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특산물 홍보활동을 위한 정보획득: 척도개발과 타당성

        하홍열,박상규 통계청 2010 통계연구 Vol.15 No.1

        There are a number of information sources for publicity activities of regional speciality, while there is limited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scal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approach on information acquisi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of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for publicity activities of regional speciality. Findings show that five factors such as advertising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internet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are identified, suggesting that they have a total variance of 76.86%. Interestingly, in pre-test study internet information was identified as a primary factor of publicity activities, whereas in the full-scale study both advertising and character information are identified as the key factors for publicity activities of regional speciality. Based on scales developed by reliability and validity, it also implies that these measurement scales provide a systematic alternative of publicity activities for regional speciality products. 지역특산물 홍보활동을 위한 다양한 정보원이 사용되어지는 반면, 정보획득에 대한 체계적인 척도의 개발은 제한적이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특산물 홍보활동을 위한 정보획득 방식의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5가지 요인(광고정보, 캐릭터정보, 이벤트정보, 인터넷정보, 시설물정보)의 14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이는 전체변량의 76.86%를 설명한다. 흥미로운 점은, 사전조사에서는 인터넷정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나, 본 조사에서는 광고정보와 캐릭터정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은 지역특산물 홍보활동에 체계적인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불교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정호영 韓國佛敎硏究院 2014 불교연구 Vol.40 No.-

        우리는 왜 지금 보편성과 특수성에 관해 질문하는가? 불교에서는 과연 그 보편성과 특수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는 부분과 전체, 상대와 절대 등에 관한 형이상학적 물음이기도 하지만, 역사적 실존 인물로서의 붓다와 영원한 법신으로서의 붓다의 관계에 대한 물음으로 제시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불교적 삶의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는 이러한 물음의 전형적인 예를 화엄에서 발견한다. 특히 4종법계에 관한 논의는 보편과 특수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스펙트럼을 보여주는데, 이 가운데 사사무애법계는 보편과 특수의 상즉·상입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불교적 사유가 극한에 이른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이러한 사유의 근저에는 초기불교 이래의 중도의 논리가 자립잡고 있으며, 이 중도의 철저한 자기해체의 논리는 중국불교의 특징적 유형 가운데 하나인 화두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상반된 것의 동시성립'으로 표현될 수 있는 불교적 사유는 과정론 또는 실천론의 맥락에서 '나아감과 돌아옴'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화엄의 경우 그 구체인 예는 의상의 『화화엄일승법계도』이다. 여기에서 시작과 끝은 같은 자리에 놓인다. 시작과 끝은 다른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같은 자리에 있을 수밖에 없음에서 비롯되는 역설은 "가고 또 가도 본래의 자리이고, 이르고 또 이르러도 떠난 자리"(行行本處至至發處)라는 말로 표현되기도 한다. 중국 선종의 경우 이러한 상황은 『십우도』에 극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논의에서 나아감과 돌아옴이 일회적 사건이 아니다. 우리는 매 순간 각 자 새로운 출발선에 서 있다는 것이 위 논의들의 요체이다. 그것은 우리가 미완이어서가 아니라 매 순간 존재와 의미의 충만 속에 끊임없이 관계를 맺어가는 상호존재라는 점을 보여준다. 불교가 말하는 이론과 실천은 결국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Why do we ask about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And how have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been represented in Buddhism? These problems are basically metaphysical ones, but those are also the problems of Buddhistic way of life in so far as they are sometimes suggested as the ques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historical Buddha and the eternal dharmakāya. We can find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questions in Huayen Buddhism. Especially the theory of 4 dharmadhātu shows the spectrum of the diverse understandings on the problem of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and the 'non-obstruction of particular and particular dharmadhātu' can be understood as Buddhist way of thinking which have reached to the utmost limit, because it talks about the mutual identity and the mutual dependency of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We can find the logic of middle way beneath these ways of thinking, and this logic of middle way, which shows the exhaustive self-dismantlement, has continued unchanged to the Chinese Zen Buddhism. The Buddhist thought which can be explained as the coincidence of the opposites can be imagined as 'quest and return' in the context of process or practice theory. The concrete example in Huayen Buddhism is Diagram of the Dharmadhātu According to the One Vehicle of Hwaom by Uisang. In this text the beginning and the end are located at the same place. The paradox which is originated from this situation is represented as following : "Though we go and go, that is the original place; though we arrive and arrive, that is the starting place." In Zen Buddhism this situation is suggested dramatically in Ten Diagrams of Herding Cows. In these disputes 'quest and return' is not only one single event. The real meaning of these disputes is that each one stands at every moment on the starting point. This is not because we are incomplete, but because we are inter-beings who make relationships continuously at each moment with fullness of existence and meaning. And this is the very point which the Buddhist theory and practice are established.

      • SCIESCOPUSKCI등재

        ON THE ORDER OF SPECIALITY OF A SIMPLE, SPECIAL, AND COMPLETE LINEAR SYSTEM ON A CURVE

        Ballico, Edoardo,Homma, Masaaki,Ohbuchi, Akira Korean Mathematical Society 2002 대한수학회지 Vol.39 No.4

        The order of speciality of an ample invertible Sheaf L on a curve is the least integer m so that $L^{ m}$ is nonspecial. There is a reasonable upper bound of the order of speciality for a simple invertible sheaf in terms of its degree and projective dimension. We study the case where it reaches the upper bound. Moreover we for mulate Castelnuovo's genus bound involving the order of speciality.ality.

      • KCI등재

        전공의관련 법적 분쟁의 최근 유형들과 제도적 시사점 : 전공의관련 판례의 유형과 제도적 개선방안

        박경기 ( Park Kyung Kgi ),김기영 ( Kim Ki-young ),허정식 ( Huh Jung-sik ) 한국의료법학회 2019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7 No.1

        전공의는 피교육자이자 의과대학의 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자이다. 전공의는 지도전문의의 지도하에 전문과목에 대한 수련을 받아야 하며 이는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 아니라 환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련 과정은 인턴과정과 전공의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문과목마다 수련기간이 다르다. 전공의의 수련환경은 각 병원마다 차이가 있으나 도제식교육과 피교육자라는 것으로 인해 장기간의 근무로 인해 만성피로와 주의력부족 등으로 인해 의료사고에 노출이 될 수 있으나 최근 전공의 특별법이 제정되어 전공의의 근무시간을 제한하게 되어 있다. 전공의의 경우 전문과목별 술기에만 교육과정이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많다. 각 전문학회에서 전공의 교육을 위한 목표와 목적을 정하고 수련과정을 정하고 있으나 인성과 최근 변화되는 의료환경과 의료법 등에 대한 교육은 미흡하고 특히 의료사고 발생과 관련된 조치에 대한 교육은 미흡한 상태이다. 최근 의료사고와 관련되어 전공의를 포함한 의료진이 구속되는 등의 사건이 발생하였다. 전공의와 둘러싼 법적 문제들 중에서 의료법 위반 및 징계 및 행정처분 사건, 의료사고에 대한 민형사상책임문제, 전공의의 강제추행 등 사건 및 전공의의 과로 등 보호의무위반으로 인한 병원의 사용자책임 사건 등을 분석하면 다른 의료사고와 마찬가지로 전공의 능력을 초과한 부분에 대한 지도전문의의 감독지도가 부족하고 이를 인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전공의가 수련과정이지만 민형사상의 책임을 지는 경우가 있으며 직접 의료사고의 인과관계가 없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의료사고가 발생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하며 이를 위한 병원과 전문학회의 교육과 보호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A resident is a trainee and also a teacher who plays an an important role in the clinical practice of the students of the medical school. The residents must be trained in specialized courses under the guidance of a specialist. They work at the hospital and they are in charge of the patient's treatment, no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uch as the school. The training process is divided into internship courses and resident courses. The train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is different in each hospital, but it is exposed to medical accidents due to chronic fatigue and lack of attention, because of long-term work as the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the trainee, but recent special law has been enacted, therefore working time at the hospital is limited. The resident training course tends to be focused only on the technique of each speciality. Although each special association of speciality has set goals and objectives for the education of its resident and set the course of training, the education on humanity and the recently changed medical environment and medical law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education about measure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medical accidents. Recently, there have been incidents such as the arrest of the medical staff including the residents related to the medical accident. Analysis of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medical law, cases of discipline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problems of civil liability for medical accidents, cases of forced enforced of residents, and cases of hospital occupational accidents caused by violation of the protection obligations like other medical accidents, there is a lack of supervisory guidance by the specialist in areas beyond the competence of the major. This should explain the fact that the residents are in the process of training but have civil liability and there i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rect medical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to deal actively when a medical accident occurs, and education and protection measures at the hospital and association of speciality will be needed.

      • KCI등재

        지명전설에 나타난 궁예상의 의미

        박상란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2

        I studied the images of Kung-Ye reflected in geographical legends and the viewpoint of Kung-Ye of the inhabitants of Cheorwon formed by the medium of it in this essay. And I traced the viewpoint of Kung-Ye to its source in the historical speciality of Cheorw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subject matters of the geographical legends concern with Kung-Ye are mainly his historical tracks, refuge, battle and disobedience, defeat and fleeing, death and the occurrence after his death. In contrast to the official history stressed on his tyranny, the inhabitants of Cheorwon are interested in the tracks Kung-Ye betook himself to flight. This is related with the points that Kung-Ye, the monarch of foundation set up the capital in their own base of life, was murdered mercilessly and their own region remained backwater until now. It is the course of nature that a geographical legend contains richly local speciality. That is to say, it remembers and interprets history, centering around his own region and in the place of that time it handed down. Therefore, it seems that the images of Kung-Ye reflected in the geographical legends are resulted from the matter of life with that the inhabitants of Cheorwon are struggling to this day. 본 연구는 궁예 관련 지명전설을 살펴 거기에 투영되어 있는 궁예상과 그것을 매개로 한 철원 지역 사람들의 궁예관을 검토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궁예관의 형성 배경을 현재에 이르기까지 철원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궁예 관련 지명 전설에선 궁예의, 피난, 전투와 항거, 패배와 도주, 죽음과 사후의 사적이 주로 이야기된다. 폭정을 강조한 역사 기록과 달리 철원 지역 사람들은 궁예의 패주 과정에 관심이 많은 것이다. 이는 궁예가 바로 자신들의 삶의 터전에 도읍했던 창건주라는 점, 그러한 그가 무참히 살해되었다는 점, 그 이후 자기 지역이 역사적으로 낙후되었다는 점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지명 전설에는 지역적 특수성 짙게 배어 있게 마련이다. 자기 지역 중심으로, 그리고 전승 당시의 현재적 입장에서 역사를 기억하고 해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궁예 관련 지명 전설에 보이는 궁예상에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 사람들의 삶의 문제가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문성이 강화된 지속가능한 요양보호사 제도 연구

        경승구(Seung-Ku Kyoung),장소현(So-Hyun Jang),이용갑(Yong-Gab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강화와 중장기적으로도 지속가능한 양성교육체계 논의모형을 하나의 사고실험차원에서 대안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요양보호사 자격취득자 및 취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행 요양보호사 양성교육과정과 병행하여 전문대학교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요양보호사 양성교육과정 개설, 양성교육 의무시간 확대, 경력과 전문성이 강화된 가칭 ‘전문요양보호사’ 제도 도입과 제공기관에서의 의무고용, 보수교육의 법정 의무화와 보험자의 보수교육강화 등으로 구성된 전문성이 강화된 지속가능한 대안적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제들도 제시하였다. The study proposes a discussion model for long-term care workers as a thought experiment, that strengthens speciality and presents an alternative education & training scheme for long-term care workers. First, the study unpack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cense acquisitors and the employed as long-term care workers. In sequence, the study tries to present an alternative education & training scheme of the professional long-term care workers, that is comprised of a new education & training course with NCS in junior colleges for young peoples, intensification of speciality in education & training course through extension of times and deepening contents, introduction of legal refresher training, granting of roles of the NHIC as insurer in legal refresher training, introduction and legal employment of the professional tong-term care workers with career experience and speciality. At last, the study suggests a series of policy projects for realization of that alternative education & training scheme.

      • 학교 입시교육에 대한 성찰적 대안

        정용교 ( Yong Gyo Chung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사회과학논총 Vol.7 No.-

        School education should actively cope with the rapid change of society by developing individual speciality. Spontaneously, school education should try to build up individual character and to realize a social common good. Today, school education stresses the score and grade for succeeding in the entrance-examination for the excellent universities(Seoul, Yonsei, Korea and so on), but in this process, ignores the aspects of individual character buildup and social common good. In this paper, I want to research about the entrance-examination for the excellent universities in standpoint of teacher and student. Of course, my study has been performed in terms of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instead of positivistic methodology. Through this paper, I should propose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for building up a desirable educational paradigm in korean society. Firstly, I will deal with the entrance-examination education in terms of teachers. Secondly, I will explore the problem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students experience in area of the highschool. Finally, I will propose a new paradigm of school education in the field of school rather than school education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분석

        이종형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2

        이 연구는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활성화와 학교체육의 질적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별 체육담당장학사(관) 및 교장·교감 집단 147명과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집단 214명으로 전체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운영실태는 ‘아니오’가 51.1%, ‘예’가 48.9%로 반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간에서는 초등보다 중등이, 직급구분에서는 교사보다 장학담당자의 응답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적절한 주당 운영시간은 ‘3시간’이 전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시간’ 24.7%, ‘2시간’ 13.5%의 순으로 응답하였다.셋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참가하는 학생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부분은 체력 및 건강 증진이 48.6%, 특기신장 15.3%, 올바른 인성함양에 14.5%의 순으로 응답하였다.넷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상의 문제점은 시설의 미비 37.6%, 지도교사의 과중한 업무부담이 30.9%, 지도교사의 전문성 부족에 19.6%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섯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장학협의의 빈도정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이 전체 45.3%, 매학기 1회가 24.4%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자의 전문성 및 온라인 언론 활동에 대한 인식과 평가 : 기자와 뉴스 수용자로서 대학생 간의 인식·평가 비교 연구

        이상기(Lee, Sang-Khee),김주희(Kim, Joo-Hee) 문화방송 2013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4 No.2

        본 연구는 인터넷, SNS 등으로 저널리즘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기자의 전문성 및 온라인 언론 활동(SNS 등을 활용한 비공식적 저널리즘 활동을 포함한)에 대해 기자들과 대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자의 ‘전문성’은 여전히 유효한 가치로 인정받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기자의 전문성 강화 요인에 대해 기자와 대학생 모두 전반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기사/뉴스에 대한 책임 소재에 대해서는 기자와 대학생 간 다른 인식을 보였다. 즉, 대학생들은 ‘조직의 책임’이라는 인식을 보였으나 기자들은 ‘기자 스스로의 책임’이라고 인식했다. 온라인 언론 활동에 있어서는 시민기자 및 이들이 생산한 뉴스의 신뢰도에 대해 기자들이 대학생들보다 더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다. 반면 전·현직 기자들의 온라인 언론 활동에 대해서는 기자와 대학생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결론적으로 정보와 뉴스가 넘쳐나는 새로운 저널리즘 환경에서도 기자의 전문성은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재확인했으며, 언론인들의 직업역량과 전문성이 더욱 신장되어야 함을 제시했다. This study compares journalists with under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understanding about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and journalists" activities in web 2.0.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journalis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are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factors in journalist"s specialities. Second, there were som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journalis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understanding citizen reporters, credibility of internet news and activities of journalists in web 2.0. In some contents, journalists were more conservative than undergraduate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worth keeping the speciality of professional journalism in the web 2.0 and undergraduate students feel a need of reliable information in the internet news. Therefore, journalists have to receive a pragmatic recognition of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find new roles in the age of web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