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검색기능을 활용한 프로파일링 시스템 개선방안

        이건수(Lee, Keon-Su)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3

        경찰은 실종관련 실시간 신고를 받고 있으며, 상황에 따른 실종관련어 검색시스템에 대해 정보검색 시스템 사용의 편리, 신속한 검색과 신뢰성 있는 결과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실종관련 단순 정보의 나열이 아닌 실종관련 요구 정보에 대한 정확한 공급과 함께 정보의 연관성, 문서별 정리까지 필요로 한다. 현재 경찰은 프로파일링 시스템에서 단순검색 기능을 활용한 실종관련 자료를 확인하는 한계점에 와 있다. 통신 모바일 장비가 확대되어 있는 상황에서 모바일에 대한 전용 검색엔진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모바일 하드웨어의 시스템 호환성 강화 및 프로파일링 시스템 DB의 활용성을 높여야 한다. 인터넷의 발달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정보시스템 발달을 통해 경찰은 엄청난 양의 사건관련 정보를 축척 하게 되었고 실시간 사건접수에 따른 현시점에도 관련 정보가 생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경찰이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전체 데이터에서 빠르게 모두 찾지를 못하고 있다. 프로파일링 시스템에서 실종자 관련 정보검색은 이러한 대량의 정보로부터 실종담당 경찰관이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실시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프로파일링 시스템내에서 현재 자연어 단어검색 기능을 통해 관련 자료를 확인하고 파악하는 한정된 내용으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파일링 시스템 내에서 실종담당 경찰관이 필요시에 따라 실종관련 다양한 정보검색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실종관련 문서에 대한 검색, 실종관련 사건 문서검색, 웹 문서 검색, 질의와 문서의 언어가 서로 다른 경우의 검색을 수행하는 교차언어검색시스템, 질의 응답, 실종사건 형태별 문서분류, 실종정보 요구자들로 하여금 정보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실종 문서요약 시스템 등은 경찰의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른 정보검색 기술의 컨텐츠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찰은 인공지능 분류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적 키워드 검색, 분류형 검색 등을 통한 실종수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olice are receiving real-time reports on missing persons, and the information search system is convenient for the missing language search system depending on the situation, requiring quick search and reliable results. Accordingly, it requires accurate supply of missing-related information, not just a list of missing-related information, but also association of information and organization of documents. Currently, the police are at the threshold of checking missing data using simple search functions in the profiling system. With telecommunication mobile equipment expanding, there is no dedicated search engine for mobile devices. Therefore, the system compatibility of mobile hardware and the utilization of profiling system DB should be increas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database, the police have accumulated a huge amount of event-related inform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is also being generated at this point in time. Despite this environment, however, police have not been able to quickly find exactly all the information they need in the entire data. In the profiling system, searching for missing persons-related informa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eed for efficient real-time retrieval of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responsible missing officer from this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ithin the profiling system, searche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with limited content to check and understand related data through the natural language word search function. Within the profiling system, variou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related to missing persons should be developed as needed. The content of information retrieval technology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police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search for missing documents, web document search, query response, document classification by type of missing persons, user interface technology, and missing documents summary system.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olice would like to propose ways to activate missing investigations by establish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ification search system through general keyword search and classification search.

      • KCI등재

        한국고전종합DB를 이용한 漢學 大衆化를 위한 스마트 검색 시스템 개발 -脚註 시스템을 中心으로-

        민경주(Min, Kyoung-ju),이병찬(Lee, Byeong-chan),정만호(Jung, Man-ho),이향배(Lee, Hyang-bae)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0 No.-

        이 연구는 한국고전종합DB의 『고전번역서 각주정보』에 수록된 82만여 건의 각주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스마트 검색 시스템을 구현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검색 시스템에 익숙한 연구자도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위해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쳐 결과를 찾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한학 초심자는 검색에 많은 애로가 있다. 검색 시스템의 다양한 부가 검색 기능을 배제하고 단순히 검색어 입력만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가능성을 높여주고, 원하는 데이터가 없을 때 대안 검색을 제시해 준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유일한 정답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향후 발전된 검색시스템의 방향을 제시하고, 여러 검색 시스템을 통합해 검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또 현재까지 개발된 한국고전종합DB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할 방법들도 제시하면서 구조적인 문제점을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개발된 스마트 검색 시스템은 한자, 한글 검색에 대해 유연하게 동작한다. 이는 한국고전종합DB의 각주정보 시스템이 모든 검색을 담당할 뿐, 스마트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와 고전종합DB 사이의 중재자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이다. 중재자 역할을 하는 스마트 검색 시스템은 고전종합DB의 내부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검색할 키워드를 조합해 전달해 주기 때문에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스마트 검색 시스템의 첫 번째 단계로 번역에 참여하는 연구자가 많이 사용하는 각주시스템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고전종합DB의 전체 검색에도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 역대인물종합시스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역사정보통합시스템 등 비슷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을 통합해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통합검색 자체만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지만, 각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들 사이의 오류를 교차검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f an SSS(Smart Search System) to effectively search for information on approximately 820,000 pieces of footnotes included in the Classics Translation Footnote Information System of the Korean Classics DB. Even research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search system have trouble finding the results after going through several mistakes to find the data they seek. Moreover, biginners in Korean Classics Literature studies have many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searching. This study proposes methods of increasing accessibility by making it possible to finding the desired data by simply entering as search term which has no additional search functions, and suggests alternative searches when the desired data is not available.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not be a unique solution. However, the suggestions herein are worthwhile in that it indicates the direction of future advanced search systems and open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multiple search system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find structural problems by suggesting methods that can be linked with various services of the Korean Classics DB developed so far. The Smart Search System, which acts as a mediator, is not affected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orean Classics DB, and it can be built as a dependent system because it provides a combination of keywords to be searched.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can be added. As the first step of the Smart Search System, the development was carried out centered on the Footnote Information System, which is open used by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rans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function can be applied to the full search of the Korean Classics DB. In addition,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and applying a search system that provides similar types of services, such as the Korean Historical Human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National Culture Encyclopedia, and the Korean Historical Information Integrating System. Although the integrated search itself is meaningful, it is also valuable in generating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in that this enables cross-varification of errors by comparing the data in each system.

      • KCI등재후보

        요약시스템에 의한 웹 정보검색 서비스의 품질 개선

        박철제,조재균 대한경영학회 2004 大韓經營學會誌 Vol.17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information search service technique, which improves the presentation efficiency of web search results. when presenting a search resul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summary system than shows the before and behind the sentence which includes a keyword. For this, we implemented the summary system that summarized the web contents automatically. And, we made a comparative evaluation this system and a commercial business system "yahoo". From the "yahoo" site, it extracted the web search results of keyword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is results made a comparative evaluation our system in questionnaire stud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17 items was developed and then administered to 83 university students. The test result shows that the precision is improved 10% using the summary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information search service technique, which improves the presentation efficiency of web search results. when presenting a search resul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summary system than shows the before and behind the sentence which includes a keyword. For this, we implemented the summary system that summarized the web contents automatically. And, we made a comparative evaluation this system and a commercial business system "yahoo". From the "yahoo" site, it extracted the web search results of keyword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is results made a comparative evaluation our system in questionnaire stud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17 items was developed and then administered to 83 university students. The test result shows that the precision is improved 10% using the summary system.

      • KCI등재

        소비자 지식이 사고체계와 온라인 탐색경향에 미치는 영향: 제품가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미아 ( Mi Ah Lee ),이유재 ( You Jae Yi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1

        하나의 미디어로서 뿐만 아니라 마켓 플랫폼으로서 온라인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온라인 상황에서의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해는 학계나 업계 실무자들에게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온라인 관련 선행연구들은 소비자 평가 및 태도, 구매와 같은 결과변수와 이에 대한 선행요인을 다루는 연구주제들에 치중되고 있고 온라인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주제들은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온라인상에서의 정보탐색 패턴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온라인 정보탐색상황에서 소비자의 (객관적 vs. 주관적) 지식이 사고체계(인지적 사고와 경험적 사고)를 통해 정보탐색의 경향 (깊이와 넓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체계적인 정보처리와 휴리스틱 정보처리의 발생경로와 이에 따른 탐색행동의 차이, 그리고 이러한 정보처리경로에 영향을 주는 상황변수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 경과, 소비자 지식과 사고체계 간의 관계에서 객관적 지식은 인지적 사고체계에, 주관적 지식은 경험적 사고체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이들 간의 교차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지식 체계의 상이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고체계와 탐색경향의 관계에서는 인지적 사고를 하는 경우 여러 사이트에 걸친 폭넓은 탐색과 한 사이트 내에서의 깊이 있는 탐색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험적 사고는 탐색의 깊이에만 영향을 줄 뿐 탐색의 넓이에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구매가격의 조절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인지적 사고가 탐색의 넓이에 미치는 영향은 고가격 제품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반대로 경험적 사고가 탐색의 깊이에 미치는 영향은 저가격 제품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 사고체계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지 또는 부분 매개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 탐색의 넓이와 깊이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적 사고와 경험적 사고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As the online environment continues to expand its role not only as a medium vehicle but also as a market platform, it is crucial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how online consumers process information. Previous studies on online consumer behavior have mainly focused on consumer evaluation, attitude, and purchase as well as their antecedents, bu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s underlying online information processing. We thus investigate which patterns are utilized during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how these search patterns are related to consumers`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 knowledge (objective vs. subjective) on online search patterns (depth vs. breadth) through the thinking systems (cognitive vs. experiential). Our primary focus is on how systematic and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occur and how their effects on search patterns vary across purchase situations (high vs. low pri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nationwide research agenc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espondents in late teens to early 30s, because they are likely to have a strong purchase power on online stores. A total of 500 completed responses were obtained, and 481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 quota sampling method was used in age and sex. Only those who had purchased apparel goods through internet at least twice in the last 6 month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Each respondent was first asked to recall his or her past experience that he or she searched for apparel information going around several online shopping malls because new clothes are required. They were then asked to answer Questions based upon their prior experienc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objective knowledg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thinking system, whereas subjective knowledg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tial thinking system. No cross-over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on thinking system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ding evidence for the distinct roles of two knowledge system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ystems and search patterns, the cognitive thinking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to both breadth and depth of search, whereas the experiential thinking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to depth of search, but not breadth of search. We performed multi-group analysis to test whether the impact of thinking systems on search patterns is moderated by product price.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using median splits based on respondents` purchase price. Regard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ce, the effect of cognitive thinking on breadth of search is greater for high price products than for low price products, whereas the effect of cognitive thinking on depth of search was not influenced by the price level. In contrast, experiential thinking has a stronger effect on depth of search for low price products than for high price products, whereas the effect of experiential thinking on breadth of search was not influenced by the price level. To determine whether thinking systems mediate the effects of objective knowledge and subjective knowledge on search patterns fully, an additional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on breadth of search and depth of search are fully mediated by cognitive thinking and experiential thinking. Therefore, consumer knowledge affects search patterns not directly, but indirectly through the thinking systems. In terms of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paper lies in elaborating an online information search process model by predicting thinking systems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knowledge and search patterns, subsequently examining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knowledge, thinking systems, and search patterns. In particular, we attempt to identif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earing in the heuristic route of decision making, compared to the complex route of decision making. Online retail and marketing managers may benefit from the findings reported here. The results enable online retailers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suitable for target consumer groups by presenting how much difference consumer search behavior shows according to clothing purchase price level. S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lso offer a basis for future research. Apparel was the product category selected in this study. Future studies need to expand the research to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such as utilitarian goods vs. hedonic goods, and search goods vs. experience goods. For this study, subjects are restricted to those who search for apparel information on the web sites rather than the usual apparel consumers. For this reason, the results of our study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and applied. We recommend that future studies adopt a more sophisticated sampling method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earch findings. Finally, some variables, such as objective knowledge and experiential thinking, need better measures.

      • KCI등재

        분산 캐시를 적용한 실시간 검색 시스템

        임건길(Jian-Ji Ren),이재기(Jae-Ke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4

        최근 주요 검색 엔진들의 인덱스들이 굉장한 비율로 성장하는 것처럼, 수직형 검색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실시간 검색은 주어진 주제를 쉽게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실시간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를 설계하였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실시간 검색의 특징을 기반으로, 크게 수집 시스템과 검색 시스템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본 논문의 평가 결과에서 제안한 구조가 Replication Overhead 값을 유지하면서 실시간 검색에 있어 투명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owadays, as the indices of the major search engines grow to a tremendous proportion, vertical search services can help customers to find what they need. Real time search is valuable because it lets you know what’s happening right now on any given topic. In this paper, we designed a new architecture to implement a high performance real time search system. Based on the real time search’s characters, we divided the whole system to two parts which are collection system and search system.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our design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the real time search transparent scalability while maintaining the replication overhead costs in check.

      • KCI등재

        청소년 대상 과학분야 메타검색시스템과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 연구

        곽승진 한국문헌정보학회 200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meta search system and the curriculum-oriented directory system for youth in science and to 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s through evaluating the usability.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both of the quality and quantity research method were used and questionnaire, interview, observation, thinking aloud method were used to collect a data for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meta search system supplying convenient information use environment about the distributed information sources has higher usability than the individual search system. And the curriculum-oriented directory system supplying accessibility related with the class has higher usability than the subject-oriented directory system.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과학분야 메타검색시스템 및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성을 비교․평가하여 효율성을 입증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대상 과학분야 메타검색시스템과 개별검색시스템 및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을 각각 개발하였으며, 주제별 디렉토리시스템은 개발하지 않고 국내의 대표적인 과학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을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용성 분석을 위하여 정량적 연구방법과 정성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 관찰법, 생각을 소리내어 말하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평가한 청소년 대상의 과학분야 정보시스템에 있어서는 메타검색시스템의 사용성이 개별검색시스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과 연계된 일관된 접근점을 제공하는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이 주제별 디렉토리시스템보다 사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이석형,곽승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retrieval system that may provide search tool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search of academic papers with user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paper search system, this work studied 60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the academic paper service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on both search efficiency and system usability and additionally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search efficiency and system availability i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search system among user groups. As a result, the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paper search system was analyzed to show a higher search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than the ordinary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축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전거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은 저자 및 소속기관에 대한 전거데이터를 활용하여 질의어 자동완성, 검색결과 군집화, 저자네트워크 및 주제네트워크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대하여 연구원, 도서관사서, 대학원생 이용자 집단 60명을 대상으로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이 일반적인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비해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구중억,이응봉 한국정보관리학회 2009 정보관리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by constructing OPAC-based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comparing the usability of the two experimental search systems. As for usability, on the whole, it was higher in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than OPAC-based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f libraries share and use enriched content which is provided through Open API for book search, which is opened by Internet bookstores, search engines and Web portal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bibliographic data, expanding subject access point, empowering subject search ability, extending meta search service, improving book availability, and reducing catalog cost. 본 연구는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과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두 실험시스템의 사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용성은 전체적으로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 보다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이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도서관들이 인터넷서점, 검색엔진, 웹포털 등에서 공개한 도서검색용 Open API를 통해 제공되는 풍부한 콘텐트를 온라인목록에서 공유하고 활용하면 서지데이터의 확충, 주제접근과 주제검색 능력의 확대, 메타 검색서비스의 확장, 소장도서의 이용가능성 증대, 목록비용의 절감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The Mobile Visual Search Guiding System Based on SIFT

        Gongwen Xu,Xiaomei Li,Honglan Zhou,Jian Lei,Zhijun Zha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Future Generation Communi Vol.9 No.6

        In order to provide personal guiding service to visitors in the Picture Gallery, a mobile visual search guiding system based on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visitors can achieve the paintings’ information using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phones when they enjoy the famous paintings in the Picture Gallery. The mobile search visual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can identify the paintings in the server side so there are no extra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the mobile phones. Firstly, the mobile visual search system was introduced. Then the system was designed and realized. The classification training was based on SVM (Support Vector Machine). The SIFT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was used to enhance the recognition rate. After the image retrieval, the geometric consistency check was employed to choose the best matching image. Fin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e feasibility and practicability of this system. Compared with the present guiding systems, this system can communicate with the visitors conveniently and offer abundant and all-around information to the visitors. In addition, using this guiding system, any auxiliary devices are not needed to be installed in the Picture Gallery.

      • KCI등재

        압수・수색 영장의 ʻ대면심리제도 도입ʼ에 관한 비판적 검토

        조광훈 대검찰청 2023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80

        얼마 전 대법원이 압수・수색영장의 발부 여부를 심사함에 있어 법관의 대면심리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기 위하여 입법예고한 바가 있었다. 하지만 대면심리제도를 도입하려는 것은 형사절차법정주의를 크게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 수사기관으로 하여금 압수・수색영장 청구서에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절차에서 분석(검색)에 사용할 검색어, 검색 대상기간 등 집행기간, 집행계획 등을 제출하도록 하는 것도 수사의 밀행성・신속성을 해쳐 실체적 진실발견에 큰 지장을 초래할것이다. 또한 피의자・피압수자・범죄피해자에 대한 인권침해의 발생의 소지를 높이고, 사실상 법관의 수사의 개입으로 인한 불공정성 야기, 압수・수색영장의 집행은 집행기관의 재량을 과도하게 제한함으로써 압수・수색영장의 집행절차에 큰 지장을 초래할수 있다. 대법원이 압수・수색영장의 대면심리제도 도입하려는 이유를 극복할 수 있는 제도적보장책은 이미 형사소송법을 비롯한 법령, 규칙, 지침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압수・ 수색영장을 집행하는 기관은 제반사항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하며 제도적으로도 보완하여야 한다. 첫째, 수사기관은 압수・수색절차에서 국민의 기본권 보호와 수사의 효율성을 조화시켜야 한다. 둘째, 압수・수색절차에서 적법절차를 철저히 준수하여야 한다. 특히 포괄적 압수・수색의 금지, 범죄사실과 관련성 있는 정보저장매체나 전자정보에 대한 선별적 압수・수색, 복제 또는 사본의 원칙과 예외적인 정보저장매체 원본에 대한 압수・수색의 철저한 준수, 피압수자 등에 대한 참여권을 철저히 보장하여야 한다. 셋째, 형사소송법 개정도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정보의 압수・수색 대상의 명문화가 필요하고, 피압수자의 기본권 보호와 실체적 진실발견의 조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Plain View 도입, 가압수 제도의 도입, 정보저장매체 등의 압수・수색절차에서 피압수자의 협력의무의 도입이 필요하다. Recently, the Supreme Court announced a legislative proposal to intro duce a face-to-face hearing system for judges when reviewing whethe r to issue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However, the introduction of an in-person hearing system may signific antly undermine the judicial system of criminal procedure. Requiring inv estigative agencies to submit search terms to be used for analysis (sea rch) in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execut ion periods such as search target periods, and execution plans in seizur e and search warrant applications will also impair the closeness and sp eed of investigations, which will greatly hinder the discovery of substan tive truth. In addition, it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human rights vi olations against suspects, detainees, and victims of crimes, and cause u nfairness due to the intervention of judges in the investigation, and the execution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s will cause great hindrance to the execution process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s by excessively re stricting the discretion of enforcement agencies. Institutional guarantees to overcome the Supreme Court's reasons for in troducing in-person review of search and seizure warrants are already in place in statutes, rules, and guidelines, including the Code of Crimina l Procedure. Therefore, agencies executing search and seizure warrants should strictly comply with the provisions and supplement them instituti onally. First, investigative agencies should balance the protection of people's fu ndamental rights and the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on in the search an d seizure process. Second, due process shall be strictly observed in the seizure and searc h procedures. In particular, the prohibition of blanket seizures and searc hes, selective seizures and searches of information storage media or el ectronic information that are relevant to the facts of the offense, the p rinciple of duplication or copying, and the seizure and search of the ori ginal information storage media in exceptional cases should be strictly observed, and the right of the suspect to participate should be fully gu aranteed. Third, the Criminal Procedure Law needs to be revised.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targets of seizure and search of electronic i nformation, introduce Plain View, introduce the pressurized seizure syst em, and introduce the obligation of cooperation of the suspect in the se izure and search of information storage media as specific measures to p 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suspect and harmonize the discovery of s ubstantive tr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