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 전 불안과 무통 시술시 거치된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한 제왕 절개를 위한 경막외 마취 실패와의 관계

        윤희조,박승인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5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0 No.4

        Background: Patients anesthetized by extension of epidural analgesia during labor frequently experience intraoperative visceral pain during cesarean section. Visceral pain is known to be related to anxiety. We evaluated pain and preoperative anxiety using the numeric rating scale (NRS-11),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anxiety with failure of extension of epidural analgesia due to intraoperative pain. Methods: Patients received continuous epidural infusion at a rate of 10 ml/h for labor pain. Two percent lidocaine mixed with 100 g fentanyl, 1:200,000 epinephrine, and 2 mEq bicarbonate was injected through the epidural catheter for cesarean section. Failure of epidural anesthesia was defined as the need for conversion to general anesthesia or supplementation with opioids, sedatives, or inhalants after epidural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preoperative factors including preoperative anxiety with failure of epidural anesthesia. Results: Heavier weight of parturients, more cervical dilatation at the time of epidural analgesia administration, higher pain NRS score after epidural analgesia, higher pain NRS score before epidural analgesia for cesarean section, and lower rate of iv pethidine due to shivering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failure rate of epidural anesthesia. The failure rate of epidural anesthesia was comparable between the high anxiety group (NRS > 4) and the low anxiety group (NRS ≤ 4). Conclusions: Preoperative anxiety evaluated by NRS may not be associated with failure of extension of epidural analgesia due to visceral pain during intrapartum cesarean section.

      • KCI등재

        임신성 고혈압 임산부에서 발생한 심폐 정지 - 증례 보고 -

        윤희조,지영석,김영득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6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1 No.3

        A 39-year-old woman with an intrauterine pregnancy and small-for-gestational-age fetus was admitted at 34 + 1 weeks for management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On the 13th day of admission, the patient was found in the ward toilet with a cardiac arres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as initiated immediately and cardiac monitoring revealed asystole. Manual uterine displacement was performed for CPR to be effective. A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was observed, but repeated cardiac arrest occurred subsequently. Twenty-one minutes after starting CPR, a peri-mortem cesarean section was started, and delivery occurred 1 minute later. After delivery of the fetus, the patients’ blood pressure stabilized, but there was no spontaneous respiration. Emergency brain CT revealed a large subarachnoid hemorrhage. Neonatal brain ultrasound showed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The patient was transferred to another hospital for neurosurgical intervention, where she expired on the third day after cardiac arrest.

      • KCI등재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으로 보는 불교 실존심리학

        윤희조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i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which studies the problem of existence in a Buddhist psychological viewpoint. In Buddhism, existential problems are a matter of suffering. Centering on the human, the being, the world, and the viewpoint of time revealed through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present a Buddhist psychological alternative to the problems posed by Western existentialism. Existence precedes essence, which is revealed in Buddhism as the ontology of here and now through the nature of dhamma. Buddhism's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the connectivity show the viewpoint of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about the meaning of existentialism, freedom, anxiety, death, alienation, healing, and choice.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the human being as a layman is revealed as five aggregates of clinging. Meaning is developed centered on oneself in the five aggregates of clinging. It moves on to the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deconstruction of oneself. Through this, only the connectivity remains, and the meaning of this connectivity is as diverse as that of the connectivity itself. In the meaning of connectivity, freedom is not from one’s own, but freedom as libe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being. Ontological anxiety is an existential and fundamental anxiety about death. This is because death and birth are seen as disconnection. However, ontological anxiety is anxiety caused by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here and now, not death. Knowing these characteristics is an answer to anxiety. Ontological non-rigidness cleanses anxiety and does not make anxiety more anxious. In existentialism death is the last bearer of meaninglessness. This is because death is seen as a disconnection. When death is regarded as a change of existing modes, death becomes a kind of existence, and the connection of meaning is secured. Death is now involved in life here. Human beings are not beings that have been conquered by birth and death. The connection of birth, life and death is secured. In this way, alienation and disconnection are merely false views and discrimination in terms of ontological connectivity. The awareness of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connectivity leads to Buddhist healing of the existence. Healing results in a problem of existential choice. This choice is connected by mind. One of the representative functions of the mind is the choices. And the mind becomes the subject of Buddhist psychology. At this point,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is connected with Buddhist psychology. 불교 실존심리학은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실존의 문제를 연구하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불교에서 실존적 문제는 괴로움의 문제이다. 이 문제의 해결을 통해서 드러난 인간, 존재, 세계, 시간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서구의 실존주의가 제시한 문제에 대한 불교심리학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테제는 불교에서는 법의 생멸성을 통해서 지금 여기의 존재론으로 드러나고 있다. 불교의 존재론적 특징인 삼법인과 연기의 연결성은 실존주의가 제시하는 의미, 자유, 불안, 죽음, 소외, 치유, 선택의 문제에 대한 불교 실존심리학의 관점을 보여준다. 범부인 인간의 실존적인 상황은 오취온으로 드러난다. 오취온적 상황 하에서 의미는 나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나의 해체를 통한 의미해체론으로 나아간다. 이를 통해서 연기의 연결망만이 남게 되고, 이 연결망의 다양성만큼이나 다양한 의미가 관계적 맥락하에서 성립한다. 의미의 연기성에서 보면 자유는 나로 인한 것이 아니고 존재론적 흐름에 따른 자유이다. 존재론적 불안은 죽음에 대한 실존적이고 근원적인 불안이다. 이는 죽음과 탄생을 단절로 보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나 존재론적 불안은 먼 죽음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존재론적 특징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불안이다. 이러한 특징을 아는 것 자체가 불안에 대한 대처가 된다. 존재론적인 비고정성은 불안을 비고정화시키고 불안을 더 이상 불안으로 성립시키지 않는다. 실존주의에서 죽음은 의미없음의 최후의 담지자이다. 이는 죽음을 단절로 보기 때문이다. 죽음을 존재 양태의 변화로 볼 경우 죽음은 일종의 존재가 되고, 의미의 연결성은 확보된다. 죽음은 지금 여기에서 삶에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탄생과 죽음으로 인해서 피투된 존재와 기투될 존재가 아니게 된다. 탄생과 삶과 죽음의 연결성이 확보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소외와 단절은 존재론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보면 단지 전도된 사유이고, 분별된 사고가 된다.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에 대한 자각은 실존에 대한 불교적 치유로 나아간다. 연기성으로 인해서 인간은 원래 소외될 수 없는 존재이고, 나 중심의 의미는 해체되고, 자유가 아니라 해탈로 나아가고, 죽음이 아니라 존재 양태의 변화로 나아간다. 이처럼 치유는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결국 오취온을 기반으로 할 것인가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을 자각한 오법온을 기반으로 할 것인가 하는 실존적 선택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러한 선택은 마음으로 연결된다. 마음이 가지는 대표적인 기능 가운데 하나가 결택 즉 선택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음은 불교심리학의 주제가 된다. 이 지점에서 불교 실존심리학은 불교심리학과 연결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무량심에 대한 두 가지 해석과 심리치료적 함의

        윤희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1

        First,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from the perspective of replacemental and sequential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replacemental interpretation, the raising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tself serves to remove the unrighteous mind. Loving-kindness replaces malice, sympathy replaces cruelty, heartedness replaces dislike, and equanimity replaces lust. This is not to remove the bad mind by itself, but to get rid of it by generating the opposite min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interpre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oving-kindness becomes the foundation, experiences various in the sympathy and the heartedness, and progresses from the equanimity to the ultimate goal of practice. In early Buddhism, we can see that the scope of the object in each of the immeasurable mind is expanded in space, and in Mahayana Buddhism, we can see that each of the immeasurable minds deepens into the three kinds of causal compassion. Seco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from a psychotherapeutic point of view. Becaus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s infinite, it can become the fundamental mind no matter what kind of mind one expresses, the object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can be extended by starting with others than myself, and the four immeasurable minds can be applied to both emotional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Third, I would like to interpret the effects of 11 kinds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from a psychotherapeutic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hree-level needs of worldly happiness are satisfied: physiological needs, safety and security needs, and love and approval need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and third needs are satisfied not only on the human level but also on the divine level. Furthermore, it presents samadhi as a method of spiritual psychotherapy, provides clear answers to the most important issues, death and after death, and ultimately presents the goal of being born in Brahma realm. Fourth, the immeasurable minds is abodes of brahma, and it can be said that divinity, one of the two Buddhist spiritualities, is a personified form of spirituality.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best mind that a human being can produce. Giving out the best mind that human beings can produce here and now will minimize the consequences of past bad karma and maximize the results of good karma. 본고는 첫째 사무량심을 대치적 해석과 순차적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대치적 해석에 따르면 자비희사(慈悲喜捨)의 네 가지 마음을 내는 것 자체가 불선한 마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자심은 악의를, 비심은 잔인함을, 희심은 싫어함을, 사심은 애욕을 대치한다. 이는 불선한 마음을 자체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되는 마음을 냄으로써 제거하는 방향이다. 순차적 해석에 따르면 자심은 토대가 되고, 비심과 희심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사심에서 궁극목표로 나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 자비희사 각각의 마음이 공간적으로 확장되고 대상의 범위가 확장되는 것과, 대승불교에서 중생연, 법연, 무연으로 자비희사 각각의 마음이 심화되는 것에서도 순차적 해석을 볼 수 있다. 둘째 사무량심에 대한 대치적 해석과 순차적 해석 각각을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사무량심은 무량하기 때문에 어떤 마음을 내더라도 근원적인 마음이 될 수 있고, 사무량심의 대상은 나가 아닌 타인으로부터 시작하여 확장될 수 있고, 사무량심 가운데 자신이 쉽게 낼 수 있는 마음을 지속적으로 내는 것에서 시작하여 나머지 마음으로 확장할 수 있고, 또한 사무량심은 정서치료와 인지치료 모두에 해당할 수 있다. 셋째 경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11가지 사무량심의 효과를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생리적 욕구, 안정과 안전에 대한 욕구, 사랑과 인정에 대한 욕구라는 세속적인 행복의 기본적인 세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두 번째와 세 번째 욕구는 인간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신적인 차원에서도 충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영적 심리치료의 방법론으로 삼매를 제시하고, 가장 중요한 이슈인 죽음과 죽음이후에 대한 분명한 해답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범천에 태어나는 목표를 제시한다. 넷째 사무량심은 사범주로, 두 가지 불교적 영성 가운데 하나인 신성이 인격화된 형태의 영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이 낼 수 있는 최고의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 여기에서 인간이 낼 수 있는 최고의 마음을 내는 것은 과거의 부정한 업의 결과를 최소한으로 받고 선한 업의 결과를 최대한 받도록 한다.

      • KCI등재

        부인종양수술환자에서 수술 후 오심 구토 예방효과에 관한 ramosetron과 palonosetron의 비교

        윤희조,지영석,김영득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6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1 No.3

        Backgrou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is a major concern during the post-surgical period. 5-hydroxy-tryptamine (5-HT3) receptor antagonists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PONV. The recently developed 5-HT3 receptor antagonists, ramosetron and palonosetron, have a greater receptor affinity and a longer elimination half-lif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icacy of palonosetron and ramosetron for prevention of PONV in patients receiving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with opioids after gynecological oncology surgery. Methods: In this prospective trial, 290 female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gynecologic oncology surgery with IV-PCA with opioids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0.3 mg ramosetron or 0.075 mg palonosetron intravenously. The occurrence of nausea and vomiting and the use of rescue antiemetics were record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surgery, and 0–3 h, 3–24 h, and 24–48 h postoperatively. Results: The total incidence of PONV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0–48 h after surgery, but the incidence of nause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amosetron group 24–48 h postoperatively (11.5% vs. 22.0%, P = 0.036). The incidence of vomiting and the use of rescue antieme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any of the time intervals. Pain intensity scores and total fentanyl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amosetron group 24–48 h postoperatively compared to the palonosetron group (P = 0.021, P = 0.04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ophylactic effects of ramosetron and palonosetron on PONV incidence in the postoperative 48 h were similar in patients undergoing gynecologic oncology surgery and those receiving opioid-based IV-PCA.

      • KCI등재

        불교상담의 정의와 이론에 관한 일고찰

        윤희조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9 No.-

        The definition of Buddhist counseling as 'Buddhist psychology based counseling' is a definition that reveals the subject, identity, system and field of Buddhist counseling. In the Buddhist counseling theory, the mind is a functional complex, in which the function of knowing is understood through the organ of sense and the other functions, for example feeling, thinking and intention, can be functioned and accumulated. Along with this comprehensive definition,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original definition of the original appearance and function of the mind as nature. The former focuses on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mind, while the latter focuses on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mind, namely the knowing function. The dependent origination as the activity mechanism of the mind and the states of mind according to the dependent origination can be seen in two forms according to two views of mind. In the Buddhist counseling theory, in terms of diagnosis and prescription, we can see the universality of suffering from the point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Non-duality of defilement and bodhi. In personality theory, human beings can be regarded as functional beings with various functions, and possible beings whose original function of mind is latent. In the theory of identity, we can see the identity of the layman and the identity of the saint in terms of self and no-self, and we can see two tendencies of mind in the function of se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reality, two tendencies of the mind can be seen through the function of pointing to the moon and the function of the formlessness. In the theory of multiple mind, we can see that unconsciousness is closely related to consciousness. In emotion and body theory, body, emotion and mind are closely related. Thus, Buddhist counseling theory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two views of the mind. 불교상담을 ‘불교심리학에 기반을 둔 상담’으로 정의하는 것은 불교상담의 주제와 정체성, 계통과 영역을 드러내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불교상담이론에서는 불교상담의 주제가 되는 마음에 대하여 ‘의(意)라는 감각기관을 통해서 아는 기능[識]을 하고, 이 기능을 중심으로 나머지 기능(느끼고, 생각하고, 의도하는)이 집적되어 있는[心] 기능복합체’라는 포괄적 정의와 ‘공(空), 무아(無我), 불성(佛性), 불이(不二), 청정(淸淨)을 특징으로 가지는 반야(般若)’라는 본래적 정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마음에 대한 두 가지 경향성 즉 다원적 경향성과 일원적 경향성에 기반하고 있다. 전자는 마음이 가지고 다양한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후자는 마음의 원래의 기능 즉 아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음의 활동기제로서 연기, 연기에 따른 마음의 상태도 마음의 두 가지 관점에 따라서 두 가지 형태로 볼 수 있다. 불교상담이론 가운데 진단과 처방과 관련해서는 사성제의 관점에서 괴로움의 보편성과 소멸된 상태를 볼 수도 있고, 번뇌즉보리라는 불이적 관점에서 볼 수도 있다. 성격이론에서는 인간을 다양한 기능이 활동하는 기능적 존재, 마음의 원래 기능이 잠재해 있는 가능적 존재로 볼 수 있다. 정체성이론에서는 범부의 정체성과 성자의 정체성을 자아와 무아의 관점에서 볼 수 있고, 보는 기능에서도 마음의 두 가지 경향성을 볼 수 있다. 말과 실재의 관계에서는 지월(指月)적 기능과 무상(無相)적 기능을 통해서 마음의 두 가지 경향성을 볼 수 있다. 마음의 중층성이론에서는 무의식이 의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정서와 몸이론에서는 몸과 정서와 마음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불교상담이론은 마음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할 수 있다.

      • KCI등재

        어원적 관점에서 보는 暝想과 相談 - Homo Meditatus and Homo Consiliatus

        윤희조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0 No.-

        There are two areas and meanings related to the etymology of meditation. Myung(暝) covers the fundamental area, sang(想) covering the higher area. Bhāvanā signifies to develop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Homo Meditatus or meditating man is a characteristic and possibility that human beings inherently have. Meditation is a methodology and is associated with a certain purpose. Among meditations, Buddhist meditation shares the purpose of the Buddha's problem-solving. Buddhist meditation can be called one of the methodologies for solving the suffering. If the area of Buddhist meditation includes all areas of the fundamental, the higher, and the ordinary, it can be the area of the Noble Eightfold Path. This problem solvi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ges, and it can be seen through the changes of problems in Mahayana Buddhism. A triangle model of meditation would be possible in that the area covered by meditation might be posited as the base of both ends of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with its objective as a point on the base. Due to the dynamics of the three points, various triangular models will be possible. The area of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might be approached not only by meditation but also by counseling. Counseling is also a methodology, associated with a certain purpose. In counseling, Buddhist counseling shares the purpose of the Buddha's problemsolving. And the triangular model of meditation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The triangular model of counseling becomes possible when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as the area of c ounseling, are posited as the base of the triangle with the goal of the counseling as one point. Due to the dynamics of the three points, various types of triangular models become possible. Unlike these common points of meditation and counseling, the specificity of counseling can be found in the etymology of counseling. This can be seen in relation to the etymology of counseling. There are two assumptions about the etymology of counseling.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al field is formed from the sang(相) and the changes through the vibration can be seen through the dam(談). Homo Consiliatus or counseling man is a characteristic and possibility that human beings inherently have. 본고는 어원에 기초하여 명상과 상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색함으로써 둘의관계를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불교심리학 안에서 불교명상과 불교상담의 위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명상의 어원에서 명상과 상담의 공통점을 볼 수 있고, 상담의 어원에서 명상과 상담의 차이점을 볼 수 있다. 명상의 두 영역은 명상과 상담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할 수 있고, 상담의 두 전제는 상담의 고유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의 어원에서 명상의 두 가지 영역을 볼 수 있다. 한자어 명(暝)은 근원적인영역, 상(想)은 고원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빨리어 바와나는 마음의 원래 상태를계발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에게 근원에 대한 호기심과 고원에 대한 추구가 있다면 호모 메디타투스 즉 명상하는 인간은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특징이고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은 방법론으로, 목적과 연관되어 있다. 명상 가운데 불교명상은 붓다의 문제의식에 따른 목적을 공유한다. 괴로움의 해결이라는 목적을위한 방법론 가운데 하나를 불교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이 다루는 영역인근원과 고원의 양 끝점을 밑변으로 하고, 목적이 밑변 위에 존재하는 하나의 점이된다면, 명상의 삼각형 모델이 성립할 것이다. 세 점의 역동성으로 인해서 다양한삼각형 모델이 가능할 것이다. 근원과 고원의 영역은 명상뿐만 아니라 상담의 영역이기도 하다. 상담 또한 방법론으로, 목적과 연관되어 있다. 상담 가운데 불교상담은 붓다의 문제의식에 따른 목적을 공유한다. 그리고 명상의 삼각형 모델은상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담의 영역인 근원과 고원을 삼각형의 밑변으로 하고상담의 목표를 밑변 위의 하나의 점으로 보면, 상담의 삼각형 모델이 가능해진다. 세 점의 역동성으로 인해서 다양한 형태의 상담의 삼각형 모델이 가능하게 된다. 상담의 어원과 관련해서 상담의 두 가지 전제를 볼 수 있다. 상(相)으로부터연기적 장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고, 담(談)을 통해서 진동을 통한 변화를 볼수 있다. 여기서 ‘함께[相]’는 함께 생활하는 존재 즉 중생으로서 모든 생명체의특징과 연관되어 있다. 함께 모여서 이야기함으로써 진동으로 인한 변화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그러므로 호모 콘실리아투스 즉 상담하는 인간은 인간이 본래가지고 있는 특징이면서 가능성이다. 명상하는 인간과 상담하는 인간은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가능성을 계발하고,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전제에 기반하고 있다고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