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수전공의 경제적 분석 : 4년제 대학 졸업자를 중심으로

        배호중(Bae Ho Joong),박태수(Park Tae Soo)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0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의 4년제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복수전공 실태 및 복수전공이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있어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수전공자와 단일전공자를 비교함에 있어 관찰되지 않은 개인의 이질성(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과 선택편의(selection bias) 문제를 최소화시키고자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따른 대학졸업 소요기간, 졸업 후 첫 직장 구직 걸린 기간, 임금수준, 괜찮은 일자리 취업가능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4년제 대학졸업자의 13.2% 가량이 복수전공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자연과학계열에 비해 인문사회계열 분야 전공자들이 복수전공을 많이 이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경영 · 경제 분야를 복수전공으로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단일전공에 비해 까다로운 복수전공의 졸업요건 충족을 위한 대학재학 기간의 연장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복수전공자들의 대학재학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긴 것으로 나타나 복수전공에 따른 대학 재학기간 연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복수전공 이수의 긍정적인 효과는 이수한 복수전공의 모든 계열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공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가장 활발히 이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제 · 경영 분야의 복수전공 이수가 초기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특히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수전공 이수 결정이 대개 대학입학 초기(1~2학년)에 이루어짐에 따라 ‘미래 취업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복수전공 선택사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그 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보다는 적성 및 복수전공에 따른 손익을 충분히 고려한 선택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tatus of double majoring and its effects on the process of shifting to the labor market in university graduates on the basis of the data from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to minimize such problems as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and selection bias in comparing single and double majors,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effects of double majoring on the length of time taken to graduate from university, the length of time taken to get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the wage level, and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decent job. About 13.2% of university graduates were double majors; majors in humanities and sociology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be double majors than those in natural science subjects; and a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subject was generally most likely to be selected as a double major. The positive effects of double majoring were not identical in all the relevant subjects but differed by majors; double majoring in an economics or business administration subject, which is most frequently selected as a double major, was especially useful in the initial process of shifting to the labor market. While the decision on double majoring is largely made at the initial period of university days-by freshmen or sophomores-mostly due to the 'ambiguous expectation that it would help to get a job later, ' it is necessary to select a double major,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aptitude and possible loss and gain from it rather than ambiguous expectation of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왕분(Fen Wang),김주경(Ju-K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국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 광시성 및 후난성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주도적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고, 주도적 성격이 진로준비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는 학년 및 전공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모든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중국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확인되어 완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주도적 성격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미친다는 점에서 주도적 성격에 기반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형성을 통해 대학생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이행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initiative persona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Methods Initia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measured for 53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in Guangxi and Hunan provinces, China,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path leading from initiative personality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grad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ere confirmed between all variables. The direct effect of the initiative personalit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confirmed. Conclusions The initiative personality has no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able college students to carry out specific and practic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the formation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ased on the leading personality.

      •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모형개발 연구

        황여정,전현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참여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여기에서 개발된 모형의 운영을 지원하는 정책영역과 정채과제를 도출함으로써, 지역사회 참여 모형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법령 및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설문조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소년참여의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지역사회 참여의 범위와 유형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사회 참여 모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법령 및 정책 분석을 통해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와 체계를 검토하고, 그간 추진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에서 추진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사례 중 대표적인 사례를 선별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 사례로 선정된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청소년이 주도하는 활동들이었고, 청소년 참여가 실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들을 마련해두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스스로 참여 활동을 이끌고 의사결정을 해나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지역사회 참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참여 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참여 활동의 종류와 형태, 참여 경로, 참여 동기 등 기본 정보, 참여 활동의 운영 방식 및 의사결정 공유 수준, 참여 경험에 대한 평가, 지역사회 참여 관련 욕구 등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상술한 선행연구 검토, 법령 및 정책 분석,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실태조사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해, 일반적·다수 참여, 실질적 참여, 일상적 참여를 모형 개발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모형 개발의 원칙으로 청소년 주도 의사결정, 프로젝트 기반(Project-based) 참여 활동, 범용 모형의 개발, 포괄적 의미의 사회참여, 단계별 적용 가능한 모형 도출 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 방향과 원칙에 의거하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도출한 모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가 활성화 되도록 정책 추진 근거를 강화하고, 기존 정책을 수정·보완하여 청소년참여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며, 청소년들의 지역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 연계를 강화하고,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의 실질적 영향력을 확보하며,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for vitalizing youths’ participation, and, based on it, is for developing and supplying practical operation model which can be applied on the field. Moreover, by deducting political domain and task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developed model, it is for constructing the environment where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can be operated effectively. To achieve the object effectively, this research used various research method including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alysis of examples and survey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of all, it examined theoretical model of youths’ particip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on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checked the realm and types of the participation; and deducted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Also, it examined legal basis and system of policy enforcement through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d it analyzed the result and limitation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policies that have been enforced. Next, it selected representative examples among examples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enforced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conducted case analysis. As a result, the examples selected as excellent ones were activities led by youths, provided various devices for youths’ participation to be continued to the real change and constructed system where youths can lead the participation and make decision.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conducted survey of youths who have participated and onsite specialists to grasp the reality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Main contents included basic information such as types and forms of participation activity, route of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of participation; operation methods of participation activity; level of decision making sharing; assessment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and desire for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Also, by putting all results of advanced research examination,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alysis of excellent examples internal and external and the reality investigation that were written above together,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developing the model, genera l・major participation, actual participation and daily participation were set as the basic direction of model development, and youth initiative decision making, project-based participation activity, development of general model, social participation in comprehensive meaning and deduction of model that can be applied by stage were set as rules of model development. Also, based on these direction and rules, youths’ participation model was developed. Finally,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where the deducted model is effectively operated and to vitalize youths’ participation, it suggested to reinforce the basis of policy enforcement, converse paradigm of youths’ participa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existing policy, reinforce connection with school education for expanding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chances, secure the actual influence of youths’ participation and reinforce the infra for vitalizing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미디어 메시지 효과 지각의 정확성 검증

        허유진(Yu-Jin Heo),정성은(Sungeun Chung) 한국언론학회 2016 한국언론학보 Vol.60 No.2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accuracy of perceived media effect and tested accuracy by comparing perceived amount of attitude change with actual amount of attitude change by opinion poll coverages. In a nationwide online survey (N = 519), opinion poll results were manipulated and attitudes toward the issue (multinational GMO compan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oll result exposure. Perceived amount of attitude change by poll results was also measured. When the majority opinion in the poll was incongruent with the respondents’ pre-existing attitude, first, perceived message effect on other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at on self(i.e., the third-person perception); second, respondents underestimated the amount attitude change of self; third, respondents overestimated the amount of attitude change of others. When the majority opinion in the poll was congruent with the respondents’ pre-existing attitude, the perceived amount of attitude change did not differ from the actual amount of attitude change for both self and oth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