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칙의 법적 성질과 규율범위

        김호정 ( Kim Ho-je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외법논집 Vol.29 No.-

        The freedom or autonomy of university is explicitly prescribed at Article 31's 4th clause of constitution, however, granted that there's no regulations like this autonomy of university has been growing with being intimately associated with academic freedom and is secured as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and an essential substance under guarantee of academic freedom. It's hard to say easily that who is the subject of the fundamental right of university's autonomy. In case that the self-control of university means that from a nation the president of a public university and incorporated institution's council of a private university may be included as the subject. But in case that the self-control of university means that of university's member, especially the faculty as well as the self-control of university from a nation the faculty is the only subject of the fundamental right of university's autonomy. On the current positive law a public university is as a public structure established for education by a nation or a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 private university is as a private structure established for education by a civilly incorporated institution, then both are not acknowledged as a corporation sole. Therefore it's usual to understand that university regulations are public structure's rule which is a kind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for public university and private contract's clause for private university. Granted that an university isn't acknowledged as a corporation sole, however, with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that self-control of university is secured as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a university may be thought of having the substance as a organization within the scope of academic autonomy. In other words a national university may be seen to have both substance as a public structure within the scope of academic autonomy and an organization within the scope of academic autonomy as well. In case of Japan having a similar current law the judicial precedent and the theory of learned circles of educational law normally comprehend that university regulation is an autonomous regulation formed in a university which is a specially partial society with advocating binding power by common law as the reason. University regulations as a regulation for self-government have never been regulated as a exceptional legislation form against the rule of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but are not unconstitutional on account that there's an constitutional needs of setting up a new legislation form well worth being admitted the university regulation's character as a law and regulations. The autonomy of university, as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can bear a construction that it has the right of one's own responsibility in regard of academic works. University regulations are autonomous regulations which can extensively regulate academic matters within the scope of the ordinance and can regulate legal matters. At this moment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matters regulated by ordinance and the matters regulated by university regulations raises its head. This matter should be concluded not at the sight of the law formation but the substantive conversation in regard of what the contents is self-control of university. The relation between university regulations and the articles in the rule of a private university should be not the relation holding a prominent position by one party but the relation based on mutual respect of each regulating province.

      • KCI등재

        디지털시대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한 대학박물관 홍보 전략-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선,여운승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7 고문화 Vol.89 No.-

        디지털시대 박물관들은 방문 및 동기 유발을 넘어 대중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홍보에 소셜 미디어가 적극 활용되어 박물관의 물리적 방문에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두지 않고 관람객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하면서 참여의 기회를 향상시키고 박물관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어주고 있다. 이를 통해 박물관과 관람객, 전문가와 일반 대중의 협업이 늘어나면서 박물관과 관람객 사이 관계의 본질은 변화되고 관람객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구경꾼이었던 대중들은 콘텐츠를 동시에 소비·생산하는 ‘프로슈머(prosumer)’가 되었고 박물관의 ‘매개자(mediator)’가 되었으며 박물관 문화를 홍보하는 ‘마케터(marketer)’로도 활동하고 있다. 디지털시대를 맞이한 우리나라의 대학박물관은 대내외적으로 여러 난제에 봉착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 기기와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디지털 기기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익숙한 관람객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규모가 작고 예산이 적은 대학박물관에게는 매우 큰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대학박물관은 20~30대 학생뿐만 아니라 5~6세부터 60세 이상까지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관람객이 있는 대학 내에 위치해 있다. 또한 대학 내의 다양한 전공과 우수 전문인력, 연구기관들은 박물관과 연계하여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기관으로서 대학에 소속된 박물관의 역할은 사람 중심으로 변화된 박물관의 패러다임 속에서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화여대박물관도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대학박물관으로서의 역할과 학술적인 기능을 살리고 주요 관람객을 세분화시켜 박물관을 홍보하는 방법으로, 관람객들이 박물관을 다각적으로 접하고 참여할 수 있는 전시와 이벤트를 기획하여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와 가상 뮤지엄을 통한 홍보와 관람객 참여를 통한 홍보, 두 가지 측면에서 이화여대박물관이 시도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사례들을 바탕으로 대학박물관의 약점과 위협을 강점과 기회로 살려서 대학박물관만이 가진 차별화된 관람객 참여방법과 홍보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대학박물관은 소통해야 할 관람객을 파악하고 세분화하고 구체화시켜서 이들을 박물관에 다각적으로 참여시킬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두 번째, 대학 내의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과 다방면의 전문가들을 박물관으로 유인하기 위해서 온라인 참여를 비롯하여 심도 있는 내용으로 학술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참여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학 내의 우수한 전문 인력과 전공,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실험을 해야 한다. 최신기술과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기존의 소셜 미디어와 대중의 지혜를 이용하여 관람객이 즐겁고 자연스럽게 박물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면 디지털시대에 대학구성원을 강점으로 가진 대학박물관에게는 큰 기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기회들은 포스트 뮤지엄으로서 사람을 중심에 두고 문화와 역사, 소장품을 연결하는 대학박물관을 홍보하는 데에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In this digital age, museums have developed new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hat utilize a variety of new media, aiming to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foster their active participation rather than simple, passive visit. In particular, social media has been widely adopted to arouse visitors’ interest in museum,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and enrich the museum experience without the limit of time and space. A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of collaboration – either between the museum and their visitors or between specialists and the public, fundamentals of their relationship have changed while the role of the public has expanded. The public, who was simply a spectator in the past, now plays the role of “prosumer,” “mediator,” and “marketer. ”Digital age brought a number of dilemmas to university museums in Korea,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adept at social network services can be considered as a challenge which could threaten small-scale, low-budget university museums. Nevertheless, most of them are located in university campus, where prospective visitors include not only young students but also all age groups ranging from five- or six-year-old children to senior citizens over 60. This could also be a great opportunity for the oncampus research institutes and professionals from diverse fields to conduct various experiments in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museums. Furthermore, as a part of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 the role of university museum has been expanded under the paradigm of visitor-centered museum.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too, has organised exhibitions and events that lead to visitor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by reinforcing its academic aspects and customizing advertising strategy to each specific target visitor group.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visitor relations cases of th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focusing particularly on 1) the use of social media and the virtual museum, and 2) the visitors’ participation. Based on the case study, the article proposes converting weakness and threat of university museums into strength and opportunity, and provides some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nd methods for visitors’ participation. Firstly, university museums should analyse and subdivide target visitor groups, and devise a method that brings them into the museum in multidirectional ways. Secondly, in order to attract multidisciplinary students and experts to the museum, specific participation method by which the museum uses online contributions to cumulate ideas and ultimately result in an academic achievement is also necessary. This method can be called “crowdsourcing.” Lastly, the museums need to collaborate with the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highly qualified specialists, and experiment for communication with visitors. The article expects that if university museums design easily accessible and enjoyable programmes, using highly advanced and systematic social media and the wisdom of crowds, they will be able to maximize their opportunities or advantages of having university faculties and students in the digital age. These opportunities will become the core of key strategies in terms of promoting a university museum as the “post-museum,” a museum that places the public at the center and links culture, history and collection.

      • KCI등재

        공영형 사립대의 지역균형발전형 재정위원회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이건근 ( Geongeun Lee ),정종희 ( Jonghee J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공영형 사립대학 제도는 수도권 중심의 대학 서열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많은 관심을 이끌었지만, 연구자들은 이 정책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해서 주로 논한 반면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지방사립대학의 공공성 확보방안으로서 국립대학 재정위원회 제도의 도입에 관해 연구한다. 제1장은 공영형 사립대학이 공공성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와 논제를 제시하고, 제2장은 「국립대학회계법」 제정 전 재정 운용과정에서 공공성과 자율성의 양대 가치 사이에 논해졌던 담론을 고찰한다. 제3장은 재정위원회의 입법상 미비와 현실적 한계를 지적하고, 제4장은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사회에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공적 인사를 영입하고, 재정위원회에 본부 보직자, 구성원, 시민을 균등분배함으로써 예산편성단계부터 각자의 의견과 현실을 반영할 것을 주장한다. 이 연구는 향후 공영형 사립대학의 공공성 요건 마련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system of the publicized-private university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a method to solve the phenomena of imbalance between regions following ranking universities centralized in the capital area, but researchers did not produce the detailed measures while mainly discussing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this policy. This paper studies the adoption of the system of the finance committee of the national university as a plan to secure public nature for the local private university. The first chapter provides the reason and agenda for reserving the public character to the publicized-private university, and the second observes the discourse shared between both the values of publicness and autonomy during the process of financial operation prior to legislating the financial law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The third chapter points to the legislative insufficiency and the realistic limit of the finance committee, and the four argues that they, to compensate the defect, should recruit the public persons to struggle for the regional balance development and reflect the opinion and reality of each part from the stage of budget planning by equally distributing the executives of the headquarters, the representatives of members, citizens. This research is likely to contribute to doing for the requirements of publicness of the publicized-private university henceforth.

      • KCI등재

        지역사회의 참여를 통한 지방사립대 공영화의 공익적 가치에 관한 연구

        이건근(Lee, Geon Geun) 한국부패학회 2021 한국부패학회보 Vol.26 No.3

        2020년대 초 학령인구 감소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사학비리와 부실한 운영으로 인해 지방 고등교육 생태계 붕괴 상황이 두드러짐에 따라 대학평가를 통한 사후적인 선별조치로 재정을 지원하기보다 이러한 폐단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사학비리를 예방하고 처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가칭 지방고등교육자치위원회 설립을 통한 공영형 사립대학 제도 도입을 제안한다. 연구방법으로 사립대학이 한계대학으로 전락한 배경과 현황 그리고 사학비리와의 관계를 논하고, 2020년에 생산된 공영형 사립대학 실증연구보고서 3편에 소개된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법과 이 제도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을 고찰한다. 이어서 지방 사립대학 공공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안으로서 공영형 사립대 제도와 관련한 담론을 살핀 뒤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지방고등교육자치위원회의 신설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2000년 이후 폐교된 18개교 중 절대다수가 사학비리와 연루되어 결국 부실한 운영으로 종료되었다는 점에서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감독할 수 있는 공영형 사립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지방고등교육자치위원회가 지역민을 대표해서 한계대학의 공영화와 폐교문제 처리 그리고 공영형 사립대학 선정 및 관리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2004년까지 급속하게 감소하게 될 학령인구와 입학정원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지방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고질적인 사학비리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As the crisis of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has been in full swing in the early 2020s revealed the collapsing situation of the local higher education ecosystem due to the corruption and poor management of private universities, it is found that the system that will block out such a negative effect by the roots rather than the financial support that is made ex post facto through university evaluation. This essay suggests to introduce the system of publicized private universities through establishing a tentatively named Regional Higher Education Autonomous Committee as a way to prevent and deal with private school corruption. As a research method, this article shows the background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universities collapsing from general private on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corruption of private universities, and then observes the method and system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introduced in the Empirical Research Reports on publicized private universities produced in 2020 and the perception of local people about it. Next, the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ecuring the public nature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and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autonomous committee for higher education in which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es after examining the discourses related to the university system. As a result of study, it is argued that a public-run private system, which can manage and supervise these issues most effectively, should be introduced, as the majority of 18 universities that have been closed since 2000 were involved in corruption and ended in poor management. In addition, the Regional Higher Education Autonomy Committee will be able to transparently and fairly handle the publicization and closure of collapsing universities, and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publicized private universities on behalf of the local peop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way to fundamentally solve chronic private university corruption by suggesting alternatives to changes in the local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rapidly decreasing school-age population and admission quota by 2004.

      • KCI등재

        대학의 자치와 국립대학 법인화 - 『국립대학법인의 설립ㆍ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을 중심으로

        김배원(Kim Bae-Won) 한국헌법학회 2007 憲法學硏究 Vol.13 No.1

          대학구조개혁의 일환으로 시도되고 있는 국립대학 법인화는 국립대학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제고하여 국립대학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기본목적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미 20여년 전부터 이러한 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2006년 9월 「국립대학법인의 설립ㆍ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이하 “특별법(안)”이라 한다)을 발표하여 국립대학 법인화의 방향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후 공청회 등에서 제시된 의견을 수렴하여 마침내 2007. 3. 9. 「국립대학법인의 설립ㆍ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이하 “입법예고(안)”이라고 한다)을 입법예고 하였다. 이러한 입법예고에 대하여는 현재 국립대학의 재정적 여건과 공교육의 위기, 법인화의 추진절차, 입법예고(안)의 구체적 내용 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다.<BR>  이 논문은 1) 대학자치의 의의와 헌법상 보장을 검토하고, 2) 입법예고안의 의의와 내용을 살펴본 뒤, 3) 국립대학 법인화에 대한 찬성ㆍ반대 의견을 개관하고, 특별법(안)과 입법예고(안)을 비교ㆍ검토하면서 구체적 내용을 대학자치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y as part of university restructuring programs has basic goal that pursue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university by promoting th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national univers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already designed this plan for 20 years, and announced 『Special Bill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University Incorporation』(“Special Bill”) and present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national university incorporation. Then after reflecting opinions through public hearing, etc., the Ministry finally noticed 『Special Bill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University Incorporation』(“Noticed Bill”) on 2007. 3. 9. But there are a lot of oppositions about this bill, because of the condition of universities" finance, the crisis of public education, and the problems of incorporation process and contents of noticed bill, and so on.<BR>  The organization of this note is as follows: First, I reviewed the concept and constitutional guarantee of autonomy of university. Second, I examined the meaning and contents of noticed bill. Third, I summarized the supporting and opposing opinions about national university incorporation. Fourth, I compared with “Special Bill” and “Noticed Bill”, and finally, I reviewed these bills from a standpoint of autonomy of university.

      • KCI등재

        대학규제의 개혁과 공사협력의 재설계

        선정원(Sun, Jeong-Won)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5

        2020년대 들어와서 본격화되고 있는 대학의 위기는 대학지원자의 감소로 초래된 연구와 교육의 공급자의 위기이다. 그동안 대학공급의 팽창을 위해 수립되었던 기존의 대학정책은 공급자의 위기에 눈감아 왔으나 그것을 전면수정하여 공급의 급격한 축소시기에 맞는 종합적인 정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기존의 규제체계를 전면개혁하여야 한다. 현재 직면한 위기의 심각성이나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때, 규제개혁이나 재정정책 어느 하나의 정책을 주로 채택하는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규제체계의 법적 설계에 있어 1995년 대학설립준칙주의의 도입이래 공사협력이라는 관점은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2020년대에 닥친 전면적인 사립대학의 재정위기상황에서 공과 사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그리고 경제성원칙과 사회적 정의의 조화 위에서 위기극복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최근 공법학의 연구성과인 보장책임론에 따라 공확장형 공사협력정책안을 제시하였다. 보장책임론의 입장에서 볼 때 대학정책에 있어 공과 사의 공존은 불가피한 것인데, 국공립대학은 물론 사립대학에서도 정부는 대학의 연구와 교육의 질에 대해 우리 헌법이 대학에 부과한 임무가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책임을 진다. 정부는 가능한 한 민간부문의 자생적 노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되 위기시에는 적극적인 규제철폐와 적극적인 재정투입을 통해 공익보호의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 대학팽창기에 크게 증가한 유휴자산들을 적극 활용하여 사립대학들이 재정위기를 스스로 탈출할 수 있게 하는 과감한 규제철폐가 정부의 재정부담완화와 자산의 최적활용의 관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또, 현재 과잉상태인 대학들의 통폐합없이는 대학들의 총체적 재정부실 위기를 극복할 수 없으므로 입학정원의 감축과 대학의 통폐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지방대학들이 지방소멸의 위기극복을 위해 갖는 가치를 고려하여 지방대학의 가치와 기능을 재평가하여 지방생존정책의 관점에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 지방대학정책국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대학정책에 있어 정부는 그동안 규제의 양대 축인 대물적 규제와 대인적 규제중 대인적 규제는 소홀히 하여 대학경영자의 전문성과 신뢰성의 부족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해왔는데 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또, 교육부가 대학들을 산하기관으로 보고 명령지시적 규제를 남용하고 전현직 직원들을 대학에 파견하여 통제해왔던 관행도 극복해야 한다. 이를 사법적으로 통제할 행정소송제도도 확대도입될 필요가 있다. The existing university policie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to expand university supply, need to be completely revised and there should be a paradigm shiftto reduce university supply completely. Given the seriousness of the current college supply crisis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future, it wouldbe difficult to resolve it by primarily adopting either traditional regulatory reform or fiscal policy. Although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since the deregulation of university establishment in 1995,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of universities in the 2020s through active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on the balance of economic-efficiency principle and social justice. In this article, a public-expanded public-private cooperation policy was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legal theory for guarantee accountability in public law.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accountability, coexist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is inevitable in university policy, and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protecting the quality of research and education imposed by the Constitution on private universities as well as public universities. The government should ensure that the private sector"s self-sustaining efforts can be operated as much as possible, but should fulfill its responsibility for protecting the public interest through active deregulation and active fiscal injection in times of crisis. A drastic deregulation that allows private universities to escape the financial crisis by taking advantage of significantly increased idle assets during the expansion period is essential in terms of easing the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and optimal utilization of asset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actively to reduce the number of admissions and promote university consolidation, as universities cannot overcome the overall financial crisis without the consolidation of universities that are currently in excess. However, policies should be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survival policies by reevaluating the values and functions of local univers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value of local universities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cal university policy bureau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erms of university policy, the government has neglected regulation of people(for example, qualification regulations) on both pillars of regulation(goods and people), causing many problems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credibility of university managers.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overcome the practice of viewing universities as affiliated organizations, abusing command-control regulations, and dispatching and controlling former and current employees to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that will control it judicially.

      • KCI등재

        한·일 대학출판부 출판 활동의 실증적 비교 연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과 도쿄대학출판회를 중심으로

        권영자(Kwon, Youngja) 한국출판학회 2012 한국출판학연구 Vol.38 No.1

        출판매체의 다양화, 독자 요구의 전문성 등 출판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국내 출판계 전반의 필연적인 현상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게다가 최근 불황의 여파로 출판을 본업으로 하는 출판사들이고 있는 재정적 어려움은 대학출판부도 예외가 아니다. 그럼에도 독자들은 대학출판의 기본 사명인 학술출판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지식 콘텐츠를 계속 새롭게 재창조해낼 것을 대학출판부에 기대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대학출판부들은 소위 구미 영어권 대학출판부들에 비해 출판언어 자체만으로도 1차적 대상독자가 국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더욱 고전을 하고 있다. 유사한 성립 배경과 조직, 운영체계를 가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과 도쿄대학출판회를 실증적으로 비교하여, 두 나라 대학출판의 대응책을 분석한 것이다. As a widely accepted phenomenon, the Korean press industry is running a rapid change of overall industrial environment, shifting to diversified press media and professional demand of the readership. Furthermore, the university press cannot exceptionally safeguard against the financial difficulty of recent business recession. In the midst of adverse impact of business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university press is exposed to business risk in pursuing the principal core mission of academic publication. On the other hand, constant expectation of readers calls for unique quality brand image and renewed flow of creative knowledge contents of university press. Consequently, as a matter of strategy for surviving the rapidly changing IT environment, diverse demands of readers, segmentation of academic discipline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the university press needs drastic transformation in pursuit of its principal role of academic publication, adjusting to such change in trend and environment and attentively responding to the demand of readers. This research paper is presented to give comparative empirical analy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and University of Tokyo Press that are located in East Asia as geographical neighbors faced with similar business challenge under common environmental context.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and University of Tokyo Press are very active in direct academic knowledge publication as on campus activity. The two press organizations are not very different in respect of the internal position in the university and management system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President of University as the chief executive authority, financial and profit appropriation system, various interactive connection, relationship structure, regulation, business practice involved with the university authorities. The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presses have business disadvantage of limited linguistic coverage of readership as compared with English speaking North American or European university presses. Consequently, these two neighboring university presses under very similar difficult condition need to work together very closely for their future development strategy sharing the information in the challenging environment.

      • KCI등재

        사례로 본 공영형 지방사립대학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조건

        이건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The Korean government has left the aspect of ranking universities centralized in the capital area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e result is that it has found the crisis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is a critical social problem caused by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and condition of adopting the system to publicize local private universities as a counter-measure. The second chapter observes the phenomena of imbalance between regions following ranking universities centralized in the capital area, and the third introduces how Incheon University has become a publicized legal person as an example of recovering the publicity of the education of universities. The fourth treats the process of democratizing Chosun University and the necessity of publicizing it, and the fifth summarizes the above and emphasizes the accountability of running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based on clarity, fairness, and democratic property. The discourse over publicized private universities will be focused on studying how to overcome the common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legal person that the established universities are considered as private assets. 한국 정부는 급격한 산업화와 민주화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수도권 중심의 대학 서열화 현상을 방치하였고, 그 결과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지방사립대학의 위기가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었다. 이 논문은 그 대처방안으로서 지방사립대학을 공영화하기 위한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필요성과 조건을 논한다. 제2장은 수도권 중심의 대학 서열화에 따른 지역 불균형 현상을 고찰하고, 제3장은 대학교육의 공공성을 회복한 사례로서 인천대학교의 국립대학 법인화 과정을 소개한다. 그리고, 제4장은 조선대학교의 민주화 과정과 공영화 필요성을 살피고, 제5장은 이상을 요약하면서 투명성, 공정성, 민주성에 기초한 사학운영의 책무성을 강조한다. 공영형 사립대학에 대한 담론은 기존의 사립대학을 사적인 재산으로 이해하는 정부와 사학법인의 공통된 인식을 극복하는 방법의 연구에 집중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ᐨ학생 관계성 및 대학 만족도

        박노일,정지연,진범섭 한국PR학회 2017 PR연구 Vol.21 No.6

        Due to the low birthrate and college admission decrease in school age population, universities are vigorously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s well as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 in public relations perspectives.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1,266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universit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atisfaction.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versit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to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 despite of controlling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overall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 facilities including major education, and scholarship support as well as the gender of college students, current semester, GPA, and whether he completed military service.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from public relations perspectives for the university by considering it as one organization and by closely studying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one of the university’s core internal publics,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 저출산과 대학 입학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대학교는 대학 교육 서비스의 질적 제고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연구는 PR(공중 관계)학 관점에서 대학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ᐨ학생 관계성과 대학 만족도에 미치는인과적 관계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4년제 종합대학교 재학생 1266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학 조직의 커뮤니케이션과 대학ᐨ학생 관계성은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대학생들의 성별, 재학 학기, 학점 평점, 병역필 여부는 물론 전공 교육과 장학금 지원 등 전체적인 대학 교육 환경 시설에 대한 태도를 통제하고서도 대학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은 대학ᐨ학생 관계성을 매개로 대학 만족도에 유의미한 인과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교를 하나의 조직체로 상정하고, 대학의 핵심적인 내부 공중인 학생 관계와 커뮤니케이션 가치를 PR학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대학 조직체의 PR 활동 관련 이론 및 실무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 KCI등재

        새로운 대학 이념으로서 생태주의 대학 이념

        오종욱 ( Oh Jong Wo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2

        이 연구는 새로운 대학 이념으로서 생태주의 대학 이념의 가능성과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고등교육을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대학 이념은 대학의 본질을 훼손하고 인식론적 불균형을 초래하며 공익적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생태주의 대학 이념은 신자유주의 대학 이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생태주의 대학은 대학과 관련된 다양한 생태계와의 상호연관성을 증진하고 그들의 지속가능성, 잘삶, 개선에 기여하는 대학 이념이다. 생태주의 대학 이념은 대학이 맺고 있는 주체들과의 상호연관성 증진을 통해 대학의 본질을 회복하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대학의 인식론적 영역을 확대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 대학의 이념적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또한 복잡성으로 얽혀진 사회 주체와의 관계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세계 내의 형식적·비형식적 의사소통과정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관점과 공존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시대적 맥락에 적합한 새로운 대학 이념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생태주의 대학 이념은 위기에 처한 오늘날의 대학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새로운 대학 이념의 형성 가능성 제공한다. 둘째, 인식론적 영역의 보존과 확장에 기여한다. 셋째, 대학의 공익적 성격을 강화한다. 생태주의 대학이념은 대학과 관련된 모든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잘삶을 증진함으로써 세계와의 공존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폐허’가 아닌 긍정적인 대학의 미래를 상상할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ecological university as a new idea of a university. Within higher education neoliberalism has been criticized for its undermining the essence of the university, causing epistemological imbalance, and failing to play a public role. The ecological university being discussed recentl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neoliberalism. The ecological university promotes university's interconnectedness with various ecosystems and contributes to their sustainability, well-being and improvement. It can restore the essence of the university through the enhancement of its correlation with the subjects and expand the epistemological sphere of the university from the holistic view. In addition, the ecological university could be considered a new idea of a university in that it takes into serious 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entities in its complex interconnection and accepts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processes in the world. The ecological universit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 in crisis. Firs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new idea of a university. Second, it contributes to the preservation and expansion of the epistemological sphere. Third, it strengths the aspect of the public good of the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