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n the Paradox of Sympathy and Its Visualization: Denis Diderot, Adam Smith, and the Art of (De)theatricalization

        ( Jae Sik Chung ) 영미문학연구회 2006 영미문학연구 Vol.11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hythm of the paradox in the experience of sympathy visually by primarily focusing on the double-bind of theatricality and absorption. In Denis Diderot`s "The Paradox of the Actor" and Adam Smith`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which brilliantly examines the rhythm of the paradox in sympathy, theatricality performs the role of a transcendental condition that makes the authentic experience of sympathy possible; however, at the same time, it functions as an elusive attribute that has to erase itself at a certain specific moment for full absorption between the sympathizer and the sympathized.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which explores the ethical and aesthetic features of sympathy, Adam Smith holds that the mode of the experience of sympathy is structured like a theater. He does this by associating the structure of sympathy with the stage of the theater. Smith urges us to witness the essential gap between the sympathized and the sympathizer like the curtain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We argue that what Smith ultimately aims at here is to emphasize that we cannot cast off the theatricality of sympathy without positing theatricality (or fictionality) as the essential attribute of sympathy. By juxtaposing Adam Smith`s concept of an impartial spectator with Diderot`s theory of absorption, using Michael Fried`s notion of the Supreme Fiction, we closely examine how the notion of sympathy practices a conceptual movement of paradox, which is composed of the vibrant interchange between ``the theatricality and detheatricalization,`` ``the act of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and ``the creation and the erasure of the gap between the sympathizer and the sympathized.`` Furthermore, we reveal how such a rhythm of this paradox is lively vibrating by analyzing several 18th century French paintings by Francis Boucher, Jean-Baptiste-Simeon Chardin and Jean Baptiste Greuze.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conclude that the notion of sympathy has a rich conceptual power that traverses the borderlines of many interdisciplinary fields beyond the realm of ethics, on which the original discussion on sympathy is grounded.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동정의 근대성과 분화

        최창근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4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7 No.-

        동정은 인간의 본성 중 하나로 동양 사회에서 매우 중요시되어온 감정이다. 그러나 동정이 사회적 가치를 가지게 된 것은 프랑스 혁명 등의 결과로 근대가 시작된 이후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동정은 근대 국가라는 구체적 환경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반면 구한말 조선은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었고 이는 동정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유발했다. 대표적으로 이인직과 이광수, 김동인은 동정에 대한 자신만의 가치관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지식인이나 작가 등에 한정되어 있다. 당대 독자나 민중이 동정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 등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이들 민중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다. 또한 여기에는 근대화 이후 조선이 접한 과학과 기술문명이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동정담론에서 특이한 점은 재난과 동정의 결합이다. 카메라와 비행기의 결합으로 재난을 극장에서 상영할수 있게 되었고 관객은 영상으로 이를 감상했다. 비극적 재난을 보고 기부를 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동정의 지불이라는 교환체계가 성립한다. 반면 이러한 재난과 동정의 결합은 동정이 가지고 있던 서사적 맥락을 단절시켰다. 그리고 이 서사의 빈틈에서 영웅서사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동정의 탈맥락화와 동정의 공연성이 일제강점기 동정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동정의 가능성 자체를 제거하는 시도도 있었다. 채만식은 자신의 작품에서 선인에 대한 동정과 행복한 결말 대신 악인에 대한 징벌을 추구한다. 이는 악인에 대한 처벌을 통해 서사적 필연성을 확보하려는 의도였으나 오히려 서사적 세계가 가지고 있는 안정성을 전부 파괴해버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한쪽에서는 공동체의 대응을 강화하는 서사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동정은 그 사회의 다양한 가치관이 반영된 결과이자 현상이다. 그러므로 동정담론의연구는 그 사회의 변화과정에 대한 가장 중요한 분석 작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Sympathy is one of human nature and an emotion that has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Eastern socie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sympathy gained social value after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as a result of the French Revolution. In that respect, sympathy is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 environment of a 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Joseon was in a special situation of being a colony, which triggered various discourses about sympathy. Representatively, Lee In-jik, Lee Kwang-soo, and Kim Dong-in show their own values for sympathy.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discussions are limited to intellectuals and writers. The thoughts of readers and the people of the time about sympathy were not of interest. What is really important is the thoughts of these people. Also, this reflect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at Joseon encountered after modernization. What is uniqu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sympathy discourse is the combination of disaster and sympathy. The combination of cameras and airplanes made it possible to screen the disaster in theaters, and the audience watched it through video. By watching a tragic disaster and donating, an exchange system of payment of sympathy for the disaster is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of disaster and sympathy cut off the narrative context of sympathy. And a hero narrative was created from the gap in this narrative. This decontextualization of sympathy and the performance of sympathy can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lonial era sympathy. On the one hand, there was also an attempt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sympathy. In his work, Chae Man-sik pursues punishment for the evil instead of sympathy for the good and a happy ending. This was intended to secure narrative inevitability through punishment for the evil, but rather destroyed all the stability of the narrative world. In order to overcome this, a narrative was created on the other side to reinforce the community’s response. In this way, sympathy is a result and phenomenon that reflects the various values of the society. Therefore, the study of sympathy discourse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alysis works of the process of change in society.

      • KCI등재

        동감의 사회적 구성

        이승훈(Lee Seung Hun) 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학 Vol.18 No.1

        현대 사회는 다원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차이와 다양성의 존중이 시대의 가치가 된 오늘날, 다원주의 사회는 ‘차이의 연대’를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로 안고 있다. 이 글은 동감 능력에서 해결 가능성을 찾고 있다. 동감은 차이를 존중하면서도 서로를 인정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동감에 관한 여러 사상을 바탕으로, 동감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동감은 그것이 가진 여러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에서 비판을 받아 왔다. 동감은 일시적인 감정으로 지속성이 없으며,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는 협소하고 편협한 감정이라는 비판이 그것이다. 하지만 누스바움은 동감에는 인지적이고 가치평가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심각함’, ‘부당함’ 그리고 ‘행복주의적 판단’이 그러한 요소들이다. 이를 통해 보편성, 공정성,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감의 사회적 구성도 이러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 이 글은 바람직한 동감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크게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습관의 균열이다. 타자와 주변 세계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억압하는 습관의 균열이 동감 형성을 위한 첫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사회 제도를 통한 동감의 유지 및 형성이다. 동감 친화적 제도는 사람들의 동감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는 사회성을 통한 동감 능력 향상이다. 동감은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서보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교섭은 개인의 동감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는 상상력의 계발이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나 관점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상상력에 의해서 가능하다. 문학과 예술 등을 통한 상상력의 계발은 동감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는 연대적 관계 형성을 통한 동감 능력의 향상이다. 공동의 목표를 인식하고 서로 협력하는 과정에서, 타자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 관점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감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이상의 논의는 다원주의 시대의 바람직한 사회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pluralism. Today, respect for difference and diversity has become the value of the times. And the pluralistic society is now faced with the social task to solve the ‘solidarity of difference’.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solution through the ability of sympathy. This is because ‘sympathy’ is human ability to recognize each other while respecting differences. To this end, we are analyzing how sympathy can be socially constructed. Despite the many positive effects it has, sympathy as the solution in ‘solidarity of difference’ has been criticized for a number of reasons. One of the criticism is that sympathy is a temporary, narrow, and partial emotion targeting specific people, so there is no persistence and universality. But Nussbaum argues that sympathy includes cognitive and valuational elements of judgement. She particularly emphasize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Seriousness of the suffering’, ‘undeserveness’, and ‘eudaimonistic judgment’. These will ensure sustainability, universality, and impartiality of sympathy. Therefore, the social construction of sympathy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rection that includes these elements. This paper proposes five ways to construct desirable sympathy. The first is the crack of habit. The habit which suppress the attention to others and participation in the surrounding world must be cracked. The second is the establishment of social institution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eople’s ability of sympathy. The third is the improvement of sympathy through sociality. The sympathy is related to the ability to stand in the position of others. Thus, interaction with various different peopl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individual’s ability of sympathy. Fourth is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It is only by imagination that people can take the position or viewpoint of another person.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through literature and art can contribute to expanding the degree of sympathy. Fifth is the formation of solidarity. By recognizing common goals and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we can understand the positions and perspectives of others. The above discussion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sympathy is an attempt to show how a desirable society in the pluralistic age should be.

      • KCI등재

        애덤 스미스와 칸트 공감론의 철학상담적 함의

        양지형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implications of Adam Smith and Kant’s theory of sympathy in philosophical counseling. Present research on sympathy has transcended the boundaries of philosophy and moved toward the fields of neuroscience and psychology. Neuroscience interprets sympathy as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system. However, this impersonal explanation is not sufficient in the understanding of complex mental activities of humans. Meanwhile, psychological counsel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nd necessity for sympathy in relation to practical problems faced by people. Psychologists use sympathy as a tool for psychotherapy. However, they do not explain how this is possible. Unlike these fields, philosophy has long demonstrated that sympathy is determined in relation to people’s mental capability. Adam Smith and Immanuel Kant are two of the best-known philosophers who investigated this. While Smith analyzed sympathy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ical psychology, Kant examined it from a transcendental perspective. Smith emphasized the aspects of imaginative sympathy of the emotional entity, whereas Kant focused on moral sympathy of the rational entity. However, their sympathy theory has a limit that the judge can not escape from egocentrism. So Kant goes to the discussion of aesthetic sympathy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conveying emotions and the possibility of consent, and through this, he tries to correct the possibility of illusion of individual subjectivity. His sympathy theor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ew path in psychological counseling today, that is, Rogers' empathy theory, which suggests human-centered counseling theory. Rogers tries to solve client's problem behavior based on client's empathic attitude rather than treating client's problem behavior based on diagnosis, evaluation and prescription. In relation to this Rogers attempt, Smith and Kant's sympathy can have the following philosophical implications. The concept of sympathy viewed philosophically explains its possible structure that psychological sympathy cannot explain.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sympathy can be used as the meta-theory of psychological empathy. Furthermore, Kant’s aesthetic sympathy can be meaningfully used to expand Roger’s passive psychological empathy to active self-empathy. In addition, Kant’s arguments regarding aesthetic sympath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ailure of sympathy, which was not considered in Roger’s psychological empathy. The failure of sympathy will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excessively optimistic or skeptical viewpoints we may hold in relation to sympathy. 애덤 스미스는 공감을 경험 심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반해서, 칸트는 선험철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스미스는 감성적 존재자의 상상적 공감을 강조하는데 반해서, 칸트는 이성적 존재자의 도덕적 공감을 강조한다. 그렇지만 이들의 공감 이론은 판단 주체가 자기 주관성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 있는 한계를 안고 있다. 그래서 칸트는 미적 공감에 대한 논의로 나아가 감정의 전달 가능성과 동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이를 통해 개별 주관의 착각 가능성을 교정하고자 한다. 그의 이 공감 이론은 오늘날 심리상담에서 새로운 길을, 즉 인간중심 상담이론을 제시한 로저스의 공감 이론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로저스는 내담자의 문제행동을 진단·평가·처방에 기초하여 상담자 중심으로 치료하기보다는 공감적 태도에 기초하여 내담자 중심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이런 로저스의 시도와 관련하여 스미스와 칸트의 공감론은 다음과 같은 철학적 함의를 지닐 수 있다. 이들의 공감 이론은 심리적 공감이 해명하지 못하는 공감의 가능 구조를 해명해주고 있다. 이 점에서 이들 공감 이론은 심리적 공감의 메타이론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칸트의 미적 공감은 로저스의 수동적인 심리적 공감을 능동적인 자기공감으로 확장하는데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의 미적 공감은 로저스의 심리적 공감이 미처 고려하지 못한 공감실패의 문제에 대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감은 공감으로 인해 빠져들 수 있는 과도한 낙관주의나 회의주의적 시각을 예방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논문 : 박지원(朴趾源) 산문(散文)에 나타난 공감(共感)의 의미 - 관료 재직 시기에 쓴 공적 산문(公的散文)을 중심으로 -

        안득용 ( Deuk Yong A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5 No.-

        현대 사회는 점차 개인화되고 이기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언론 매체를 통해 가끔씩 보이는 싸이코패스(psychopath)의 강력 범죄를 대하다 보면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고 있는 사회를 건전한 모습으로 바꾸기 위해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생각도 든다. 본고는 그 특단의 조치 중 한 가지로 공감(共感)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공감의 감수(感受)와 소통의 글쓰기를 보인 박지원에 관심을 두었다. 박지원의 산문에서는 ‘직접적 감수자로서의 공감’, ‘분별 있는 관찰자로서의 동감’ 등이 모두 보이며, 자신이 느낀 공감을 타인과 소통하기 위해 글쓰기에도 작지 않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 중 직접적 감수자로서의 공감은 상대방이나 특정 사태를 맞이하는 집단과 개인의 상황에 대해 느끼는 공감으로서, 즉각적이고 그 정도 역시 강하다. 하지만 유대(紐帶)의 끈으로 엮어진 만큼 객관성과 중립성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이에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은 가상의 관찰자인 분별 있는 관찰자로서의 공감으로 그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박지원의 의옥서(疑獄書), 상소문(上疏文) 등에서 보이는 공감의 양상을 통해 그가 자신과 밀접한 인물들뿐만 아니라 그렇지 못한 이들에 대해서도 깊은 공감을 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다. Modern society is turning into selfish. I think that this situation calls for immediate action. Due to this, this study focused on sympath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Park, ji-won’s prose. Because he taken an active interest in sympathy and sympathetic writing. I found both ‘the sympathy as the one who feels directly’ and ‘the sympathy as a judicious spectator’ in his prose. And I also found that he taken an active interest in sympathetic writing. From among these, the sympathy as the one who feels directly, means the feeling which feels other people’s or other group’s feeling directly. So This sympathy is immediate and direct. But this sympathy never give us a guarantee of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Because this sympathy is caused by a bond. Therefore it must be made up for its fault by the sympathy as a judicious spectator. Especially I found that he had both the sympathy as the one who feels directly and the sympathy as a judicious spectator, through the letters of criminal investigation(疑獄書) and public appeals(上疏文). Meanwhile, Park, Ji-won favored detailed writing, which showed other people’s inner side and the situation. Additionally, he show the attitude of empathy, the detailed writing of inner side,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Judging from these, the sympathy and writing which Park, Ji-won showed, are meaningful. Because these make us think the community spirit.

      • ‘공감(共感) 능력’과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6

        공감과 소통의 부재를 앓고 있는 현대 문명사회 속에서 제러미 리프킨의 저서 『공감의 시대』는 인류의 지속 가능한 세상을 위한 문명사적 전환을 요청하고 있다. 그는 인류의 공감적 특성이 진화해 온 과정을 들여다보고, 지금까지 공감이 우리의 여정을 어떻게 꾸려 왔으며 앞으로 하나의 종으로서 우리의 운명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문명사에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류가 당면한 공존과 생존의 문제에 맞서 오늘날 적자생존과 부의 집중을 초래한 경제 패러다임을 끝내고 이제는 인류가 오픈소스와 협력이 이끄는 제3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주장이 좋은 반향을 얻고 있다. 리프킨의 공감 시대로의 패러다임 전이에 대한 요청은 인간이 문명사에서 본성적으로 공감하는 존재(호모 엠파티쿠스)임을 확인하고, 공감 능력을 상실해온 인류 역사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의식 혁명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역설하기 위해서였다. 리프킨은 공감의 능력이 본래 신화적 의식에서 신학적 의식으로, 이데올로기 의식에서 심리학적 의식으로 발전해온 문명사적 관점들 속에서 어떻게 인류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종교적 변화를 일으켜왔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3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협력과 협동의 에토스로 새로운 공감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는 밀레니엄 세대의 도래를 예상하였다. 공감 능력이 단순히 인간의 본성적 구조라는 리프킨의 주장에는 다소 비약과 인문학적 상상력이 표현되어 있다. 하지만 이 공감 능력이 그리스도교 신앙 역사 안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는 점은 신앙 행위를 가능하게 해주는 내적 소인으로서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예수의 스토리에 깊은 매력과 공감을 가지고 그의 복음적 사건에 공감하고 참여하면서 하느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깊은 신뢰와 희망 속에서 자라났다. 물론 인간의 신앙 행위 안에 인식론적 원리로서 신앙 감각의 의미와 신앙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내재적 원리임을 전제한다면, 신앙 감각은 그리스도 신앙이 지닌 고유한 공감 능력의 종교적 발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신앙 감각은 따라서 교회 역사 안에서도 시대와 문화의 맥락 속에서 성장하고 양육되어 왔으며, 비록 교회가 처한 사회적 현실 속에서 신앙 감각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평가가 달랐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구성원 전체에게 선사된 은사로서, “진리의 영에 의해 일깨워지고 양육되어진 초자연적 신앙 감각”(「교회헌장」, 12항)의 신학적 가치와 교회론적 원리를 재인식하기에 이르렀다. 전통적인 교회관에서 신앙 감각이 단순히 교도권의 가르침에 순응하는 메아리로 치부되던 것과는 달리 공의회는 신앙 감각이 하느님 백성 전체가 드러내는 그리스도의 예언자적 직무를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리스도교가 인류 문명사에 이루어온 희망의 표징들을 지속 가능한 세상으로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인의 신앙 감각에 내재되어 있는 공감적 본능과 공감의 원리들을 신학적으로 풀어낼 필요가 있다. 그것은 개별적 신앙 감각을 통하여 절대 신비이신 하느님을 향한 인간 의식의 궁극적 지향성을 회복하고, 공감과 소통을 통해 구원 체험을 이룬 교회 공동체가 본성적으로 성령에 의해 일깨워지고 양육된 신앙 감각을 통하여 공동의 합의(consensus)를 이룰 수 있는 신앙 공동체적 기초를 이루어가는 길이기도 하다. 오늘날 가톨릭교회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현대 문명사회와 소통하면서 세상 속 교회를 표방하고,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보편적 구원을 선포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신앙의 보편성과 역사성이 지니는 공감적 감수성을 신앙 감각에서 재발견했기 때문이다. 교회는 신자들의 예언자적 은사로서 신앙 감각을 교회론 안에서 올바르게 정립하여 인류 문명에 중대한 기로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이 지닌 구원적 도구로서의 가치를 발휘하는 예언자적 직무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Current civilized society is faced with the absence of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In “Sympathy era” written by Jeremy Rifkin, he demands the conversion of historical civilization for the possible continuing era. He looked into the process of mankind-sympathy-characteristic-evolution; he examined how sympathy manages mankind journey, and how we should decide our fates as a species, and then try to present new interpretation on civilization history. Confront by coexistence and existence problems which mankind is faced, he proposed that it is the time to open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led by mankind open-source and cooperation after finishing the economy paradigm which has caused current survival of the fittest and wealth concentration. His proposal evokes good responses. Rifkin’s request of paradigm transfer to sympathy era conforms that human beings are originally Homo emphaticus, ‘being of sympathy’,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states paradoxically that new consciousness revolution is absolutely needed in mankind history which is deprived of sympathy ability. Rifkin examined in the points of historical civilization how this sympathy ability is developed from mythological to theological consciousness, from ideological to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how this ability provoked change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religion. He predicted the coming of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which would be a millennium of creating new stream of sympathy unde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ethos. of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which would be a millennium of creating new stream of sympathy unde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ethos. Christian faith is grown by deep trust and hope of coming of God’s kingdom has attraction and sympathy in Jesus story, then sympathizes and participates to Gospel events. Presuppose that the meaning of ‘sensus fidei’ is cognitive principle of faith activity and Church’s intrinsic principle as a faith community, it makes no difference that ‘sensus fidei’ is religious sudden rise of original ‘sympathy ability’ in Christian faith. ‘sensus fidei’ is developed and cultivated in the interconnections of era and culture in the Church history although the evaluations on its role and value of ‘sensus fidei’ in the realistic society were different which the Church face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2nd Vatican Council, the theological value of the Church’s principle of “supernatural sensus fidei awaken and cultivated by the Spirit of Truth” (LG 12), the charisma bestowed to all church members as People of God comes to re-recognize. In traditional Church view, ‘sensus fidei’ was thought as a simple echo to Magisterium teaching, the 2nd Vatican Council emphasized that ‘sensus fidei’ is the important factor to perform Christian’s prophetic ministry revealed by all People of God. In this point of view, the world where the signs of hope are possible, which Christianity accomplished in mankind civilization history, is needed to solve theoretically the principles of sympathy and sympathetic instinct which lies in Christian ‘sensus fidei’. This is the way to restore the human consciousness ultimate intention toward absolutely mysterious God, through each Christian’s ‘sensus fidei’ is to wake up the Church community by the Holy Spirit that had the salvation experiences through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to come to make the foundation of consensus through cultivated ‘sensus fidei.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Catholic Church is communicating with current civilized society, professed her as to the Church within the world and proclaims universal salvation as People of God. These were possible by rediscovering universality and history of sympathy sensibility in ‘sensus fidei’. The Church establish right this ‘sensus fidei’ as believer’s prophetical charisma in ecclesiology, should continue the prophetic ministry which demonstrate the value o

      • KCI등재

        캐서린 부스의 "교감신학"(Theology of Sympathy) 이해

        장영주 ( Young Joo Jang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21세기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에 만연된 ‘생명 경시’ 풍조는 말로할 수 없을 만큼 불안과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다. ‘공감의 부재’는 ‘고통에 대한 무딤’이며 ‘사랑의 부재’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오늘날 개신교가 신학은 난무하지만 내용은 없고 말은 무성하지만 실천이 부재하다’고 한다. 이에 공감을 언급하는 것은 ‘고통 받는 타자’에 대한 ‘원초적인 관심’을 끌어내고자 함이다. 이 땅에 고통 받는 또 다른 나, 타자, 그리고 생태계, 지구에 이르기까지 ‘고통 받는 모든 것들에 대한 배려와 소통’을 갖고자 함이다. ‘타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으로서의 ‘공감’마저도 여전히 부재한 오늘날 논자가 굳이 ‘공감(empathy)’과 함께 ‘교감(sympathy,交感)’이라는 말을 쓰려는 이유는 ‘고통당하는 타자들에 대한 실제적인 도움’으로서의 ‘상호 교감’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강력한 실천’과 ‘사랑’ 그리고 ‘구원’으로서의 ‘살림(giving life)’에 무게를 두고자 함이다. ‘교감’은 ‘feeling with’로서 서로 ‘상호적’인 교통을 내포함으로 ‘공동체적인 의식’을 살지 못하는 이 시대에 ‘함께 하는 연대감 (solidarity)’으로서 온전함을 이루는 ‘지지대’를 이룬다. 이런 배경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자리(now and here)’에 ‘세상을 구원하는 군대’로 알려진 19세기 구세군 창립자인 남편 윌리엄 부스(William Booth, 1829-1912)와 함께 ‘구세군의 공동창시자’이며 ‘구세군의 어머니’로 불렸던 캐서린 부스(Catherine Mumford Booth, 1829-1890)가 시사하는 ‘교감’(sympathy)을 생각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감의 시작은 먼저 ‘나’와 ‘내가 속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캐서린 부스의 입장이다. 그녀가 추구한 ‘교감’은 ‘실천의 종교’(Practical Religion)와 직결되며 구세군의 대표적 모토인 ‘마음은 하나님께, 손길은 이웃에게’로서의 교감이자 캐서린 부스가 표방하는 ‘적극적인 기독교’(aggressive christianity)로서의 교감의 본질인 ‘구원’과 연결된다. 이러한 캐서린의 교감은 여성으로서의 자신을 기조점으로 가정과 사회개혁으로써만이 아니라 좀 더 확대된 구원론, 다시 말하면 생태여성신학적인 입장에서 단지 ‘인간만을 위한 구원’이 아닌, ‘비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생태계의 생물과 자연을 포함한다. 이러한 ‘총체적 구원’(boundless salvation)은 캐서린 부스의 ‘교감’(sympathy)을 통해 비쳐지며 이것을 위해 논자는 캐서린 부스의 ‘교감신학’(the theology of sympathy)으로 신학적인 토대를 잡고, 이를 위해 캐서린 부스의 ‘평이한 자료로부터의 교감 읽기’에 주력한다. 이러한 교감신학은 급변하는 ‘차이’와 ‘격차’로서의 현대성에 대한 안티테제(Antithese)로서의 ‘구원’을 지향하는 ‘살림’(a giving life)을 향한 캐서린과 구세군의 모습을 표명한다. 따라서 교감신학의 자리는 생태여성신학적 테두리 안에 보편적 사랑의 토대를 갖고 깊은 교감과 측은지심으로서의 참여와 평등 그리고 다중성(multiplicity) 속에 있는 일치(unity)로서의 통합성을 추구한다. 이것은 개인과 사회의 연대(solidarity)이며 자신의 행복과 공동의 복리를 추구하는 공공선(common good)사이의 연대를 나타낸다. 따라서 교감신학은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연대로서의 통합, 여성성과 남성성의 연대로서의 통합, 아가페와 에로스의 연대로서의 성육신적인 삶의 통합, 초월과 내재의 연대로서의 내재화된 초월로서의 통합을 지향한다. 다시 말하면 통전적인 피조물 이해와 실천지향성을 지지하며 공동체성과 생명애 의식을 함께 품고 돌보는 생물권 정치를 꿈꾼다. 이러한 진정한 ‘조화’의 영성, ‘살림’의 영성, ‘구원’의 영성을 다시 더욱 진화적인 모습으로 이루어 나가는데 재정립하고 재발견하므로 21세기 한국 교회에서 새롭게 변화되는 ‘함께 하는’(feeling with) & ‘함께 행하는’(doing with) ‘통합적 빅뱅’으로서, 새롭게 생태여성신학적인 면에서 재해석되는 修身(수신)을 통한 齊家 治國平天下(치국평천하)의 구원 확장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understanding of ‘the Theology of Sympathy’ of Catherine Booth who is well known as co-founder with her husband General William Booth of the salvation army. Also, she is the Mother of the army. This has connection with a soteriology in ecofeministic perspectives. She was also a revivalist, pioneer of women`s rights and social reformer in her life time. First of all, the governing theme of her soteriology was the restoration of women and men in God`s image and likeness of God in Christ through learning(學) especially Bible to receive atonement of Jesus Christ, Greater Sympathy. That means a self-cultivation of her in order to build an ‘one woman’ as likeness of God. This study reveals the her passion; and at the heart of her soteriology underlines the integral relationship among the self, family, so ciety, and the world in a life giving aspects each other as a community, as a organic interrelationship evermore expanding ecofeministic perspectives of her thoughts. Through her three settled views that were a ‘female ministry’ through ‘the Blood of Jesus’ as ‘atonement’ to bring the sympathy of ‘the self’, a ‘sacramental living’ through ‘the Living Fire’ as ‘the giver of life’ to bring the sympathy for ‘the others’ and ‘to love creation’ through symbolically ‘the One Church’ to bring the community of the salvation within the sympathy of ‘us’, this paper emphasizes on what is real salvation, what is real restoration, what is real love, how can we embrace every creatures with her sympathy in relation with ‘equality’, ‘altruism’ and ‘relationship’. Because the sympathy as ‘empathic suffering’ which means ‘feeling in’ & ‘feeling with’ to bring practice for every suffering creatures. After that, with sympathy of Catherine Booth they embrace the self(身, family(家), state(國), even everything and every creatures( 萬事萬物) through practising ‘sacred- profane system’ like a ‘sacramental living’ with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n the ecofeministic context. They will be sanctified whole things to unite public and private affairs with a spirituality of the Army`s Mother as a sympathetic spirituality of Catherine Booth for ‘giving life’(生物) in Gaia, especially among women of Korea churches if they start to really build up ‘their selves’ as ‘God`s Image’.

      • KCI등재후보

        상생적 관계형성을 위한 도덕성 확인에 관한 연구 : ‘공감적 성향’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정병화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8 No.-

        자기정체성의 확립이 ‘상생적 관계’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상생적 관계형성’은 자기존재의 안정성과 확증성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적인 삶이 타자와의 포용성을 지향하는 상생적 관계보다는 타자를 대상화하려는 행위로 대부분 채워져 있다는 점에서, 타자와의 상생적 관계형성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타자와의 상생적 관계형성은 타자를 대상화하려는 자기욕망을 조절하거나 통제할 도덕성에 기초해 있어야 한다. 이성 중심의 초월적ㆍ선험적 철학은 자기욕망에 대한 자기제어를 이성과 신체라는 이원화된 틀 속에서 이성에 의한 신체의 지배(支配)로서 기술한다. 하지만 이 실천철학이 가지는 한계점은 선험적 이성의 도덕적 명령이 우리에게 그것을 실천할 도덕적 행위의 내적 동기를 자명(自明)하게 제공할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선험적 이성의 도덕적 명령의 현실적용은 자기중심적인 삶의 입장이나 자기이해관계의 맥락에서 선험적 이성의 도덕적 명령이 재해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점에서 ‘공감적 성향’은 새로운 도덕적 규범으로서 자리매김한다. 감성형태로 주어지는 ‘공감적 성향’은 사유 이전의 느낌이라는 점에서 직접적이고 즉각적이고 항상적이다. ‘공감적 성향’은 이성적 판단 이전에 작동하는 본능적 반응이라는 점에서 직관적이다. 이런 점에서 자연 도덕정감으로서의 ‘공감적 성향’은 학습, 사유에 의하지 않고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를 알고 있고 실천할 정도로 자명하게 주어진다. 그러나 ‘공감적 성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현상적 접근(現象的 接近)’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점을 가진다. 기존 현상적 접근들은 ‘공감적 성향’을 이성이 아닌 신체에 토대한 자연적 감정으로 제시하고는 있지만, ‘공감적 성향’의 토대를 철학적으로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자연 도덕정감으로서의 ‘공감적 성향’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도덕적 규범으로서 해석 내지 규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필자는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살’ 개념에 입각하여 신체에 토대한 자연적 감정으로서의 ‘공감적 성향’이 인간의 보편적인 도덕적 규범임을 밝히고자 한다. 신체적 차원에서 나와 타자 간의 교차배어로 형성되는 ‘살’은 ‘공감적 성향’에 그 철학적 단초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나와 타자 간의 신체적 교차 내지 얽힘으로 형성되는 ‘살’은 ‘공감적 성향’을 일으키는 물질적 토대가 된다. 필자의 이러한 접근은 ‘공감적 성향’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現象學的 接近)’이라 할 수 있다. As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is based on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is the only road to the security and confirmation of self-existence. But given that our ordinary life almost entirely consists of actions objectifying other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is by no means easy.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should be based on morality, controlling self-desire, and not objectifying others. Philosophy based on a priori reasoning describes self-control over self- desire as the domination of the body through a priori reasoning. But this practical philosophy cannot present a self-evidential internal motivation behind moral actions. Due to this, the application of moral order given by a priori reasoning in response to reality is likely to be reinterpreted on basis of self-interest. With regards to this,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is given as new moral norm.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emotion is direct and consistent given that feeling occurs prior to thinking.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is intuitive in the sense that it is an instinctual response preceeding a reasoned judgment.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natural moral emotion, is self-validating given that all human beings know it and practice it. But previous studies on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have an obvious limitation because they adopt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which eschew the investigation of morality. Though they present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natural emotion based on body rather than reason, they do not philosophically explain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Thus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natural moral emotion is likely to be interpreted as a subjective and relative moral norm. This paper philosophically explains that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is a universal moral norm on the basis of Merleau-Ponty’s ‘flesh.’ ‘Flesh’ is formed as the entanglement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presents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its philosophical basis. In other words, ‘flesh’ formed as the mixture or entanglement between oneself and others is the material foundation upon which one can activate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This paper’s approach to the ‘propensity of sympathy’ can be desribed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universal moral norm.

      • A Sentimentalist Approach to the Comfort Women Issue

        Chung Jae Lee(이충재) 민족미학회 2014 민족미학 Vol.13 No.2

        본 논문은 2013년도에 상영된 위안부를 다룬 다큐멘터리, “그리고 싶은 것”을 통시적 동정과 공시적 동정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통시적 동정이란 상대방의 감정을 대상의 삶 안에서 추론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는 상호주관적이지만 개인적이고 반추적이지만 임의적이다. 이와 반대로, 공시적 동정이란 대상의 상황에 대한 감정이다. 즉, 대상이 처한 상상된 상황에 대한 반응인 것이다. 본 논문은 통시적 그리고 공시적 동정이라는 개념적 구분을 통해 다큐멘터리를 분석함과 동시에, 등장인물들이 위안부들의 상황적 취약성을 공통된 위험으로 이해하고 위안부문제에 대한 그들의 민족주의적인 태도를 재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nalyzes a recently released documentary on the comfort women issue, The Big Picture, through two notions of sympathy: diachronic sympathy and synchronic sympathy. Diachronic sympathy is to infer the counterpart’s passion in relation to his or her diachronic being. It is collective but personal and reflective but contingent. In contrast, synchronic sympathy is to imagine the circumstance of the counterpart. It is a partially reactive sentiment to an imagined circumstantial vulnerability. With this distinction, I contend that both Koreans and the Japanese in the documentary might reconsider their habituated nationalistic orientations towards the comfort women issue and perceive circumstantial vulnerability comfort women faced as a shared threat through the Lacanian real at the register of diachronic sympathy and the Derridean diff e rance at the register of synchronic sympathy.

      • KCI등재

        스미스의 공감과 도덕감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이 글에서는 스미스가 공감을 중심으로 도덕감을 어떻게 제시하는지 다룰 것이다. 그를 위해 우선, 도덕감을 가능케 하는 공감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의미로 구분·정의하겠다. (1) 공감은 타인의 운명에 대한 관심이다; (2) 공감은 타인의 감정에 대한 동료의식 즉, 그 자체로 정념이다; (3) 공감은 타인의 감정과 일치시키고 싶은 욕구 또는 그 욕구의 실현이다. 그런데 스미스에 따르면 도덕감, 즉 시인감과 부인감은 행위의 원인뿐만 아니라 결과 관점에서 종합되어 형성되는 감정이다. 그리고 행위를 발생시키는 근원은 정념(감정)이므로, 행위의 원인과 결과 관점이란 그러한 행위를 불러일으키는 정념의 원인과 결과 관점을 말한다. 따라서 행위의 원인 관점에서 형성되는 시인감과 부인감은 각각 타인의 정념과 일치 또는 불일치, 즉 공감의 성립여부에 뒤따르는 감정을 뜻한다. 다시 말해 시인감은 공감으로 인해 타인의 행위를 적정하다고 느끼는 감정이고, 부인감은 공감이 성립되지 않음으로써 타인의 행위를 부적정하다고 느끼는 감정이다. 그리고 행위의 결과 관점에서 시인감은 감사의 감정인데, 그것이 정당한 시인감이 되기 위해서는 간접적 공감뿐만 아니라 직접적 공감이 필요하다. 또 행위의 결과 관점에서 부인감은 분개의 감정인데, 그것이 정당한 부인감이 되기 위해서는 간접적인 공감이 요구되고 동시에 직접적 공감은 성립되지 않아야 한다. In this paper I will show Smith`s thought, `how moral sentiments are formed by the sympathy`. To this end first of all, I try to propose the various meanings of Smith`s sympathy as follows. (1) the sympathy is the interest in the fortune of others; (2) the sympathy is the fellow-feeling for the feeling of others, that is to say the sympathetic passion; (3) the sympathy is the desire for the coincidence with emotions of others. Then further I try to show that the sympathy plays the crucial role in shaping moral sentiments, namely sentiments of approbation and disapprobation. Smith defines moral sentiments synthetically in two different relations by the sympathy, viz in relation to the cause of action and in the relation of the end of action. In relation to the cause of action, the sentiment of approbation means the positive passion that is realized by accordance with the feelings of others, the sentiment of disapprobation is the negative passion realized by no-accordance with the feelings of others. In the relation of the end of action, the sentiment of approbation means the emotion of gratitude which consists not only in the indirect sympathy but also in the direct sympathy. And the sentiment of disapprobation is the emotion of resentment which consists not only in the indirect sympathy but also in the not-being of the direct sym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