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심신치유를 위한 자발공(自發功) 행법의 기(氣)적 분석

        곽동열 ( Dong Yeol Kwak ),이형환 ( Hyung H Lee ) 한국자연치유학회 2013 Journal of Naturopathy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feeling of the developed motion of spontaneous Qigong naturally appearing in the particular Qigong state for mind and body therapy. For the spontaneous qigong exercise, there have been developed 5 types of Haenggongs (practical motions) for each of 6 levels, 30 Haenggongs in total. The types of developed Spontaneous Qigong were analyzed as the preparatory and arm haenggong, the front body haenggong, the leg haenggong, the abdominal haenggong, the back and head haenggong, the whole body haenggong and sugong levels. This is to harmonize the body and mind by connecting the whole body and moving the qi naturally. As the motions of spontaneous qigong are for the movement of qi, the muscle is contracted at the non-moving part and relaxed relatively at the moving part. The respiration is conducted with the danjeon (abdominal) breathing. The consciousness just follows the movement of arm. In the change of gi-feeling, the power of qi gets stronger when legs go up; the power gets weaker when legs go down. The first level is the preparatory and arm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mainly the both palms. The second level is the body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the chest, both rib sides and the lower abdomen. The third level is the leg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from the left leg and to the lower danjeon. The fourth level is the abdominal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around the lower danjeon. The fifth level is the back and head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from the head to the tailbone. The sixth level is the whole body and su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the whole body and the lower danjeon. In conclusion, the spontaneous qigong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movement of haenggong is based on the natural conducts which the start and the end are mutually connected. The qi is moved evenly around the whole body in six levels, maintaining the balance of qi or energy through the repetition of moving and stopping, bending and stretching, contracting and relaxing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t can be said the spontaneous qigong is the practice to circulate the energy in the body by establishing the specific form of spontaneous gener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body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re coexisting.

      • KCI등재

        퇴계 사칠론(四七論)에서 칠정본선(七情本善)의 의미

        이치억 ( Lee Chi-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退溪 四七論은 理發說 또는 四端 중심의 理氣互發說로 특징지어지며, 현대의 연구도 그것을 중심으로 하여 진행되어 왔다. 퇴계가 사단과 칠정을 理發과 氣發로 나눈 것은 도덕감정인 사단의 순선함을 확보하고, 기발인 칠정을 잘 제어하여 악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였다는 것이다. 논자는 퇴계 사칠론의 특징이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性發爲情``의 전통 주자학적 구도 속에서 기발을 떼어내어 본 데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본 논문은 그 연장선상에서 ``칠정도 본래 선한 것[七情本善]``이라고 하는 퇴계의 언설을 해석해 보았다. 칠정이 기발이라고 하는 것은 그것을 사단의 공적인 감정과 대비되는 개인의 기질적 감정이기 때문이다. 이 칠정은 생명을 지켜주는 선한 감정인 동시에 악의 가능성을 지닌 양면성을 지니고 있지만, 퇴계는 전자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퇴계의 칠정론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점이 드러난다. 첫째, 사단은 당연히 도덕감정이지만, 칠정 역시 도덕적일 수 있는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기발인 칠정은 근본적으로는 개체의 생명을 지켜주는 선한 감정이다. 다만 거기에 과불급이나 착각이 있을 경우 불선으로 흐를 가능성을 가질 뿐이다. 셋째, 따라서 기발 칠정의 감정은 결코 버리거나 억제해야 할 것이 아니다. 그 자체로 소중하며, 특히 삶의 행복과도 직결된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감정인 것이다. 퇴계철학은 궁극적으로 즐거움을 추구한다. 인간은 리와 기의 합으로 구성된 존재이기에 仁義禮智의 본성에 충만한 理的 즐거움뿐만 아니라, 기질적 즐거움 또한 중요하며, 퇴계는 결코 이를 경시하지 않았다. 퇴계는 리발과 기발을 나누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그 조화를 통해 인간은 도덕적이면서 동시에 즐거울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해 보였다. Toegye`s Four Seven Debate is characterized ``li-qi mutual issuance principle(理氣互發說`` focused on Seven Feelings, which contemporary studies also emphasized as well. It is studied and researched that Toegye intented to split li(理)and qi(氣) to secure the pureness of Four Beginnings of moral feelings and to control Seven Feelings of ``issuance of qi(qi-fa 氣發)``. However, I have argued in my past research that the characteristic of Toegye` Four Seven Debate is signified by separating qi-fa from traditional neo-Confucian structure which insists ``human nature arousing feelings(性發爲情)``. In accordance with such an argument,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oegye`s opinion that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virtuous.`` Toegye splitted Seven Feelings both li and qi due to susceptibility to become the source of evil, however, regulating those feelings would not be the only reason. By analyzing Toegye`s Seven Feelings argument, the following points would be expiscated. Firstly, Four Beginnings is surely moral feelings, but Seven Feelings is possibly moral feeling as well. Secondly, Seven Feelings, the issuance of qi, is innately virtuous and emanating based on li. That feelings is favourable to life. Only there exists a possibility to excess or deficiency and an illusion. Thirdly, thus, feelings in the issuance of qi and Seven feelings is not a subject to suppress or discard. Seven Feelings is feelings of ``joy`` directly connected to happiness of life, and extremely important per se. Toegye`s philosophy is not a stifling lecture of ethics. Ultimately, it pursues joy of life. Human beings feel through qi and due to qi. Obviously, joy does not mean indulgence and avarice. Toegye by splitting the issuance of li and the issuance of qi, proved that ultimately, by balancing those two human beings are able to become moral and joyful at the same time.

      • KCI등재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이치억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In general, the specific character of Toegye’s Thought is known for spontaneity of li(理), namely ‘issuance of li’(li-fa 理發) which he argued in Four Seven debate. However, creativeness of Four Seven debate completed from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respectively to li(理) and qi(氣) preferably parting ‘issuance of qi’ rather than parting ‘issuance of li’.As a matter of fact, what became a controversy by Gobong in Letters of Four Seven debate was ‘issuance of qi’, not ‘issuance of li’. Toegye separated ‘issuance of qi’, not for its significance; he intended to reveal and assure ‘Purity of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all moral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Four Beginnings whereas Seven Feelings are possibly all moral feelings. He indicat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different feelings. More precisely, the bounda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not good and evil, or moral and immoral feelings, it is rather feelings of human nature or feelings of egocentric temperament since Toegye considered that egocentric feelings with all its morality always categorized in Seven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categories and meanings of Four Beginning and Seven Feel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excluding a heavy dispute of ‘activeness of li’, ‘issuance of li’, and ‘issuance of qi’ as possible. 일반적으로 退溪 사상의 특성이 리의 능동성, 특히 사단칠정론에서 理發을 주장한 데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퇴계-고봉의 사단칠정왕복서에 드러난 퇴계 사단칠정론의 독창성은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에 분속한 것에 있고, 그 중에서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발을 떼어낸 데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주자학에 정통했던 고봉의 반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사단칠정왕복서에서 高峯이 문제 삼은 것은 리발이 아니라 오히려 기발에 있는 것이다. 퇴계가 기발을 따로 분리해 낸 것은 물론 기발을 중시해서가 아니라 리발인 사단의 순선함을 드러내고 확보하려는 데 그 의도가 있다. 퇴계의 논리에 따르면 도덕적 감정이라고 해서 모두 사단이라고 할 수 없으며, 칠정도 충분히 도덕적 감정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단과 칠정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임을 주장한다. 즉 사단과 칠정의 분계점은 선과 악, 내지는 도덕-비도덕의 감정이 아니라, 인간 심연의 본연적 감정인가, 자기중심의 기질적 감정인가 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퇴계는 자기중심적 감정은 그것이 아무리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칠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리의 능동성, 리발-기발이라고 하는 理氣論의 무게를 최대한 내려놓고 퇴계의 논리에 따라 그가 상정한 사단과 칠정의 범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퇴계(退溪) 사칠론(四七論)에서 사단(四端)의 순선(純善)함에 대하여

        이치억 ( Lee Chi-eok )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5 No.-

        일반적으로 退溪 사상의 특성이 리의 능동성, 특히 사단칠정론에서 理發을 주장한 데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퇴계-고봉의 사단칠정왕복서에 드러난 퇴계 사단칠정론의 독창성은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에 분속한 것에 있고, 그 중에서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발을 떼어낸 데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주자학에 정통했던 고봉의 반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사단칠정왕복서에서 高峯이 문제 삼은 것은 리발이 아니라 오히려 기발에 있는 것이다. 퇴계가 기발을 따로 분리해 낸 것은 물론 기발을 중시해서가 아니라 리발인 사단의 순선함을 드러내고 확보하려는 데 그 의도가 있다. 퇴계의 논리에 따르면 도덕적 감정이라고 해서 모두 사단이라고 할 수 없으며, 칠정도 충분히 도덕적 감정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단과 칠정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임을 주장한다. 즉 사단과 칠정의 분계점은 선과 악, 내지는 도덕-비도덕의 감정이 아니라, 인간 심연의 본연적 감정인가, 자기중심의 기질적 감정인가 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퇴계는 자기중심적 감정은 그것이 아무리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칠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리의 능동성, 리발-기발이라고 하는 理氣論의 무게를 최대한 내려놓고 퇴계의 논리에 따라 그가 상정한 사단과 칠정의 범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In general, the specific character of Toegye’s Thought is known for spontaneity of li(理), namely ‘issuance of li’(li-fa 理發) which he argued in Four Seven debate. However, creativeness of Four Seven debate completed from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respectively to li(理) and qi(氣) preferably parting ‘issuance of qi’ rather than parting ‘issuance of li’.As a matter of fact, what became a controversy by Gobong in Letters of Four Seven debate was ‘issuance of qi’, not ‘issuance of li’. Toegye separated ‘issuance of qi’, not for its significance; he intended to reveal and assure ‘Purity of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all moral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Four Beginnings whereas Seven Feelings are possibly all moral feelings. He indicat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different feelings. More precisely, the bounda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not good and evil, or moral and immoral feelings, it is rather feelings of human nature or feelings of egocentric temperament since Toegye considered that egocentric feelings with all its morality always categorized in Seven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categories and meanings of Four Beginning and Seven Feel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excluding a heavy dispute of ‘activeness of li’, ‘issuance of li’, and ‘issuance of qi’ as possible.

      • KCI등재

        “神與物遊”開塞的關鍵“志氣”內涵

        呂亭淵(여정연) 한국중어중문학회 2013 中語中文學 Vol.54 No.-

        ‘Shen Si’, the first chapter of The Literary Mind and the Carving Dragon creation theory, is a creation of general studies. The part of Shen Si is about imagination-oriented artistic conception in pursuance of literary creation. Liu Xie considers that ‘Zhi Qi’ in ‘Shen Yu Wu You’ takes important role. The Connotation of Zhi Qi is interpreted variously by scholars. However, there are not many theories that study Zhi Qi’s various meanings concretely and throughly. artistic conception is complicated and special psychological activity. Moreover, The words-‘Zhi’, ‘Qi’, ‘Zhi Qi’-have diversity and abstractness originally. Therefore, It can be difficult to study various meanings that Zhi Qi has. However, Liu Xie refers the concept forming process of vigor, talent, temperament, philosophy and feeling in the chapter of Ti Xing. It explains that the artistic process is philosophy and feeling activity based on vigor, talent and temperament. Therefore, this paper interprets Zhi as ‘philosophy and feeling’, Qi as ‘vigor’, ‘talent’ and ‘temperament’ based on the chapter of Ti Xing, and examines how they have effect on Shen Si activity. It is considered that examining Zhi Qi’s meanings helps to understand Liu Xie’s Shen Si theory.

      • 본성(本性)에 따르는 삶

        이혜영(Hye young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8 No.-

        율곡 이이(栗谷李珥: 1536-1584)는 인간의 본성을 리(理)로 규정한다. 그는 모든 인간이 동일하게 선한 본성의 리를 지니고 있음을 언급하여 성인으로 변화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성인이 된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을 완전하게 실현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기질의 변화를 통한 본성의 회복'은 율곡의 수양론에서 가장 중요하게 제시된 방안이다. 율곡은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의 리기론적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리와 기의 역할을 구분함으로써 기의 정화를 통해 리의 본연이 드러나게 하는 수양론을 주장하였다. 그는 선한 본성으로부터 유발된 칠정이 선과 악으로 나뉘는 것은 기의 품질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맑은 기가 본연지성을 온전하게 담아내면 이는 칠정의 중절(中節)이 되는 반면, 흐린 기가 본연지성을 가리면 이는 칠정의 부중절(不中節)이 되는 것이다. 실생활에서 수양과 실천의 핵심은 치중화(致中和)이다. 치중화는 각자가 처한 상황의 변화에 알맞게 대처하여 진리를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율곡은 인간의 본성이 일상성 즉, 구체적 현실에서의 책임을 통하여 드러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외물, 즉 사물과의 관계를 항상 염두에 두는 본성을 기르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처럼 성선의 리, 즉 본연지성을 지향하는 동시에 이를 드러내기 위한 현실적 노력으로서 기질의 수양 및 치중화를 중요시 하였다. 이는 내면의 본성 추구에 있어 항상 현실과의 조화를 고려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Yulgok Yi Yi(栗谷李珥: 1536-1584) defines man's human nature as li (理). Moreover, he presents a basis for the possibility that an ordinary person can transform himself into a sage by stating that all men are born with own nature which is good. Therefore, becoming a sage means the perfect realization of man's own nature. 'Recovering one's own nature (本性; original nature) by changing qijil (氣質; physical substance)' is a important way in Yulgok's cultivation. Yulgok took notice of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li-qi in the Original Nature (本然之性) and the Physical Nature (氣質之性), and the Four Beginnings (四端) and the Seven Emotions (七情), and clearly divided the roles of li and qi in them. So he argued his cultivation theory that people could exhibit the original character of li by the purification of qi.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qi (氣) is given as the root of the Seven Feelings, which arise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diverging into the good and the bad. In other words, the state of "pureness" is when pure qi (氣) contains the original human nature in its entirety, from which arises proper Seven Feelings. In contrast, the state of "impureness" is when impure qi (氣) conceals the original human nature, from which arises improper Seven Feelings. The core of moral culture and practice is Chijunghwa (致中和) in real life. Chijunghwa (致中和) means each of us meets the change of the present situation reasonably and practices the truth. Yulgok supposed one's own nature is exposed through the responsibility of the specific reality. So he suggested that how to grow one's own nature as the things in their relation in mind. He followed li (理)- 'human nature is good', at the same time, emphasis on 'Recovering one's own nature (本性; original nature) by changing qijil (氣質; physical substance)' and Chijunghwa (致中和; moderation). This is the consideration of balance the pursuit of one's own nature and reality.

      • KCI등재

        이황·이이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정약용의 관점

        김상현(Kim, Sang-hyun)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7 No.-

        조선 유학계를 가장 뜨겁게 달구었던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에 대해 정약용은 "퇴계는 오로지 가치론적 측면에서 논했기 때문에 '리기호발'(理氣互發)을 주장하게 되었고, 율곡은 생성론적 측면에서 논했기 때문에 '기발'(氣發)만 인정하고 '리발'(理發)은 없다고 말한 것이다. 두 선생의 이론은 가리키는 측면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그 말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해서 나쁠 것이 없다"라고 주장하여 두 학자와 관련된 논쟁을 종식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정약용의 도식적인 판단은 매우 명료하고 분명하기 때문에 설득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많은 학자들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바로 이지점에서 출발한다. 이와 같은 정약용의 이분법적인 평가는 너무나 명료하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그가 사단칠정론을 분석하면서 의미 있게 다루었던 디테일에 대해서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논자는 정약용이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논쟁을 분석하면 제기했던 디테일에 주목하여 기존에 형성된 정약용의 사단칠정관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정약용의 관점이 시기에 따라 어떤 변화를 거치고 있는지, 그리고 각 단계마다 정약용의 사단칠정관 형성에 어떤 사상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밝힌다. 다음으로 정약용이 이해한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 아니면 그러한 이해 속에 약간의 오해가 들어있는지, 만약 약간의 오해가 들어 있다면 그러한 오해는 무지에서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철저히 의도된 것인지에 대해 밝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정약용이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의도적으로 비틀어 해석하였다는 것을 밝히고, 정약용이 그렇게 해석한 의도가 이황의 사단칠정론 속에 담겨있는 실천성을 강조하기 위한 차원이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황의 사상과 정약용의 사상에 일정부분 유사성이 있다는 것도 보여줄 것이다. This article ha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nterpretation that Chong, Yagyong analyzed the theory of Yi, Hwang and Yi, Yi about four beginning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The debate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begin to emerge after Yi, Hwang debate with Ki, Dae-seung. And the debate began to overheat starting during a heated discussion that proceed between Sung Hon and Yi, Yi. Yi, Hwang's view is Li-fa(理發) and Yi, Yi's view is qi-fa(氣發). After that the debate more overheat between the followers of Yi, Hwang and the followers of Yi, Yi. The problem with the debate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originates from a dual structure of Zhu-zi`s theory of Li-Qi which on one hand is used to justify cosmogony, but on the other hand is used to justify an axiology.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Chong, Yagyong attempt to reconcile Yi, Hwang'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with Yi, Yi's that, arguing that Yi, Hwang's theory of Li-fa is justified by his position and Yi, Yi's theory of Qi-fa is justified by his position. Chong, Yagyong's interpretation of Yi, Hwang'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with Yi, Yi's that, is very well regarded by many scholars. But many scholars fail to hold a detail about what was in that interpretation because his interpretation of that is too abstract. I pay attention to the detail that Chong, Yagyong lost in the interpretation. By the process of these works, I want to put a new perspective on the Chong, Yagyong's interpretation of Yi, Hwang'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with Yi, Yi's that. I try to expose a excellence that Yi, Hwang'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has, At the same time, I try to reveal a similarity that It's between the Chong, Yagyong's thought and the Yi, Hwang's thought.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율곡(栗谷) 심성론(心性論) 이해

        유연석 ( Yon Seok Y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尤庵 宋時烈은 17세기 栗谷학파의 지도자로서 退溪학파와의 대결 구도 속에서 栗谷 心性論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心是氣說에 대해서는 性卽理說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이론이라고 설명하면서 先儒들의 학설 가운데 관련된 내용들을 근거로 제시하여 그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性心情意一路說에 대해서는 純善한 本然之性인 五性으로부터 善惡이 혼재한 七情이 유발된다는 栗谷의 理일원적 性情論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이를 ``모든 事物의 근본은 理이므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언명으로 정식화함으로써 理일원적 관점을 강화하였다. 尤庵은 이러한 관점을 人心道心說에서 보다 철저하게 적용하여 人心과 道心을 모두 本然之理로 규정하였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直出``하여 人心이 中節한 것을 ``人心 本然의 體段``이라고 명명하고, 本然之性으로부터 ``傍出``하여 人心이 不中節한 경우를 人心이 왜곡 변질된 人欲으로 간주함으로써, 人心이 원칙적으로 善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尤庵은 전반적으로 栗谷의 心性論을 지지하고 계승하는 태도를 취하지만, 유독 四端의 개념에 대해서 만큼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 氣發理乘一途說에 입각할 때, 七情에 中節과 不中節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四端에도 中節과 不中節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四端과 七情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四端七情論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은 尤庵이 情의 포섭관계를 규명하는 부분이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유발되는 수만 가지의 情은 四端과 七情으로 통합되고, 四端과 七情은 惡(오)와 欲 두 가지로 통합되며, 惡(오)와 欲은 惻隱 한 가지로 통합된다는 것이다. 이를 역으로 재구성하면 仁의 발현인 惻隱 한 가지가 생명현상의 파괴를 부정하는 惡(오)와 생명현상의 고양을 긍정하는 欲의 두 가지로 분화되고, 惡(오)와 欲은 다시 四端과 七情으로 분화되며, 四端과 七情은 수만 가지의 情으로 분화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尤庵의 견해는 四端을 食色과 대비시키는 『孟子』의 문맥에서 벗어난 것으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理일원적 性情論의 논리적인 전개가 도달한 궁극적인 결론이라고 생각된다. Song Siyeol as a leader of Yulgok School in the 17th century, supported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in confrontation with Toegye School. The theory that ``human mind is the disposition(qi)`` an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the principle(li)``, he explained that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evidence presented to the opinion of previous wise confucian scholars. For the monistic theory of mind-nature, he faithfully succeeded Yulgok`s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and reinforced Yulgok`s perspective by saying that the root of all things is principle(li). Song Siyeol applied more thoroughly this point of view to the theory of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by both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has defined as original principle(li). Thus 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straight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original state of bodily desire, but im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diagonal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devil. It stressed that bodily desire is essentially good. As such, Song Siyeol inherited largely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but presented differrent opinions about the concept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basis of monistic theory of the principle(li) and disposition(qi), the four beginn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as well as the seven feel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Therefore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It is a noteworthy feature in the theoy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at Song Siyeol explained the subsumable relations of feelings. Many kinds of feelings, which arise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are integrat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both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integrat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again, both dislike and desire are integrated into compassion. Reconstructing the opposite direction, compassion which arise from benevolence is divid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dislike and desire are divid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again,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divided into many kinds of feelings. This view is based on the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that there are no things out of the principle(li).

      • KCI등재

        성호학에서 사칠론의 한 분기: 신후담에서 이병휴까지

        김선희 동양철학연구회 2022 東洋哲學硏究 Vol.109 No.-

        Four-Seven theory is one of the important debates that deepened the theoretical depth of Joseon Confucianism Sungho Yi ik, who pursed to inherit Toegye Yi Hwang, tried to respond to Yulgok School's criticism of Toegye's Four-Seven Theater by organizing Four-Seven theory in his own way. Sungho's strategy is to distinguish between qi(氣)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at of the seven feelings. Sungho distinguishes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n relation to physical aspect interventions that can negatively affect human psychological and moral conditions. Songho's disciple Habin Shin Hu-dam begun a new debate by claiming that 'joy or angry of the sages could be from the public and moral nature of humans'. As a result, Sungho's Four-Seven theory was not consistent, and various discussions took place within the school afterward. Afterwards, Jeongsan Yi Byeung-hyu, a disciple of Sungho, tries to organize the debate on Habin Shin Hu-dam's side. Furthermore, Jeongsan recognizes the public properties of Seven Feeling by expanding the meaning of Seven feeling to the same level as Four beginning. Jeongsan's new approach is an important window into Sungho School's ideological branches and an axis to comprehensively explain Jeongsan's academic trends. 사단칠정론은 조선 유학의 이론적 깊이를 심화시켰던 중요한 논쟁 중 하나다. 퇴계의 학맥을 잇고자 했던 성호 이익은 사단칠정론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리함으로써 퇴계 사칠설에 대한 율곡의 비판에 대응하고자 했다. 성호의 전략은 사단의 기와 칠정의 기를 구분하는 것이다. 성호는 인간의 심리적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형기의 개입과 관련해서 사단과 칠정을 구별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 하빈 신후담은 성인의 공적인 희노를 리발로 규정함으로써 성호학파의 사칠론을 새로운 분기로 확장한다. 결과적으로 성호 사후에 성호학파의 사칠론은 합치되지 않은 논쟁들을 남긴 채 봉합되었다. 이후 정산 이병휴는 공희노 리발설을 주장했던 하빈의 편에서 논쟁을 개진하고자 한다. 특히 정산은 칠정의 의미를 사단의 마음과 동등한 수준으로까지 확장함으로써 칠정의 공적 성격과 리발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단계까지 나아간다. 성호에서 하빈으로 이어지는 공희노 리발설을 보다 확장하여 일종의 공칠정까지 리발의 성격을 인정하고자 한 것이다. 이처럼 칠정의 위상을 새로운 각도에서 보고자 한 정산의 사칠설은 성호학파의 사상적 분기들을 살피는 중요한 창이자 정산 자신의 경학을 포괄적으로 해명할 축이다.

      • KCI등재

        선도 명상, 운기단법 수련자들의 기감과 영성의 상관관계와 효과에 관한 연구

        이승호 ( Seung Ho L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8 No.-

        선도 명상의 하나인 운기단법 수련자들의 기감이 영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시 소재 대학원생 19명을 대상으로 12회기 동안 운기단법을 수련하였다. 수련 전-후 기감과 영성 모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운기단법 수련의 개입에 대한 효과는 중간 크기 이상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은 뚜렷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는 기감을 높여주는 운기단법 수련이 영성 계발에 유용함을 시사한다. 연구대상자들의 사전 평균 수련기간이 길었고, 사전 기감과 영성 평균점수가 높게 나왔음에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은 운기단법 수련이 오랜 수련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기감과 영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기감, 영성, 1회 수련시간, 주당 수련회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영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당 수련회수보다는 1회 수련시간을 늘이는 것이 효과적이며, 기감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주당 수련회수를 늘려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운기단법을 활용한 선도 명상 프로그램 구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that influence the change of spirituality by the feeling sense of qi (energy) of the practitioners of Unkidahnbeop (the Laws of Circulating Qi)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Sundo meditation, 19 graduate students of C city have practiced Unkidahnbeop for 12 times. After the practices, both the feeling sense of qi and the spirituality had increased and had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e effect of Unkidahnbeop practices which had been included in the meditation program have shown more than medium size. Two variables had distinctively positive correlation. Practicing Unkidahnbeop which heightens the feeling sense of qi is quite stimulating for the increase of the spirituality scale. They have shown significant change in post test, even though the average period of practices of the participants were rather long, and grades of the feeling sense of qi and the spirituality were high, meant Unkidahnbeop practices have affirmative effect for the improvement of the feeling sense of qi and the spirituality even for those who have a long experience of practices. Study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feeling sense of qi, spirituality, each duration of the practice, and frequency within a week, in order to heighten the spirituality, lengthening each duration of the practic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frequency within a week. For the heightening of the feeling sense of qi, frequency within a week was more effective. This result make us look forward to meeting better construction for the Sundo Meditation program applying Unkidahnbe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