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헝거게임」속에 내재된 반사회적 혼합 분석

        김경희(Kim Kyounghee),김진영(Kim Jinye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0

        소셜믹스는 다양한 사회적 계층의 혼합을 유도하여 삶의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고 더 나은 물리적 주거환경을 만드는 것에 의미가 있다. 주택분야에서 소셜믹스는 19세기 후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나라에서 적용되어 왔다. 이렇듯 소셜믹스는 지구촌에서 꼭 필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으나 아직 확실한 성공 사례와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꼭 필요하지만 소셜믹스가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에 관해 한 가지 문제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왜 소셜믹스는 정신적 차원이 빠진 물리적이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만 논의 되는 것일까? 인간의 존엄성은 물질로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고 수많은 책과 글귀에 있다. 하지만 그것은 그저 스쳐가는 의미 없는 지식에 불과하다. 그래서 자신을 보통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이들에게 자극을 주고 싶었다. 소셜믹스의 반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전체주의 국가의 특성을 소설 ‘헝거게임’이라는 콘텐츠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알리고 보통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 ‘캐피톨’ 시민이 결국 현대인의 자화상이 아닌지 살펴보고자한다. 이 시대는 지난 30년간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심지어 누군가는 신토불이(身土不二)조차 사라진 시대라고도 한다. 제 땅에서 난 것이 제게 잘 맞는다는 의미이지만 ‘제것’이 무엇인가? 대한민국은 ‘제 것’조차도 새롭게 인식하고 변화를 받아들여야 한다. 이글은 물리적 환경의 소셜믹스와 함께 정신적이고 감성적 영역을 포함한 소셜믹스를 실행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소셜믹스는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글이다. Social mix is a mixture of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offers made by equal chance at life and meaning to make a better physical living environment. Social housing mix was featured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ave been applied in various countries. Social mix is necessary in the global village. But there are still certain practices and success criterion is the lack of alternatives. Know one about why problems that are not going very well with social mix. Why there is no social mix of the mental level, discussed only in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 lot of books and phrases told me that he will be human dignity is not assessed as material. But it is just meaningless in the knowledge. So he wanted to give new impetus to all those who think the average person.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can do that the opposite of totalitarianism and social mix that ‘The Hunger Games’ content through the novel that ordinary people to let ordinary peopleThink ‘Capitol’ will review whether a self-portrait of modern citizens. Our country has been huge changes for the past 30 years. Even someone who has a 身土不二 also known as a lost age. Native plants grow in the earth is best for their bodies, but what ‘mine’ means? The Republic of Korea ‘mine’ even newly recognize and accept the change. This article has social mix and go with mental and emotional range of knowledge and physical environments, including social mix if you don’t run a real social mix are to be exchanged. The text is to inform that it’s hard for you.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평가 및 사회적 자본이 소셜믹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권연화,최열 국토연구원 2023 국토연구 Vol.118 No.-

        주거로 인한 사회적 배제 현상이 공공임대주택 단지에서 나타나게 되면서 주거격차 해소 및 사회적 통합을 위해 주택단지 내에 사회‧경제적 배경이 다른 사회계층이 함께 거주하도록 하는 소셜믹스(Social Mix) 정책을 도입하였다. 사회적 배제와 소셜믹스 정책의당사자에 해당하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주거환경평가와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그들의 소셜믹스(계층혼합과 주거혼합)에 대한 인식을 서울시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3차연도,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의 혼합단지 거주경험은 계층혼합과 주거혼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와 주거만족도가 나쁠수록, 사회적 자본은 양호할수록 소셜믹스를 확장‧강화하는 선택을하였다. 혼합단지 거주자들은 대부분 계층혼합과 주거혼합을모두 찬성하였지만, 비혼합단지에 거주자들은 계층혼합에 대한 찬성 비율이 높았으나, 주거혼합에 대해서는 혼합개발과 분리개발에 대한 선호가 비슷하였다. 본 연구는 주거환경평가와 사회적 자본에 기초하여공공임대주택단지 거주자의 소셜믹스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일반주택 거주자에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된다면 사회통합, 포용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정책 마련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As social exclusion caused by housing became evident in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a Social Mix policy was introduced to promote housing equality and social integration by encouraging residents from different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to live together within housing complex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percep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in Seoul, who are stakeholders in terms of social exclusion and the social mix policy, regarding social mix(class mix and housing mix), focusing o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s and social capital.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panel survey data of Seoul’s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that was conducted in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idential experiences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in mixed-use complexes had a positive impact on class mix and housing mix, and resident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capital tended to choose to expand and strengthen social mix. And whe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ousing satisfaction was evaluated negatively, there was a preference towards class mix and housing mix.

      • KCI등재

        신약도입에 따른 약품비 증가요인 분석

        권혜영 ( Hye Young Kwon ),양봉민 ( Bong Min Ya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7 No.2

        신의료기술의 발전은 질환의 치료기회를 새로이 제공하는 등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등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의료기술의 고비용은 건강보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신약의 도입은 약품비의 증가에 기여하고 있으며 그 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하여 신약이 약품비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약효군을 통해 신약이 약품비 증가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약품비를 가격, 수량, 처방약구성(drug mix)으로 분해한 결과, 가격은 감소되고, 수량은 증가하며 대체효과(drug mix로 측정)가 증가하면서 신약으로 대체되는 경향을 보였다. 단, 과민성방광증상 치료군에서는 가격이 증가하고 대체효과는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더불어 신약으로 인한 대체효과(drug mix)와 수량증가(치료 확장)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상대적 지표(K)를 만들어 살펴보았다. 신약을 제외한 기존 등재약품의 약품비는 가격과 수량이 모두 증가하였으나, 신약을 포함한 전체 약품비의 변화는 기존 약품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나 신약도입에 따른 대체효과(drug mix)와 치료 확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약도입의 효과가 거의 없었던 편두통치료군의 경우 예상대로 신약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 반면, 신약도입이 가장 활발한 과민성방광증상치료군은 저가신약의 적극적인 진입으로 drug mix는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적 낮은 가격의 신약이 고가의 기존 약을 대체한 것에 기인한다. 하지만 감소한 비용부담에 의해 수량지표가 크게 증가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Rapidly increasing pharmaceutical expenditure has been continuously challenging the sustainability of health insurance system. A major concern is the role of newly introduced drugs into the reimbursement list. What is the impact of those drugs on drug expenditur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ir impact on the growth of drug expenditures by looking at the substitutability of the new expensive drugs for lower priced existing drugs. We termed such a substitutability as ``drug mix``. Using NHI claims data of four therapeutic classes (TC); Hepatitis, Diabetes, Overactive bladder(OAB), Migraine, pharmaceutical spendings of 2009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006. Each TC is characterized by different levels of new drug adoption. Growth of drug expenditures was decomposed into three parts; price effect, quantity effect and drug mix effect.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Impact of new drugs on the growth of drug expenditures for each TC between 2006 and 2009 ranges 0%~32%. Since new drugs were rarely introduced into TC of Migraine, its impact was negligible. Drug mix effect of newly introduced drugs in all TCs was positive, except OAB. Positive drug mix implies that lower cost existing drugs had been substituted for higher cost new drugs during the period under study. The quantity effect was positive for all TCs with increasing rate of 1%~52%. This positive quantity effect implies that the demand induced by new drug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incumbent drugs. An exception to the above results is TC of OAB, with the negative drug mix effect, however with the positive quantity effect. In this case, the quantity of consumption grew.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lower priced new products coupled with the substitution of new products for the existing drugs, drug mix effect of new drugs was contributed to the savings of drug expenditure for OAB during the two periods, 2006 and 2009. This study is unique in its use of drug mix effect in estimating the impact of newly introduced drugs on drug expenditure. Through it, we could observe how old drugs are substituted for newly introduced drugs, and see its effect on the growth of drug expenditure. The methodology is unique and the results are rather informative for both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 LCA에 기반한 전기차의 발전원별 환경효과 분석

        이소라 ( Sora Yi ),김익,권문선,이우진,임성선 한국환경연구원 2018 수시연구보고서 Vol.2018 No.-

        2017년 9월, 정부는 「미세먼지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2022년까지 친환경자동차(이하, 친환경차) 누적 200만 대 보급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그중 국내 전기자동차(이하, 전기차) 시장은 2017년 6월 기준 1만 5,247대가 보급되어 아직 초기단계로 볼 수 있다. 내연기관차 판매를 억제하고 친환경차 보급을 활성화하는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전기차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조금 지원, 충전인프라 구축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기차 보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원믹스 변화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이하, 원전) 위주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하면 2030년에는 원전과 석탄화력발전의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0%까지 늘릴 예정이다. 이에 전원믹스 변화에 따른 전기차의 환경영향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보급 전망과 전원믹스 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특성화 단계의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원료 추출부터 운행(WTW: Well to Wheel, 이하, WTW) 관점에서 시행하였다. 또한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의 환경영향을 분석하고, 미래 전기차 보급에 따른 환경효과를 전망하였다. 이때 비교 대상 내연기관차는 국내 보급률이 가장 높은 휘발유차로 하되, 국내 전기차와 유사한 경차 및 중소형차로 설정하였다. 국내 전기차에 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국내에 보급된 전기차의 90%가 순수 전기차이고 나머지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으로 나타났다. 전기차의 연비를 조사한 결과 순수 전기차의 공식 연비는 5.57km/kWh, PHEV의 공식연비는 5.43km/kWh였으며, 체감 연비는 이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과정평가의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전기차가 휘발유차보다 환경성이 뛰어났으나 전원믹스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석탄화력발전, 석유발전 등 화석연료 발전비중이 높을수록 전기차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전과정에 걸쳐 휘발유차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의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환경성적표지제도 전용 LCA 소프트웨어인 TOTAL 5.0을 사용하였다. 차량연료 및 발전원별 인벤토리에는 국가 Life Cycle Inventory(LCI)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또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환경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휘발유차의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의 휘발유 생산 인벤토리를 사용하였다. 휘발유차의 주행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에는 환경성적표지와 「자동차 총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에 관한 규정」의 배출계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주행 시 타이어 마모 등에 의해 배출되는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PM 10, PM 2.5 등, 이하, PM)의 배출계수로는 GREET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환경영향범주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공하는 8가지 범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중 지구온난화, 자원고갈, 산성화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지구온난화 범주에서는 유연탄화력발전 전기차의 환경영향이 가장 컸으며, 휘발유차, 2017년 전원믹스(이하, 2017 전원믹스) 순으로 나타났다. 유연탄화력발전의 환경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난 원인은 전기생산단계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CO<sub>2</sub>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휘발유차의 경우에는 연료생산 단계 보다는 차량주행 단계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자원고갈에 대한 평가 결과는 휘발유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연료생산 단계에서의 원유 채취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산성화의 경우에는 유연탄화력발전의 환경영향이 가장 컸으며 2017 전원믹스와 2030 전원믹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연탄화력발전의 환경영향이 가장 크게 나온 데는 발전 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SOx와 NOx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유연탄화력발전량이 전원믹스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2017 전원믹스와 2030 전원믹스의 결과도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차량주행단계에서 발생하는 PM은 전기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양에 비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8가지 환경영향범주의 특성화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전원믹스 변화에 따라 2030년에는 2017년에 비해 환경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많은 환경영향 범주에서 유연탄화력발전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을 볼 때, 앞으로 석탄화력발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8가지 환경영향범주의 가중화를 평가한 결과, 2017 전원믹스로 전기를 생산했을 때 전기차의 환경영향은 가중화 결과는 1.43E-05 포인트로 휘발유차 가중화 결과인 2.06E-05 포인트의 약 70%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7 전원믹스로 전기생산 시 전기차의 가중화 결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가중화 결과의 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고갈 영향은 9.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영향범주별 분석에서 산성화 영향은 전기차가 휘발유차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기차 전체 가중화 영향의 1%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기차의 전체 환경영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환경영향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구온난화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먼저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가중화 관점에서도 화석연료 등을 활용한 화력발전 등은 점진적으로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휘발유차와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표 1 참조), 휘발유차는 전체 미세먼지 배출량 3.181g/km 중에서 3.167g/km(99.6%)를 연료생산단계에서 배출하였다. 발전원별 전기차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총 미세먼지 배출량은 유연탄화력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하였을 때 0.13g/km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전기생산단계에서 전체의 89%(0.115g/km를 배출하였다. 2017 전원믹스의 경우 미세먼지 배출량은 총 0.117g/km로 휘발유차의 3.7%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차의 보급 증가로 인한 환경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기차 보급 및 휘발유차의 대체효과(상쇄효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를 산정하였다. 차량제조 및 폐기 단계에서 전기차는 휘발유차보다 온실가스를 3.16g/km 더 배출하였고, 전기차 보급 증가로 발전량의 0.003%가 증가할 때 이로 인해 온실가스를 0.0029g/km 더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기차 보급으로 인해 휘발유차가 전기차로 대체되면서 저감되는 온실가스 양은 61.7g/km이었다. 결과적으로, 전기차 보급 증가로 인해 총 58.54g/km의 온실가스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대당 12만 km 주행을 기준으로 2030년 전기차 100만 대 보급 목표를 적용하면 전기차 보급으로 인해 저감되는 온실가스양은 7,024천 톤으로 나타났다. 발전 원단위 온실가스에 대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표 3 참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벤토리는 국내 발전시설의 자료를 반영하므로 일부 차이를 보이나 국외 사례(GREET: The Greenhouse Gases, Regulated Emissions, and Energy Use in Transportation Model, 미국)와 유사한 수준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원전과 태양광 발전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선행연구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발전시설 건설 영향을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GREET와 산업통상자원부 사례에서는 건설부문의 영향을 포함하지 않은 반면, 본 연구에서는 발전시설의 건설 영향까지 모두 포함하였다. 전기차의 온실가스에 관한 선행연구(일본 사례)와 비교한 결과(표 4 참조), 본 연구의 발전원별 원단위가 발전시설 건설 단계 영향까지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1km 주행 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본 사례보다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2030년 전원믹스의 석탄화력발전량 비중을 36.1%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는 현재 화력발전비중 45.3%에 비하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나, 발전량에서는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더욱더 필요하다. 또한 관계부처 합동 『미세먼지관리 종합대책』에 따르면 간접배출에 의한 미세먼지가 전체의 72%를 차지하는 만큼, 차량 주행단계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발전단계에서의 미세먼지 간접배출의 원인인 NOx 및 SOx 배출량에 대한 저감대책 또한 필요하다. In September 2017,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New Comprehensive Plan on Fine Dust, which set the goal of seeing an accumulated two million eco-friendly vehicles on the road by 2022. Korea’s domestic market for electric cars is still in its infancy, with 15,247 units distributed so far as of June 2017. In keeping with the global trend of suppressing the sales of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and promoting the use of eco-friendly cars, Korea has also been implementing policies for strengthening its electric car market through subsidies and building necessary infrastructure such as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Furthermore, as it is expected that electric vehicles will become more common in the future, more attention is being given to the changes in the electricity mix. In Korea, coal-fired power generation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are the primary sources of power. However, according to the country’s 8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by 2030, Korea will be reducing its dependency on nuclear and coal-fired power plants to increase the ratio of new renewable energy to 20%. This goal to change the electricity mix makes it necessary to assess how such changes will affect the environmental impact of electric vehicles,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in number. This study, therefore, conducts the life cycl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electric vehicles from the viewpoint of Well to Wheel (WTW) based on the forecasts on electric car supply and the changes in the electricity mix. Also, we analyzed environmental impact of electronic vehicle compared with gasoline vehicle. Then we were confined to small gasoline cars as a comparison.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s domestic electric vehicles, 90% of the electric cars distributed so far were pure-electric vehicles, and the rest were plug-in hybrid vehicles (PHEV). The official fuel efficiency of pure-electric vehicles is 5.57km/kWh while that of PHEV is 5.43km/kWh, although the perceived fuel efficiencies are slightly higher.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ssessments in existing literature, most electric vehicles are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but their specific environmental assessments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electricity mix. When the proportion of fossil fuel-based power generation such as coal-fired and petroleum power generation is higher, the level of pollutants emitted by electric vehicles during their life cycle was found to become similar to that of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In this study, TOTAL 5.0, the life cycle assessment softw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system, was used to evaluate the life cycle of electric vehicles. The inventories of fuels used by the vehicles and the energy sources were taken from on the national LCI database. Also, for comparison, the life cycle of gasoline vehicles were assessed using the petroleum production inventory of the national LCI database, and the amount of pollutants emitted while driving was estimated using the emission coefficient of the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and the Regulation on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Total Pollutant Emissions of Vehicles. The emission coefficient for calculating the particulate matter (PM 10, PM 2.5, etc., hereafter PM) produced by tire wear during driving was based on the GREET data.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reviewed in this study covered the eight categori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with a focus on global warming, resource depletion, and acidific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the global warming category, electronic vehicles of bituminous coal-fired thermal power generation had the largest environmental impact, followed by gasoline vehicles and the electricity mix in 2017 (hereafter 2017 electricity mix). The large environmental impact of bituminous coal-fired thermal power generation was attributed to the CO<sub>2</sub> emitted to the atmosphere during the electricity production stage. On the other hand, the cause of the high environmental impact of gasoline vehicles was found in the exhaust gas emitted from the vehicles during driving rather than the fuel production stage. The impact on resource deple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r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extraction of crude oil during the fuel production stage. In the case of acidificati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bituminous coal-fired thermal power generation was again the largest, followed by the 2017 electricity mix and the 2030 electricity mix. Here, the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of bituminous coal-fired power generation seems to be caused by the emission of SOx and NOx into the atmosphere during the power generation stage, and it was the high dependency on bituminous coal-fired thermal power generation that led to be high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2017 and 2030 electricity mixes. Another notable finding was that the amount of PM generated during driving was very small compared to the amount created during the power generation stage. Assessment of the weighted impact of the eight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showed that the changes in the electricity mix would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in 2030 compared to 2017. Considering that bituminous coal-fired thermal power generation is the critical cause of degradation in many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it is vital to reduce the proportion of coal-fired power generation and increase the amount of new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PM produced from internal combustion and electric vehicles based on our data (Table 1) revealed a gasoline vehicle creates a total of 3.181 g/km of PM, among which 3..181 g/km of PM, among which 3.167 g/km (99.6%) is emitted during the fuel production stage. Meanwhile, the amount of PM produced by the electricity production stage was found to be greatest when the energy source used is 100% bituminous coal-fired thermal power, in which case 0.13 g/km of PM is produced in total, and 89% (0.115 g/km) of the PM is emitted during the power generation stage. When the energy source is the 2017 electricity mix, the total PM produced by an electric vehicle is 0.117 g/km, which is only 3.7% of that b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environmental impact caused by increasing of electronic cars and replacing gasoline cars with electric vehicles, using the changes in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as the indicator. Electric vehicles were found to emit 3.18 g/km of GHGs more than gasoline vehicles during the vehicle manufacturing and disposal stages. Also, assuming that the increase in electric vehicles will necessitate a 0.003% increase in electric power generation, this additional power generation will produce 0.0029 g/km of GHGs. When taken together, it became possible to predict a 61.7 g reduction in GHG emissions. This translates to a decrease of 7,024,452 tons of GHG emissions if one million electric vehicles are distributed and put into use by 2030, assuming 120,000 km of driving per each electric vehicle. The measurements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y energy source conduct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able 3).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results as the inventory used in this study reflects the data of domest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hile those of previous studies are based on foreign cases (GREET, The Greenhouse Gases, Regulated Emissions, and Energy Use in Transportation Model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levels of GHG emissions were largely similar. The GHG emissions of nuclear power plants and solar power generation measured in this study differ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present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environmental impact during the construction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hile the GREET and MOTIE studies do not include the impact of the construction factor. The GHG emissions of electric vehicles by energy source calculated by this study was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a previous study on Japan’s case (Table 4). The comparison showed that despite this study’s inclusion of the impacts during the facility construction stage, the GHG emissions from a 1km-drive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e case of Japan. The 8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aims to reduce the share of coal-fired power generation in the electricity mix by 2030 to 36.1%. This is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urrent share of thermal power generation (45.3%), but the 2030 target still places the highest dependency on thermal power generation. Thus, greater efforts are required to make the shift to a more environmentally-friendly electricity mix. Also, since the PM from indirect emission accounts for 72% of the total amount of PM generated, additional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cidification at the power generation stage.

      • KCI등재

        보수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장시간 운반에 따른 노화 심각성 및 그 대책 연구

        김영삼,김성운,이종섭,김광우 한국도로학회 2022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4 No.6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binder aging in a hot-mix asphalt (HMA) mixture in an insulated camber for a long duration for repair works, where the absolute viscosity level and service life reduction (SLR) are assessed based on the haul time, as well as to suggest a methodology for reducing the aging level. METHODS : Because the HMA mixture is stored in an insulated box carriage at high temperature for repair works, if the binder in the mix is severely oxidized, then the repaired pavement will not exhibit a long service life. Therefore, the 13-mm dense-graded HMA mix with PG64-22 was aged in an oven at 160 °C for 1, 2, 4 and 8 h to evaluate its aging level. Gel-permeation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on the mixture particle without binder recovery to measure the large-molecular size ratio, from which the estimated absolute viscosity (EAV) was computed using a best-fit regression model. The SLR values of aged and repaired mixes were estima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eterioration in the mixes caused by severe aging. Hydrated lime (HL) was introduced into the mix at a ratio of 1.5 wt% of the total mix. The aging level and SLR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repaired mix without HL. RESULTS : The binder EAV of the HMA mix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the mixture aging duration. In particular, the binder EAV level of a 4-h aged mix is similar to the asphalt viscosity level of a pavement with approximately 7 years of service life. The service life expressed based on the aging level is interpreted as the reduced service life of the aged mix, which is already oxidized before it is used. Meanwhile, the binder of an 8-h aged mix without HL aged significantly and its SLR is approximately 11 years. However, its aging level and SLR reduced significantly when HL. is incorporated. CONCLUSIONS : The binder aging level of the repaired mix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its storage duration in a hot chamber for carriage. However, since the aging level decreases significantly by the incorporation of HL, the use of HL is highly recommended when preparing new mix for repair works to be performed in a hot-chamber for a long dur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적 혼합 주거단지의 갈등관리 -서울시에서 조성된 주거단지를 중심으로-

        남상호 ( Sang Ho Nam ),김갑열 ( Gab Youl Kim ),허강수 ( Kang Soo Hur )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integration by ascertaining how conflict indexes show according to housing complex arran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conflict cases in social-mix housing complex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s performed content analysi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and a literature search about advanced research. For actual proof analysis, the researchers verified the differences of conflict structure by the types of social-mix housing complexes through the analysis of conflict cases in social-mix housing complexes and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by drawing the causes of conflict and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Social-mix housing complexes are sort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physical mix-form : independent complex type, adjacent-to-complex, rental-mix-in-complex, rental-mix-in-building. The conflicts in social-mix housing complexes are classified as four types according to conflict cause : interest conflict, mutual relation conflict, structural factors conflict, managerial conflic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case of rental-mix-in-complex, the degree that managerial conflicts have an effect on social integration is the highest, next to mutual relation conflicts. In case of rental-mix-in-building, the degree that interest conflicts have an effect on social integration is the highest, next to mutual relation conflicts and managerial conflicts. Therefore, in future, for social integration, as a project operator plans social-mix housing complexes, it needs to carry forward a business of housing complex arrangement in view of conflict factor.

      • 분양임대혼합아파트 단지의 소셜믹스 사업 현황과 나아갈 방향

        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20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기존 분양⋅임대혼합아파트와 관련된 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현황과 문제점, 대책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사회적 혼합이란 주거지 개발의 방향을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한 장소에서 함께 거주하도록 도모한다는 뜻으로 ‘소셜믹스(Socail Mix)’라고도 불린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분양아파트와 공공임대아파트를 한 공간에 혼합하여 건설하는 소셜믹스 아파트 단지가 대규모로 지어지고 있다. 사회적 통합에 기여하고자 하는 긍정적 목적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소셜믹스 단지는 입주민 간의 갈등과 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배제현상까지 나타나 진정한 통합을 이루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입주민간의 교류를 강화하고 지역공동체 의식을 함께 갖도록 하는 기회가 많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향후 소셜믹스 아파트 단지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대책의 강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literature survey based on research related to existing mixed complexs of condominium and rental apartments and discuss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Social mixing is also called 'Socail Mix', which means that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development aims to help residents of various classes live together in one place. Recently, in Korea, a large number of social-mix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constructed by mixing general condominiums and public rental apartments in one space, are being built. Despite the positive purpose of contributing to social integration, the current social mix complex does not achieve true integration due to conflicts between residents and social exclusion of rental apartment resi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many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strengthen exchanges between residents and to have a sense of local community togethe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take practical measur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centering on residents of the Social Mix apartment complex.

      • KCI등재

        국내외 에너지환경 변화와 우리나라 에너지 믹스 전략 수립과정에의 시사점

        허은녕(Eunnyeong Heo)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에너지경제연구 Vol.10 No.2

        한 나라의 에너지 믹스는 소비자 선택의 결과물이자 동시에 국가 정책의 산물이기도하다. 21세기 들어 나타나는 국내외 환경변화는 우리나라가 지향해 오던 기존의 에너지 믹스의 방향에 새로운 고려사항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본 고에서는 국내외 에너지 분야 환경변화의 중심 내용들을 살펴보고, 이들 변화들이 우리나라 에너지믹스 정책 수립과정에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여야 할 부분에 대하여 논하여 본다. 에너지믹스가 학술적인 주제이기보다는 정책적인 주제이기에 학술적 분석보다는 국내외적 변화가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수립과정에 미칠 정책적 시사점의 도출에 중점을 두었다. 에너지믹스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변화로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신재생에너지의 에너지믹스 포함 문제와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의사결정, 수송용 에너지에서 나타나는 기술에너지 특성의 고려, 에너지산업의 수출산업화, 해외자원개발 및 러시아-북한과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을 포함한 지역간 에너지연결 등 에너지망의 확대를 들었다. 본 고에서는 에너지 믹스 전략 수립에서의 주요 전략 변화방향으로 에너지 믹스 설정의 목적함수를 다양화 할 것과 분산형, 지역형, 기술형 에너지 계획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Energy mix can be considered as a result from various selections in energy markets and also as an output of government energy policies. In this paper, we examine recent changes in global energy environment and discuss possible changes in Korea's energy mix and energy mix strategies and plans toward a better energy future in Korea. As energy mix issue is rather political instead of academic, this paper focuses more on policy implications. Since most of the energy supply sectors have been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in Korea, and as most of the supply options were central government-invested big generation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s, setting the energy mix in Korea is considered as setting the supply options by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distributed resources such as renewable energy and small reactor and small gas turbine changes this situation toward to consumers. Technology options suggested by climate change mitigation policy should be included in the energy mix strategy. And high fossil fuel price and suggestions of possible connections with Russia and North Korea asks us to focus more on inter-regional connections into Korea's energy mix. This paper suggests two focal points to be included in the future process of energy mix strategy; to diversify objectives of energy mix strategy, and to move toward distributed, regional and technologyoriented energy mix strategies.

      • KCI등재

        닥섬유 컬러믹스 개발 및 한지조형 표현 연구

        이유라(Lee, Yu-ra),김혜원(Kim, Hye-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1

        오늘날 조형 예술의 확대와 함께 소재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재료 사용에 있어서 새롭고 다양한 변화들이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닥섬유는 한지의 원료로서 자연으로부터 채취한 닥나무 껍질을 전통적인 가공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는 독특한 재질감과 자유로운 색상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소재이며, 고감도 환경 친화적 소재로서 유연성이 크고 탄성적인 질감이 강하다. 컬러믹스란 색의 혼합, 즉 혼색조를 이야기 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재인 닥섬유와 컬러를 활용하여 새로운 조형예술의 표현재료를 개발하였으며, 이 재료를 닥섬유 컬러믹스로 본 연구의 논술을 위하여 지칭을 한정하였다. 환경오염 및 화학적 반응에 노출되어있는 현대인들에게 닥섬유의 새로운 소재 개발은 친환경적 요소와 접함으로서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부합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컬러믹스의 주재료인 닥섬유에 관한 일반적인 속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닥섬유를 이용하여 컬러믹스라는 조형미술의 새로운 소재를 개발함으로서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다양한 기법과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며 미적 가능성을 확대하고, 닥섬유 컬러믹스의 조형적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Nowadays, continuous studies on developing materials are in progress, as formative arts are expanded. So, it’s a recent trend to try new and various changes in using materials. Mulberry textile with unique quality, possible to express colors freely, is produced by processing naturally mulberry barks which are picked in the nature. Mulberry textile, Eco-friendly material, with high sensitivity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strong elasticity. Mulberry textile called ‘breathing textile’ with this quality is a nature-friendly natural material. This study developed mulberry color mix as an expression material for new formative art, putting into a practical use the material traits of mulberry, nature-friendly material. Modern citizens are exposed to pollution and chemical response. Developing new material of mulberry indicates the life style of those who want to live a healthy living, because it enables modern citizens to contact Eco-friendly factors. This study, by developing new material of formative art, called color mix, with mulberry textile, aims at recognizing its artistic value, presenting various skills and the possibility of new expression, expanding aesthetic possibility, and exploring more possibilities on the study of formative shapes and material effects. This study examines general traits of mulberry textiles, main materials of mulberry color mix, and puts into a triangular position the conception of mulberry textile color mix through the manufacture process of mulberry textile color mix.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formative traits, visual, olfactory, and contact traits and effects of mulberry textile color mix and analyzed the media traits and formative factors of mulberry textile color mix as a new material of formative art. This study recognizes the artistic value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newly developing formative art, by developing new material of formative art, called mulberry textile color mix.

      • KCI등재후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수신자 유동에 관한 연구

        정석규(Sug Kyu Ju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9 애니메이션연구 Vol.5 No.3

        연구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미디어 믹스(Media Mix) 전개에 있어서 고객기반을 넓히기 위한 콘텐츠의 재구축 방법으로, 작품 세계를 어떠한 형태로 다양한 미디어에 반영시켜 전개해 갈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제1보(2009 Vol.5 No.2, 애니메이션연구)에 있어서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작품세계의 4가지 재구축 패턴을 도출하고 미디어 믹스 전개의 성공 방향을 일부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제1보에서 제기한 확대형 재구축에 의한 성공 요소 도출과 함께 수신자 유동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그 유동을 이용해 어떻게 미디어 믹스를 전개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미디어 믹스 전개 방법의 성공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미디어 믹스의 대표적 성공 사례라 할 수 있는 닌텐도의 〈포켓몬스터〉를 사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미디어 믹스 전개 후의 작품 속에 재구축, 회귀, 계속이라고 하는 요소가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콘텐츠의 수신자가 미디어 믹스 전개를 통해 어떻게 유동하고 있는지, 그 유동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미디어 믹스 전개 방법의 성공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proposes the method of contents reconstruction to widen customer base in the media mix development of entertainment contents and the research was started from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what kind of form we can reflect the work world to various media. We derived 4 reconstruction patterns of entertainment contents in the first research(2009 Vol.5 No.2,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and partly suggested the successful direction of the media mix development. This research derives the successful factors for the magnifying type of reconstruction proposed in the first research and analyzes the customer floating patterns. The research goal is to suggest the successful direction of the media mix development method by surveying how the media mix will be developed using the floating patterns. As a research method, we analyze the Pokemon of Ninteno which is the most successful case of media mix. From the research results, the works after media mix development includes the factors of reconstruction, regression and continuing. Also, it is meaningful that we can suggest how the contents customer are floating and suggest the successful direction of media mix development by deriving the floating patt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