고 규정하는 작업을 했다. ‘도덕적 아름다움’이나 인간의 전인적 계발의 이상 같은 것이 그러한데, 실러는 칸트의 철학을 받아들이면서 그것들의 내용과 지위를 보다 정확하게 규정하는 작업을 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실러의 칸트 수용 과정을 추적하고 그 의의를 살펴본 후에, 실러가 칸트와 거리를 둔 증거로 종종 제시되는 「우미와 존엄」의 ‘아름다운 영혼’이 여전히 칸트 도덕론의 기반 위에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아름다운 영혼’의 이론적 배경으로 언급되는 샤프츠베리의 사유를 자세히 검토하고 그것과 실러의 사유가 갖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몇몇 공통점과 외면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신플라톤주의적 형이상학에 근거하는 샤프츠베리와 칸트의 비판 철학의 기획을 따르는 실러가 전혀 다른 철학적 지반에서 출발함으로써 갖게 되는 상당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尹東柱 詩의 重層構造 -「또 다른 故鄕」 分析-

        류양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3

        尹東柱의 「또 다른 故鄕」은 ‘白骨’과 ‘아름다운 魂’ 사이에서 고통스러워하던 詩人이 ‘아름다운 魂’ 쪽으로 삶의 方向을 잡아 나아가는 작품이다. 이 시에서 ‘白骨’은 유한한 世俗的 가치를 따르는 自我이고, ‘아름다운 魂’은 참된 信仰을 지닌 宗敎的 實存으로서의 自我이다. 그리고 ‘나’는 그 둘 사이에서 彷徨하고 있는 自我이다. 尹東柱의 「또 다른 故鄕」은 이중․삼중의 重層的 意味構造를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이 시는 個人的․時代的 層位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데, 그 위에 다시 宗敎的 層位가 올려져 있는 것이다. 이 시의 表層은 고뇌하는 詩人의 言語로 쓰여 있지만, 그 深層을 보면 하느님의 말씀이 詩人에게 다가오는 過程의 記錄이라고 할 수 있다. 尹東柱는 이 詩를 통해, 끊임없는 自己省察 속에서 오직 ‘하늘’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人間의 存在條件임을 말하고 있다. Yoon, Dongju’s poem, The other home portrays his conflicting mind between the ‘Skeleton’ and ‘Beautiful Soul’ and how the poet directs his life towards what is portrayed in the ‘Beautiful Soul’. The ‘skeleton’ in this poem is a self portrayal of conforming to the worldly value and the ‘beautiful soul’ in this poem is a self portrayal of true religious and faithful life. And the ‘I’ is torn between the two conflicting world. Yoon, Dongju’s The other home has a structure of double and triple layers. This poem also possesses the layer of him and epoch on top of which is placed with the layer of religion. The layers in this poem are written in the language of the poet who is torn apart by his conflicting worlds, however at its heart; it records the process of how the word of God reaches the heart of the poet. Yoon, Dongju speaks through this poem that the true purpose of human lives is to walk towards heaven through endless self examination. This is the main point which appeals strongly to the readers.

      • KCI등재

        신(神)을 향한 에로스

        송유레(Euree So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13 西洋古典學硏究 Vol.51 No.-

        본 논문은 ‘신을 향한 에로스’라는 주제를 통해 플로티누스의 철학적 신비주의에 접근하고자 시도한다. 특히, 신과의 신비적 합일을 추구한 플로티누스 철학의 동력으로서의 에로스에 주목하고자 한다. 사실상, 신비적 합일과 마찬가지로 에로스적 사랑은 개념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이다. 무엇보다도 에로스와 합일의 대상인 신이 존재와 인식의 저 너머에 있는 초월적 원리이고, 그 결과 ‘말할 수 없는’ 대상이라는 점에 어려움이 있다. 플로티누스의 에로스관에 접근하기 위해서 그가 어떤 식으로 에로스를 다루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그는 우리에게 다소 익숙한 사랑의 체험에 직접 호소하기도 하지만, 자주 사랑에 관한 플라톤의 글들을 인용하고 토론한다. 따라서 그가 어떻게 플라톤의 논의를 해석하고 전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론에서 우선 플로티누스 철학에서 에로스의 궁극 대상이 무엇인지를 밝힐 것이다. 플로티누스적 에로스의 궁극 대상은 플라톤의『향연』에 제시된 것처럼 아름다움 자체가 아니라, 아름다움의 원인이자 원천인 좋음 자체로 드러날 것이다. 이어서 그러한 ‘좋음’에 이르는 방법을 다룰 것이다. 플로티누스는 플라톤처럼 감각적 아름다움을 사다리로 삼아 비감각적 아름다움으로 올라갈 것을 권하면서, 특히 영혼의 내적인 아름다움, 즉 덕을 돌볼 것을 촉구한다. 영혼은 자신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위해 그것의 신적인 원인을 찾아 상승하게 된다. 신과의 합일을 향한 에로스의 운동은 신을 내 것으로 만드는 전유과정이 아니라 내가 신에 귀속하기 위해 신을 닮아가는 동화과정으로 밝혀질 것이다. 우리는 그의 신비주의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신비적 합일을 묘사하는 주요 표현들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말할 수 없는 신에 대해 하는 말이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짧은 반성과 함께 글을 마무리지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Plotinus" philosophical mysticism in terms of his conception of eros, while focusing on his notion of eros as the motivational power of his ‘philosophy’ which pursues a mystical union with God, the ultimate object of eros. Eros in Plotinus has not been an object of much discussion in research. In fact, eros as well as mystical union do not easily lend themselves to a conceptual approach. Great difficulty arises from Plotinus" view that God is a transcendent principle which lies beyond being and knowledge and is consequently ineffab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ketch some main features of Plotinian eros in connection with the ascent of the soul to God. In order to get access to Plotinus" conception of eros, it is useful to see how he interprets and appropriates Plato"s teachings. In the main part of this paper, we first deal with the question of what the ultimate object of eros is. It is shown that this ultimate object is not the beautiful itself as is presented in Plato"s Symposium, but the good itself, which is identified as the cause and source of beauty. We then turn to the question of how to reach the Good. Plotinus follows the way taught in the mysteries of eros in the Symposium by suggesting the use of sensible beauty as a "step" for ascending to the source of beauty. Plotinus emphasizes, however, the soul"s care of her inner beauty, namely virtue, through which she ascends to intellectual beauty and, eventually, to the Good as a "beauty above beauty". The soul"s erotic movement towards union with God implies, not an appropriation of God, but an assimilation to God. In the union with God, the soul finds her repose and, in her quiet ecstasy, the movement of eros comes to an end. We also draw attention to some of the central expressions used by Plotinus to describe the mystical union, in order to discern the characteristics of his mysticism. Finally, we attempt a short reflection on the question of what speaking of the ineffable God might mean, by elucidating the ineffability of God, in the light of God"s indefinite and infinite nature and the insufficiency of language to express the indefinite and infinite love for God.

      • KCI등재

        『三國遺事』 「水路夫人」조에 나타난 ‘아름다움’의 의미

        김정란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Many Korean studies on Lady Suro's Legend shows the power of Korean legends' cultural pluralism, interpreting it by various methodologies. But we are concerned that we would be indifferent to clarify mythic meaning of legends themselves while too much focusing to identify the characters shown on legends. This scientific approach actually originates from the complexity of Samkuk-Yusa. It's because that Samkuk-Yusa opens the possibility to be read as both history and myth since it deals history and myth at the same time. It looks like the studies on Korean legend have tried to find historical references in legend to rationalize them. This work is really meaningful historically, philologically and literarily. In the sector of myth studies, however, it may result to pauperize the myth itself. Considering the evident continuity of Kugy-ga(Turtle Song) and Hai-ga(the Song of the Sea), it is evident that there is some interrelationship between King Suro, the first ancestor of Karak-kuk, and Lady Suro. It is not possible to clarify whether Lady Suro is an actual mythic person succeeding King Suro, or a beautiful lady who existed in history. But, it is evident that her beauty does not remain as simple physical beauty. Her beauty is connected to the authority of divine existence. She did not directly show her authority in legends. Assuming from the fact that she was a character who received special care as women appeared in Samkuk-Yusa; the related legends were edited in Ki-i(the inscription of mysteries) chapter dealing with national affairs ; she had “her own language”- very exceptionally as an ancient Korean woman ; and her presence wa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to be connected to the welfare of her community, it is considered to go far away from the essence of legends if we understand her simply from a historical point-of-view. Lady Suro should be amazingly beautiful woman in terms of physical meaning. This beauty, however, is not limited to physical property, but it is related to mental and spiritual properties - like power, ability, freedom and self-fulfillment. These features show that she is a character who has highly-positioning existence sharing a relationship with divine order. That’s why she was loved by Gods. 『삼국유사』 권2, 기이2 , 「수로부인」조는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어당긴 중요한 설화이다. 관련설화와 두 편의 시가 함께 전하는데, 해독상의 이견이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져 왔다. 이 다양한 해석들은 주로 이 설화의 두 주인공인 수로부인과 신비한 노인의 정체성을 둘러싸고 생성되고 있다. 그러나, 두 주인공의 정체성을 밝히는 일은 역사학•문헌학•문학 연구 분야에서는 의미있는 일이지만, 신화 연구 분야에서는 중요한 일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 설화를 ‘신화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건은 수로부인의 ‘아름다움’의 성격을 규명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수로부인은 신라 최고의 미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은 단지 육체적인 아름다움만은 아니다. 수로부인이 『삼국유사』 「紀異」편 안에서 여성 단독으로 條目名을 부여받은 유일한 여성이라는 사실이 그 사실과 연관되어 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명백한 의도 하에 찬술했는데, 그 중에서도 『삼국유사』 「紀異」 편에 대해서는 직접 자신의 찬술 의도를 「서문」 형식으로 덧붙이고 있다. 그 찬술 정신은, 간단히 줄여 말하면, ‘神異함의 역사적 포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찬술 정신이 대몽항쟁을 벌이고 있던 일연 당대의 민족적 필요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기이」편에 여성으로서 이름을 올린 수로의 아름다움을 단지 육체적 아름다움으로 해석하는 것은 찬자의 기술의도에 반하는 것일 뿐 아니라, 수로부인 설화의 진정한 의미를 놓치는 결과를 가져온다. 수로부인의 ‘아름다움’의 성격 규명이 수로부인 설화의 이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은 일연 자신에 의해 제공된다. 그는 「헌화가」 배경설화와 「해가」 배경설화를 차례로 기술한 후, 설화 말미에 수로의 비교 불가능한 ‘절대적’ 아름다움에 대해 묘사한다. 수로부인의 ’아름다움‘이 별개의 두 서사를 관통하는 축이라는 것을 일연 자신이 밝히고 있는 것이다. 수로는 육체적으로도 아름다운 여성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설화 안에 나타나는 수로의 당당함과 신적 존재들까지 매혹하는 특이한 아름다움을 설명할 수 없다. 수로는 신성함과 연계되어 있는 존재이다. 그녀의 ‘아름다움’은 신성함의 특질이다. 그녀가 신들까지 매혹했던 이유는 그렇게 설명되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읽으면 수로를 왜 해룡이 납치했고, 수로의 납치에 왜 부락민 전체가 문제 해결에 나섰는지 확연히 설명된다. 수로부인 설화는 수로의 ‘신이한 아름다움’, 즉 신성한 존재의 특질을 드러내는 설화이다.

      • KCI등재

        실러에게서 ‘미적 정조’를 통한 미적 교육의 역할과 의의

        김주휘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4 No.-

        우리는 『미학편지』에 사실상 다른 맥락에서 제기되고 다른 강조점을 갖는 두 개의 미적 교육론이 존재한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현재 전해오는 『미학편지』의 초고에 해당하는 1793년 아우구스텐부르크 공작에게 보낸 편지에서 실러는 미적 교육을 통해 미적 취향을 형성하는 것이 도덕에 직접적으로 유익한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 했으며, 미를 통한 형식충동의 계발 및 이성능력의 함양을 강조했다. 실러는 1793년의 편지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1795년 『미학편지』를 출판하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조건이자 이념으로서의 미를 규정하는 부분과 그에 뒤따르는 미의 작용에 대한 부분이 중요하게 추가되어 있다. 이 부분은 미에서 이성과 감성의 통일을 강조하며, 미적 교육을 통한 인간의 총체성 회복을 강조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현재 남아 있는 1793년 편지와 비교할 때 1795년의 『미학편지』가 새롭게 제시하는 미적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및 역할에 대한 생각을 검토할 것이다. In this work we start from the thesis that Schiller’s Aesthetic Letters contains two different doctrines of aesthetic education. When Schiller first raised the need of aesthetic education in his 1793 letters to Friedrich Christian von Augustenburg, he wanted to show that the taste for beauty contributes to morality and emphasized that man could reach pure reason only by way of beauty. When he revised the original letters and published them in 1795, he added some important parts concerning beauty as the condition and idea of humanity and the following arguments about ‘aesthetic condition.’ These added parts emphasize the harmony of reason and sensibility in beauty and the restoration of totality in ‘aesthetic condition.’ We examine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aesthetic condition’ in comparison with Schiller’s 1793 doctrine of ‘three-phase development of humanity,’ and explain the background of this thought and also how it developed before and after Aesthetic Let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