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특성 분석

        임슬아,김현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oject based learning, and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by observing project-based elementary school classes. Methods To this end, The AF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CLASS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emotional support,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anders area analysis, the Flanders Top 10 Index, and the CLASS analysis. In addition, Classes were classified by type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analysis of ‘emotional support,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language interac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First,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ratio of items 0 (other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tems 5 (lecture), items 9 (student-led remarks), and items 4 (teacher's questions). Second,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index in which teachers accept students' opinions or emotions and the index in which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asking and speaking were high. In addition, the index of teachers asking questions using students' remarks was also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index in which teachers criticize students or justify teachers' authority was low. Third,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flow of ‘teacher's lecture-nonverbal situation-teacher's lecture’ was high. Fourth,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emotional support’ are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area. However, the average for all three areas showed a moderate or higher level, and the deviation was not large, showing a similar tendency. Conclusions First,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that utilize directive remarks from teachers to induce student-led inquiry activities. Second,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that emphasizes the attitude of warm-hearted acceptance of students' opinions or emotions without advocating the authority of teachers. Third,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with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leading throughout the class. Fourth,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that mainly utilize teachers' questions as feedback on students' remarks. Fifth,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in which non-verbal situations such as student-led inquiry activities or waiting time for student to think account for a high percentage. Sixth, The flow of project based learning is at a very high rate of ‘teacher's lectures-nonverbal situations-teacher's lectures’. Seventh,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in which interactions through ‘emotional support,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appear positively. 목적 본 연구는 프로젝트 수업의 여러 특성 중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업을 관찰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 간의 언어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AF 분석과 교사와 학생 간의 ‘정서지원⋅학급조직⋅수업지원’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CLASS 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Flanders 영역별 분석, Flanders 10대 지수, CLASS 분석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언어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정서지원⋅학급조직⋅수업지원’ 상호작용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형별로 수업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프로젝트 수업은 제0항목(기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제5항목(강의), 제9항목(학생 주도의 발언), 제4항목(교사의 질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가 학생의 의견이나 감정을 수용하는 지수와 학생이 주도적으로 질문하고 발언하는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가 학생의 발언을 활용하여 질문하는 지수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교사가 학생을 비난하거나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지수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의 강의-비언어적 상황-교사의 강의’의 흐름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은 ‘정서지원’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학급조직’, ‘수업지원’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 영역의 평균이 모두 중간 이상의 수준을 보였고, 그 편차가 크지 않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첫째,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교사의 지시적 발언을 활용하는 수업이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학생의 의견이나 감정을 온정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수업이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은학생이 수업의 전반에 걸쳐 주도하는 비율이 높은 수업이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의 발언에 대해 피드백으로써 교사의 질문을주로 활용하는 수업이다. 다섯째,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이나 학생 사고 대기 시간과 같은 비언어적인 상황이 높은비율을 차지하는 수업이다. 여섯째, 프로젝트 수업의 진행 흐름은 ‘교사의 강의-비언어적 상황-교사의 강의’가 매우 높은 비율로나타난다. 일곱째, 프로젝트 수업은 ‘정서지원⋅학급조직⋅수업지원’을 통한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수업이다.

      • KCI등재

        체육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

        고정길(Jung-Kil K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여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실천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8명을 편의표집하여 3개 영역 13개 문항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18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높은 인지도와 관심도를 바탕으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대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들은 프로젝트 학습이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했다.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경험이 있는 체육교사는 39.4%에 불과했고, 창작적 요소가 강한 표현영역에 경험이 편중되어 있다고 나타났지만,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성과 강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실천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인식했다. 이를 위해 직무연수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서 체육교사의 체계적인 수업 계획 및 조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은 실생활과 연계한 학습자 중심의 체육수업 실현에 있어 필요한 학습법이다. 둘째,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은 체, 지, 덕의 균형 잡힌 전인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셋째, 체육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역량 강화를 통한 현장 실천 가능성 확대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project based learning,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which project based learning is applied.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98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and a total of 182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Firs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project based learning was necessar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high awareness and interest in project based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was recognized and expectations were high. Seco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project based learning had a large impact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ly 39.4% of PE teachers had experience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PE class, and although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wa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expression with strong creative elements, they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and strength of project learning. Thir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realization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sufficiently possible. For this purpose,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lan lessons and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pet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First, project based learning is a learning method necessary for realizing learn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linked to real life. Seco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lying project based learningcan realize a balanced holistic education of bod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Third,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the field should be expanded by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project based learning.

      • KCI등재

        프로젝트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최용훈,김지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whether the Project based Learning effectiveness by enhancing students’individu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is linked students’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compare and research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s’learning activities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project based learning, we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hich was selected four classes of 9th grade at a middle school with each class made up of 28-31 female students for 10 weeks. Before this experimental project, they had never had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 their class. After selecting four classes, Project-based Learning in which students carry out their projects was put into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traditional lecture method was put into the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we found how improved grades in English through the grades comparison including writing descriptive test and recognized the awarenes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Project based learning was tend to present to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English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lecture method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ce. This results mean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using Project-based Learning presented more expressive power and confidence by planning and analyzing capabilities.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개인 활동 및 팀 활동이 강화되어 영어 학습 향상을 이끌어내는지를 관찰하고 비교 분석하여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와 개선점을 제시하고자한다.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 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비교 연구하기 위해서 학급당 28명-31명으로 구성된 중학교 4개 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10주간 진행하였다. 실험 전에는 프로젝트 수업 경험이 전혀 없는 4개 학급을 선정한 뒤, 2개 학급은 학생활동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실시하는 실험 반으로 2개 학급은 학생들의 활동을 최소화한 전통적인 수업형태인 교사 위주의 강의 수업으로 진행하는 비교 반으로 나누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받는 실험반 학급은 교과 융합의 형태와 영어교과 단독 형태로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 적용 전과 후의 서술형 쓰기를 포함한 시험을 통해 영어 성적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비교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인식은 ‘모둠별 활동 상황 평가지’와 ‘프로젝트 수업 소감문’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쓰기를 포함한 실험 전 평가와 실험 후 평가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으로 수업한 집단과 강의 수업으로만 진행된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 및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개인 간의 협력활동이 팀 활동에 유효함을 경험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인식 변화 때문이며 이것으로 인해 쓰기에 대한 태도와 적극성도 높아졌으며 주제에 대한 계획과 분석 능력을 통한 결과 도출에 대한 표현 능력과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교회학교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PBL)을 활용한 성경교수 실행모형 연구

        함영주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젝트기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은 일반 교육의 영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기독교대안학교 진영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는 교육의 방법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교회교육의 영역에서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에 있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은 학습자가 팀원들과 협력하여 학습자 주도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 가는 교육의 방법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는 자기주도성, 창의성, 협동능력, 의사소통 역량 등 다양한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가 주어진 문제를 실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성경은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성경의 전체 내용과 흐름을 살펴보면 성경이 거대한 하나님의 구원의 프로젝트로 가득 차 있음을 알 수 있다. 압제 받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 땅에서 어떻게 출애굽 시킬 것인지, 약속의 땅 가나안을 어떻게 정복할 것인지, 무너진 예루살렘 성벽을 어떻게 재건할 것인지 등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등장한다. 성경에 나타난 프로젝트기반학습은 총 4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프로젝트를 계획하는데 성경본문 분석, 과제기간 선정, 교육목표 설정, 소그룹 구성, 업무 분장 등이 이루어진다. 2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자료수집 단계인데 관련자료 수집, 강의 및 세미나 수강, 현장방문 및 관련자 인터뷰 등이 이루어진다. 3단계는 프로젝트 수행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전략을 세우며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4단계는 프로젝트 발표 및 평가의 단계로 결과물을 제작하고 발표하며 평가하고 피드백을 받는 단계이다. 이러한 프로젝트 기반 교육은 학습자에게 이론과 실천이 조화되도록 도움을 주며 자신의 삶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프로젝트기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학습이 가능한 성경공부 교재를 개발해야 하고 성경교육 시간 및 장소에 대한 확보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수적이며 교육지도자의 교육철학을 제대로 형성시켜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우리는 21세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더 이상 암기중심의 문제풀이식 교회교육이 아닌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문제해결식 교회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이해와 성경교수모형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걸림돌을 제거하여 역동적인 신앙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oject-based learning model that can be used in church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is practic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area of ​​general education and is actively used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Unfortunately, in the area of ​​church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is rarely used. Project-based learning is a way of learning in which learners work with team members to solve a given problem. In project-based learning, students are encouraged to demonstrate a variety of competencies, including self-directedness, creativity,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he Bible does not explicitly mention project-based learning, but looking at the entire content and flow of the Bible shows that the Bible is filled with the great project of God's salvation. Various projects come up, including how to exodus the oppressed Israelites from Egypt, how to conquer Canaan, the Promised Land, and how to rebuild the walls of Jerusalem that have fallen.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Bible consists of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project is planned, the task period is selected, the educational target is set, the small group is formed, and the work division is performed. In the second phase, the project data collection phase consists of analyzing the Bible text, collecting related data, taking lectures and seminars, visiting the field, and interviewing stakeholders. In the third stage, the project is carried out to plan the project, formulate the strategy, and proceed with the project. The fourth stage is project presentation and evaluation. It is the stage of producing, presenting, evaluating and receiving feedback. This project-based learning helps learners to harmonize theory and practice and gives them the ability to solve real-world problems around their lives. However, in order for project-based learning to take pla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ible study textbook that can study the project and secure time and place for Bible education. Above all, teacher education to practice project-based learning is essential, and work to shape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leaders is necessary.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역할 - 효과적인 현대미술의 이해와 아이디어 전개를 위한 사례 연구

        김영길(Kim Young-G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본 연구는 프로젝트 접근 교수-학습 방법론의 적용을 통한 효과적인 현대미술의 이해와 아이디어 전개를 위해 수업사례 연구를 실행하고 분석함으로써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역할과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미술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갖는 중요성과 가치는 영국을 위시한 여러 유럽국가에서 여실히 증명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열린 교육의 영향으로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유아교육과 초등학교 위주의 적용사례와 연구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중ㆍ고등학교와 대학미술교육의 경우는 교과 교육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구체적인 연구사례는 미흡하다. 더욱이 현행 중ㆍ고등학교의 절대적 수업시수 부족은 심각한 중등 미술교육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시점에서 정상적인 수업진행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설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자는 미술 교과 교육적 측면에서 프로젝트 접근 교수-학습 방법론의 변용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시행하고자한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그 흐름과 내용을 정리 하고 문제해결 학습, 문제중심 학습과 자기조절학습에서 논의되는 담론들을 프로젝트 학습의 요소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미술 교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한다. 둘째, 타당한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동기유발의 교육학적 관점을 고찰하며 프로젝트의 주제설정, 참고 작가의 설정 방법론을 통해 효과적인 현대 미술의 해석과 아이디어 도출 방법론을 모색한다. 셋째, 프로젝트 접근 교수-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수업사례를 분석하고 검토해서 향후 중ㆍ고등학교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한계와 가능성을 전망 하고자 한다.   This study purposes to explore the potential capability of the Project-Based Learning(PBL) method evolving th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the Korean art education. It has been examined that by bring real-life context and technology to the curriculum through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students are encouraged to become independent workers, critical thinkers and lifelong learner. Project-based learning asks students to investigate issues and topics addressing realworld problems while integrating subjects across the curriculum. Therefore, Project-based learning is a method that fosters abstract and intellectual tasks to explore complex issues.<BR>  For the art education, the project approach refers to set a teaching strategies which enable teachers to guide students through in-depth studies of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and idea development. Both research and developments in art education could lead to instructional innovations designed to make classroom into a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more responsive to the varying learning needs and interests of individual students.<BR>  In these sense, this research concentrate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to establish the authentical theory of Project-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Korean art education, this study scrutiniz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roject method and analyzes the discourses generated from the Problem-Solving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methodology. Second, this research is trying to group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and idea development within the scope of Post-modern art based on setting up the project topic and reference artists. Lastly, This paper is analyzing the case study and examining the potential capability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the proper application on the secondary art education.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의 태도 변화

        김용석,김소형,한선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논문집 Vol.33 No.3

        As the teacher-centered education is transformed into learning-centered education, the active knowledge construction of learner becomes important. Along with this change, project-based learning is receiving attention.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to apply the results of research to pre-service teachers becaus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hile project-based learning progressed for one yea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less experience with project-based learning than group discussions, group activities. Also their perceptions was classified as five factors: ‘Instructional effects’, ‘Application and participant of project-based learning’, ‘Achievement’, ‘Diffusion of project-based learning’, ‘Student motivati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sponded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 that project-based learning could be motivated to students but they responded negative changes in perception that project-based learning could be distributed to school. They responded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 that teachers can show their achievements by project-based learning but they responded negative change in perception that teachers would be fun to apply project-based learning. Also, they responded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 that teachers and students were easy to apply or utilize project-based learning. 교육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학습자의 능동적 지식 구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와 함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예비 교사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의중·고등학교시절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경험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1년 동안 진행하여 그들의 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예비 수학교사들은 중·고등학교시절 그룹 토론과 모둠 활동보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그들의 태도에 대해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수업효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활용 및 참여’, ‘성취감’,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보급’, ‘학생의 동기 부여’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예비 수학교사들은 학생들의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보였으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보급에 대해서는부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의 성취감에 대한 태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으나 교사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라는 태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학생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하거나 수행하는 것은 쉬운 일이라는 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활용한 간호학개론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주은경(Eun Kyung Joo) 안전문화포럼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9

        본 연구는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간호학개론 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으며,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활용한 간호학개론 수업을 받기 전후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역량 있는 간호사의 자질이 요구되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간호실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문제해결능력 등 간호역량을 높일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을 간호학개론 수업에 적용한 후 역량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 소재 G대학교 간호학과 1학년 간호학개론 교과목 수강자 50명이었다. 본 연구는 사전조사, 프로젝트기반 간호학개론 수업 운영, 사후조사 순으로 진행되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9월~12월까지이었으며 G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202109-HR07-07)을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3.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능력은 수업 전 3.50±.72점에서 수업 후 3.88±.33점이었고, 비판적 사고성향은 수업 전 3.26±.63점에서 3.78±.45점이었다. 문제해결능력은 프로젝트기반 학습 후 증가하였고 이 중 문제인식(t=-3.055, p<0.005), 정보수집(t=-4.052, p<0.001), 분석능력(t=-4.238, p<0.001), 확산적사고(t=-3.824, p<0.001), 피드백 영역(t=-3.486, p<0.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프로젝트기반 학습 후 증가하였고 이 중 지적공정성(t=-1.330, p<0.005), 신중성(t=-4.623, p<0.001), 자신감 영역(t=-3.374, p<0.00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학개론 교과목에 적합한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하고 간호학개론 교과목에 적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이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에게 적용된 연구로 이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교과목에 적용하여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class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nursing students. Tthis is a single group pre and post experimental design study comparing differences i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before and after receiving an introductory nursing course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that require the qualifications of competent nurses, it is very important to confirm if there is a change in competency after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PBL), which can enhance nursing competency,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required in nursing practice, to the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0 first grade students who took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class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G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in the order of pre-investigation, project-based introductory nursing course operation, and post-investig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15, 2021,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G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202109-HR07-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pared t-test using SPSS WIN 23.0. As a result of the study, problem solving ability average 3.50±.72 points before learning and 3.88±.33 points after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verage 3.26±.63 points before learning and 3.78±.45 points after learning. Problem solving ability increased after learning than before project based learning, and among them, problem recognition (t=-3.055, p<0.005), information collection (t=-4.052, p<0.001), and analysis ability (t= -4.238, p<0.001), divergent thinking (t=-3.824, p<0.001), and feedback domain (t=-3.486, p<0.0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creased after project based learning, and among them, intellectual fairness (t=-1.330, p<0.005), prudence (t=-4.623, p<0.001), and self-confidence domain (t=-3.374, p<0.0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project based class suitable for the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class, and to confirm that the project based learning applied to the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class improved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ince this study was applied to one university nursing student,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peated studies to verify the learning effect by app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various sub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프로젝트학습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홍효정(Hong Hy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프로젝트학습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6주의 프로젝트학습을 적용한 교과목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전 비교집단과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문제해결력)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학습 경험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수업이 종료된 후 학기말에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몰입도를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실험진단과 비교집단에서 수집된 대학생 핵심역량 평균차이 분석,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 몰입도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젝트학습은 대학생 핵심역량 중 중재, 타문화 이해 및 수용능력, 의사소통역량, 종합적사고력, 학습몰입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프로젝트학습에서 종합적사고력과 의사소통 순으로 학습몰입에 영향으로 미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학습이 효과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roject based learning experience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a course that applied 5 weeks of project based learning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classes were conducted, and a preliminary test (problem solving ability) was conducted to secure homogeneity with the comparative group before class. In addition, in order to grasp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based learning experience, the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mitments of college students were diagnos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fter the project based learning class was comple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xperimental diagnosis and an analysis of the averag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collected from the comparative group,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learning commitm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project 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mediation,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capacity, communication capacity,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and learning commitment among the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in the order of project based learning,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had an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eaching-learning strategy was proposed to effectively expand project based learning.

      • KCI등재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 개발: 긍정탐색을 활용하여

        장경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appreciative inquiry(AI) based on positive question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proceeded in three stages. First, an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was developed for deriv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Second, using appreciative inquiry, instructors' positive experiences, ideal figur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were derived. Third, by integrating the collected data, a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was developed.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10 middle school teachers, and 10 university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Experts and instructors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The result of the study,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consists of 35 strategies in 7 areas. The seven areas are divided into four design areas (A. online space design, B. learning support design, C. project task design, D. assessment design and tool development) and three implementation areas (E. guidance and support, F. class management, G. facilitation). Among the 35 strategies, 11 strategies are strategies related to online space, and 24 strategies are strategies that require attention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roject based learning, which is a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paces. The developed strategy will provide practical guidance to instructors who want to implement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and help them feel confident. In addition, it will be meaningful resources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organizing and developing an online learning space. 이 연구는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긍정 질문이 중심인 긍정탐색을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 도출을 위한 긍정탐색 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긍정탐색 과정을 통해 교수자들의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긍정경험(사례), 바람직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의 모습,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전략들을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를 종합하여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주요 단계인 긍정탐색 과정에 초등교사 10명, 중등교사 10명, 대학교수 10명이 참여하여 자신들의 경험과 의견을 제시하였고, 의견을 토대로 개발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에 대해 교육공학 전문가들이 타당성을 평가하고 수정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인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은 7개 영역 35개 전략으로 구성된다. 7개 영역은 4개의 설계 영역(A. 온라인 공간 설계, B. 학습 지원 설계, C. 과제 설계, D. 평가 설계와 도구 개발)과 3개의 실행 영역(E. 안내와 지원, F. 수업 운영, G. 퍼실리테이션)이다. 35개의 전략 중 11개 전략은 온라인 공간과 직접 관련된 전략이고 그 외 24개 전략은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인 프로젝트기반학습 고유의 특성 및 온라인 공간이기 때문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전략이다. 연구 결과로 제시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은 교수자들의 긍정 사례와 아이디어를 토대로 개발된 것으로 교수자들에게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 학습공간을 구성하고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

        간진숙,권명순,이유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It was to confirm how project-based learning methods work on the learning goal achievement competency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and how the students perceive the learning experiences. Metho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literature review, class design, questionnaire development, survey, and learners' perception survey and result analysis in sequence for graduate students who took the “Nursing Education Methodology” class applied with the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normality test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in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the learning goal achievement capability of learn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survey of perceptions of learning experiences, 1) Participation class, understand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ew experiences, information technology acquisition, collaborating learning, and task solving within class hours were derived from the satisfaction factors of the experiences of health education classes. On the other hand, difficult lesson program and inhibition of team activity were derived from dissatisfaction factors. 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lanned to apply to the clinical field, self-directed learning model, new and in-service nurse education. 3) 7 self-images changed to new nursing educator were derived. 4). 6 kinds of necessary competence for professional nursing educator were derived. 5) 3 learning subjects and contents needed for strengthening effective field-based health education were derived. 6) A total 5 categories of competence improved by the learning class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nursing graduate student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s nurse educator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curriculum and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professionalism of nurses is also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follow-up studies on how nursing graduate students who have learned educational expertise apply it in the clinical fields and how it is effective will be conducted. 목적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을 적용한 「간호교육방법론」을 수강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수업 설계, 질문지 개발, 설문조사, PBL 운영 그리고 학습자들의 인식조사 및 결과 분석의 순서로 양적⋅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적 자료의 분석은 정규성검증과 대응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질적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목표 성취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①건강교육 수업 설계 경험의 만족 요인으로는 ‘참여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이해’, ‘새로운경험’, ‘정보 기술 습득’, ‘협동학습’, ‘수업 시간 내 과제 해결’로 도출되었다. 불만족 요인으로는 ‘어려운 수업 설계’, ‘팀활동 저해’였다. ②학습결과물 적용방안은 ‘임상 현장 적용’, ‘자기 주도적 학습모델에 적용’, ‘신규 및 재직 간호사 교육 적용’이었고, ③간호교육자로서 변화된 자신의 모습은 총 7개, ④본인이 생각하는 전문 간호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필요 역량은 총 6개, ⑤효율적인 현장 중심건강교육 강화를 위해 필요한 학습주제 및 내용은 총 3개, ⑥수업을 통해 향상된 역량은 총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은 간호대학원생이 간호교육자로서 전문성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호사의 교육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수립 및 교수⋅학습법 적용 능력의 중요성을 안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하여 교육적 전문지식과 기술의 습득, 태도를 겸비한 간호대학원생이 이를 임상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