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와 경험의 형이상학

        국순아(Kook, Soon-Ah)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8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을 ‘경험의 형이상학’이라고 해석하는 데 있다. 듀이는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이원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경험적 자연주의의 입장에서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을 제안한다. 그러나 일반적 특성으로 정의되는 그의 형이상학은 경험적 특성인가 자연적 특성인가의 여부에 의해 경험의 형이상학인가 존재의 형이상학인가라는 논쟁을 야기한다. 그러나 이 논쟁은 듀이가 극복하려고 했던 경험과 존재라는 구분을 전제하므로 잘못된 것이며, 그의 형이상학은 연속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경험과 자연이 연속적인 방식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경험의 형이상학이다. 오늘날 로티는 듀이의 경험 형이상학을 또 다른 체계화의 시도라고 간주하고 비판하지만 형이상학의 해체에 따른 극단적 상대주의의 문제에 직면한다. 듀이의 경험 형이상학은 살아진 경험이 공공성을 확보하고 경험과 자연이 연속적인 방식을 제공하므로 이원론적 형이상학을 극복하고 동시에 로티식의 포스트모더니즘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Dewey’s naturalistic metaphyscis is ‘metaphysics of experience’. Dewey proposes naturalistic metaphysics to overcome dualistic metaphysics by empirical method. But his metaphysics defined as the ground-map of generic traits causes a heated debate on whether it is metaphysics of experience or metaphysics of existence. But this debate is mis-guided because it premises the separation of experience and existence that Dewey wants to overcome. Therefore, his metaphysics is metaphysics of experience in the sense that experience is continuous with existence on the basis of principle of continuity. Today post-modernist Rorty criticize Dewey’s metaphysics by regarding it as anthor attempt to systematize a theory, but Rorty is confronted with the problem of nihilistic relativism resulted from the deconstruction of metaphysics. Since Dewey’s metaphysics of experience secures the commonality of lived experience and offers how experience is continuous with nature, it overcomes not only the problem of traditional metaphysics but also could be an alternative to Rortian postmodernism.

      • KCI등재

        논문 : 과학적 형이상학은 적법한가?

        박준호 ( Joon Ho Park ) 한국과학철학회 2013 과학철학 Vol.16 No.2

        최근의 래디먼, 로스, 킨게이드 등의 철학자가 분석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하면서 과학적 형이상학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들에 따르면, 과학적 형이상학만이 적법하다. 여기서는 이 “적법성 논제”가 의존하는 적법성 논증을 재구성하여 논증의 전제가 의심스럽다고 주장하겠다. 이를 보이기 위해서, 우선, 형이상학과 형이상학적 신념을 구분하고, 또한 적법성을 C-적법성과 G-적법성으로 구분하며, 그런 뒤에 적법성 논제가 의존하고 있는 결정적 전제의 가능한 여러 해석을 드러내고, 이를 토대로 적법성 논제를 비판하겠다. 그런데 이들의 논의는 분야로서 과학철학을 성립시킨 모태 역할을 했던 영미 분석철학 전통 내에서 끊임없이 부침했던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의 연장선에 놓여있다. 따라서 과학적 형이상학의 적법성 논의의 배경을 이루는 분석철학의 전통 내부의 형이상학에 관한 수축주의와 분리주의를 살펴본 뒤에 후자의 전략에 속하는 과학적 형이상학의 적법성 논제에 대해서 다루어보겠다. 이런 배경 아래서 과학적 형이상학의 도전이 더 잘 이해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some philosophers, e.g., James Ladyman, Don Ross, and Harold Kincaid etc., baldly urge the difference between analytic metaphysics and scientific metaphysics, and the latter is the only legitimate metaphysics. They assert that scientific metaphysics is legitimate by naturalism. But what is this legitimacy thesis mean We will enquire some possible interpretations, examine each, and discriminate weak or strong one. By these works, a trouble for adherents to scientific metaphysics going to be emerged. Under any version of thesis scientific metaphysics is not so special because of no difference with analytic metaphysics. I will discuss these points about metaphysics and scientific metaphysic in the context of analytic tradition in philosophy. In this vein, before presenting legitimacy talk of scientific metaphysics, some metaphysical deflationisms will be discussed and rejected. Then, I will raise some issues about the scientific metaphysics and the legitimacy of it.

      • KCI등재

        중세 ‘형이상학’의 여정 -아리스토텔레스, 아비첸나, 아베로에스 그리고 알베르투스를 중심으로 근대를 향한 중세 형이상학-

        유대칠 ( Yu Dae-chil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0 지중해지역연구 Vol.22 No.1

        The name ‘ontology’ is a word coined by modern philosophers. For many years, philosophers used the name ‘metaphysics’ instead of ‘ontology.’ But the name ‘metaphysics’ did not have a clear definition, and the metaphysical discussion in Aristotle’s book ‘metaphysics’ was not clear. The philosophers of medieval Islam attempted to solve this problem. Avicenna, a medieval Muslim philosopher, argued that ‘being qua being’ or ‘being in general (ens commune)’ is a proper object of metaphysics. For him, ‘metaphysics’ is ‘ontology.’ Medieval Muslim philosophers such as Averroes rejected this view of Avicenna. Averroes saw ‘metaphysics’ as ‘natural theology.’ Is the object of metaphysics ‘being in common’ or ‘God’? Is ‘metaphysics’ ‘ontology’ or ‘natural theology’? The medieval European philosopher Albertus Magnu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on the side of Avicenna. He thought God cannot be a proper object of metaphysics made of human reason, because God is only the object of faith and can not be the object of rational thought. After the long hardships of medieval philosophers, modern philosophers no longer wondered whether metaphysics was an ontology or a natural theology. Modern philosophers did not think metaphysics was one of these two branches; they thought it was a study that included both. To this end, they began to call metaphysics, which studies ‘being qua being’ or ‘being in general’, ‘Generalis Metaphysica’, and created a new name for metaphysics, ‘ontology’. And metaphysics, which studies existences such as ‘God’, began to be called ‘Specialis Metaphysica’. The result of this modern philosophy is the result of the difficult journey of medieval metaphysics. This paper does not simply see medieval metaphysics history as a conflict between ‘ontology’ and ‘natural theology’, but rather it tries to show that the conflict is a journey toward modern metaphysics. Medieval philosophers had already done academic acts on ‘being in general’; there was simply no proper name for them. But modern philosophers have made that proper name, and the name metaphysics has become more clear. And this paper also shows that medieval Muslim philosophers play a major role in all these journeys.

      • KCI등재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통합의 형이상학(Métaphysique de l'Union)’의 개념과 의의 그리고 ‘과정철학’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이명곤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철학 Vol.- No.44

        For Teilhard de Chardin, ‘metaphysics’ means ‘science as a worldview’, and it refers to a solution or vision for the ‘world as a totality’. Thus, the question of the fundamental or the ultimate rests with metaphysics. Metaphysics is also the foundational principle of moral action. This is because morale means a ‘total system’ through which an individual decides and solves the problem of his or her behavior. If the metaphysics of scholastic philosophy including Aristotle are 'static metaphysics', modern metaphysics based on ‘evolutionary vision’ is a ‘dynamic metaphysics’ that takes issues of ‘change and process’. In modern times, the unity or reconciliation of religion and science means the unity of these two metaphysics, which is what the ‘metaphysics of union’ means. In the sense that the metaphysics of union deals with the problems of ‘process’ such as ‘change’, ‘become’ and ‘transformation’ related to ‘evolutionary phenomenon’, it is similar to ‘the philosophy of the process’,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in modern philosophy. However, the metaphysics of union cannot be regarded as ‘one of the process philosophies’ because ‘process philosophy’ means a departure from the traditional metaphysics, but the metaphysics of union means the renewal of the traditional metaphysics. So it can be said that a kind of ‘process philosophy’ is found within the metaphysics of union. 떼이야르 드 샤르댕에게 있어서 ‘형이상학’이란 ‘세계관으로서의 학문’을 의미하는데, ‘총체성으로서의 세계’에 대한 해명(solution) 혹은 비전(vision)을 말한다. 따라서 근원적인 것이나 궁극적인 것에 대한 질문은 형이상학의 몫이다. 형이상학은 또한 도덕적 행위의 기초원리가 된다. 왜냐하면 도덕(morale)이란 그것을 통해 한 개인이 자신의 행동의 문제를 결정하고 해결하는 ‘총체적 시스템’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비롯한 스콜라철학의 형이상학이 ‘정적인 형이상학’이라면, ‘진화론적 비전’에 근거한 현대의 형이상학은 ‘변화와 과정’을 문제 삼고 있는 ‘역동적인 형이상학’이다. 현대에 있어서 종교와 과학의 일치 혹은 화해란 이 두 형이상학을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곧 ‘통합(일치)의 형이상학(Métaphysique de l'Union)’이 의미하는 것이다. 통합의 형이상학이 ‘진화현상’과 관련된 ‘변화’ ‘되어짐’ ‘변모’ 등의 ‘과정’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차원에서 이는 현대철학에서 주목받고 있는 ‘과정철학(Process philosophy)’과 유사하거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과정철학’은 전통 형이상학으로부터의 이탈을 의미하나 ‘통합의 형이상학’은 전통형이상학의 갱신 혹은 쇄신을 의미하기 때문에 ‘통합의 형이상학’을 ‘과정철학 중 하나’로 볼 수는 없으며, 다만 통합의 형이상학의 내부에서 ‘일종의 과정철학’이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럽 근대 형이상학 교과서의 성립에 있어 포르투갈 스페인 스콜라 철학자의 기여 -폰세카, 페레리우스 그리고 수아레즈와 함께 후기 중세 형이상학에서 근대 형이상학으로의 이행-

        유대칠 ( Yu Dae-chil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0 지중해지역연구 Vol.22 No.3

        After the Reformation, Europe is divided into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 theology of the Protestant Church, which led to the division of philosophical textbooks. Because the difference in theology led to the difference in philosophy, Protestant philosophers needed a new philosophical textbook. It was the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who helped them so much, especially in metaphysical textbooks. At first, there was a rejection of the achievements of medieval metaphysics, but their philosophical achievements could not be ignored.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served to convey the achievements of medieval metaphysics to Protestant philosophers. We are accustomed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which goes from medieval metaphysics to modern metaphysics. However, there must be a bridge connecting these two philosophies at the time of transitioning from medieval metaphysics to modern metaphysics. The Portuguese- Spanish Scholar philosophers played a role in becoming the bridge of the two philosophies. Especially among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philosophers such as Suarez, Pererius and Fonseca played such a role. The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and Jesuit philosophers Suarez and Pererius influenced the German Protestant philosopher Goclenius. Under these influences, the idea of the Generalis metaphysica and specialis metaphysica of Wolff and Baumgraten, which we know well, was completed. But we think about the emergence of modern metaphysical textbooks without the philosophical achievements of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But the obvious historical fact is that if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had not passed on medieval metaphysics and their ideas to modern metaphysics, modern metaphysics textbooks might not have appeared. And if their metaphysical textbooks appeared without the help of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they would be different from what we know now. Therefore, this paper is to introduce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ers. Through this introduc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Portuguese-Spanish Scholar philosophical contribution in the Mediterranean region is not small in the history of European philosophy, and it is more than we expect.

      • KCI등재

        가능존재의 존재론적 위상에 관한 한 논쟁

        이경재 ( Kyung Jae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06 중세철학 Vol.0 No.12

        이 논문은 형이상학의 대상에 가능존재가 포함되어야 하는가의 여부를 놓고 벌어진 클락과 콘웨이의 논쟁을 통해 이들 각각이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에 접근하는 방식들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능존재(ens possibile)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의를 출범시키고자 한다. 클락과 콘웨이는 모두 토마스 아퀴나스 형이상학의 대상이 실재존재(ens reale)라는 점에 동의한다. 다만 클락은 실재존재가 `존재하는 것`(is)만을 의미한다고 보는 반면, 콘웨이는 그에 더해서 `존재할 수 있는 것`(is and can be)까지를 포함한다고 함으로서 서로 대립한다. 이러한 대립의 핵심에는 토마스 아퀴나스 형이상학의 핵심 원리인 실존(esse)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개입된다. 둘 모두 실존이 존재(ens)를 존재이게 하는 존재의 핵심원리라는 데는 동의한다. 그러나 클락은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 자신의 고유한 실존에서 고립된 가능존재는 조건적인 존재일 수 있어도 형이상학의 대상인 실재 존재일 수는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 콘웨이는 실존의 우연적 성질을 적시하면서 형이상학의 대상에 실존이 포함될 경우 형이상학의 학적 필연성이 위협받는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나마 클락은 존재의 가장 현실적 원리인 실존을 논의의 기준과 중심으로 삼는 반면, 콘웨이는 다분히 형이상학에 요구되는 필연성에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의 논쟁은 형이상학의 대상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그 표면적 논쟁점으로 하고 있지만, 결국 존재세계 내에서 가능존재의 자리가 어디인가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물음과 연계될 수밖에 없는 성질을 지닌다. 그리고 이 물음은 다시금 토마스 아퀴나스 형이상학의 고유하고 독특한 원리라고 인정되는 실존(esse)을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텍스트 자체가 실존의 궁극성을 분명하게 증거하는 한, 형이상학의 학적 필연성은 실존의 우산 아래서 확보되어야 할 문제이지 실존을 변방으로 내모는 이유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가늠해 본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ebate between N. Clarke and J. Conway on the subject of metaphysics in the end of 1950s. Both of them acknowledge that the subject of Metaphysics of St. Thomas Aquinas should be a real being. They, however, differ on the extent of the real being as a subject of metaphysics. Clarke initiate the controversy by accusing the traditional Thomist texts that they wrongly define the subject of metaphysics as `that which is or can be`. He insists that only `that which is` could be the subject. Conway counterattacks against Clarke, arguing that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the subject of metaphysics is correct and valid. Consequently the point of dispute is whether the possible being is included in the subject of metaphysics or not. The respective positions of Clarke and Conway are backed by their respective understandings of the meaning and the role of esse, the unique and distinguishing metaphysical principle of St. Thomas Aquinas. Both of them admitted that the esse, through which every being is a being, is the core principle of being in St. Thomas` metaphysics. Here Clarke claims that the possible being could not be the subject of metaphysics. He argues that because the term `possible being` means a being without its own esse, thought it has some kind of relationship with esse insofar as it is still be a being, it never be a member of a real being, which is supposed to have its own esse. On the contrary, Conway insists that the subject of metaphysics should be the possible, rather than actual, being. He points out that esse, as is well known, could be regarded as accidental in that it is not included in the essence. He argues then that if esse is included in the being as the subject of metaphysics, the necessity of metaphysics could never be attained and guaranteed because the actually existing of being which is the result of having its own esse is not a necessary but a contingent being, Then the metaphysics would no more be a science, setting aside the first philosophy. In fine, Clarke sets ultimate importance on esse, while Conway takes more seriously the necessity of metaphysics as a science. Their controversy entails the question on the ontological meaning and status of the possible being in general and its stature in the world of being. It also entails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esse, the metaphysically most important but conceptually least accessible principle of St. Thomas Aquinas.

      • KCI등재

        공통존재자보다 공통존재자의 원인이 더 가지적이다 -토마스의「 형이상학 주해」 서문 분석-

        박규희 한국가톨릭철학회 2023 가톨릭철학 Vol.- No.41

        『형이상학 주해』서문에서 토마스는 형이상학이 존재자 자체와 그 원인인 신과 지성체를 다루는 학문이라고 본다. 그런데 『삼위일체론 주해』와 『원인론 주해』서문에서는 가장 가지적인 것을 다룬다는 측면에서 형이상학의 또 다른 특징을 제시한다. 이 두 텍스트에 나타난 토마스의 견해를 가지고 『형이상학 주해』서문을 읽으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서문의 전반부에서 최고로 가지적인 것의 의미의 다양성이 필연적으로 제시되는데 후반부에서는 그 의미가 다시 하나로 환원된다. 둘째, 가장 마지막에 배우는 학문을 계기로 철학적 행복과 현세적 행복의 불완전성을 이야기해야 하는데 독자들은 이 주제를 『형이상학 주해』서문이 아니라 『원인론 주해』서문에서 마주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해석을 제안한다. 토마스는 『형이상학 주해』서문의 전반부에서는 공통존재자의 연구를 정당화하기 위한 맥락을 설정하고 후반부에서는 공통존재자의 연구가 그 원인의 연구로 필연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논증한다. 형이상학은 공통존재자의 원인을 연구함으로써 완성되는데 토마스는 이 제일원인들이 형이상학보다는 원인론에 더 상세히 논구되어 있다고 판단했다. 형이상학은 원인론을 공부함으로써 마무리되므로 철학적 행복에 대한 이야기는 형이상학 주해가 아니라 『원인론 주해』에 실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In his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Thomas regards metaphysics as a science that deals with being itself and its causes, namely God and intellectual beings. However, Thomas, in his Commentary on De Trinitate and in the prologue to Commentary on the Book of Causes, presents other aspects of metaphysics concerning God and intellectual beings. A comparison of Thomas’s perspectives in these two texts raises two key issues within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Firstly, in the initial portion of the prologue, there is an inevitable differentiation in the meanings of the highest intelligible objects, yet in the latter part, these meanings converge into a singular notion. Secondly, upon reaching the pinnacle of metaphysical inquiry, the discussion of the incompleteness of philosophical happiness should naturally arise. However, this theme is not encountered in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but rather in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the Book of Cause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an interpretation as following: In the early segment of the prologue to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Thomas establishes the contextual foundation for justifying the study of common being. Subsequently, he contends that the exploration of common being inevitably leads to an investigation of its causes. Metaphysics is completed by studying the first causes of the common being. Thomas asserts that these primary causes receive more comprehensive treatment in the Book of Causes than in Aristotle’s Metaphysics. Consequently, as metaphysics reaches its frui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Book of Causes, discussions regarding happiness are appropriately situated within the Commentary on the Book of Causes rather than the Commentary on Metaphysics.

      • KCI등재

        2부 헤겔논문 : 헤겔과 슐라이어마허. 재조명

        최신한 ( Shin Hann Choi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미 오래 전에 형이상학의 죽음을 선언했다. 형이상학의 죽음이 철학의 죽음으로 연결되는 한에서 이 논문은 포스트형이상학 이후에도 여전히 논의되고 있는 형이상학적인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헤겔과 슐라이어마허는 논리학과 형이상학의 분리에서는 철학 자체가 소멸될 수 있다는 사실을 함께 경고한다. 헤겔과 슐라이어마허를 재조명하려는 이 논문은 양자가 당시의 형이상학을 어떻게 갱신하려고 하는지 밝힌다. 중요한 것은 헤겔과 슐라이어마허의 변증법이 새로운 형이상학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서술하는 것이다. 여기서 ‘헤겔 과 슐라이어마허’, 그리고 ‘헤겔 대 슐라이어마허’라는 논의구도가 드러난다. 특히 이 글은 양자에게 상이하게 기능하는 과정적 사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과정적 사유가 만들어내는 현상적 지식과 현실적 지식, 완결된 체계와 개방적 체계의 차이와 연관성을 밝힌다. 또한 헤겔과 슐라이어마허의 형이상학을 각각 연역적 형이상학과 귀납적 형이상학으로 규정하면서 두 형이상학의 교차점이 새로운 형이상학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Postmodernism has declared long before about metaphysics it`s death. Insofar as death of metaphysics is connected with death of philosophy, this paper begins with the metaphysical which is still present after post-metaphysics. Hegel and Schleiermacher warn together that philosophy in itself can be annihilated in separation between logic and metaphysics.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Hegel and Schleiermacher and furthermore clarifies how the two attempts to renew metaphysics at that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describe each role of dialectics for the new metaphysics. Here appear debates on “Hegel and Schleiermacher” and the “Hegel contra Schleiermacher”, Especially this paper illuminates the difference and the coherence between phenomenal and real knowledge, and between closed and open system as the result of procedural thinking, by focusing on this thinking which is functioned differently in the two. According to my consideration Hegel`s metaphysics can be determined as deductive metaphysics, whereas Schleiermacher`s as inductive. And I insist th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wo metaphysics can function as the foundation of new metaphysics.

      • KCI등재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조현수(Jo, Hyun-So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5 No.-

        이 글은 형이상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베르그손의 생각이 무엇이며, 그가 어떠한 사유의 과정을 거쳐 이러한 생각에 도달하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글이다. 베르그손은 형이상학을 ‘실재에 대한 절대적 인식’이라고 정의한다. 우리는 베르그손의 이와 같은 명료하고 솔직한 정의가 왜 우리에게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는지를 이야기하였다. 그에게 형이상학은 결코 사유의 자유로운 유희를 통해 어떤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우리에게 이미 주어져 있는 세계에 대한 참된 지식을 추구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형이상학은 그 탐구목적과 대상에서 결코 과학과 구별되지 않는다. 형이상학은 과학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언제나 그 안에 살고 있으면서 경험하고 있는 <이 세계>, 즉 경험적 세계를 탐구의 대상으로 가지며 이 경험적 세계의 객관적 진리를 참되게 인식하는 것을 그 목표로 삼는다. ‘형이상학(metaphysique)이란 무엇인가?’라고 물을 때 우리는 분명히 그것을 과학(science physique)으로부터 구별될 수 있게 해주는 그 <meta>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묻고 있는 것이다. 즉 우리는 형이상학의 정체성을 과학의 정체성과 대비시켜 규명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형이상학이 과학과 달라질 수 있는 것은 결코 그것이 과학의 물음과는 다른, 그만의 고유한 물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과학에나 그것에게나 공통된 하나이고 동일한 물음에 대해 과학과는 다른 대답을 할 수 있을 때에만 그럴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형이상학과 과학의 차이는 그 탐구의 시작이나 과정에서보다는 그 결과에서 찾아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는 여러 다양한 복수(複數)의 과학들, 즉 저마다 서로 다른 대상들을 각기 탐구하는 상이한 여러 과학들을 모두 ‘과학’이라는 하나의 단수(單數)의 이름으로 묶을 수 있게 해주는 <보편적인 지식의 논리(epistemologie)>가 무엇인지를, 즉 ‘참된 객관적 지식’을 가져다주는 진정한 현대과학으로 대접받는 모든 학문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공통된 지식의 논리가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과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실재의 본질을 어떻게 보고있는가를 규명하려 하였다. 베르그손이 과학적 지식이 곧 실재에 대한 절대적 인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하고 과학의 인식방식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독특한 인식방식을 사용하는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의 필요성을 주장하게 된 것은 과학의 기계론적 설명방식을 초과하는 어떤 초기계론적인 본성의 힘이 생명체의 활동을 주도하는 힘으로서 우리가 사는 실재 속에 객관적으로 실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바로 이러한 초기계론적인 힘이 실은 생명체의 활동을 주도하는 원리로서만 작용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물질을 포함한 실재의 모든 것의 활동을 지배하는 근본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로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What is metaphysics? The answer that Bergson gives to this essential philosophical question is very clear and frank. His answer says that the aim of metaphysics is nothing else but to gain absolute knowledge of the real, i.e. of the empirical world in which we always live. That is to say that he does not think the reason metaphysics could exist as an independent science distinguishable from other sciences lies in its ability to have a different objective of investigation than those sciences do. His definition of metaphysics proposes the idea that it has exactly the same objective of investigation as other empirical sciences, because these sciences also have in mind as their objective of investigation to gain absolute knowledge of how the empirical world works. By consequence, ‘experience’, normally considered as being able to serve as the definitive criterion for the distinction between metaphysics and science(physical science), cannot play such a role for Bergson, because the only way by which metaphysics could accede to the absolute knowledge of the empirical world is to refer to experience. As metaphysics has the same objective of investigation an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must employ the same method(experience) as science, it is necessary for him to pursue his investigation with a long companionship with science. It means that it is not from the start, but only at the arrival that metaphysics would, if it is possible, separate itself from science, because their difference does not exist in that they raise respectively different questions - if this is the case, their separation would have been existed from the start -, but only in that they give respectively different answers to the one and same question they have in common, i.e. the question of how the empirical world works. Bergson declares that the answer given by metaphysics conceived by himself is not only different from, but even superior to the one that science gives to this same question. That is to say that he accords the value of absolute knowledge exclusively to his metaphysical knowledge in, at the same time, condemning scientific knowledge to a mere relative knowledge. Thus, we ask in this paper what the reason that makes Bergson place his metaphysical knowledge above scientific knowledge is.

      • KCI등재

        자연주의 형이상학은 가능한가?

        이정민 한국과학철학회 2018 과학철학 Vol.21 No.3

        Recently Ladyman et al. (Ladyman and Ross 2007) criticized contemporary metaphysics for being “scholastic” and proposed their own version of “naturalistic metaphysics.” While the existing metaphysics is based on ontological assumptions conflicting with modern physics, their own metaphysics is claimed to be the best possible alternative consistent with it. While I sympathize with their criticism that contemporary analytical metaphysics is scholastic, I doubt it can be replaced by a form of naturalism. Especially, Ontic Structural Realism (OSR), which is the core of naturalistic metaphysics,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realist argument of OSR, the so-called ‘no-miracles argument,’ has a problem hitherto unacknowledged. Second, OSR blurs the crucial distinction between mathematical and physical structures. I argue that these unsolved problems pose real threats to OSR’s realism. As an extension of my criticisms, I discuss non-metaphysical alternatives compatible with modern physics that resolve the two problems of OSR. In conclusion, naturalist metaphysics is not the best alternative to the existing metaphysics. 최근 래디먼 등(Ladyman and Ross 2007)은 동시대 여러 형이상학을 ‘신스콜라적’이라 비판하며 자신들만의 ‘자연주의’ 형이상학을 내세웠다. 기존 형이상학이 현대물리학과 충돌하는 잘못된 존재론에 기초하는 반면, 자신들의 형이상학이야말로 현대물리학과 양립 가능한 최선의 대안이라는 것이다. 나는 동 시대의 분석 형이상학이 스콜라적이라는 그들의 비판에 공감하지만, 그것이 자연주의의 형태로 대체될 가능성에는 회의적이다. 특히 자연주의 형이상학의 핵심인 존재적 구조 실재론(OSR: Ontic Structural Realism)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OSR의 실재론 논변인 ‘기적 논변’에 미지적된 문제가 있다. 둘째, OSR은 수학 구조와 물리 구조의 구분을 무너트린다. 나는 이 둘의 미해결이 OSR의 실재론에 대한 실질적 위협이라고 주장한다. 이렇게 OSR을 비판한 연장선에서 나는 OSR의 두 가지 문제가 없으면서도 현대물리학과 양립가능한 비형이상학적인 대안을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자연주의 형이상학은 기존 형이상학에 대한 최선의 대안이 아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