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무량심에 대한 두 가지 해석과 심리치료적 함의

        윤희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1

        First,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from the perspective of replacemental and sequential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replacemental interpretation, the raising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tself serves to remove the unrighteous mind. Loving-kindness replaces malice, sympathy replaces cruelty, heartedness replaces dislike, and equanimity replaces lust. This is not to remove the bad mind by itself, but to get rid of it by generating the opposite min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interpre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oving-kindness becomes the foundation, experiences various in the sympathy and the heartedness, and progresses from the equanimity to the ultimate goal of practice. In early Buddhism, we can see that the scope of the object in each of the immeasurable mind is expanded in space, and in Mahayana Buddhism, we can see that each of the immeasurable minds deepens into the three kinds of causal compassion. Seco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from a psychotherapeutic point of view. Becaus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s infinite, it can become the fundamental mind no matter what kind of mind one expresses, the object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can be extended by starting with others than myself, and the four immeasurable minds can be applied to both emotional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Third, I would like to interpret the effects of 11 kinds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from a psychotherapeutic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hree-level needs of worldly happiness are satisfied: physiological needs, safety and security needs, and love and approval need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and third needs are satisfied not only on the human level but also on the divine level. Furthermore, it presents samadhi as a method of spiritual psychotherapy, provides clear answers to the most important issues, death and after death, and ultimately presents the goal of being born in Brahma realm. Fourth, the immeasurable minds is abodes of brahma, and it can be said that divinity, one of the two Buddhist spiritualities, is a personified form of spirituality.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best mind that a human being can produce. Giving out the best mind that human beings can produce here and now will minimize the consequences of past bad karma and maximize the results of good karma. 본고는 첫째 사무량심을 대치적 해석과 순차적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대치적 해석에 따르면 자비희사(慈悲喜捨)의 네 가지 마음을 내는 것 자체가 불선한 마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자심은 악의를, 비심은 잔인함을, 희심은 싫어함을, 사심은 애욕을 대치한다. 이는 불선한 마음을 자체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되는 마음을 냄으로써 제거하는 방향이다. 순차적 해석에 따르면 자심은 토대가 되고, 비심과 희심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사심에서 궁극목표로 나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 자비희사 각각의 마음이 공간적으로 확장되고 대상의 범위가 확장되는 것과, 대승불교에서 중생연, 법연, 무연으로 자비희사 각각의 마음이 심화되는 것에서도 순차적 해석을 볼 수 있다. 둘째 사무량심에 대한 대치적 해석과 순차적 해석 각각을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사무량심은 무량하기 때문에 어떤 마음을 내더라도 근원적인 마음이 될 수 있고, 사무량심의 대상은 나가 아닌 타인으로부터 시작하여 확장될 수 있고, 사무량심 가운데 자신이 쉽게 낼 수 있는 마음을 지속적으로 내는 것에서 시작하여 나머지 마음으로 확장할 수 있고, 또한 사무량심은 정서치료와 인지치료 모두에 해당할 수 있다. 셋째 경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11가지 사무량심의 효과를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생리적 욕구, 안정과 안전에 대한 욕구, 사랑과 인정에 대한 욕구라는 세속적인 행복의 기본적인 세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두 번째와 세 번째 욕구는 인간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신적인 차원에서도 충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영적 심리치료의 방법론으로 삼매를 제시하고, 가장 중요한 이슈인 죽음과 죽음이후에 대한 분명한 해답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범천에 태어나는 목표를 제시한다. 넷째 사무량심은 사범주로, 두 가지 불교적 영성 가운데 하나인 신성이 인격화된 형태의 영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이 낼 수 있는 최고의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 여기에서 인간이 낼 수 있는 최고의 마음을 내는 것은 과거의 부정한 업의 결과를 최소한으로 받고 선한 업의 결과를 최대한 받도록 한다.

      • KCI등재

        텍스트의 ‘세계’ 해석과 비판사회과학적 함의

        이희영(Yi Hee-Young)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1

        이 연구는 리쾨르의 언어철학적 성과를 텍스트 해석방법론의 차원에서 새롭게 고찰하고, 이런 관점에서 텍스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연구 방법과 비판사회과학적 함의를 고찰했다. 이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쾨르의 ‘설명이 매개하는 해석’이 갖는 연구 방법론적 의의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에서 벗어난 해석의 과제를 제시했다. 담화적 상황에서 분리된 텍스트에 대한 해석은 텍스트가 제시하는 ‘세계’에 대한 전유이며, 이것은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사회현실의 텍스트와 씨름하며 추구하는 존재론적 의미이기도 하다. 둘째, 이 글에서 제시한 심층 해석방법은 인간의 내밀한 고통과 경험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며, 타자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해석의 인간학을 지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술(생애)사 연구가 구술의 채록에서 본격적인 텍스트 해석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셋째, 심층 해석방법은 이론과 현장연구라는 사회과학 내에서의 관습적 분리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현실의 토대(ground)로부터 사회구성의 새로운 이론을 생산하고자 하는 심층 해석방법은, 구술(생애)사 연구가 미시적인 사회현상 혹은 부분적인 문제에 골몰한다는 비판을 넘어 새로운 사회적 통찰을 실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텍스트 해석의 인식론적 의미와 연구 방법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간 행위의 산물인 텍스트에 대한 해석의 문제가 질적 연구만의 과제가 아니라, 사회와 자연의 이분법적 도식을 넘어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비판적 사회과학의 과제임을 강조했다. By revisiting and clarifying the linguistic philosophical results of P. Ricoeur from the view point of text interpretation methodology, this paper discusses a research method for the ‘deep interpretation’ of text and its importance for critical social science. Firstly, through considering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the interpretation being arranged by explanation’, this paper stresses that the object of interpretation is independent from the intention of the text producer. To interpret a text as detached from a face to face conversation involves an appropriation of the world that a text presents to us. At the same time, it is the existential task of social scientists to concern themselves and deal with texts of social reality. Secondly, this paper presents a deep interpretation method which tries to understand the hidden suffering and experiences of human beings and ultimately aims for an anthropology of interpret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oral history should make its way from recording oral histories to interpreting texts. Thirdly, a deep interpretation method provides a methodological basis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division of theory and field work in the social sciences. A deep interpretation method which tries to generate a new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 and is grounded in reality hints at practical ways to overcome the criticism against oral history as being preoccupied with micro- and fragmented problems. Finally, this paper stresses that the problem of text interpretation is not only a subject matter of qualitative research but at the heart of critical social science which seeks to understand the world beyond the dichotomy of nature and society.

      • KCI등재

        대치적 해석과 순차적 해석의 관점에서 본 칠각지

        윤희조 ( Youn¸ Hee-jo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불교의 궁극의 목표인 깨달음이 방법론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초기불교의 수행론을 총망라하고 있는 삼십칠보리분법과 그것의 한 종류인 칠각지에는 ‘보리’와 ‘각’이라는 깨달음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칠각지는 깨달음으로 이끄는 요소라는 의미이고, 이들 요소들의 관계를 대치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치적 해석은 마음이 나태할 때는 택법각지, 정진각지, 희각지를 수행하고, 마음이 산만할 때는 경안각지, 정각지, 사각지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때에 맞추어 수행이 이루어질 때 깨달음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이처럼 오장애 가운데 두 가지 장애인 나태와 산만을 대치하고, 의심의 장애는 택법각지가 대치하고, 감각적 욕망과 악의도 대치된다는 것이 칠각지를 대치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순차적 해석은 칠각지의 첫 번째 각지인 염각지로부터 순차적으로 나머지 각지를 계발한다는 것이다. 사념처를 통해서 계발되는 염각지를 필두로 택법각지, 정진각지, 희각지, 경안각지, 정각지, 사각지가 점점 더 고요해지는 방향으로 요소들이 계발되어간다. 순차적으로 깨달음으로 이끄는 요소들이 계발된다는 것이 칠각지에 대한 순차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삼십칠보리분법은 일곱 가지 범주, 즉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이지만, 앞의 셋, 그 다음 셋, 마지막 팔정도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 번째 그룹에 속하는 오근, 오력, 칠각지는 궁극목표로 나아가기 위한 마음의 기능, 능력,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기능과 능력의 측면에서 다섯 가지로, 요소의 측면에서 일곱 가지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칠각지는 그 요소를 오장애를 대치하면서 확보하거나, 사념처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계발하는 것이다. 이렇게 될 때 칠각지는 명지와 해탈을 성취하고, 아나함과 아라한을 성취하고, 삼루로부터 해탈하게 되고, 병으로부터 회복되는 결실을 가지게 된다. The Thirty-Seven Limbs of Awakening, which encompasses the practice theory of early Buddhism, and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which is a subtype of it, contain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as 'Bodhi' or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nlightenment,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is related to methodology.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mean that an element that leads to enlighte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can be interpreted confrontationally and sequentially. The confrontational interpretation is that when the mind is slothful, one performs factors of investigation of dhammas, energy, and joy. When the mind is restless, one performs factors of tranquility, concentration, and equanimity. It means that when practice is done in a timely manner, we will advance to enlightenment. In this way, it is a confront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that two of the Five Hindrances, sloth and restlessness, are confronted. The hindrance of doubt is replaced by investigation of dhammas, and sensuous desire and aversion are also replaced. Sequential interpretation is that from the factor of mindfulness, which is the first area of Seven Factors of Awakening, one develops the remaining areas sequentially. Starting with the factor of mindfulness, which is developed through the four establishments of mindfulness, factors ar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becoming more and more quiet in factors of investigation of dhammas, energy, joy, tranquility, concentration, and equanim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equential interpretation of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that the factors that lead to enlightenment are developed sequentially. The Thirty-Seven Limbs of Awakening is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the Establishments of Mindfulness, the Right Endeavors, the Bases of Success, the Faculties, the Powers, the Factors of Awakening, and the Noble Eight-Factored Path. But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three, the next three, and the last one. The Five Faculties, the Five Powers, and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which belong to the second group, can be seen as the functions, abilities, and factors of the mind to advance to the ultimate goal. It can be viewed as five in terms of function and ability, and seven in terms of factor. Therefore,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secure the factors while replacing the Five Hindrances, or develop them sequentially through the Four Establishments of Mindfulness. When this happens,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achieves Higher Knowledge and Liberation, Non-returner and Full Awakener, liberation from the three influxes, and recovery from illness.

      • KCI등재

        설태희(薛泰熙)의 『대학(大學)』해석 연구

        최석기 ( Seok Ki Choi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9

        이 글은 薛泰熙(1875-1940)의『대학』해석을 분석한 것으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해석의 기본관점은, 1)『대학』을 大人之學으로 보되 주자와 달리 修身을 통해 인격을 완성하는 것으로 보았고, 2)『대학』의 핵심을 주자가 修己治人으로 본 것과 달리 修身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았으며, 3)주자의 三綱領說을 따르지 않고 明德을 體, 親民을 用, 至善을 極則으로 보는 體用極則說을 주장하였고, 4)주자의 八條目說을 따르지 않고 八次序로 보아 修身의 身과 格物의 物을 인식의 주체와 대상으로 나누어 八次序區別說을 주장하였다. 분장과 편차개정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하였다. 형식적인 특징으로는, 1)古本大學을 저본으로 分章하고 編次를 개정한 점, 2)주자처럼 經文.傳文으로 나누어 해석한 점, 3)전 제1장부터 제5장까지만 편차를 개정하였을 뿐 나머지는 주자의 대학장구 와 동일한 점, 4)傳文에 釋止章을 둔 점, 5)聽訟節을 격물치지의 사례로 본 것 등을 들 수 있다. 내용적인 특징으로는, 1)전 제2장은 親民을 해석한 것으로 보아 친민이 止於至善한 효능으로 본 것, 2)전 제3장은 至善을 해석한 것으로 보아명명덕.친민이 至善에 이르러야 함을 말한 것으로 본 것, 3)전 제4장은 止於至善의 止를 해석한 것으로 보아 止를 강조한 것, 4)전 제5장은 聽訟節을 格物致知의 사례를 말한 것으로 본 것 등을 들 수 있다. 새로운 해석의 요지로는, 1)明德을 良知.素仁의 뜻을 겸한 것으로 본 것, 2)親民을 程子.朱子처럼 新으로 바꾸지 않고 親愛.親近으로 본 것, 3)至善을 中正한 正心處로 본 것, 4)格物을 언제 어디서나 사물을 대하는 것으로 致知를 나의 감각이 따라 생기는 것으로 해석한 것, 5)격물치지를 인식주체인 身이 인식대상인 物을 대하면서 이루어지는 인식작용으로 보아 知行合一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본 것, 6)모든 사람이 修身으로 근본을 삼아야 한다는 점에 중점을 두어 수신제가장 이하를 주자가 上行下效로 본 관점을 비판하며 군주 한 사람에게 모든 책임을 돌린 것이 아니라고 한 것,7)정심수신장의 ‘身有所忿.’의 身에 대해 程子가 心의 오자로 본 설을 따르지 않고 五官을 총칭하는 것으로 본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의 특징은 왕수인의 『대학』해석에서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그러나 그는 왕수인의 설을 그대로 추종하지 않고 그 설을 근본으로 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견해를 펴고 있는 것이 돋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by Seol Tae-hee(1875-1940), an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en analyzing the book, he kept four basic perspectives: 1) he believed that the completion of personality depended on Sushin unlike Zhu Xi based on the recognition of Great Learning as Daeinjihak; 2) he found the core of Great Learning in Sushin unlike Zhu Xi that did in Sugichiin; 3) he argued for Cheyonggeukchik Theory, which perceived Myeongdeok, Chinmin, and Jiseon as Che, Yong, and Geukchin, respectively, instead of following Samgangryeong Theory by Zhu Xi; and 4) he insisted on Palchaseo and advocated the Palchaseo Distinction Theory by distinguishing Shin of Sushin and Mul of Gyeokmul as the subject and object of perception instead of following Paljomok Theory by Zhu Xi. The study also examined his interpretations in terms of division and sequential edition revision features, and the identified features were as follows : the form features include 1) division and sequential edition revision of Great Learning in Gobon as in Jeobon; 2) interpretation of Great Learning into Gyeongmun and Jeonmun like Zhu Xi; 3) sequential edition revision of the book only from Chapter 1 to Chapter 5 with the remaining chapters being the same as Daehakjanggu by Zhu Xi; 4) putting Seokjijang in Jeonmun; and 5) regarding Cheongsongjeol as a case of Gyeokmulchiji. The content features include 1) perceiving Chinmin as the efficacy of Jieojiseon by devoting the entire Chapter 2 to the interpretation of Chinmin; 2) contending that Myeongmyeongdeok and Chinmin should reach Jiseon by devoting the entire Chapter 3 to the interpretation of Jiseon; 3) putting an emphasis on Ji by devoting the entire Chapter 4 to the interpretation of Ji from Jieojiseon; and 4) regarding Cheongsongjeol as a case of Gyeokmulchiji in Chapter 5. His new interpret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understanding Myeongdeok as a combination of Yangji and Soin; 2) perceiving Chinmin as Chinae and Chingeun rather than turning it into Shin like Jeongja and Zhu Xi; 3) regarding Jiseon as Jeongshimcheo of Jungjeong; 4) interpreting Gyeokmul as dealing with objects any place and any time and Chiji as one``s senses emerging subsequently; 5) understanding Gyeokmulchiji as the cognitive functioning taking place when Shin, the subject of cognition, deals with Mul, the object of cognition, and finding its close connections with Jihaenghap; 6) criticizing Zhu Xi``s perspective of regarding Sushinjegajang, Jegachigukjang, and Chigukpyeongcheonhajang as Sanghaenghahyo by focusing on that all people should find a basis in Sushin and maintaining that not all the responsibilities were attributed to a single monarch; and 7) regarding Shin of "Shinyusobunchi" from Jeongshimsushinjang as a generic term for the five sensory organs instead of following the view of regarding Jeongja as the misspelling of Shim. Those features of his interpretations were considerably influenced by Wang Su-in``s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but he stood out by developing his own views based on Wang``s theories instead of following them as they were.

      • KCI등재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해린(Hae-Rin Kim),원성두(Sung-Doo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행동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고,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자기보고식 회고적 행동억제척도(K-RSRI), 한국판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K-FPES), 긍정적 사건에 대한 해석 척도(IPE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 공포증 척도(SPS)를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행동억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 사회불안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은 행동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 사회불안으로 가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 그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이라는 인지적 취약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질적 취약성인 행동억제 성향을 포함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 사회불안의 발생 및 유지 경로를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모형에서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일부 경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set a structural model that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were sequentially mediated by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del. Methods A total of 295 undergraduate student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a measure of Retrospective Self-Report of Inhibi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cal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ocial Phobia Scale. Result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behavioral inhibi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nd social anxiety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Third,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ffected social anxiety, the influence could be greater in men than in wome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ed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cluding behavioral inhibition, which is a temperamental vulnerability that could affect cognitive vulnerabilities such as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In addition,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some paths in the research model, so based on this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