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회는 능력주의로부터 자유로운가? : 능력주의와 교회의 은사에 대한 비판적 성찰, 마이클 샌델의 능력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50 No.1

        21세기는 소유와 욕망으로 대변되는 자본주의 문명의 시대이다. 시장경제를 우선으로 하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사회적 불평등과 불공정을 일으키는 능력주의 신화를 통해 강화되고 있다. 마이클 샌델은 자신의 저서 『공정하다는 착각』에서 능력주의가 만들어낸 잘못된 신화를 비판한다. 그는 능력주의가 노력과 재능의 힘으로 능력 경쟁에서 성공한 이들과 실패한 이들 간의 포퓰리즘적 불만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비판한다. 또한 능력주의의 문제는 불평등을 치유하려 하지 않고, 불평등을 정당화하려한다는데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러한 능력주의 신화가 프로테스탄트 윤리를 토대로 발전한 근대 자본주의 정신에서 유래했다고 평가한다. 종교개혁의 기본원리인 구원의 무상성에 따라 구원의 확실성을 찾아가는 청교도 정신의 프로테스탄트 윤리가 직업 노동의 공리주의적 성향을 정당화했고, 이는 감사와 겸손의 윤리를 압도해버리는 성취의 윤리학으로 현대 세계의 능력주의적 생활 방식을 지탱해주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사회적 능력주의는 신앙 공동체인 교회를 구성하는 원리인 성령의 은사, 곧 카리스마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사회적 능력주의는 개인의 사회적 상승에 집중하여 사회적 연대와 시민의식의 약화를 가져왔고 이기적 집단주의를 확대시킨다. 반면에 교회의 은사는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사된 자유로서, 공동체의 유익을 위하여, 곧 교회를 통하여 교회를 향해 발생해야 하는 신앙인의 공통 본성에 속한다. 과연 가톨릭 교회는 세속적 능력주의를 넘어 진정한 교회의 본질을 오늘날의 세상에 정착시킬 수 있을까? 가톨릭 교회는 인간의 능력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창조적 능력이며, 이는 노동의 신성함과 존엄성을 바탕으로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물결에 맞설 수 있는 역량을 가져야 한다고 가르친다. 교회가 제도적 역량을 사회 속에서 확장하는 데 집중하다보면 교회 역시 세속의 능력주의 신화에 빠져 구원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정체성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물량주의와 세속주의의 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 교회 역시 세속적 능력주의 신화로부터 벗어나는 영적 회심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본다. The 21st century is the capitalism culture era represented by ‘having’ and ‘desire’. The new liberalistic capitalism prioritized the market economy and is strengthening through the meritocracy myth which raised social inequality and inequity. Michael Sandal criticized this wrong myth which is made by the meritocracy in his book “The tyranny of merit”. He criticized that the meritocracy is the reason of populist dissatisfaction between the winners who won in the ability competition by their efforts and talents, and the losers. And he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the meritocracy is not to cure the inequality but to justify it. He has assessed that this meritocracy myth was originated from modern capitalism spirit, which was formed and developed on the basis of Protestant ethics. The Protestant ethics, Puritanism, has searched for the certainty of salvation by aphasic of salvation, which is the basic principal of the Reformation, justified the utilitarianism tendency of occupational labor, and this supported modern meritocracy for the ability method of livelihood in modern era as an ethics of accomplishment, which overwhelmed the ethics of appreciation and humility. Such a social meritocracy is far different from Charisma, the gift of the Holy Spirit, which is the basic forming principle of the Church, as of the religious community. Social meritocracy focused on individual’s social upgrade, brought the weakness of relationship and citizenship, and expanded selfish collectivism. On the other hand, the Charisma, as a gifted freedom endowed from God, belongs to the community advantage, that is the common nature of believers that should be occurred by the Church and through the Church. Indeed, can the Catholic Church settle the true(authentic) nature of the Church over the secular meritocracy in this world? The Catholic Church teaches that human talent is the creative talent given by God, based on the sanctity and dignity of labor, and this should possess the ability which faces to modern new liberalistic capitalism stream. When the Church focuses on expanding the systematic ability in the society, she also falls into secular meritocracy myth, becomes in danger of losing the identity of the Church, the Salvation Community. The Korean Church, who faces the crisis of materialism and secularism, also needs the spiritual conversion than ever, getting out of the secular meritocracy myth.

      • 팬데믹 시대의 신앙생활 변화와 가톨릭 교회의 사목적 대응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8 No.1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코로나19로 겪고 있는 팬더믹 현상은 사회, 정치, 경제는 물론 종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면 문화에 뿌리를 둔 종교 생활이 갑작스런 비대면 사회의 도래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으며, 가톨릭 교회가 대면 문화에 뿌리를 둔 성사 생활의 위기를 극복해보고자 하지만, 종교에 대한 무관심과 감염병 위험에 노출된 신자들의 신앙 감각은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회는 의무적 주일 미사 참례보다는 일상에서 신앙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신자들의 신심을 이끌어주어야 하고, 기존에 교회의 외적 확장과 대면적 친교 중심의 사목은 비대면 사회의 현실에 맞게 변화되어야 한다. 팬더믹 시대를 맞는 가톨릭 교회는 전통적인 성사론과 교회론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필요로 한다. 가톨릭 교회의 성사론이 지난 인격적 대면과 소통의 가치는 간직하면서도 인격적 대면의 의미가 무엇인지 재정립하고 소통의 방식에 있어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디지털 문화가 지닌 맹점을 극복하면서도 신자들을 온라인에서 만날 수 있는 사목이 필요하며, 가톨릭 교회가 지닌 보편성의 힘을 지역 사회와 인류가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한 동참과 전염병 예방과 확산을 막기 위한 연대를 통하여 이웃사랑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목자들은 팬더믹 시대에 신자들과 슬기로운 사목 생활을 위하여 노력해야 하며 전통적 권위의 사제직이 아니라 신자들과 소통하며 자본주의 문화에 익숙해진 종교의 외적 성장과 권위주의로부터 탈피하여 진정한 일상에서의 수행 정신을 재발견하고, 신자들의 신앙 감각을 보편적 삶의 영역으로 확대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andemic phenomenon that the 21st century humankinds are facing due to COVID-19 gives huge influences not only to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but also to religion. Religious life which was based on contact culture is encountering the crisis because of the sudden ‘untact’ society. The Catholic Church tries to overcome the crisis of sacramental life which is based on face-to-face(contact) culture, but the ‘sensus fidei’ of the faithful who are indifferent to religion and exposed to the danger of this infectious disease are changing. Hence, The Church should lead the faithful to everyday life piety rather than attending the mandatory Sunday mass, and the pastoral care should be changed to realistic ‘untact’ society rather than be centered on previous external expansion and face to face friendshiporiented. The Catholic Church facing this Pandemic era is required self-reflection on traditional theologies of the Sacraments and the Church. While keeping the previous values of personal contact and communication, the Church should reestablish the meaning of personal contact and be required the change to a new paradigm in the way of communication. To do this, to overcome the blind point of digital culture, and the pastoral care of meeting the faithful through ‘on line’ is needed. Also it is needed to fulfill the neighbor loving through the solidarity of the Catholic Church’s possessing universal power and through participating to this pain while preventing this infectious disease and its spreading. Specially, the pastoral ministers should make efforts for the sensible pastoral cares with the faithful in this Pandemic era. It is not that of traditional, authoritative priesthood, but to communicate with the faithful to escape from authoritarianism and the external expansion which was familiar to democratic culture, to rediscover the real cultivating mind in everyday life, and to expand ‘sensus fidei’ in the realm of universal life.

      • 왜 영성(靈性)의 시대인가?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7 No.1

        오늘날을 ‘영성의 시대’라고 부른다. 영성이란 영적 존재인 인간이 “영을 따라 사는 삶”이며, 인간의 가장 본연의 종교적 태도이다. 그리스도교 영성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 말씀의 육화의 신비를 삶 속에서 살아가는 영적 태도를 말한다. 그러나 오늘날 영성의 시대를 갈망하는 현대인에게는 다양한 형태의 도전이 존재한다. 소유와 탐욕의 약탈 자본주의, 능률과 성과 중심의 피로사회의 압박감, 시장이 된 종교와 종교의 세속화 현상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문명의 위기는 곧바로 영성의 위기이자 기회이다. 21세기 그리스도인에게 요청되는 영성은 이러한 문명의 위기에 대처하는 그리스도인의 고유한 영성의 전통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리의 성령께서 일깨워주고 지탱해주시는 신앙 감각(sensus fidei)을 재발견하고 회복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존재하고 있음에 감사하고 관계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을 찾는 영성,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올바른 정신의 지향점을 식별하고 자아중심에서 벗어나 하느님께 자신을 내어주는 비움의 영성, 그리고 이웃 사랑의 실천을 통하여 하느님 사랑을 회복하고 고통 받는 이웃과의 연대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실천하는 영성이 필요하다. 영성의 시대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거룩함에 초대되고 있음을 깨닫는 일에서 시작된다. 성덕에로의 초대는 영성생활의 출발점이며, 속된 세상 속에서 하느님의 거룩함을 일상 안에서 발견하는 21세기 그리스도인의 과제이기도 하다. Today is called by “The Spirituality era”. Spirituality means that human as a spiritual being is “following by the Spirit”, which is human’s inborn religious attitude. Christian spirituality means the spiritual attitude that is living in God’s Word, which leads life to the incarnated mystery in real life through Jesus Christ. But these days, modern men who are longing for the spiritual era face to various kinds of challenges. Those are (1) Democracy of possession, greed and plunder, (2) Tired-society pressure centered on efficiency and outcome, and (3) Religions as a market and secularization. These 3 crises of civilization are the chance as well as crisis of spirituality. The spirituality demanding on the 21th Christians is to recover the inherent tradition of spirituality coping with such a crisis of civilization. To do this, to rediscover and recover the Sensus Fidei, which is awakened and sustained by Spirit of Truth. For this, it is needed that the spirituality which thanks for Being, the spirituality which finds identity within relationship, the kenosis spirituality which discerns the right spiritual direction point among value chaos while getting out of ego-centric, the practicing spirituality that recovers God’s love through loving neighbors and practice Christ’s Gospel through solidarity with suffering neighbors. The Spirituality era begins with realization that all Christians were invited to holiness. This invitation to flourishing virtue is the starting point of spiritual life. Also this is the assignment to the 21st Christians who discover God’s holiness in everyday life within the secular world.

      • A.I.(인공지능) 시대의 신인류(posthuman)는 그리스도교 인간학의 위기를 가져올 것인가?

        송용민(Yongmin So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2 No.1

        21세기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의 결합으로 시작된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이러한 산업 문명의 패러다임 전이는 컴퓨터 기술의 고도화와 고속인터넷의 발명, 그리고 빅데이터로 불리는 방대한 정보교환의 혁명이 만들어낸 초연결사회를 이끌고 있다. 오늘날 인공지능과 로봇 공학의 결합을 통하여 인간 삶의 질이 획기적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이 실생활에서 인간의 삶을 보조하는 역할을 넘어 인간 본성의 고유한 영역을 대체하는 놀라운 기술혁명으로 삶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동시에 뇌과학의 발전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한 인공지능 개발로 이어져 개량된 증강 인간(트랜스휴먼)이나 인간의 본성을 극복한 새로운 인간의 출현(포스트휴먼)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런 점은 하느님의 모상으로 여겨져온 전통적인 그리스도교 인간관에 적지 않은 도전이 되고 있다. 과연 뇌과학과 신경과학의 발전에 따른 인공지능(A.I.)의 기술개발이 인간의 고유한 지성과 능력을 넘어서게 된다면 인류는 새 인류를 어떻게 맞이해야 할 것인가? 여기에는 몇 가지 숙고해야 할 신학적 물음들이 있다. 첫째는 인공지능 기술이 과연 인간의 복잡한 지성 작용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느냐는 회의론이 있다. 둘째는, 발전된 뇌과학 연구의 성과들이 그리스도교가 전통적으로 지켜온 인간의 주체성, 곧 이성과 자의식과 자유의지를 지닌 정신적 존재인 인간의 행위를 뇌기능이나 뇌의 신경세포들의 작용으로 환원하려는 과학의 도전에 얼마나 설득력 있는 답변을 내놓을 수 있느냐는 점이다. 셋째는 하느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신앙 행위에 기초를 둔 그리스도교 인간학의 담론들이 4차 산업혁명으로 대두된 인공지능 기술과 뇌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들과 대화할 것인가이다. 이런 점에서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인공지능 기술이 미래에 가져올 현실들 가운데 그리스도교 인간 이해의 핵심적인 쟁점이 될 수 있는 분야, 곧 개량된 증강인간(트랜스휴머니즘)과 호모 사피엔스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포스트휴먼(posthuman)의 등장과 관련하여 신학이 전통적인 그리스도교 인간 이해에 대한 근원적 신뢰를 어떻게 정당하게 해명할 수 있는지를 인간 존재의 본성이 지향하는 ‘세계 개방성’과 ‘하느님의 모상성’ 안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21st century i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which has been started from the union of Big Data and A.I. Such a paradigm shift of industrial civilization leads hyper-connected society made from the advancement of computer technology, invention of hi-speed internet and massive information exchange which is called Big Data. Today, through the combination of A.I. and robot engineering, the quality of human being’s life is changing innovatively. Such a technology exceeds its assistant role in human life, changes the life paradigm with astonishing technology revolution which replaces human’s intrinsic field.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continued to A.I. development, which imitated human intelligence, then enable to appear augmented human (trans-human), or new human (post-human) that overcome human nature. Such points challenge considerably to traditional Christian anthropology that was regarded as ‘Imago Dei’. Indeed, if brain science and A.I. technology development according to neuro science development exceed human’s intrinsic intelligence and ability, how human has to meet new human? Here are some theological questions to be considered. First, there is a skepticism that A.I. technology can replace completely human’s complicated intelligence action? Second, the outcomes of developed brain science study can give persuasive answers to scientific challenge, regarding the human identity that Christianity kept traditionally, which is spiritual human being’s acting with reason, self-consciousness and free will to revert to brain and brain nerve cell’s function? Third, How the Christian anthropology discourse which is based on human act of faith on God’s revelation adopts and communicates with A.I. technology and the outcomes of brain science study which come to the f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oint, among the future realities to be brought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which is the cent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lated with the appearance of augmented human(trans-human) and post-human that tries to exceed the limitation of Homo Sapiens, which can be the fundamental issue of Christianity human understanding, this study tries to explain how theology explains properly the original trust regarding traditional Christianity understanding on human, within ‘World Openness’ and ‘Imago Dei’ which human being’s nature pursued.

      • ‘신앙 감각’의 원리로서‘성령’에 대한 토착화적 이해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5 누리와 말씀 Vol.- No.37

        신앙 감각(sensus fidei)이란 복음의 진리에 대한 일종의 본능(Instinkt)인데, 이 본능은 올바른그리스도교 교리와 실천을 파악하고받아들이며, 잘못된 것을식별할수있게해주는능력이다. 신앙감각은그리스도인들이자신들의예언자적소명을완수할수있게이끌어주는것이며, 진리의성령께서일깨워주시고 지탱해주는 초자연적 은사에 속한다. 오늘날 신앙 감각의 중요성은 신앙 행위가 지닌 체험과 맥락의 중요성과 무관하지않다. 구체적인삶의맥락들속에서참된진리의체험이가능하려면영 적식별능력과그리스도신앙고백의내재적원리가필요한데, 그런증언의능력이 신앙 감각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신학적으로 중요한 점은 이 신앙 감각의 원리인 진리의 성령을 구체적인 삶의맥락에서체험하고이해하기위해서는신학의자리인맥락(context)에대한 토착화적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의종교문화적 맥락에서보면성령에대한 체험은 성령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참된 성령 체험의 면모를 밝혀줘야 한다. 한국인의 기층적 종교심성을 형성하고 있는 민간신심은 특별히 도교적 세계관의영향을받은기(氣)에대한 체험과무당의종교체험에바탕을둔 한(恨)의체험,그리고굿판의구조와굿의공동체적제의의체험에서나온신바람(神明) 체험이 중요하다. 이 세 가지 종교학적 개념들은 곧바로 한국적 맥락에서 성령 체험을 이해하는 해석학적 열쇠가 된다. 성령체험이신앙의내재적원리로만이해되지않고, 창조질서안에서우주 론적조화와순환이라는구원사적원리로이해되기위해서는성령을‘하느님의 기’로이해할수있다. 창조행위를통해만물을조화롭게만드시는하느님의영 은구약성경에서증언하는‘ruach’의성령체험과연관되어있기때문이다. 그리스도신앙의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파스카신비, 곧십자가에달리신 그리스도의 한 은 곧바로 (恨) 성령체험의중요한열쇠가된다.무당의체험에서 인격적으로 드러난 한의 체험은, 한맺힘과 한풀이를 통하여 죽음에서 부활로 넘어가는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드러낸다. 동시에하느님은당신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과 자기 부정을 통하여 만물을 새롭게 회복시키는 성 령의 활동을 체험하게 해준다. 한국인에게‘풍류’로체험되는신바람(神明)은삶의아름다움의체험이우주 적신적질서로부터나오는하느님의영광과맞닿아있다. 특히굿판의공동체적 제의를 통하여 드러나는 한국인의 합일의 체험은 찬미와 영광을 드리는 경신례적 행위와 영적인 교감을 통해 관계를 이끌어주시는 성령의 현존과 활동을 체험하는 중요한 신학적 고리가 될 수 있다. 맥락 신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의 토착화 신학의 노력이 미진 한 가운데 신앙 감각의 본질과 형태를 파악하려는 신학적 노력에 이러한 성령 체험의 신학적 맥락화 시도가 토착화 신학의 지속적인 연구에 작은 힘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ensus fidei is kind of instinct about the Truth of Good News. This instinct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Christian doctrines, to accept Christian practices and to discern the wrong things. Sensus fidei belongs to supernatural charisma, which Holy Spirit awakes and sustains; guides to accomplish each Christian’s prophetic vocation. Today, the importance of Sensus fidei is connected to the importance of faith experiences and its context. To make the real Truth experience possible in real life context, the spiritual discerning ability and intrinsic principal of Christian faith profession are needed. Such witness ability comes from Sensus fidei. Theoretically important point is to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ruth in real life context needs to study context inculturally. Context itself is the site of theology. Observing in Korean religion-cultural context, the spirit experiences have to reveal the real Holy Spirit feature to Korean Christian who lives in the Holy Spirit era. The basic Korean religion spirit is the ‘spirit experience’ which is specially influenced by Taoism world concept, the ‘grudge experience’ based on Shaman religion experience and the ‘excitement experience’ came from the structure of ’gut’ and its community ritual experience. These 3 religion concepts are the keys to interpret the Holy Spirit experiences in Korean context. To understand the spirit experience is not just intrinsic principal of religion but to the Salvation principal as to cosmic harmony and circulation in Creation order, the Holy Spirit could be understood as to ‘God’s Spirit’. The God’s spirit which makes all creatures harmonious through Creation; this Spirit is related to ‘ruach’ experience attested in the Old Testament. The core of Christian faith is the Paschal mystery of Jesus Christ, Christ’s grudge on the Cross. This grudge is the important key to understand the Holy Spirit experience. The grudge experience shown in Shaman’s personal experience reveals this Christ’s Paschal mystery from death to resurrection through knotting grudge and unknotting grudg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kenosis’ of Jesus Christ, Son of God, and ‘self-denial’, God makes possible to experience the Holy Spirit activities which renew and restore all creatures. The 'excitement experience’ which is called ‘refinement to Korean people is related to experience the beauty of life is next to God’s glory coming from divine cosmic order. Specially, ‘One Korean’ experience shown in ‘gut’, community ritual ceremony, can be an important theoretical link to experience the Holy Spirit presence and activity, who leads through community ritual ceremony and spiritual inter-relation of praises and giving glor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context theology, still study on Korean inculturation theology is insufficient. This theological endeavor to find out intrinsic nature of sensus fidei, along with the trial of experiment of theoretical context of such Holy Spirit experiences could to be a small help to continue the inculturation theology.

      • ‘공감(共感) 능력’과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6

        공감과 소통의 부재를 앓고 있는 현대 문명사회 속에서 제러미 리프킨의 저서 『공감의 시대』는 인류의 지속 가능한 세상을 위한 문명사적 전환을 요청하고 있다. 그는 인류의 공감적 특성이 진화해 온 과정을 들여다보고, 지금까지 공감이 우리의 여정을 어떻게 꾸려 왔으며 앞으로 하나의 종으로서 우리의 운명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문명사에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류가 당면한 공존과 생존의 문제에 맞서 오늘날 적자생존과 부의 집중을 초래한 경제 패러다임을 끝내고 이제는 인류가 오픈소스와 협력이 이끄는 제3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주장이 좋은 반향을 얻고 있다. 리프킨의 공감 시대로의 패러다임 전이에 대한 요청은 인간이 문명사에서 본성적으로 공감하는 존재(호모 엠파티쿠스)임을 확인하고, 공감 능력을 상실해온 인류 역사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의식 혁명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역설하기 위해서였다. 리프킨은 공감의 능력이 본래 신화적 의식에서 신학적 의식으로, 이데올로기 의식에서 심리학적 의식으로 발전해온 문명사적 관점들 속에서 어떻게 인류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종교적 변화를 일으켜왔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3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협력과 협동의 에토스로 새로운 공감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는 밀레니엄 세대의 도래를 예상하였다. 공감 능력이 단순히 인간의 본성적 구조라는 리프킨의 주장에는 다소 비약과 인문학적 상상력이 표현되어 있다. 하지만 이 공감 능력이 그리스도교 신앙 역사 안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는 점은 신앙 행위를 가능하게 해주는 내적 소인으로서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예수의 스토리에 깊은 매력과 공감을 가지고 그의 복음적 사건에 공감하고 참여하면서 하느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깊은 신뢰와 희망 속에서 자라났다. 물론 인간의 신앙 행위 안에 인식론적 원리로서 신앙 감각의 의미와 신앙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내재적 원리임을 전제한다면, 신앙 감각은 그리스도 신앙이 지닌 고유한 공감 능력의 종교적 발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신앙 감각은 따라서 교회 역사 안에서도 시대와 문화의 맥락 속에서 성장하고 양육되어 왔으며, 비록 교회가 처한 사회적 현실 속에서 신앙 감각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평가가 달랐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구성원 전체에게 선사된 은사로서, “진리의 영에 의해 일깨워지고 양육되어진 초자연적 신앙 감각”(「교회헌장」, 12항)의 신학적 가치와 교회론적 원리를 재인식하기에 이르렀다. 전통적인 교회관에서 신앙 감각이 단순히 교도권의 가르침에 순응하는 메아리로 치부되던 것과는 달리 공의회는 신앙 감각이 하느님 백성 전체가 드러내는 그리스도의 예언자적 직무를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리스도교가 인류 문명사에 이루어온 희망의 표징들을 지속 가능한 세상으로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인의 신앙 감각에 내재되어 있는 공감적 본능과 공감의 원리들을 신학적으로 풀어낼 필요가 있다. 그것은 개별적 신앙 감각을 통하여 절대 신비이신 하느님을 향한 인간 의식의 궁극적 지향성을 회복하고, 공감과 소통을 통해 구원 체험을 이룬 교회 공동체가 본성적으로 성령에 의해 일깨워지고 양육된 신앙 감각을 통하여 공동의 합의(consensus)를 이룰 수 있는 신앙 공동체적 기초를 이루어가는 길이기도 하다. 오늘날 가톨릭교회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현대 문명사회와 소통하면서 세상 속 교회를 표방하고,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보편적 구원을 선포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신앙의 보편성과 역사성이 지니는 공감적 감수성을 신앙 감각에서 재발견했기 때문이다. 교회는 신자들의 예언자적 은사로서 신앙 감각을 교회론 안에서 올바르게 정립하여 인류 문명에 중대한 기로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이 지닌 구원적 도구로서의 가치를 발휘하는 예언자적 직무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Current civilized society is faced with the absence of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In “Sympathy era” written by Jeremy Rifkin, he demands the conversion of historical civilization for the possible continuing era. He looked into the process of mankind-sympathy-characteristic-evolution; he examined how sympathy manages mankind journey, and how we should decide our fates as a species, and then try to present new interpretation on civilization history. Confront by coexistence and existence problems which mankind is faced, he proposed that it is the time to open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led by mankind open-source and cooperation after finishing the economy paradigm which has caused current survival of the fittest and wealth concentration. His proposal evokes good responses. Rifkin’s request of paradigm transfer to sympathy era conforms that human beings are originally Homo emphaticus, ‘being of sympathy’,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states paradoxically that new consciousness revolution is absolutely needed in mankind history which is deprived of sympathy ability. Rifkin examined in the points of historical civilization how this sympathy ability is developed from mythological to theological consciousness, from ideological to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how this ability provoked change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religion. He predicted the coming of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which would be a millennium of creating new stream of sympathy unde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ethos. of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which would be a millennium of creating new stream of sympathy unde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ethos. Christian faith is grown by deep trust and hope of coming of God’s kingdom has attraction and sympathy in Jesus story, then sympathizes and participates to Gospel events. Presuppose that the meaning of ‘sensus fidei’ is cognitive principle of faith activity and Church’s intrinsic principle as a faith community, it makes no difference that ‘sensus fidei’ is religious sudden rise of original ‘sympathy ability’ in Christian faith. ‘sensus fidei’ is developed and cultivated in the interconnections of era and culture in the Church history although the evaluations on its role and value of ‘sensus fidei’ in the realistic society were different which the Church face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2nd Vatican Council, the theological value of the Church’s principle of “supernatural sensus fidei awaken and cultivated by the Spirit of Truth” (LG 12), the charisma bestowed to all church members as People of God comes to re-recognize. In traditional Church view, ‘sensus fidei’ was thought as a simple echo to Magisterium teaching, the 2nd Vatican Council emphasized that ‘sensus fidei’ is the important factor to perform Christian’s prophetic ministry revealed by all People of God. In this point of view, the world where the signs of hope are possible, which Christianity accomplished in mankind civilization history, is needed to solve theoretically the principles of sympathy and sympathetic instinct which lies in Christian ‘sensus fidei’. This is the way to restore the human consciousness ultimate intention toward absolutely mysterious God, through each Christian’s ‘sensus fidei’ is to wake up the Church community by the Holy Spirit that had the salvation experiences through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to come to make the foundation of consensus through cultivated ‘sensus fidei.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Catholic Church is communicating with current civilized society, professed her as to the Church within the world and proclaims universal salvation as People of God. These were possible by rediscovering universality and history of sympathy sensibility in ‘sensus fidei’. The Church establish right this ‘sensus fidei’ as believer’s prophetical charisma in ecclesiology, should continue the prophetic ministry which demonstrate the value o

      • ‘신자들의 합의’(Consensus Fidelium)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신앙 감각’의 교회론적 의미에 대한 성찰 -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2

        ‘신앙 감각’이란 “올바른 그리스도교 교리와 실천을 파악하고 그에 동의하며, 잘못된 것을 배척하도록 해 주는 복음의 진리에 대한 본능”으로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전통을 지탱해온 ‘신학의 자리’(locus theologicus)에 속한다. 개별 신자의 신앙 감각(sensus fidei fidelis)은 신앙 공동체인 교회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드러난 하느님의 구원 체험에 대한 ‘공동 본성’(connaturalitas)으로 일치(koinonia)와 친교(communio)를 나누며 ‘신자들의 신앙 감각’(sensus fidei fidelium) 을 형성하고, 진리의 성령에 의해 일깨워지고 지탱되어지는(「교회 헌장」 12항) 초자연적 신앙 감각 덕분에 믿음에서(in credendo) 신앙과 도덕에 관하여 주교로부터 평신도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인 합의(consensus fidelium)에 이를 때 오류에 빠지지 않는다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가르친다. 신자들의 신앙 감각은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자 직무에 참여하는 성령의 은사이며, 새복음화를 위한 중요한 자산임에도 불구하고, 역사 안에서 명료하게 해명되지 않은 신학적 개념에 속한다. 교회 역사 안에서 신자들의 신앙 감각을 토대로 이루어진 신자들의 합의의 역사는 고대 교회에서 사도전승에 속한 것을 식별하는 데 확고한 기준점으로 받아들여졌고, 중세의 신비 사상과 수도원 운동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복음적 진리를 전승하는 중요한 역할을 지속해왔다. 이 점은 19세기 이후 존 헨리 뉴먼(J. H. Newmann) 추기경과 이브 콩가르(Y. Congar)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 진리 발견에의 평신도들의 적극적인 동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평신도들의 고유한 사도 직 소명과 예언자 직무를 재발견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성직자와 평신도를 포함한 전체 교회를 지칭하는 ‘하느님 백성’이 역사 속에서 다르게 평가되고, 중세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교도권(주교직)의 가르침에 순응하는 역할로 폄하되기도 하였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는 교부들과 고대 교회의 정신을 회복하여, 세례성사로 하나로 결합된 하느님 백성인 교회가 진리의 성령께 받은 신앙 감각을 통하여 공동의 진리 발견 여정에 동참할 수있는 친교의 교회로 거듭날 수 있었다. 오늘날 신자들의 신앙 감각을 통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신자들의 합의’는 사회적 합의의 기술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뢰의 의탁에 뿌리를 둔 신앙체험과 영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점은 오늘날 교회 생활에서 신자들의 신앙 감각의 표현을 경청하고 강화하며 식별하고 판단하는 교도권이 겸손하고 단순한 삶 속에서 신앙을 증언하는 신자들의 신적 지혜와 삶의 권위를 존중할 때 교회 안에서 참된 합의(consensus)가 이루어질 수 있고, 교회가 세상 속에서 예언자 직무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여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ensus fidei is affiliated with locus theologicus which sustained Christianity tradition as 󰡒an instinct to the Truth of the Good News to understand right Christinity dogma and practice, to agree against with wrong doings. Laity s sensus fidei fidelis is a connaturalitas about God s salvation experience which is revealed through Jesus Christ, shares koinonia and communio , forms sensus fidei fidelium and is awaken and kept by Spirit of Truth(Church Constitution Chapter 12). The Vatican Council II teaches us with the help of the efforts of its supernatural sensus fidei, when they reach to consensus fidelium in credento from bishop to laity doesn t fall into fallibility. Laity sensus fidei is the Holy Spirit s charisma to participate in Jesus Christ s prophetic mission. Although it is the important asset for new evangelization, this theological concept did not understand clearly in history. The consent history of laity based on faithful s sensus fidei in the Church history was accepted as to concrete standpoint to discern the Apostles tradition in the Early Church. And it kept the important role to inherit Christ s evangelical truth through mysticism and monastery movement in the Middle Ages. After the 19th century, the necessity of active participation of laity to find out Christianity truth was raised by centering on Cardinal John Henry Newmann and Yves Congar. They played a great role to rediscover laity s unique apostolate vocation and prophetic mission in the Vatican Council II. God s people, the Church, including clergy and laity, were evaluated differently. After the Middle Ages to modern era, it was underestimated as to just the obedience role to Magisterium, but in the Vatican Council II, that restores Church Doctors and the Early Church s Spirit. The Church is God s people united with the sacrament of baptism. It could be reborn to Church of communio which participate to journey of searching for common truth by sensus fidei endowed by the Spirit of Truth. Today, consensus fidelium about faith and morality through laity s sensus fidei is not the technology of social fidelium but it was rooted on the experience based on trust and dependency to Jesus Christ and spirituality. When the Magisterium within modest and simple life listens to the laity s sensus fidei expressions, strengthens, discerns, respects laity s divine wisdom to witness the faith, the true consensus in the Church can be made and leads the Church to join the journey of prophetic mission in the world.

      • 신학은 상상력을 필요로 하는가? - 존재적 사유를 통한 해석학적 신학의 기초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9 누리와 말씀 Vol.46 No.1

        ‘신학’(theology)은 문자 그대로 하느님(神, theos)에 대한 이성적 성찰(logos)이면서 동시에 하느님에 대해 성찰하려는 인간 실존에 대한 자기 이해이다. 20세기 이후 그리스도교 신학은 실존주의와 다원주의의 물결과 과학 시대와 제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종교와 신체험에 대한 지속적 비판에 맞서 여전히 인간의 신앙이라는 태도의 정당성을 해명할 것을 요청 받고 있다. 오늘날의 신학의 위기는 역사주의를 넘어 19세기 근대의 과학혁명이 이루어 놓은 기술 사고로의 전환에서 진리 이해에 있다. 곧 인간이 인식할 수 있고 인간이 만들 수 있는 것을 넘어 “이룰 수 있고 이루어야 할 것”(verum quia faciendum)이라는 가능성이 진리가 기술과학 시대를 열면서 중세의 전통적 신학에 위기가 닥친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과학주의와 과학의 한계는 하이데거의 선험적 존재론 이후 사물의 본질보다는 사물에 대한 양적 규정을 사명으로 하면서 과학적 지식이 지닌 역사성을 해석학적 순환 안에서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으면서 과학적 진보와 인류의 기술 문명의 발전을 통한 도구적 지식의 증가는 상호주관적 목표 결정의 영역을 넘어 유의미한 사회적 존재들 간의 의사소통적 결정 과정에 과학적 합리성이 침투함으로써 생겨낸 해석학적 상상력의 위축을 보여주는 증후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20세기 이후 새롭게 등장한 해석학적 신학은 과학적 인식 방식과는 달리 상호주관적 인식 방식을 정신과학의 원리로 해석해낸 결과이다. 신학은 인간의 상호주관적 인식 방식을 통해 얻게 되는 인간의 상호 신뢰성과 통교성을 전제로 초자연적 인식 대상인 하느님과 맺는 독특한 인식 형태인 신앙 행위를 학문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오늘날 신학은 존재적 사유에 기초한 해석학적 신학의 긍정성을 재발견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존재 사유 방식과 존재 양식은 인간이 단순히 세상의 소유의 욕망의 나락에 빠지지 않고, 인간 안에 심어진 영의 능력, 곧 영적인 삶에로의 갈망을 되살려주는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사회의 희망이 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21세기 신학이 나아가야할 길은 전통적인 호교론의 신학 흐름에서 벗어나 오늘날 주목 받고 있는 인문학의 연구 성과들과 만나 그들이 풀어 놓는 풍부한 인문학적 상상력을 복음의 빛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그리스 도교 신앙의 관점에서 풀어가는 신학의 해석학적 연구를 심화시키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Theology is literally the rational self-examination (logos) on God and, at the same time, is the self-understanding on human existence about God. After the 20th century, theology is requested to explain for the justification of human being’s religion attitude facing to continuous criticism on religion and new experience in the wave of existentialism, pluralism, science era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hift. The crisis of today’s theology is, over historicism, to understand the truth through the changeover of the 19th century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which is technique thinking shift. The crisis of medieval traditional theology has met, while opening technique science era, the possibility that beyond human being could realize and to make “something can/must do” (verum quia faciendum). But, the limit of today’s scientism and science, after Heidegger’s transcendental ontology, said their duty is quantative rule rather than its essence. It is also criticized as to wrong awareness about historicality that scientific knowledge contains in hermeneutics circle. Especially, 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crease of instrumental knowledge through scientific development, humankind technology development are over the realm of inter-subjective goal decision, and are pointed as a sign of showing hermeneutic shrinking which arose from scientific rationality passing through communicative decision process between meaningful social beings. The hermeneutic theology which is appeared newly after the 20th century is the result of interpreting method of inter-subjective awareness from mental science principle, not the method of scientific method of recognition. Theology tries to investigate academically the acting of faith, which is the special form of the awareness with God;, the supernatural object of cognition, through the way of human’s inter-subjective awareness. Today’s theology is needed to rediscover and develop the positivity of hermeneutic theology which is based on existential reason. The method of existence reason and existence mode should be the hope to new human being and new society that revitalize the yearning for eternal life, which was planted the spiritual ability in human being, not falling into the bottomless pit of simple earthly having desires. In this sense, the way that the 21st century theology aims is, off the point of traditional Apologetic theology stream, to meet with promising ontology study outcome and to reinterpret their abundant imagination of humanities as to the light of Gospel, to deepen these hermeneutic theology studies in the point of the Christianity’s view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