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불교의 궁극적 행복과 이상적 인간― 인간의 완전성 개념을 중심으로

        조준호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2 No.-

        This paper is a discussion about the highest happiness and ideal man in the early Buddhism. Buddhist theory of grade happiness discussed the direction of ultimate happiness in my previous work. Likewise, the process of ultimate happiness is also said to be happiness. In other words, stages of meditation appear as grade happiness. The highest point of happiness is to be called 'parama sukha' or 'nibbāna sukha' in the early Buddhist texts. nibbāna/nirvāṇa is the perfect happiness to no longer pursue. In the early Buddhism, concept of ultimate happiness and ideal man is based on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The Buddhist concept of grade happiness has a final purpose in the perfectibility.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of many places, "Nirvāṇa is the highest happiness(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is mentioned. Here 'parama' is meaning of the ultimate. Therefore, the highest happiness and the ultimate happiness of Nirvāṇa immediately mean perfect happiness. More precisely, the word 'ekanta sukha' as perfect happiness is used directly. The concept of arahat is to be implemented perfect happiness in the early Buddhism. The incompleteness of nirvāṇa and arahat is not suggested, as was attempted in the late phases of Buddhism. The arahat who achieved nirvāṇa, was declared to himself and to others. His happiness is that a constant and unconditional without any shaking. In the early Buddhism,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lies in the very existence of nirvāṇa and arahat. Because of this, arahat is also expressed as the foremost human being(seṭṭha purisa) and the excellent human. It is also why arahat is called 'uttama purisa' and 'uttari manussā'. Furthermore, the stage of arahat is represented by agga (the topmost), anuttara(the highest), and parama(ultimate). The perfectibility of arahat is also known as a perfect man and righteous man(sappurisa). In conclusion, the Buddhist ideal of a perfect man is the arahat, the very beginning of Buddhism clearly emphasizes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by the concept of nirvāṇa and arahat. Therefore, the final goal of Buddhism is to become a perfect happiness and a person who has achieved such perfect happiness. Thus, this paper argues in the early Buddhism that arahat has the concept the perfectibility in various aspects. 불교 행복론의 위계는 궁극적 행복에 방향이 있음을 논자의 선행연구에서 논의하였다. 마찬가지로 궁극적 행복에 이르는 과정도 행복이라 함을 밝혔다. 선정단계가 행복등급 또는 행복위계로 나타난다. 불교 행복론에서 위계의 정점은 ‘최상락(最上樂 : parama sukha)이라는 ‘열반락(涅槃樂: nibbāna sukha)’으로 표현된다. 열반은 더 이상 추구할 바가 없는 완전한 경지이다. 할 일을 모두 마친 일없는 궁극의 지점인 것이다. 이렇듯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궁극의 행복과 이상적 인간은 여러 측면에서 완전성 개념에 바탕을 두었다. 불교 행복위계 또는 불교 행복등급은 완전성에 최종 목적이 있다. 초기불교경전의 여러 곳에서 “열반이 최상의 행복이다(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라고 한다. 여기서 parama는 궁극을 의미하는 말로서 열반의 궁극성을 보여준다. 이 같은 최상의 행복과 궁극의 행복은 곧바로 완전한 행복을 의미한다. 더 분명하게 완전한 행복(ekanta sukha)이라는 말이 직접적으로 사용된다. 초기불교에서 완전한 행복을 성취한 존재는 아라한이다. 그렇기에 아라한은 ‘완전한 인간존재’인 것이다. 후대불교에서 시도했던 것처럼 열반과 아라한의 불완전성이 시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열반성취의 아라한 선언은 어떠한 흔들림도 없이 지속적이며 조건성을 떠난 행복임이 자타에 천명되었다. 이처럼 초기경전에서 완전성은 바로 열반의 경지와 아라한이라는 존재에 있다. 이 때문에 아라한은 최존의 인간(seṭṭha purisa)과 최고의 인간으로도 표현된다. 또한 아라한을 uttama purisa, uttari manussā 등으로 불리는 이유이기도 한다. 더 나아가 아라한 경지는 최고정점을 의미하는 agga(頂點), anuttara(無上), parama(최상) 등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아라한의 완전성은 참된 존재로서 진인(眞人: sappurisa)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완전성은 환멸(還滅)의 완성에 도달하여 성취된다. 즉 ‘욕망을 남김없이 지멸(asesa virāganirodhā)’한 것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열반의 완전성은 욕망 지멸의 완전성을 의미한다. 번뇌와 욕망의 남김 없는[無餘 : asesa] 무여열반이 종극(終極 : parāyaṇa)이라 적시된다. 이러한 완전한 욕망지멸을 깨달은 아라한의 증지(證智 : aññā)는 또한 완전지(完全智)나 구경지(究竟智)의 성취자로서도 표현된다. 반열반(parinibbāna)의 pari의 수식어에서도 완전성은 담겨있지만 무학자(無學者 : asekha)라는 아라한의 별명에서도 또한 완전성이 나타나있다. 이외에도 아라한의 별칭인 kevalin도 완전자 개념이다. 이와 같이 본고는 초기경전에서 아라한이 완전성 개념에 놓여있음을 다양한 측면에서 논증하고 있다.

      • AHCISCOPUSKCI등재

        The Korean Dilemma : Assuming Perfectibility but Recognizing Moral Frailty

        DON BAKER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Acta Koreana Vol.22 No.2

        For centuries a question at the core of Korea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inking has been how to reconcile the recognition of moral frailty with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have the ability to become morally perfect. One Buddhist solution has been to call for the gradual replacement of preenlightenment habits with moral habits after becoming enlightened to one’s own Buddha nature. Confucians have instead focused on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nate moral tendencies and equally innate selfish emotions. Christians offered another solution to this conundrum: dropping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on their own can achieve moral perfection and instead focusing on relying to God’s help to overcome moral frailty. Indigenous new religions have proposed yet another solution: waiting for the unfavorable conditions that prevail in the world today to change so that it will be easier to act the way we know we should act. None of these proposed solutions satisfy everyone. As a result, Koreans continue their search for a way to explain, and overcome, moral failure while maintaining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do so.

      • KCI등재

        The Korean Dilemma: Assuming Perfectibility but Recognizing Moral Frailty

        돈 베이커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Acta Koreana Vol.22 No.2

        For centuries a question at the core of Korea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inking has been how to reconcile the recognition of moral frailty with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have the ability to become morally perfect. One Buddhist solution has been to call for the gradual replacement of preenlightenment habits with moral habits after becoming enlightened to one’s own Buddha nature. Confucians have instead focused on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nate moral tendencies and equally innate selfish emotions. Christians offered another solution to this conundrum: dropping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on their own can achieve moral perfection and instead focusing on relying to God’s help to overcome moral frailty. Indigenous new religions have proposed yet another solution: waiting for the unfavorable conditions that prevail in the world today to change so that it will be easier to act the way we know we should act. None of these proposed solutions satisfy everyone. As a result, Koreans continue their search for a way to explain, and overcome, moral failure while maintaining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do so.

      • KCI등재

        스탈 부인의 ‘번역론’에 대한 일고찰: 『비블리오테카 이탈리아나』에 발표된 두 편의 기사문을 중심으로

        이순희 한국비교문학회 2020 比較文學 Vol.0 No.80

        In this study, we retraced Madame de Staël’s reflection on translation through two articles published in January and June 1816, and we focused on the author’s thought on the way of translation and its usefulness. In these articles, Madame de Staël takes a sad look at the deplorable situation of Italian literature and to remedy it she suggests that Italians study English and German literature, then translate them. Admittedly, these are articles aimed at Italians, but there is also Madame de Staël’s general reflection on translation, an intermediary between foreign and national literature. However, these are not purely theoretical writings. It is also a recommendation full of affection to the Italians in order to encourage them to open up to foreign cultures. In examining these articles which are both a warning to the danger of neo-classicism and an incentive to open up to European influences, we proposed to study: what is the author’s thinking on translation as a mediator of transnational cultures; how translation can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literature and society. In this journey, we have seen that for Madame de Staël translation is a privileged act of transnational exchanges and that her cosmopolitanism consists in targeting transnational exchanges and at the same time re-establishing the cultural identity of each nation. We have also observed that translation can produce an organic movement in an individual and then in a community. The emotion that a translation can produce affects an individual and then an entire community; it creates the mechanism of progress capable of transforming a nation. Thus the dynamism of translation is part of the system of perfectibility. 본 논문은 1816년 1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이탈리아 비블리오테카』에 발표된 스탈 부인의 기사문을 중심으로 번역의 ‘방법’과 ‘유용성’에 대한 작가의 성찰을 되짚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해당 기사문에서 스탈 부인은 이탈리아 문학계의 정체되어 있는 상황에 유감스러운 시선을 던지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국문학, 특히 영국과 독일문학을 연구, 번역할 것을 제안한다. 이탈리아인들을 특정 독자로 상정하고 작성된 것이기는 하지만, 이 기사문에는 스탈 부인이 그 동안 사유와 실천의 대상으로 삼았던 외국문학과 자국문학 간의 관계, 이 둘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는 번역에 대한 일반적인 성찰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러나 스탈 부인의 기사문은 번역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한 글로만 이해되지는 않는다. 이탈리아인들의 인식에 자극을 주기 위해 준비된, 번역을 통해 새로워진 문학과 자유를 구가하는 이탈리아의 미래를 위한 애정 어린 권고의 글이기도 하다. 특별한 정황 속에서 이탈리아라는 특정 민족을 위해 준비된 글이기는 하지만 이두 편의 기사문에는 국가 혹은 민족 간의 지적 교류의 매개체로서의 번역에 대한 작가의 사유 전반이 집약되어 있다. 스탈 부인에 따르면, 원문의 독창적인 의미, 그 어조와 힘을 파악하여 자국어 안에 재현해내는 번역, 또 이러한 번역을바탕으로 타민족의 풍요함을 자국문학의 새로운 자양분으로 삼는 동시에 자국문학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일은 자국문학의 발전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작가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문학의 진보는 사회의 차원으로, 또 각 국가의 진보는 세계의 차원으로 확장된다. 그녀에게 있어서 번역은 이처럼 국가 간 사상의 교류를 구현하는 특별한 하나의 행위이자 세계주의의 이상을 실현하는 하나의 매개체로써 ‘완전가능성’의 체계 안에 새겨져 있다.

      • KCI우수등재

        Passions, Ideas, and Perfectibility in Rousseau’s Thought

        Benjamin Thompson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3

        본 논문은 루소의 사상에서의 아이디어(개념)와 열정에 대해 다룬다. 본 논문은 인간의 아이디어 (개념), 열정, 이성 사이의 상호작용에 근거해 인간 발달을 설명하고 있는 루소의『인간 불평등 기원론』에서 보여지는 루소의‘퍼펙티빌리티’이론에 대해 고찰하며, 이 이론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인간의 아이디어 (개념)와 감정 사이에 대한 심오하고 직접적인 연관성은 설명해주지 않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이 연관성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열정의 많은 부분이 그 기초가 되며, 인간의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와 관련한다. 본 논문은, 루소가 아이디어 와 감정을 근본적으로 동일하게 여김으로써‘퍼펙티빌리티’를 설명하게 됨을 증명하고자 한다. 루소의『에밀』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설명은, 그의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연구 내용 몇몇에 그 논거를 두고 있다. 그가 연구 내용에서 주장하는 논거에는, 사보아 사제의 위험한 amour propre를 최소화하고, 도덕적 행위자가 되도록 하는 사보아 사제의 질서에 대한 사랑이 있다. 아이디어와 열정을 동일하게 여기는 것은『사회계약론』을 해석함에 있어 특히나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아이디어와 열정을 동일하게 여기는 것이 루소의 정치적 논법의 기본 논리라는 것을 인지시켜주며, 이는, 또한, 질서 있는 사회에서 반드시 존재해야 할 사적 아이디어와 열정 뿐 아니라 공적인 아이디어와 열정에 대한 그의 이해도에 기초한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concerns the role of ideas and passions in Rousseau’s thinking. It considers Rousseau’s theory of perfectibility as found in The Discourse on the Origins of Inequality, which is an explanation of human development on the basi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 ideas, passions, and reasoning, and finds that this relies upon but does not explain a deep and immediate connection between man’s ideas and his feelings. This connection lies behind many of man’s most important passions and concerns his most crucial ideas. This article finds that Rousseau came to explain perfectibility by virtue of a fundamental unity between ideas and affections. This explanation, found in Rousseau’s Emile, grounds several of his philosophical and moral projects. Among these is the Savoyard Vicar’s love of order, which delimits his harmful amour propre and allows him to be a moral actor. The unity of ideas and passion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reading The Social Contract. This unity informs the basic logic of Rousseau’s political argumentation, and it lies behind his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and public passions and ideas that must obtain in a well-ordered society

      • KCI등재

        볼프의 인간관

        김수배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4

        Christian Wolff, “The Philosopher” of the German Middle Enlightenment, provides the philosophy definition that hardly finds a precursor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Philosophy is, according to him, “scientia possibilium, quatenus esse possunt.”(science of possible things, in so far as they can be.) This paper will make an attempt to reconstruct Wolff’s view on human being by dwelling upon his philosophy definition. It starts with the background reason why Wolff has come to this definition. After that, it will try to understand what Wolff intended with the central notion of his definition, viz. the notion of “possible things.” Having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possibilium”, the substantial role of the notion “essence” will be clarified, that was introduced by Wolff to avoid the so-called “Spinozismuskritik” and, as it were, equated with “internal possibility.”(2) Then it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the notion “perfectibility” has affected his idea of human nature.(3)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4) I will argue that,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notion of man, which is based primarily on the immutable human nature, Wolff was the first philosopher that had a clear view of human beings, namely, ‘human beings as moldable beings.’ 독일 계몽기 철학자 크리스티안 볼프는 철학을 “어떤 것이 존재 가능한 한에 있어서 그 가능한 것에 관한 학”(scientia possibilium, quatenus esse possunt)이라 정의한다. 이 정의는 철학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볼프 자신의 독특한 고안물이다. 이 논문의 의도는 볼프의 이 정의를 매개로 하여 그의 인간관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론 첫째 단락에서는 볼프가 위에서 소개한 철학의 정의에 도달하게 된 배경을 간단히 정리해보고, 이 정의가 포함하고 있는 ‘가능성’ 개념으로 그가 의도한 것이 무엇인지를 재구성해본다. 이어서 그가 무신론자라는 비난에 맞서기 위해 자신의 가능성 개념을 스피노자의 그것에 대립하여 ‘내적 가능성’으로 설명하면서 제시한 ‘본질’ 개념의 의미를 밝힌다(2). 그 다음으로는 볼프가 인간의 가능성과 관련해서 본질 개념의 사용을 가급적 회피하면서 그 대신 사용한 ‘완전성’ 개념이 볼프 자신의 인간관에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천착(3)하고자 한다. 마지막 결론 부분(4)에서는 볼프가 인간에 관한 전통적인 본질주의적인 관점의 인간상과 대조되는, 서양 근대철학 내에서도 그 이전까지 어느 철학자에 의해서도 명확한 표현을 부여받지 못했던 이른바 ‘조형 가능한’ 존재로서의 인간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인간관을 제시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육과 사회 변화

        강성훈(Kang, Seong-H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7 No.-

        루소에게 있어서 역사란 인류가 우연한 환경변화에 적응한 결과물이다. 인간의 자기개발능력은 그와 같은 적응의 능력으로 등장한다. 그로인해 독존으로부터 사회상태로 이행한 인류는 상호간의 종속을 심화시켜가며 궁극적으로 일인에 대한 만인의 종속상태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혁명은 인류를 다시금 최초의 사회상태로 회귀시키며 최악의 상태를 향한 종속의 심화가 다시 전개된다. 루소의 사회계약은 혁명을 이상적인 정치체제 수립에 연결시킴으로써 역사라는 악순환을 중단시키는 작업이다. 반면 칸트에게 있어서 역사는 자연이 인간에게 부여한 본성에 의해 추동되는 것으로 필연적인 과정이다. 그 과정 자체가 류적 존재로서의 인류가 자기를 교육시켜나가는 과정이며 그것의 끝은 기존 역사와의 단절이 아니라 그 과정의 완성이 된다. ‘완성능력’이야말로 그 본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를 통해 인간은 악으로 나아갔다가 선으로 돌아오는 거대한 과정을 완성하게 된다. 양자에게 교육은 현재의 정치 체제를 변혁하는 수단이 아니다. 루소에게 체제 변혁은 ‘종교’를 통한 입법자의 역할이며, 교육은 그를 통해 수립된 이상적 정치 체제를 유지하는 수단이다. 칸트에게 그와 같은 이상적 정치 체제는 인류의 자기 교육의 완성을 통해 달성되는 것인데, 현존의 정치 체제는 그 교육의 결과가 아니라 조건이다. 인류의 자기 교육은 자유의 보장을 통해 가능하며 그 자유를 보장하는 정치 체제는 인류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배자에 의해서 수립된다. 따라서 양자를 ‘교육을 통한 사회변화’라는 기획의 근거로 삼아왔던 사유들은 재고가 필요하다. According to Rousseau, history is a result of human adaptation to changing circumstances. Perfectibilite (the faculty of self-development) of man is one such faculty of the adaptation. Individuals live in isolation but shift to a social state by means of this faculty, dominance and subordination between individuals deepen, and finally all people become subordinate to one person. The people then return to the first social state (isolation) by revolting against this state of subordination. Rousseau"s The Social Contract seeks to give humankind a framework for breaking out of this vicious cycle that defines human history by connecting the revolution with the ideal political body. According to Kant, though, the aforementioned cycle defines history because it is the inevitable product of human nature. The process is a self-education course for mankind as a species, and the end of it is not severance from history but the perfection of history. The perfectibility (the ability to achieve perfection) of human nature completes the process of mankind turning to evil but then returning to the good. In both, education is not a solution by which the existing political body can be changed. For Rousseau, change is the vocation of the lawgiver by special religion and education is a solution that maintains the ideal political body established by the change. For Kant, the ideal political body is not a result but a condition of education. Political freedom allows the self-education of mankind to take place; a free political body is then established by a ruler, not the people. In conclusion, the notion that Rousseauian and Kantian thought can serve 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thesis “social change through educ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교실붕괴’ 현상과 ‘교실’의 조건

        김상섭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4 한국문화연구 Vol.7 No.-

        In the education a series of ‘collapses’ is in everyone’s mouth:‘classroom collapse’, ‘school collapse’ and ‘the end of education’. Among them the ‘schoolroom collapse’ will be treated here not only anthropologically but also practically. Anthropologically interpreted, the classroom is regarded as the occurrence place where human excellence is to call into question, which should bring about the original relationship with his world. It will be here characterized and explained through three moments of the spontaneous anamnesis aided by the Socratic didactics of questioning:experience of limits(aporein), turning from the opinion back to the truth and common inquiry. The classroom should be anthropologically collapsed if the tru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which consists of knowing the good, couldn’t occur. On the contrary the schoolroom can be interpreted as a social sub-practice which is enabled and enacted by two constitutive principles:belief in perfectibility and demand for spontaneity of the child. The schoolroom, onc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rea of general social practice, has no other alternative but to have active, mutual relations with other social practices, if it will further function independently. Unfortunately it could always be dependent on other social practices, penetrated or ruled by those aims and purposes. If it failed for the constitutive principles to stand for the classroom, there would be no more place where a social sub-practice named education takes place, long before it really collapses down. ‘교실붕괴’현상에 관한 논란들은 긴급하게 교실의 조건에 대한 물음과 답변을 요구한다. 그에 따라 여기서는 교실을 교실이 되게 하는 것, 즉 교실의 인간학적 존재의미(2장)와 실천학적 존재양태(3장)를 해명하려고 시도한다. 플라톤의 인간학에 따를 때 교실은 선을 향한 해방자로서의 실존이 발생하는 장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를 사로잡고 있고 진정한 실존을 가로막고 있는 무지로부터 해방을 얻으려는 영혼의 간단없는 투쟁의 현장이다. 그에 반해 실천학적으로 고찰할 때 교실은 인간의 형성가능성에 대한 믿음에서 출발하여 그의 자발성을 촉진하는 구체적인 실천으로 구성된다. 그것은 나아가 사회의 제(諸)실천들을 ‘교육적 관점’에 따라 수용하고 변경하며 나아가 그들에게 균형 있고 조화로운 상호작용이라는 ‘교육적 관심’을 제공하는 역사적 실천의 장으로 존재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과 미래를 위한 개념 상자

        정재식(Jae sik Chu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7 비평과이론 Vol.22 No.2

        본 논문은 호모 사피엔스로서 지구 생태계를 지배해 온 인간의 종말까지 예견 되는 인공지능 주도 기술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가 어떻게 인문학적으로 살아가야 하는지에 관한 자성적 성찰을 다룬다. 극한의 인간 강화 논리와 각종 불평등 문제 등에 대비하게 위해 각 분야에 걸쳐 윤리 시스템 구축, 조세제도 개혁, 교육혁신, 사회 안전망 구축 등이 긴급하게 요구되는 시점에서 필수적으로 사유해야 할 개념으로 본 논문은 쓸모없음의 쓸모 있음, 선물의 철학, 해체론적 완전성, 영혼으로 살아가기 등을 제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계산 불가능한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계산법과 타자성에 의해 자기중심적 자아 내부에서 근본적이면서도 지속적전환에 기반을 둔다. 이러한 개념이 선사하는 사유의 혁신을 통해 우리는 자기 파괴적 인간강화 프로그램과 인공지능 창조에 스며들어 있는 타자를 지배하려는 강력한 힘에 대한 동경이 야기할 수 있는 각종 폐해를 최소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려는 꿈을 지닌다. 이러한 꿈이 개인적인 몽상에 머물지 않게 하기 위해 우리는 그러한 사유의 혁신에 대한 열망을 하라리가 말하는 픽션의 차원으로 끌어 올려야 한다. 보다 많은 이들의 집단적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상상력과 매혹적인 서사 그리고 강인한 믿음이 결합된 인문정신이 충만한 픽션을 만들고 그것을 확산시키면서 작동시켜야 한다. 오직 그 순간에 이기적으로 강화된 자아의 길 대신, 자기-비움을 통해 타자와 함께 기쁨을 창출할 수 있는 영혼으로 도약하는 삶을 기술시대에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termines a way of life on humanity-based values and the way to prepare for the futur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d technology revolution. The extreme logic of human advancement and the diverse type of inequalities in our era urgently requires us to prepare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ethical system in all areas, such as the reformation of the tax system, innovation of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ocial security and welfare system. This paper suggests essential philosophical concepts to construct the foundation, which can meet the urgent demands of our times. They are as follows: the use of the uselessness, the thought of the gift, the notion of perfectibility in deconstruction, and to live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oul. At the core of all of these concepts is the new mode of (in)calculation conducted by the logic of the incalculable and the notion of perfection strongly informed by the voice of the alterity; both of them strongly advocates and actualizes the ongoing event by opening to the other. Through the revolution of thought triggered by these concepts, we dream of constructing the foundation through which we can reduce the possible harmful consequences caused by the human advanc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possibly aggravate the greed for absolute power and domination. In order to prevent our dream from remaining as an unrealistic personal reverie, we have to elevate our passion for the revolution of thought to the level of fiction in the sense of Yuval Harari. We must invent imaginative and captivating fiction that can induce collective cooperation, which is based on faith and the spirit of humanity. We can live soulful lives only through the creation of joyful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instead of treading a self-destructive and egoistic path in this harsh technology-based era.

      • KCI등재

        연구 논문 : 서양 근대사상에서 진보와 진화 개념의 교착과 분리

        황수영 ( Su Young Hwang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7

        진보와 진화의 개념은 각각 독자적으로 전개되었으나 일정한 시기에 교착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겪는다. 서양사상에서 진보와 진화의 개념을 비교하는 일은 각각 근대의 초기와 후기에 해당하는 문화적인 격변과 관련이 있다. 진보라는 말은 17세기에 탄생하였고 진화라는 말은 19세기 중후반, 즉 근대 후기에 진화론의 등장과 더불어 대중화된다. 이 두 개념은 각각 서양의 근대의 시작과 끝을 보여 준다. 양차 대전 후 서양 근대의 몰락이 논의되면서 근대 300년을 수놓은 진보의 이상은 가열찬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자기반성의 길로 접어들었다. 우리는 17세기 프랑스에서 진보 개념이 등장하여 의미를 확장하는 과정을 살펴본 다음, 18세기 프랑스혁명기 계몽사상가인 콩도르세에서 완성된 혁명적 진보 개념의 구상, 19세기 전반부에 과학적 진보의 이상을 구체화한 실증주의자 콩트의 3단계 진보이론, 19세기 중후반 스펜서의 진보적 진화론을 차례로 살펴보고 19세기 말 진보의 이상이 진화 개념으로부터 분리되어 축소되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할 것이다. The concepts of progress and evolution had developed apart from each other, yet they experienced the processes of entanglement and separation of its own kind. In Western thought, their comparison becomes involved in the cultural upheavals occurring in the early and late modern times respectively. The term, progress, showed itself in the 17th century, while the term of evolution gained currency with the appearance of the theory of evolution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that is, the late modern times. These terms witness the beginning and end of Western modernity respectively. With the arguments over the collapse of Western modernity after the two World Wars, the ideal of progress, which had penetrated modern three hundred years or so, became a target of severe criticism, and came to go through self-reflection. In this essay, we examine the processes of the appearance and semantic expansion of the idea of progress in France of the 17th century; scrutinize, insuccession, the project of revolutionary progress established by Condorcet, a philosophe of the revolutionary period of France, the theory about the three stages of progress by Comte, a positivist, which embodied the scientific ideal of progres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theory of progressive evolution by Spencer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finally, trace the processes where the ideal of progress had itself separated from the concept of evolu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reducing its own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