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고의 교수학습 질 분석:계층이 다른 평준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김미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08 교육사회학연구 Vol.18 No.2

        In this paper, I discuss in what ways schooling is influenced by social class and to what extent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quality of education of schools located in the same city where equalization policy is applied. The data was collected for the case study in 2005, which is part of project to evaluate the equalization policy(Ⅲ)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 discuss how teachers expect students at each, how the lessons are taught, how individual differences are considered, how the evaluation is being made, and how the teachers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The most general type of school lesson is teacher-based lecture type lesson. Even though the grades, social classes,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are prominently unlike, the “interesting lessons”, “lessons to learn from”, and “well-taught lessons” have some features in common. Students are concentrated, and are satisfied during lessons when the teachers trust the learning ability of all students, explain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so that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give opportunities to solve the problems by themselves, create a learning atmosphere in which students can easily get help from the teacher or other students, systemize checking the students’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understand, and are highly humorous. Even these lessons are not enough to regar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The lack of consideration towards individual difference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that made students dependent on private institutes or private tutors. In order to level up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uniform educational culture and develop an educational culture that respects and regards each individual and pursues ease all together.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physically separate the space of students to respect and regard individuals. We can see that it is possible to be satisfied with the lesson quality studying both together and separately in the same space is from the examples of so called “lessons to learn from” and “good lessons”. 이 연구는 평준화 지역에 있는 계층이 다른 세 고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의 질을 분석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의 질 분석은 학생에 대한 기대, 강의형태, 학생 참여 및 집중도, 개인차 배려정도, 고차적 사고력 함양 여부,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계층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논의하였다. 교사들이 기대하는 학생들의 학력은 계층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진도 나가기라는 교사노동과도 관련을 보였다. 일반적인 강의형태는 계층의 차이 없이 강의식 수업이었다. 학생들이 “배울만한 수업” 이라고 하는 것은 계층이나 성적과 무관하게 모든 학생들의 학습가능성을 믿고 학생과의 교감이 높으며,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쉽게 설명하고, 사고력을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수업도 개인차의 반영이라는 점에서는 미약했으며, 이는 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중상위층 학생과 학부모들은 입시중심의 수업방식을 요구하고 교사의 평가에 잦은 이의를 제기하였는데, 이는 교사들의 교수학습 질 개선 노력을 위축시켰다. 교수학습의 질 개선은 교사의 노력만이 아니라 대입 등에서 바람직한 지식과 평가 체계에 대한 변화가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 KCI등재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나주영(Na Ju Young),고문수(Ko Moon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자의 기억자료 및 자기 성찰 내용, 교사의 체육수업일지, 학생들의 체육일기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터뷰, 전문가 협의, 동료 간 협의 등을 활용하였다. 첫째, ‘나’ 자신이 체육수업 전부터 겪었던 딜레마에서는 초등학교의 독특한 교직문화, 체육 또는 수업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현실의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 ‘나’ 자신의 체육수업 운영에서 겪는 딜레마는 체육 환경의 어려움과 체육수업을 운영하는 여교사로서의 정체성 인식의 혼돈이 표출되었다. 셋째, 수업 운영을 통한 ‘나’의 성장은 교과 전문가로 거듭나기, 학생과의 소통에 관한 중요성 인식 그리고 학생의 체육수업에 관한 긍정적 태도의 형성 등이 도출되었다. 넷째, ‘나’ 자신의 체육수업에 관한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올바른 체육수업에 대한 가치관이 형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sing an autoethnography of a female teacher, to explore the alternativ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lesson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teacher s journals and students physical education journals, and students interviews.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used on the collected data. Interviews, specialist meeting,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to secure trustworthi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contains different sorts of dilemma which ‘I’, myself, already have experienced before the start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there were dilemmas which occurred while managing classes, troublesome conditions for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identity confusion between a female classroom teacher and a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hird, I had grown up during the research not only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 between a femal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nd students, but also by providing quality lessons for students’ positive changes during quality lessons. Fourth, autoethnography helped me to form self-efficacy and beliefs o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질성적(質性的) 앎’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 주입식 교육의 대안방안 연구 -

        황보식 ( Hwangbo Sik )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3

        본 연구는 교수-학습활동에 있어서 주입식(암기식)수업의 대안방안으로 시청각적 자료를 활용한 ‘질성적 앎’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교육활동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좀 더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수업, 즉 기호와 상징에 의한 ‘이성적 앎’이 아닌 학습자들이 직접 보고 느낌으로서 알게 되는 ‘질성적 앎’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적극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지각에 의한 탐구활동의 촉진과 앎의 방식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학습내용의 효과적 매개, 그리고 지식의 양이나 효율성보다는 앎의 질과 가치를 직접적으로 느끼게 되는 질적 앎을 추구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the 'qualitative knowledge' using audio materials as an alternative plan for grinding-oriented(memorizing-oriented) lesson in teaching-learning activity. In other to make learners be able to take part in lesson autonomously with more fun and interest in educational activity, this study also tried to let learners be able to take part actively in lesson using various audio materials, not through 'rational knowledge' by sign and symbol, but through ‘qualitative knowledge’ that is acquired based on what learners felt and experienced by themselves. It was found out through the research that the promotion of investigation and the change of perception on the way of understanding brought about efficient mediation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pursuit of qualitative knowledge to feel directly the quality and value of knowledge rather than the quantity or efficiency of knowledge. Based on it, this research might be a little help to the real learner-oriented autonomous educational activity by coping over a lot of problems due to the grinding-oriented(memorizing-oriented) lesson.

      • KCI등재

        개인레슨을 통한 축구동호인의 운동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연지,최수영,권순형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Effect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xperience participating in lessons of soccer club memb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soccer club members of the importance of the soccer lesson participation by figuring out what differences the soccer lesson participation made in quality of life (QOL).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data collected from 123 male soccer club members attending 20 to 40 ages of soccer club located in Seoul and Gyounggi. Sub-variables consist of experience participating in lessons, age, period of lesson participation ,frequency of lesson participation and lesson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akes overall QOL, physical QOL, environmental QOL and psychological QOL as sub-variables.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QOL in lesson particip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QOL in frequency of lesson participation. Thir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QOL in period of lesson participation. Fourth,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QOL in lesson participants' satisfaction. 본 연구는 개인레슨을 통한 축구동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 경기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축구동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재 개인레슨에 참여하거나 참여하지 않는 대상자 모두를 포함해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분석에 맞지 않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00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개인레슨에 참여하는 축구동호인은 123명, 비참여 동호인은 7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동호인의 개인레슨 참여 유무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개인레슨에 참여하는 동호인이 비참여 동호인보다 삶의 질의 모든 하위요인인 전반적, 신체적 건강, 환경적, 심리적 건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동호인의 개인레슨 참여 빈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개인레슨 참여빈도가 4회인 경우가 5회이상인 경우보다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구동호인의 개인레슨 참여기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개인레슨 참여기간이 1년, 2년, 그리고 3년 이상인 경우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전반적, 신체적 건강, 환경적, 심리적 건강 모두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구동호인의 개인레슨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개인레슨 만족도가 만족 혹은 불만족인 경우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전반적, 신체적 건강, 환경적, 심리적 건강 모두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이 만족도와 재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등 중등 수학학원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서비스만족 인식비교 -

        서미순,윤병섭,채명신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7

        Education is the area where social changes have to be reflected rapidly and accurate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ublic trust as high-quality education services beyond a role of supplement public education with the expectation and dependence of private education. In this study through empirical testing it specifically present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and reveal that there is significant in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by customer types(students and parents), and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retaking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more, in order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lay groundwork for more beneficial capabil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within private one.

      • KCI등재

        골프연습장 레슨프로의 지도유형과 자질이 회원의 학습효율성과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도희(Lee, Do-Heui),김병식(Kim, Byung-Shik) 한국사회체육학회 201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promotion of golf practice range industry by studying what effects of teaching method type and quality of golf lesson pro. on learning efficiency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e survey was done through 250 members in 5 golf practice ranges in Seoul and north Gyeonggi-do and excluding 43 copies ran an analysis remaining 207(82.8%) copies. After question investigating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SSPS 19.0 and AMOS 21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method type showed (+) effects on learning efficiency. Second, teaching method type showed (+) effects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quality showed (+) effects on learning efficiency. Fourth, quality showed (+) effects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Fifth, learning efficiency showed (+) effects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erefore golf lesson pro. have to take a sense of duty for coach and raise learning efficiency by proper teaching method type and development of quality, it will be take positive effect for management activation of golf practice range.

      • KCI등재

        법령과 국가 정책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의 문제 및 교육과정의 과제 탐색

        박창언 ( Chang Un Park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에 의해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시수 요구에 대한 문제와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에 의한 범교과 학습 주제와 수업 시수는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않고 직접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되고,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왜곡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왜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인지 밝히기 위해 첫째, 교육의 자주성 원리를 토대로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둘째,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시수 요구 현황을 국가, 지역, 학교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에 기초하여 법령, 국가 정책, 국가 교육과정, 교육청과 단위학교 및 질 관리 체제와 관련된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첫째,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를 법령 차원에서 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항을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교육관계법에 명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 정책 차원에서 관련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교육부 내에 전문 인력과 조정 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차원에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성격을 정립하여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해야 하고, 국가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에 범 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자율성 확립을 위해서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청 지침에 이들 사항에 대한 학습내용, 시수 및 교육방법 등에 대한 최소한의 규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 급별로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로 제시되는 이러한 사항은 학교평가와 교육과정평가 등을 통해 지속적인 피드백과 개선 노력을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outlined by legislation and government policy which directly affect the school curriculum. They become a part of a school curriculum without the national curriculum governed by「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and「Enforce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this way they give a significant burden on the learning of students and distort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In relation to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first, the factors that influence directly in the school curriculum are studied. Second, the demanding hours and different kinds of theme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ird, the issues and challenges are discussed in terms of legislation, government policy, the national, regional and school curriculum,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s. The suggestions are in the following. First, setting up an adjustment office or organization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establishment of law and securing education experts to adjust the conflicts amo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the national, regional, and school curriculum, third, a way to deal with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in the boundary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urth, including minimum provisions and guidance about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in the national and the regional curriculum, and fifth, the continuous feedback and improvement efforts through curriculum evaluation are recommended.

      • KCI등재

        골프지도자의 인적서비스품질과 참여자의 감정반응, 강습만족 간의 관계분석

        지준철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 service quality, participants’emotional response and lesson satisfaction of golf Instructor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247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golf driving range located in Seoul. Collected data the underwent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y using SPSS Window 25.0 and AMOS 25.0 program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personal service quality had static influence to the participants’emotional response. Secondly, participants’emotional response statically affected the lesson satisfaction. Third, it showed that the personal service quality gave positive influence to the lesson satisfaction. 본 연구는 골프지도자의 인적서비스품질과 참여자의 감정반응, 강습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한 골프연습장 참여자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적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골프지도자의 인적서비스품질은 참여자의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의 감정반응은 강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지도자의 인적서비스품질은 참여자의 강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Infusing Stem In Learning Coupled With Higher Level Questions In Preparing For Quality Technical Students.

        Dr. Nik Azmah NIK YUSUFF,Norazilawati ABDULLAH,Norhasnida Binti MD GHAZALI 한국직업자격학회 2017 한국직업자격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The field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are fast becoming prime choices of the school leavers. Not only the fields are important industry-wise, they seem to be practical too as choice of related occupations. The challenge is to instil interest in students for these fields through relating technical and vocational with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because they are intertwined with one an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develop a set of six STEM lesson plans with higher level questions inclusive. Two similar sets of pre and post-tests made up of higher level questions were developed as instrument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 plans in increasing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in two schools and taught by two teachers. Quasi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involving 120 students from 4 classes. Half of them formed treatment groups and another half the control groups. The pre-test and post-test contained two sections, a and b which were objective and subjective sections consecutively. The data obtained were analys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and the findings were presented through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ults from the data collected showed the achievement of the treat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s. And the means of the treatment group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fusing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in lessons attracted the students to learn. Asking open and higher level questions to the students in schools are the foundation of training for the students to embark on technical work in the future or at least to come to understand how industrie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