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뮤지컬 관람객의 사전지식이 관람만족 및 구전의향에 미치는 영향 - 트랜스포테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원지영(Won, Jie Young),정창모(Jung, Chang Mo)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4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어느 때보다 상품에 관한 해박한 사전지식을 보유하게 되었다. 뮤지컬과 같은 서비스재는 무형성, 비분리성, 이질성 등으로 인해 사전지식 추구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공연예술 분야의 선행연구들은 관람객의 사전지식이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으나 최근에는 사전지식이 많은 경우 오히려 상품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사전지식이 어떤 조건에서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을 높이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뮤지컬사전지식이 관람만족을 매개로 구전의향을 높이는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매개경로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트랜스포테이션을 도입하여 트랜스포테이션 수준에 따라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이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스토리로의 몰입과 동일시를 설명하는 개념인 트랜스포테이션을 도입한 이유는 뮤지컬 구성요소로서 스토리의 중요성이 크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뮤지컬사전지식이 관람만족을 통해 구전의향에 영향을 주는 매개경로는 트랜스포테이션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전지식으로 무장한 관람객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질 높은 뮤지컬스토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최초로 실증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made consumers more knowledgeable about products than ever before. In this regard, experts have defined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as knowledge seekers and pointed out that they are proficient in acquiring and sharing product knowledge prior to purchase. For service goods such as musicals, product prior knowledge executes strong effect due to such characteristics as intangibility, inseparability,and heterogeneity. Prior studie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including musicals, have revealed that the prior knowledge of the aud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and WOM(word-of-mouth) intention. However, studies in the marketing field argue that consumers’ high prior knowledge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duct evaluation depending on conditions, as they are more likely to compare, review, and expect products more close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under what conditions the musical prior knowledge enhances audience satisfaction and WOM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 mediating effect model was established in which the musical prior knowledge enhances the WOM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audience satisfaction. Then, Transportation was introduced as a mediation variable a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level changed the audience satisfaction and WOM intention. The reas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struct reflect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the story is important component of music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sical prior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OM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audienc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port was also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prior knowledge and audience satisfaction. Lastly, through moderated-media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ransportat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that prior knowledge affects on the WOM intention through audienc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emonstrated that a musical story is fairly important to satisfy audiences with high prior knowledg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related filed in that it introduced the transportation construct for the first time, thereby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audiences in the era of smart consumers.

      • KCI등재

        Effects of Prior Topic Knowledge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on EFL Reading Comprehension of Two Types of Expository Text

        Jieun Kim,Byungmin Lee 한국응용언어학회 2020 응용 언어학 Vol.36 No.3

        Prior knowledge has been proven to be a very influential factor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s. Among diverse domains of expository texts, the significant role of prior knowledge in the L1 reading comprehension of science texts has been reported. To examine the role of prior topic knowledge in the L2 read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s, 77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 two types of expository texts: two science texts (i.e., chemistry and physics) and two non-science texts (i.e., music and history). We also measured the students’ prior topic knowledge, English profici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prior topic knowledge and English proficiency. According to our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both science topic knowledge (β = .48) and English proficiency (β = .43)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case of science texts. Additionally, science topic knowledge (β = .53) was a stronger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the situation model questions that intend for the higher level of comprehension than for the textbase questions that intend for the propositional level of comprehension (β = .36) when reading science texts. In the case of the non-science texts, music and history topic knowledge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because the readers had generally low prior topic knowledge.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non-science texts was dominantly explained by English proficiency. Interestingly, science topic knowled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non-science texts in the case of textbase questions, but not situation model questions.

      • KCI등재

        아동의 "부력 현상"에 대한 지식과 추론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이 연구는 부력현상에 대한 아동의 지식과 추론이 연령과 과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추론을 통해 아동의 사전지식이 사후지식으로 변화되는지 여부와, 사후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어린이집 세 곳과 초등학교 두 곳의 4, 6, 8세 아동 각 40명씩 총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해 ``무게과제``와 ``크기과제``를 수행하고 부력현상 사전지식, 추론과 사후지식을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서 평균, 표준편차, 반복측정 변량분석, 쌍체t검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처리되었다. 연구결과 아동의 부력현상 사전지식 수준은 연령에 따라 다르지 않았으나,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의 인지 수준이 더 높았다. 아동의 부력현상 추론과 사후지식 수준은 4세보다 6, 8세가 더 높았으며,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의 수행 수준이 더 높았다. 부력현상 사전지식은 실험을 통한 추론 과정을 거치면서 4, 6, 8세 모두 지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부력현상 사후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추론이었으며, 무게과제 추론보다 크기과제 추론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knowledge and reasoning skills about buoyancy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asks assigned; (2) to ascertain whether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transforms to post knowledge, that is to say, new knowledge, through reasoning skills; and (3) to discover what variables influence the children`s post knowledge. Subjects were 120 children divided into forty each from three groups of 4, 6 and 8 year-olds from three preschools and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s of Seoul and Kyoung-Ki province. Each child`s prior knowledge of buoyancy, reasoning skills and post knowledge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eir performance tasks involved ``weight`` and ``siz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means, standard deviations, repeated measures ANOVA,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to be noted in the results that follow that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of buoyancy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age groups although subjects` prior knowledge level of the ``weight`` task was higher than the ``size`` task. Children from age groups 6 and 8 demonstrated better reasoning skills and post knowledge of buoyancy compared to the 4 year old age group; and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weight`` task was higher than on the ``size`` task. Transformative changes in prior knowledge of buoyancy were observed among all the age groups as they engaged in the reasoning tasks of the experiments. In sum, for all the subjects, the variable responsible for post knowledge about buoyancy is reasoning skills; and the effect of ``size``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weight`` task reasoning.

      • KCI등재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지식 변화

        김은영,이순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knowledge of and reasoning about the free-fall phenomenon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asks, and (2)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changes to post knowledge through reasoning. Forty from each of three age groups-4-, 6-, and 8-year-olds, for a (total of 120 subjects)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three preschools and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s of Seoul and of Kyoung-Ki Province. Each child was to perform tasks dealing with weight and size. Under observation were each child's prior knowledge, reasoning and post knowledge of the free-fall phenomen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of the free-fall phenomen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the prior knowledge level of the size task was higher than for the weight task.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s and tasks. Second, 6-and 8-year ol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reasoning than did 4-year old childre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reasoning between the different tasks. Third, 6-and 8-year ol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the post knowledge than 4-year old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post knowledge according to different task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ior and the post knowledge. Through measuring the reasonings in the two task experiments, changes in the prior knowledge of the free-fall phenomenon were observed among all three age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prior and post knowledge was higher in the weight than in the size task. 이 연구는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지식이 연령과 과제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추론을 통해 아동의 사전지식이 사후지식으로 변화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거주 지역 어린이집 3 곳과 초등학교 2 곳에 다니는 4, 6, 8세 아동 각 40명씩 총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무게과제’와 ‘크기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낙하현상에 대한 사전지식, 추론과 사후지식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하현상에 대한 사전지식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크기과제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과 과제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추론은 4세보다 6, 8세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과제에 따른 추론 수행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4세보다 6, 8세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과제에 따른 사후지식의 차이는 없었다. 넷째, 추론 후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4, 6, 8세 모두 사전지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에서 낙하현상 사전지식과 사후지식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4, 6, 8세 아동이 낙하현상에 대한 초보적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실험 결과를 확인하고 해석하는 추론을 거치며 새로운 지식을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이호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3

        구성주의 관점에서 학습은 교사가 가르친 그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선행 개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의 인지 구조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들이 사용한 선행 개념이 올바른 개념인지, 그리고 새로운 지식 생성 과정에 잘못된 점이 없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과학 교사는 학생들이 선행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을 하게 되는 과정을 관찰하여, 선행 개념이나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새로운 지식의 오개념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초등 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드러나는 선행 개념과 오개념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3명의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4개월 동안 관찰 중심의 질적 연구 형태로 수행하였다.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STS 접근이 가능한 글쓰기 주제를 선정하여 120분 동안의 수업을 진행 하였다. 먼저 학생들과 교사가 글쓰기 주제에 관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거친 후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학생들은 글쓰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선행 개념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호흡과 순환>을 주제로 한 글쓰기에서 학생은 혈액과 조직 세포 사이의 기체 교환에 관한 선행 개념뿐만 아니라 폐포가 둥근 개념까지 연결지어 글을 구성하였다. 선행 개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기>를 주제로 한 글쓰기에서 전자 대신에 분자의 용어를, 원자핵 대신에 원자의 용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글쓰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은 교사가 그것의 생성 배경을 추측할 수 있게 하여 오개념 수정에 방향을 제시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따라서 글쓰기는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이 가능하며 다음 학습으로의 등기 유발이 자연스러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learning is not always achieved as educators teach. Learners make up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the prior knowledge they have, the one they obtained from experience before learning. This knowledge creation process isn't exposed externally as it is conducted within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Therefore, an educator has a difficulty in concluding whether the prior knowledge learners have is correct or not, and whether knowledgecreation process includes mistakes or not. That is why science teachers have to observe the process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by using their prior knowledge and understand whether the conception and new one are correct or not. According to these necessities, we investigated the prior knowledge and misconception exposed to wri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our months and three elementary pupils were tested. The subjects of writing which possibly induce interest for learners and are accessible from STS(Science-Technology-Society) concept, were chosen. The class was carried on for two hours. The educator and learners discussed the writing subjects before writing was conducted. The pupils conducted writing while making proper use of their prior knowledge to solve the given topics. In writing a composition on <respirationand circulation>, pupils linked with the topic the conception that alveoli are spherical and used the prior knowledge of the gas exchange between blood and cellular tissue, which showed that the prior knowledge are able to be observed much more concretely in writing than in the discussion before writing. We picked out the misconception the pupils had from the observation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use prior knowledge. As an example, we observed that they took a molecule and an atomic nucleus for anelectron and an atom, respectively in writing on <electricity>. That is, we found out that writing is very useful in a viewpoint that educators are able to infer what causes misconception observed in writing and to correct it. So writing makes courses focus learners' activities and it can also become a useful tool for motivation.

      • KCI등재

        사전지식과 뉴스 프레임이 공중의 태도와 소셜 미디어 의견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사드 이슈를 중심으로-

        김미경,이은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7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public attitude and social opinion participation of Thaad issue by the combination of prior knowledge(high/low) and news frame(positive /negative). This study set 2×2 factorial desig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news frame is more leadingly influenced to issue relevant involvement, one factor of public attitude than prior knowledge. The news consumers of low-prior knowledge and positive news frame showed high issue-relevant involvement. In the other factor of public attitude, value relevant involvement, prior knowledge level and news frame affect interactively. The value relevant involvement is high to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negative news frame. Politic relevant involvement is leadingly influenced by news frame.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positive framing news is strongly involved politically. Secondly, the consistency of attitude is affected leadingly by news frame.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positive framing news is expected to keep consistent attitude. Thirdly, in the social opinion participation behavior such as ‘like’, ‘post’ and ‘share’, only ‘post’ is leadingly influenced by prior knowledge and ‘like’ and ‘share’ is leadingly affected by news frame. 본 연구는 ‘사드’에 대한 지식의 고/저와 뉴스 프레임의 긍정/부정의 각 조합이 이슈에 대한 태도와 소셜 의견 참여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2 계승(factorial) 설계를 통해서 한 축은 메시지 프레임을 다른 축은 사전 지식의 정보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슈관여측면에서 사드에 대한 지식이 낮은 사람들은 뉴스 보도 논조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높은 이슈관여도를 보이고 있다. 연구결과 사전지식이 낮고 긍정적인 뉴스를 읽은 연구 참여자들의 이슈관여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가치관여에는 사전지식수준과 뉴스보도 논조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지식이 높고 부정적인 뉴스를 본 사람의 가치관여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정치관여는 사전지식 수준 보다는 뉴스 보도의 논조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사전 지식수준이 높고 긍정적인 뉴스를 읽은 연구 참여자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태도의 일관성에서는 뉴스 보도 논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전지식이 높고 긍정적인 뉴스를 접한 사람들이 태도를 일관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셋째, 소셜 의견 참여를 좋아요, 댓글달기, 공유하기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사전지식 수준에는 댓글달기가 영향을 받았으며, 좋아요와 공유하기는 뉴스 보도 논조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사전지식과 추론이 아동의 사후지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ior knowledge and reasoning about object movement phenomenon on children’s post knowledge formation. Forty 4-, 6- and 8- year-olds (a total of 12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three preschools and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iddle-class residential areas of Seoul and Kyoung-Ki province. Each child was asked to perform the tasks of “weight” and “size”. The child's prior knowledge, reasoning, and post knowledge of 3 object movement phenomena(buoyancy, free-fall, sloping) were observed. The influential variables for post knowledge of the three phenomena were both reasoning and prior knowledge. For the buoyancy phenomenon, the effect of the size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that of the weight task reasoning. For the free-fall phenomenon, the effect of the weight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followed by the size task reasoning and the size task prior knowledge. Whereas, for the sloping phenomenon, the effect of the size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followed by the weight task reasoning, and the size task prior knowledge. Thus, this study revealed that reasoning and prior knowledge about phenomena related to object movement affected the formation of post knowledge. 이 연구는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전지식과 추론이 사후지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거주지역 어린이집 3곳과 초등학교 2곳에 다니는 4, 6, 8세 아동 각 40명씩 총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물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침(浮沈)현상, 낙하현상, 경사면이동현상에서 두 물체의 크기는 같고 무게가 다른 ‘무게과제’와 두 물체의 무게는 같고 크기가 다른 ‘크기과제’를 이용하여 아동의 사전지식, 추론 및 사후지식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 형성은 추론과 사전지식의 영향을 받았다. 부침현상 사후지식은 크기과제 추론과 무게과제 추론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낙하현상 사후지식은 무게과제 추론, 크기과제 추론, 크기과제 사전지식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경사면이동현상 사후지식은 크기과제 추론, 무게과제 추론, 크기과제 사전지식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 연구는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전지식과 추론이 사후지식 형성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 KCI등재후보

        학습자의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강명희,김미영,김민정,박효진,구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학습과정 중 학습자 내면에서 진행되는 인지부하와 몰입이 사전지식의 학업성취도 예측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Y여고 2학년 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한국 근현대사 수업시간을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인지부하는 인지적 노력과 문제해결 시 발생오류를 하위 변인으로, 몰입은 집중, 흥미, 호기심을 하위변인으로 개념화하여 자기보고식 검사지로 측정되었고, 사전지식과 성취도는 해당 교사 2인이 출제한 객관식 문제로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었으며,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및 이의 하위 변인들이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지부하와 몰입이 사전지식과 학업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부하와 몰입 및 각각의 하위변인들에서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수업 설계와 운영에서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설계 전략의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며, 수업 운영 시에 인지부하를 감소시키고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운영전략이 도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flow, and achievement.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se variables could give meaningful influences to learning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4 from Y Girls' High School, and the study lasted five weeks beginning October to November in 2007. Prior knowledge, learning achievement, cognitive load and flow were measured by a set of questionnaires. The current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has proven that a correlation exists among all the variables, particularly with the problem solving time and learning achievement, which showed a high correlation. Prior knowledge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effort and achievement also show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Second, cognitive effort and the problem solving time,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cognitive load, and attention, interest, and curiosity, which are sub-variables of flow, are predicted by prior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rior knowledge is a variable predicting cognitive load and flow. Third, it has been proven that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and flow predict achievement, particularly, prior knowledge, which is the highest predicting variable of achievement. Fourth,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ognitive load and flow act as mediating variables between prior knowledge and achievemen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has been shown that all the variables have mediating effec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teaching strategies that can reduce the students' cognitive load and improving their prior knowledge. In addition, afte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cognitive load, an explicit solution should be suggested to raise the level of study achievement.

      • KCI등재

        가설 생성 과정에서 의문 상황과 관련된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

        이창협 ( Chang Hyup Lee ),이효녕 ( Hyo 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와 ``개념 인지 단계``의 적용이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중학생 68명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적 상황의 의문과 일상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이 같은지를 확인하고,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실험 집단은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하고 통제 집단은 지도하지 않은 후, 일상적 상황의 의문으로 이루어진 두 번째 검사지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의문에서 일상적 상황의 의문보다는 과학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잘 인지하였고,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인지하는 경우가 과학 개념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보다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는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한 실험 집단이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선행 학습된 지식의 인지에 어려움을 겪을 때는 관련된 개념들을 먼저 인지하는 학습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scientific concepts on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ing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on the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and prior knowledge. The subjects consisted of 68 middle schoolers. The firs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identify that the students` ability of recognizing prior knowledge in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is identical to in those on scientific context. and to explore how their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in question situations influences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s a second step,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concept recognition steps and the control group not taught them. Afterwards, the differences in the two groups` ability to recognize the concept and prior knowledge in the question situations were confirmed by the second inspection composed of the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The results of first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pre-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is recognized correctly in the questions on scientific context than on everyday context in most of questions and the students who can recognize a scientific concept identify more scientific prior knowledge than those who cannot recognize it. The results of second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recognizes more scientific concept and more accurately recognizes prior knowledge on the question situation. This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learning strategies that they learn relative concepts first when they are conflicted with their prior knowledge.

      • KCI등재후보

        비구조적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개인 지식창출활동의 분석

        고진경,강명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비구조적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개인 지식창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과제수행시기와 학습자특성, 그리고 과제유형에 따라 변화되는 각 지식창출활동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제 영역에 대한 지식수준이 다른 연구참여자들이 비구조적 형태의 협력 및 개별과제를 수행하는 30개의 사례를 선정하고, 과제수행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외적 활동의 관찰을 위해서 성찰저널, 인터뷰, 설문, 학습시스템의 게시판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질적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빈도자료로 변환하였다. 도출된 양적자료는 ANOVA, Mann-Whitey 검정,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0개 사례의 과제수행시기 간 지식창출활동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기의 활동 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4개의 지식창출활동 유형 간에는 유의한 빈도차가 나타났고, 그 중에서 의미화 및 지식창출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제수행시기와 지식창출활동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학습자의 지식수준에 따른 지식창출활동 분석결과, 초심자 집단이 전체 지식창출활용 빈도가 더 높았던 반면 경험자집단에서는 시기와 유형에 따른 빈도변화의 폭이 컸다. 마지막으로 과제유형에 따른 지식창출활동 분석 결과 협력과제를 수행할 때 학습자들에게서 보다 많은 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협력과제와 개별과제 모두에서 지식창출활동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phenomenon in activity-based learning environment by identifying specific activities composing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analyzing how they work differently according to participant' knowledge levels, the types of tasks, and time period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we as follows. When performing ill-structured task : Do the times, Participants' prior knowledge and the task typ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1) Do the tim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2) Do the times and participants'prior knowledge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3) Do the times and the task typ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questions, I selected 30 cases in which collaborative/independent tasks were performed by the participants with different levels of knowledge in educational technology, respectively. While they performed the tasks, I observed their insid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To observ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diverse kinds of data were collected, such as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surveys, and messages on the bulletin board in the learning system. They were converted to the frequency data according to category by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frequency data, the utilization for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eriods of tim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knowledge levels of participants and the periods of time. The Beginners Group showed a higher utilization in the sum of activity types.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Group recorded radical change in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laps of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in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ask type: the Collaborative Task showed higher utilization than Individual Task In both Task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between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