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牛溪 후학의 栗谷 性理學 이해와 비판 -朴世采,趙聖期,林泳을 중심으로-

        유연석 ( Yon Seok Y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3 No.-

        조선유학사에서 이른바 退·栗 절충론으로 명명되는 일군의 학자들이 존재하는데, 그 대표적인 인물이 牛溪 成渾(1535-1598) 계열로 분류되는 南溪 朴世采(1631-1695), 拙修齊 趙聖期(1638-1689), 그리고 瘡溪 林泳(1649-1696)이다. 이들의 학문적 노선은 李滉의 理機互發說과 李珥의 氣發理乘一途說이 함축하는 양립불가능한 두 가지 근본입장, 즉 性의 발현 태인 情을 설명함에 있어서 主理와 主氣의 구별을 고수하는 李滉의 理氣이원적 性情說과 모든 종류의 情은 理에 근원하고 氣의 도구적 역할에 의해 발현된다는 李珥의 理일원적 性情說 가운데, 李滉의 입장을 채택하고 있다. 成渾은 理珥와의 논변과정 내내 人心과 道心이 각각 主氣와 主李에 해당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논변의 말미에 氣發理乘一途說을 수용할 수 없다는 최종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朴世采의 경우 형식적으로 李珥의 氣發理乘一途說을 인정하면서도 四端은 本然之性으로부터 直出한 것이므로 主理에 해당되고 七情은 氣質之性으로부터 感應한 것이므로 主氣에 해당한다는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일원적 체계속에서 理氣이원적 입장을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趙聖期는 이러한 시도를 체계적으로 이론화하여 ``氣發理乘``을 ``理가 氣를 타고 動하는 것[理乘氣而動者]``과 ``氣가 理에 붙어서 發하는 것[氣寓理而發者]``으로 세분하는 논리를 개발하였으나, 이는 理氣이원적 관점에서 理發과 氣發을 구분한 후 이를 다시 형식적으로 결합한 것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李滉 理氣互發說의 재정립으로 간주된다. 한편 林泳은 成渾의 입장으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는 牛·栗 논변 가운데 李珥가 ``互發說``을 비판하고 ``一途說``을 주장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는 ``理와 氣는 분리될 수 없다[理氣不相理]``는 원칙을 독자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氣發理乘一途說이 부당하고 理氣互發理이 타당하다는 정반대의 견해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理氣이원적 관점에서 도출된 격론이었다. 이들 牛溪의 후학들은 17세기 기호학파와 영남학파의 대결양상이 격화되는 상황에 처하여, 정통 栗谷학파와 차별되는 독자적인 화문적 노선을 견지함으로써 기호학파 내에서 비판세력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are some scholars in the history of Korea Confucianism, which is named as ``Toegye-Yulgok Eclecticism``. The leading figure is Seong Hon(1535-1598), and his successors are Pak Se-chae(1631-1695), Cho Seong-ki(1638-1689), lm Yeong(1649-1696). They had inherited Yi Whang`s academic position than Yi yi`s, these two are incompatible. Yi Whang connects the moral characteristic which is pure surpasses an individual bodily desire to the principle(li) and the bodily desire which keeps a malice dangerous characteristic to the disposition(qi) it connects. The type of like this theory of good human nature is the premise that ``the true human nature is the principle(Xing Ji U)`` based on dualism, On the other hand, Yi yi transformed dualistic theory of human nature into the monistic theory. Thus, he regarded the principle(li) as the common source of moral characteristic as well as of the bodily desire, The type of like this theory of good human nature is the premise that ``the true human nature is the principle(Xing Ji Li)`` based on monism. On the surface, Seong Hon and his successors are expressed the position of ``Toegye-Yulgok Eclecticism``, but fundamentally supports Yi Whang`s dualism that adheres to the distinction between churi(主理) and chugi(主양)Therefore they adhere to their own academic positon in Kiho school. The 17th century, Kiho school and Yeungnam school in the context of the confrontation, they were a critical role in Kiho school.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율곡(栗谷) 심성론(心性論) 이해

        유연석 ( Yon Seok Y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尤庵 宋時烈은 17세기 栗谷학파의 지도자로서 退溪학파와의 대결 구도 속에서 栗谷 心性論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心是氣說에 대해서는 性卽理說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이론이라고 설명하면서 先儒들의 학설 가운데 관련된 내용들을 근거로 제시하여 그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性心情意一路說에 대해서는 純善한 本然之性인 五性으로부터 善惡이 혼재한 七情이 유발된다는 栗谷의 理일원적 性情論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이를 ``모든 事物의 근본은 理이므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언명으로 정식화함으로써 理일원적 관점을 강화하였다. 尤庵은 이러한 관점을 人心道心說에서 보다 철저하게 적용하여 人心과 道心을 모두 本然之理로 규정하였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直出``하여 人心이 中節한 것을 ``人心 本然의 體段``이라고 명명하고, 本然之性으로부터 ``傍出``하여 人心이 不中節한 경우를 人心이 왜곡 변질된 人欲으로 간주함으로써, 人心이 원칙적으로 善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尤庵은 전반적으로 栗谷의 心性論을 지지하고 계승하는 태도를 취하지만, 유독 四端의 개념에 대해서 만큼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 氣發理乘一途說에 입각할 때, 七情에 中節과 不中節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四端에도 中節과 不中節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四端과 七情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四端七情論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은 尤庵이 情의 포섭관계를 규명하는 부분이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유발되는 수만 가지의 情은 四端과 七情으로 통합되고, 四端과 七情은 惡(오)와 欲 두 가지로 통합되며, 惡(오)와 欲은 惻隱 한 가지로 통합된다는 것이다. 이를 역으로 재구성하면 仁의 발현인 惻隱 한 가지가 생명현상의 파괴를 부정하는 惡(오)와 생명현상의 고양을 긍정하는 欲의 두 가지로 분화되고, 惡(오)와 欲은 다시 四端과 七情으로 분화되며, 四端과 七情은 수만 가지의 情으로 분화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尤庵의 견해는 四端을 食色과 대비시키는 『孟子』의 문맥에서 벗어난 것으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理일원적 性情論의 논리적인 전개가 도달한 궁극적인 결론이라고 생각된다. Song Siyeol as a leader of Yulgok School in the 17th century, supported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in confrontation with Toegye School. The theory that ``human mind is the disposition(qi)`` an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the principle(li)``, he explained that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evidence presented to the opinion of previous wise confucian scholars. For the monistic theory of mind-nature, he faithfully succeeded Yulgok`s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and reinforced Yulgok`s perspective by saying that the root of all things is principle(li). Song Siyeol applied more thoroughly this point of view to the theory of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by both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has defined as original principle(li). Thus 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straight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original state of bodily desire, but im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diagonal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devil. It stressed that bodily desire is essentially good. As such, Song Siyeol inherited largely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but presented differrent opinions about the concept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basis of monistic theory of the principle(li) and disposition(qi), the four beginn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as well as the seven feel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Therefore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It is a noteworthy feature in the theoy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at Song Siyeol explained the subsumable relations of feelings. Many kinds of feelings, which arise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are integrat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both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integrat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again, both dislike and desire are integrated into compassion. Reconstructing the opposite direction, compassion which arise from benevolence is divid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dislike and desire are divid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again,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divided into many kinds of feelings. This view is based on the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that there are no things out of the principle(li).

      • KCI등재
      • KCI등재

        율곡(栗穀) 이이(李珥)의 권학론(勸學論): 범인(凡人)에서 성인(聖人)으로

        유연석 ( Yon Seok Yoo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栗穀 李珥는 儒家의 學問에 입문하는 자들에게 반드시 聖人을 목표로 삼을 것을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불완전한 凡人이 자신의 결함을 제거한다면 모두 완전한 인격을 지닌 聖人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모든 인간이 동일하게 善한 本性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여 凡人이 聖人으로 변화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學問에 종사하여 聖人이 된다는 것은 인간의 善한 本性을 완전하게 실현함을 의미한다. 李珥는 인간의 本性을 萬物의 생명현상의 전체적인 신장을 도모하는 원리인 理로 규정한다. 그리고 외부의 사물들을 대면하면 仁義禮智信의 五性으로부터 喜怒哀懼愛惡欲의 七情이 유발되는 ‘性發爲情’의 단일한 경로를 설정한다. 여기서 七情은 자아와 타자의 생존욕구를 포괄하는 마음의 총체적인 반응이고, 五性은 七情을 유발하는 내면의 단일한 원천이다. 善한 本性으로부터 유발된 七情이 善과 惡으로 분기되는 것은 氣의 품질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즉 淸氣가 本然之性을 온전하게 담지하는 것은 ‘虛·明’의 상태인데, 이는 七情의 적중[中節]을 유발한다. 반면 濁氣가 本然之性을 엄폐하는 것은 ‘昏·亂’의 상태인데, 이는 七情의 오차[不中節]를 유발한다. 여기서 七情의 적중[中節]과 오차[不中節]가 善惡을 판정하는 유일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學問의 방법으로 제시된 立志·窮理·省察·涵養은 凡人의 마음에 내재한 결함인 ‘昏·亂’을 제거하고 마음의 정상적인 기능인 ‘虛·明’을 확보하는 과정이 되는데, 이것이 곧 氣質을 교정하는 작업이다. 1단계의 立志는 태만한 상태인 ‘氣昏’을 제거하여 學問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고, 2단계의 窮理는 是非에 어두운 ‘智昏’을 제거하여 本性을 실현하는 상황 합당성을 인식하는 것이며, 3단계의 涵養·省察은 ‘亂’의 문제점인 惡念과 浮念을 제거하고 마음의 안정을 확보하여 ‘虛·明’을 지속적으로 견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李珥에게 있어서 學問은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凡人이 일종의 심리적 질환으로 간주되는 자신의 결함을 제거함으로써, 善한 本性을 실현하는 마음의 정상적인 기능을 확보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권장사항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Yulgok Yi Yi advocates to men who are just beginning to study Confucianism that they make it their goal to become a sage, which implies that an ordinary person can transform into a sage of perfect characters if the imperfect man eliminates his defects. Moreover, Yi Yi presents a basis for the possibility that an ordinary person can transform himself into a sage by stating that all men are born with human nature which is good. Therefore, becoming a sage through learning means the perfect realization of man`s human nature which is good. Yi Yi defines man`s human nature as li (理), which is the principle that makes the vital phenomena of myriad things grow on the whole. And further, by establishing a single path in which "human nature becomes the feelings when it is aroused," he makes it clear that the Seven Feelings of joy, anger, sorrow, fear, love, dislike, and desire are triggered by the Five Essenc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loyalty when man comes into contact with outside things. The Seven Feelings here are the general response of the mind-and-heart which includes the desire of the self and others to survive, and the Five Essences are the single internal origin that causes the Seven Feelings.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qi (氣) is given as the root of the Seven Feelings, which arise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diverging into the good and the bad. In other words, the state of "openness" and "clarity" is when pure qi (氣) contains the original human nature in its entirety, from which arises proper Seven Feelings. In contrast, however, the state of "vagueness" and "chaos" is when impure qi (氣) conceals the original human nature, from which arises improper Seven Feelings. Here, the sole standard that determines goodness or badness is the proper or improper response of the Seven Feelings. Therefore, presented as a method through learning establishing one`s will, investigating the principle, examining oneself, and nourishing oneself as presented by Yi Yi is a way of rectifying one`s temperament through learning, which can be attained through a process of eliminating inherent imperfections such as "vagueness" and "chaos" in an ordinary man`s mind-and-heart and, instead, obtaining "openness" and "clarity" that are normal functions of the mind-and-heart. The first stage, establishing one`s will, sets the goal of learning by eliminating the careless state that "makes qi vague." The second stage, investigating the principle, recognizes the situational appropriateness of realizing human nature by eliminating the inability to clearly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that "makes wisdom unclear." The third stage, examining and nourishing oneself, eliminates evil and superficial thoughts that are problems of "chaos" and attains stability of the mind-and-heart, thereby strictly adhering to "openness" and "clarity." As mentioned above, learning means more to Yi Yi than mere recommendation in that, through learning, man attains the normal function of the mind-and-heart that realizes his original nature of goodness when an ordinary man eliminates his imperfections which are repeated and are considered to be a type of psychological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