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체육교과 전담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이순천(Lee Soon-Cheon),이성노(Lee Seong-No),주대섭(Joo Dae-Sup) 한국체육과학회 200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resent situations and the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nd to analyze the management realities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o provide suggestions to fix and improve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for this research, and Questions were re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study of preceeding research data (Odujun, 1998 . Gimjungsaeng, 1999).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resulted from research data analysis. First, 12 elementary schools out of surveyed 15 schools have a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system, however, it is not fully activated in the elementary school because schools tend to take this system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lasses. Moreover, the working condition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is not good due to the heavy duty including supplementary classes besides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n selection standard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50.0% of them were selected by the decision of principal or vice headmaster of school. Second, for the reason of which physical education requires special teacher's expert knowledge and function, the teacher who has a special skilled ability must take the exclusive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to promote efficiency and to instruct students with an adequate guidance of physical education. Though many class teachers are in strongly need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for more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some of class teachers avoid this system because of harder instruction than other subject instruction. Third, the biggest problem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system is that School personnel administrations tend to arrange physical specialists without having serious consideration of their talent and ability and lack of expert knowledge on physical education shows up another problem. The priority matters to improve this system are building a gymnasium, supplementation of equipments and facilities. Appeared that 54.5%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n opinion about appointing a qualified middle-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to th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the training system and the device for demand and supply of th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established education systems are needed for which 1 teacher-1subject major and 1-subject minor subject of Art and Physical department and the research showed that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ust select new students by each subject for training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 KCI등재후보

        체육지도자 자격체계의 개선 방안 -자격 종류, 수준, 필기시험 과목 개선을 중심으로

        정덕조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which is the first priority improve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leader qualification framework, and the improvement of the written test curriculum for each Physical education leader qualification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five years. The biggest problem of the current qualification system for sports leaders is the types of qualifications, which are too subdivided into the qualifications system according to the field of instruction (elite athletes, sport for all), targets (for youth, for old people, for the disabled), and levels (levels 1 and 2).Is too much. Although the physical education leader certificate must have the expertise to perform job competency according to each qualification, it has not secured the connection of educational background and qualification standards and expertise in the major field. In this sense, it is more reasonable to simplify the qualifications framework to reduce confusion and economic costs, and to change the qualifications framework to meet the needs of society. In the current qualifications system, I would like to simplify the guidance subjects divided into Sports/Exe. Specialist for Elite Athletes and Sport for All Director's, and the subjects divided into Sports/Exe. Specialist for Youth, Sports/Exe. Specialist for Old People, Sports/Exe. Specialist for the disabled into one qualification name of “Sports/Exe. Specialist ”. According to the level, it is divided into 'Level 2 Sports/Exe. Specialist' and 'Level 1 Sports/Exe. Specialist' and simplifying the current Level 2 Sports/Exe. Specialist for Elite Athletes, Sports/Exe. Specialist for Youth, Sports/Exe. Specialist for Old People, and Sports/Exe. Specialist for the disabled into 'Level 2 Sports/Exe. Specialist' I think it's realistic. If this is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thod of granting each professional(special) qualification after acquiring the 'Level 2 Sports/Exe. Specialist' and passing the youth’s physical education, the elderly physical education, and the special(disabled) physical education. With a Level 1 Sports/Exe. Specialist on top of a Level 2 Sports/Exe. Specialist, they have a very simple qualification system that can guide all subjects (Sports/Exe. Specialist for Elite Athletes, Sport for All Director's, Sports/Exe. Specialist for Youth, Sports/Exe. Specialist for Old People, Sports/Exe. Specialist for the disabled ) to meet their job-oriented expertise. Changes to the written exam curriculum are needed to reinforce social needs and job competencies.' Level 2 Sports/Exe. Specialist' designates 'exercise physiology', 'sports psychology' and 'exercise mechanics' as mandatory subjects in the system which selects five subjects from the seven subjects that are currently in operation. It is advisable to change the total of 5 courses (mandatory: 3 courses, optional: 2 courses) into a written test course by selecting 2 courses from 'Sports Sociology', 'Sports Education,' and 'Physical Measurement Evaluation'. The Level 1 Sports/Exe. Specialist include 'disability sports theor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ports injuries', 'physical evaluation and competition analysis', 'sports psychology analysis', 'training theory', I think it is desirable to have 'training theory' and to choose one subject from the remaining subjects. 5년 동안 시행되어온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인 자격체계와 이에 따른 체육지도자 자격별 필기시험 교과목의 개선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행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도 분야(전문체육, 생활체육)와 지도 대상(유소년, 노인, 장애인), 수준(1급, 2급)에 따라 자격체계를 너무 세분화함에 따라 자격의 종류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체육지도자 자격증은 각각의 자격에 따라 직무역량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성을 반드시 갖추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력과 자격기준의 연계성, 전공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이럴 바에는 자격체계를 단순화하여 혼란과 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사회의 요구에 맞는 자격체계로 변경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현재의 자격체계에서 전문스포츠지도사와 생활스포츠지도사로 나누어진 지도 분야, 유소년/노인/장애인스포츠지도사로 나누어진 지도 대상도 통합하여 ‘스포츠지도사’라는 하나의 자격명칭으로 단순화했으면 한다. 수준에 따라 ‘2급 스포츠지도사’와 ‘1급 스포츠지도사’로 구분하고 현행 2급 전문/생활스포츠지도사, 유소년스포츠지도사, 노인스포츠지도사, 장애인스포츠지도사를 ‘2급 스포츠지도사’로 단순화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방안이 어렵다면, ‘2급 스포츠지도사’를 취득한 후 유아체육론, 노인체육론, 특수(장애인)체육론 추가 합격 시 각각의 전문자격을 부여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2급 스포츠지도사’ 위에 ‘1급 스포츠지도사’를 두고 이들은 모든 대상(전문체육, 생활체육, 유소년, 노인, 장애인)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단순한 자격체계가 직무중심의 전문성에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적 요구와 직무역량을 강화를 위한 필기시험 교과목의 변경이 필요하다. ‘2급 스포츠지도사’는 현행 시행되고 있는 7개 과목에서 5개 과목을 선택하는 제도에서 ‘운동생리학’, ‘스포츠심리학’, ‘운동역학’은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한국체육사’, ‘스포츠사회학’, ‘스포츠교육학’, ‘체육측정평가’ 중에서 2과목을 선택하도록 하여 총 5과목(필수: 3과목, 선택: 2과목)을 필기시험 교과목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1급 스포츠지도사’는 ‘장애인스포츠론’, ‘운동상해 예방 및 처치’, ‘체육측정평가 및 경기분석’, ‘스포츠심리분석’, ‘트레이닝론’ 과목 중에서 ‘운동상해 예방 및 처치’, ‘트레이닝론’을 필수로 하고 나머지 과목에서 1개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초등체육 교과전담제 운영의 실태 및 개선 방안

        이승배(SeungBaeLee),서장원(JangWonSeo)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4

        초등체육 교과전담제는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질적 제고 및 담임교사들의 수업 시수 경감을 목적으로 운영되고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체육 교과전담제는 운영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초등체육 교과전담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러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별 심층면담, 주제별 집단면담,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례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각도 접근법, 구성원간 검토,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체육 교과전담제는 운영의 목적, 전담교사의 자격, 전담교사를 하는 이유, 교육 내용, 교수 방법에서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개선 방안으로는 교사 차원에서 초등체육 교과전담교원 양성 체제의 변화, 교사의 재교육, 자격증 부여를 제안한다. 학교 차원에서는 합목적성을 고려한 운영 및 배치, 체육수업 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을 제안한다. 행정 차원에서는 초등체육 교과전담제의 법제화, 인센티브 제도의 강화, 복지제도의 개선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oblematic inconsistences and propose practical and tangiable plans which are able to improve the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gener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group discussion, professional meetings. For collected data, the study analyzed them through case record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and analyzed data undergone triangulation, auditing, and examination by constituents to secure credibility of dat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onfusion between the aims of operation and the real world, the problem of specialist` qualification, the problematic cause of application for specialist, the limitation of technique-centered subject matter contents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 physical a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points, it is required to change specialist system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to strengthen in-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to grant physical specialist license. In addition, it should be conducted to operate specialist system uprightly and allocat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properly, and to support the budget for making ideal environment of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Finally, it is required to legislate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of physical education and to intensify incentive system for taking root it, and to improve welfare system.

      • KCI등재

        전담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박재정(Jae Jeong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 이전 담임교사의 수업과 비교하여 가장 큰 차이점으로 인식하는 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03학년도 전담교사가 수업 반성의 한 방법으로 자신의 수업을 받은 5·6학년 25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기술하게 한 개방형 질문지 중 `체육전담 교사와의 수업이 이전 담임교사와의 수업과 비교해서 가장 차이나는 점은 무엇인가?`라는 항목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응답을 하지 않았거나(10매) 질문에 대한 답으로 보기 어려운 응답(8매)을 제외한 총 267매의 원 자료를 귀납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의 인식은 동일한 내용과 의미의 34개 소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다시 10개의 중영역으로 분석하여 「수업내용의 다양성, 교수방법의 전문성, 수업운영의 계획성, 수업운영의 동일성」 이라는 4개의 대영역으로 해석하여 범주화 하였다. 수업내용의 다양성 범주는 78명(29%)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으로 「다양한 수업내용(18명), 차별화 된 수업내용(35명), 도움이 되는 수업내용(16명), 수업내용의 흥미감소(9명)」 라는 중영역을 바탕으로 한다. 교수방법의 전문성 범주는 76명(29%)의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인식으로 구체적으로 「전문화 된 지도방법(46명), 차별화 된 교수방법(30명), 이라는 중영역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수업운영의 계획성 범주는 88명(33%)의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인식으로 「체계적인 수업운영(30명), 차별화 된 수업운영(23명), 수업운영의 정상화(35명)」라는 중영역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수업에서의 차이점을 찾고자 하는 연구였으나 분석의 결과 `차이 없다`, `비슷하다` 라는 인식이 분류되어 수업운영의 동일성이라는 범주도 생성되었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nfirm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provided b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nd by classroom teachers and look into the reality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ry to search for the means to normalize the current situ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5 students in 6th grade of four classes and 160 students in 5th grade of five classes at B Elementary School in Gyeong-nam Province in 2003, who receiv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from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s a method of this study, the concerned item data among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at requested them to write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physical education provided by th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nd by the classroom teacher was analyzed. In the analyzing process, peer debriefing and specialist debriefing were undergone in order to exclude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as much as possible. My three colleagues and I read the original data for data analysis, and thus we selected 18 answer sheets to be excluded The remaining answer sheets(267) were classified into a primary small category by gathering the same content and meaning through inputting into computer, and printed out. They were classified into medium category through consultation process with three majoring sport pedagogy. In this process, the items on which agreement was not made came to an agreement through several occasions of opinion exchanges. The large category was classified through the same classification method from small to medium category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perception of students was categorized into 10 medium categories by analyzing 34 small categories and again they were interpreted into 4 large categories, such as diversity of class content, expertise of teaching method, planning of class op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class operation.

      • KCI등재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한부여의 역할

        이안수(An Su Lee),김성훈(Sung Hoon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체육수업에서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체육수업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8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총 253명(남: 130, 여: 123)으로 구성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AMOS 17.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전담교사가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동기와 과정을 중시하는 리더십을 발휘하면 학생들이 서로 돕고 협동할 수 있는 힘과 체육수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전담교사가 학생들의 수행 결과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제공해 주는 리더십을 발휘하면 학생들이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힘을 높인다면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등 체육전담교사는 이러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먼저 교사와 학생 간에 신뢰 쌓기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특정한 리더십을 추구하기 보다는 수업 상황에 적절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학생 스스로 학습을 조절할 수 있는 권한과 내부의 힘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eachers` leadership, students` empowerment, and class satisfac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53(male:130, female:123)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urvey. Instruments were composed of readership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students` empowerment(intrapersonal, interpersonal, socio-political),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4.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by using AMOS 17.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SEM was analyzed using measurement model and path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ransformational readership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empower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Transactional readership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ocio-political empowerment. Also, intrapersonal empowerment of students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 KCI등재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나주영(Na Ju Young),고문수(Ko Moon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자의 기억자료 및 자기 성찰 내용, 교사의 체육수업일지, 학생들의 체육일기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터뷰, 전문가 협의, 동료 간 협의 등을 활용하였다. 첫째, ‘나’ 자신이 체육수업 전부터 겪었던 딜레마에서는 초등학교의 독특한 교직문화, 체육 또는 수업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현실의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 ‘나’ 자신의 체육수업 운영에서 겪는 딜레마는 체육 환경의 어려움과 체육수업을 운영하는 여교사로서의 정체성 인식의 혼돈이 표출되었다. 셋째, 수업 운영을 통한 ‘나’의 성장은 교과 전문가로 거듭나기, 학생과의 소통에 관한 중요성 인식 그리고 학생의 체육수업에 관한 긍정적 태도의 형성 등이 도출되었다. 넷째, ‘나’ 자신의 체육수업에 관한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올바른 체육수업에 대한 가치관이 형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sing an autoethnography of a female teacher, to explore the alternativ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lesson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teacher s journals and students physical education journals, and students interviews.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used on the collected data. Interviews, specialist meeting,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to secure trustworthi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contains different sorts of dilemma which ‘I’, myself, already have experienced before the start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there were dilemmas which occurred while managing classes, troublesome conditions for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identity confusion between a female classroom teacher and a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hird, I had grown up during the research not only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 between a femal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nd students, but also by providing quality lessons for students’ positive changes during quality lessons. Fourth, autoethnography helped me to form self-efficacy and beliefs o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동성 ( Dong Sung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이 글은 초등학교 한 체육전답교사의 개인적인 교수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이야기 함으로써 초등학교의 체육교육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대안적인 관점과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과 교과내용 그리고 물리적인 시공간적 맥락에 대처하면서 형성된 반성적인 체험을 분석하고, 그러한 교수경험에서 비롯 된학교 체육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선의 교수경험을 통하여 학생관에 대한 변화와 그 중요성을 자각하게 되었다. 변화된 학생관은 학생들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였으며, 교수적인 유연함과 여유를 제공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교과내용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체육수엽을 둘러싼 여러 수업맥락에 대처하는 실천적인 지혜를 형성하였다. 셋째, 체육수엽의 물리적인 시공간은 암묵적으로 체육수엽을 제한하였다. 그리고 운동장의 개방성은 체육전답교사의 헌신과 사명감을 형성하는 외부요인이었다. 그러나 연구자는 점차적으로 타자들의 시선보다는 내면의 눈을 의식하는 교사로 성장하였다. 넷째, 체육수업은 선체적인 활동에서 비롯되었지만 동시에 인지적 활동과 정의적 활동이 수반되는 전인적인 교육활동이었다. 따라서 초등학교의 체육전답교사는 건강 체력을 증진 키시고 운동기능을 전수하는 기술자가 아니라, 자선의 지식과 정체성 그리고 의식을 투영하여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촉진하는 교육적 존재로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scrutiniz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and approach to understand and improve FE of schooling through an autoethnography, which describes personal teaching experiences of a FE specialist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terpretatively analyzes reflective teaching experiences of a FE specialist who teaches in lesson contexts such as students, subject matters, and spatial-temporal contexts.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eacher-researcher realized the importance of viewpoint on students, and the change of that in his lessons. A new viewpoint on students developed students` potential competence, and provided flexibility and complacency for a FE specialist. Second, a teacher-researcher constructed not only knowledge base for subject matter, but also practical wisdom according to multi-layered lesson contexts. Third, the spatial-temporal contexts tacitly limited the teacher-researcher`s physical lessons. Also, the openness of playground was an external element in commitment and mission of the FE specialist. But the teacher-researcher gradually became a professional FE specialist as a self-imposed practitioner. Fourth, FE was not only physical activities, but also cognitive and affective activities to raise the whole man. Therefore, the FE specialist was not a technician to transmit exercise skill, and to improve students` physical strength but an educational facilitator who is devoted to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rough his knowledge, identity, and consciousness.

      • KCI등재

        스포츠교육학 :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교수전략 탐색

        고문수(GoMunSu),이재용(LeeJaeYong)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iv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ree elementary teachers. They majored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before employment as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Interview,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the thre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Glaser & Strauss, 1967)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In teaching styles, the elementary teachers tended to follow the teaching format of explaining tasks first, providing teacher or student demonstrations, and having their students practice motor skills lastly. They were flexible in implementing their ideas of teach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tried to accommodate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or skill levels. They made attempts to reduce unnecessary waiting time of students and to increase ALT-PE. They endeavored to maximiz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the joy of physical activities. In task presentations of their area of expertise, they were confident in providing specific learning cues and accurate demonstrations. In contrast, they were limited in presenting learning cues and demonstrations of their area of non-expertise.

      • KCI등재

        체육분야 국가자격증의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Ⅱ) : 보건의료분야에서 건강운동관리사의 효율적 활용방안

        이재구(LeeJae-koo),이용수(LeeYong-soo),김훈(KimHoonDaegu),김경한(KimKyung-han),고광욱(KohKwang-wook),윤성진(YoonSung-jin),남상남(NamSang-nam),차광석(ChaKwang-suk)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5

        본 연구는 건강운동관리사의 국가자격제도의 활성화를 제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건강운동관리사가 보건의료분야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총 131명(남자 110명, 여자 21)이었으며, 건강운동관리사 41명, 의사 90명을 임의선정법에 의거 표집 하였다. 건강운동관리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별도로 제작된 설문지를 통해 체육분야 국가자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조사하였으며, 건강운동관리사 중 10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의료 영역에서 건강운동관리사가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현장 기준의 검정 및 보수교육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며, 안정적인 직업 활동이 가능하도록 국민체육진흥법, 체육시설 설치·이용에 관한법률, 국민건강증진법 등의 관계 법령과 제도가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아울러 건강운동관리사의 대국민 인지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한 장기적인 홍보계획 수립이 시급히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reference for enhancement of policy effectiveness which the exercise specialist as physical education directors has to work in fields of public health care. 131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men 110 and women 21). Also they were 41 exercise specialist and 90 physicia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10 exercise specialist. The contents of question were current problem and futur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dire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enhancement of policy effectiveness in fields of public health care, this certification must meet the qualifying examination system based on the assessment criteria of health care field an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nd also first priority is legal improvement related in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nd health promotion preferentially.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for long-term public relations planning to improve awareness provision and reliability in this certifi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참여태도

        이종형 ( Jong Hyoung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3

        이 연구는 체육전담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참여태도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SPSS Ver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² 검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및 교사의 설명과 시범에 대한 학습자 참여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남녀 간에 있어서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만족도에 대한 학습자 참여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남녀 간에서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높게 응답하였다. 셋째, 교사의 설명과 시범에 대한 집중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남녀 간에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높게 응답하였다. 넷째, 가장 선호하는 활동영역은 게임활동으로 응답하였으며, 남녀 간에 있어서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activating the curricula of physic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by analyzing students` participating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class b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 survey of 377 primary students was conducted and x2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SPSS ver 10.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warming-up, cooling-down, and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on the whole. To be specific, boys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attitude compared with girls. Second,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in general towards their pre-class readiness, their activities during clas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s of achievement after class. Specifically, boys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attitude compared with girls. Third, students showed an overall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teacher`s demonstration. To be specific, boys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attitude compared with girls. Last, students answered that their favorite activity was playing games by and large. Specifically, boys revealed a higher level compared with gir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