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슈광고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태도 및 브랜드태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이슈관여도와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

        김나현,이철영,김진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As establishment of corporate imag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the social issue advertising, rather than commercial advertising as a means of persuading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is increasing. Companies are trying to make consumers recognize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have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company. This experimental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issues on the advertising liking and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ssues by using present social issue of female products(sanitary napki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ssue involvement and product involvement on the advertising liking and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tuational appeal of insole sanitary napkin for low-income class showed higher advertising liking than the persistent appeal of sanitary napkin safety, indicating the situa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advertising liking. And the situation appeal of insole sanitary napkin for low-income class showed higher brand attitude than the persistent appeal of sanitary napkin safety, indicating that the situa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brand attitude. Secon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advertising liking. An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brand attitude. Thir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advertising liking. An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brand attitude.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social issue advertising plays a positive role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 and brand. However, if the content to be discussed in the issue advertising is misunderstood by consumers, it may play a negative ro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any, product, and brand image. Therefore, social issues must be appropriately used by considering the foregoing. 최근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심어주고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회적인 이슈들을 활용한 이슈광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주제를 활용하여 이슈광고의 소구유형에 따라 광고태도 및 브랜드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이슈 및 제품 관여도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소구 유형을 지속적 소구와 상황적소구로 구분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황적 소구 광고가 지속적 소구광고보다 광고태도 및브랜드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슈관여도가 높은 경우 상황적 소구 광고가 광고태도 및 브랜드 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 관여도가 높은 경우 상황적 소구 광고가 광고태도 및 브랜드 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시적으로 이슈에 대한 관여가높아지고,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거론되는 이슈를 이용하는 것보다 이슈가 된 상황을적극적으로 이용한 광고를 제작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서 이슈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는 경우에는 지속적 소구광고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슈광고의 소구유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 이슈 관여도 및 제품 관여도가 광고의 소구유형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서적 이슈와 디지털 액티비즘 연구: 이슈 관여와 유발 경로를 중심으로

        이준희,차희원 한국광고학회 2022 광고학연구 Vol.33 No.4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issue characteristics activate the level of cognitive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affective involvement differently, and the public is aff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involvement. Through this study, I focused on affective involvement, away from cognitive involvement-oriented research, and the path was confirmed that the affective issue in which the level of affective involvement is predominantly activated and the level of cognitive involvement is less activated induce digital activism. In this process, various variables influencing the path of digital activism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affective issue, as predi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ausal influence from emotional factors to cognitive factors appea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factors had a major influence on digital activism. The triggering factor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emotion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digital activism. 본 연구에서는 이슈 특성이 공중에게 활성화하는 인지적 관여와 정서적 관여의 수준에 따라 공중 행동이 다르게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으며, 인지적 관여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정서적 관여에 집중하였다. 연구를 통해 정서적 관여 수준이 우세하게 활성화되고, 인지적 관여 수 준이 덜 활성화 되는 정서적 이슈가 디지털 액티비즘을 유발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 서 디지털 액티비즘 유발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분노, 불안과 같은 감정 요인과 주관적 규범, 태도, 효능감, 경제적 효용과 같은 인지 요인, 그리고 편향, 열망, 사회적 동조, 공감 과 참여효능감 같은 촉발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온라인 설문조사 형식을 통해 245명의 피 험자를 대상으로 준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이슈에서는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예 측한 바와 같이 감정 요인에서 인지 요인으로의 인과적 영향 관계가 나타났으며, 디지털 액티비 즘에 감정 요인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촉발 요인들 또한 감정 요인, 인지 요인과 디지털 액티비즘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기업 이슈광고의 시의성 유형과 소비자의 이슈 관여도에 따른 효과 연구

        김충현 ( Chung Hyun Kim ),조재수 ( Jae Soo Cho ),이혜경 ( Hae Kyun Lee ) 한국PR학회 2010 PR연구 Vol.14 No.2

        Recently, as differentiation of product quality diminishing, building differential association through positive corporate association or corporate image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communication objective to be obtained, and corporate ads which deal with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become a limelight of practical and academical areas. Our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rporate ads(attention, attitude toward ads, attitude toward sponsors) on the assumption that they can be different by the timing of issue advertising(situational/continuous) and consumers` issue involvement(high/low).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ttention to issue advertisements are higher for the situational issue advertising than for the continuous advertising and the effect was moderated by consumers` issue involvemen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iming types of issue advertising in terms of ad attitudes,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showed that consumers` attitudes toward advertisers were more favorable for the continuous issue advertiser than for the situational issue advertis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and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정치 쟁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관여도, 뉴스 신뢰도,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 : 조절변인을 중심으로

        김미경,김봉덕,이은지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7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사전지식 수준이 어떠한 조절요인을 통해서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는지를 검 토하였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관여도와 뉴스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 관여도 구성 요소중 이슈관여, 가치관여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고, 뉴스신뢰도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검토한 결과, 정보전달과 정보공유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과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관계에서 관여도와 뉴스신뢰도가 조절 요인으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두 조절요인으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좋아요’에는 뉴스신뢰도와 가치관여가 조절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달기’는 가치관여가 가장 높게, 정치관여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공유하기’의 경우엔 뉴스신 뢰도, 이슈관여, 정치관여, 가치관여등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moderating factors on the relation of prior knowledge and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how prior knowledge on Thaad(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issue affect to news reliability and involvement. The results showed prior knowledge on Thaad influences to issue relevant involvement and value relevant involvement but doesn't influence to news reliability. The result of the relation of the relation prior knowledge and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is insignificant. The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rior knowledge on Thaad and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is moderated by new reliability and involvement. The result shows new reliability and involvement play significant role of moderate factors. To put it concretely, ‘Like’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is moderated by news reliability and value relevant involvement. ‘Commen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is moderated by value relevant involvement and political relevant involvement. ‘Share’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is moderated by news reliability, issue relevant involvement, value relevant involvement and political relevant involvement.

      • KCI등재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뉴스 소비자의 확증편향과 관여도 매개효과: 진짜뉴스와 가짜뉴스 비교

        이은지,김미경,성동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examines how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clicking ‘like’, posting and sharing is influenced through the confirmation bias and involvement(value relevant involvement and issue relevant involvement) focusing on comparing between real news and fake news. Firstly, all readers who read real news and fake news have confirmation bias. The readers who read real news are little stronger than fake news. Secondly, real news showed that value-relevant involvement is higher than fake news. Issue-relevant involvement influenced consuming news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real news and fake news. Thirdly, the consumer of real news played more social endorsement such as ‘like’ and ‘share’ than fake news. Fourthly the confirmation bias, value-relevant involvement and issue-relevant involvement play important role of mediated effect to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on the real news and fake news. The higher confirmation bias and value-relevant involvement is, the higher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like’ and ‘share’ is. The higher issue-relevant involvement is, the higher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post’ and ‘share’ is. 본 연구는 진짜뉴스와 가짜뉴스를 본 수용자가 확증편향과 관여도(가치관여와 이슈관여)를 통해 어떻게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하였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자신의 선호정보를 알리는 ‘좋아요’, 적극적인 의견행동인 ‘댓글달기’, 확신정보를 공유하는 ‘공유하기’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진짜뉴스든 가짜뉴스든 뉴스 수용자는 확증편향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진짜뉴스 수용자가 좀 더 확증편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가짜뉴스 보다 진짜뉴스에 대해 가치관련 관여가 높게 나타났다. 이슈관련 관여는 뉴스수용에 영향을 미쳤지만 진짜뉴스와 가짜뉴스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짜뉴스보다 진짜뉴스에 대해 소셜 지지가 많이 이루어졌다. ‘좋아요’와 ‘공유하기’를 통해 소셜 지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진짜뉴스와 가짜뉴스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좋아요’, ‘댓글달기’, ‘공유하기’)에 대해 확증편향, 가치관여, 이슈관여는 중요한 매개작용을 하였다. 확증편향과 가치관여가 클수록 ‘좋아요’와 ‘공유’등의 행동에 대해 매개효과가 컸으며 이슈에 대한 관심도가 클수록 ‘댓글과 공유행동에 대해 매개효과가 컸다.

      • KCI등재

        환경 커뮤니케이션에서 통제 언어 및 메시지 소구 방향의 영향력: 이슈 관여도의 조절 효과와 심리적 반발의 매개 효과 중심

        김혜인,김영욱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광고연구 Vol.0 No.116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trolling language and message orientation on pro-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issue involv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react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ssue involv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ssage orienta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s. Specifically, for the low involvement group, the self-oriented messag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ociety-oriented message for the low issue involvement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ontrolling language, message orientation, and issue involvement. Specifically, when the society-oriented message was presented to the high issue involvement group, using autonomy-supportive language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controlling language. The study revealed that negative emotion, which is one dimension of psychological react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ing languag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s. Also, this indirect effects of controlling language was moderated by message orientation. Theoretical ramif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통제 언어와 메시지 소구 방향이라는 메시지 요인에 따른 설득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개인적 특성인 이슈 관여도의 조절 효과와 감정적, 인지적 반응인 심리적 반발의 매개 효과가 존재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이슈 관여도가 낮은 경우 사회 지향 메시지보다 자기 지향 메시지에서 친환경 행동 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메시지 소구 방향의 영향에 대한 이슈 관여도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친환경 행동 의도에 대한 통제 언어, 메시지 소구 방향, 이슈 관여도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이슈 관여도가 높은 집단에게 사회 지향 메시지를 제시할 경우 통제 언어보다 자율 지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다음으로, 통제 언어가 친환경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적 반발의 한 차원인 부정적 감정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부정적 감정을 통한 매개 효과는 메시지 소구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한 논의를 바탕으로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설득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후변화방지 캠페인을 위한 메시지 프레이밍의 전략적 사용: 이슈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이기영,이진균,임연수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6 No.2

        limate change mitigation actions are undertaken to minimize the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of future climate change. In this regar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orts can be compared to prevention behavior in health behavior research, which is taken to mainly prevent the onset of disease. Based on the similarity, this study seeks to examine how transferable extant research findings on message framing from heath behavior research are to the climate change case.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specify some boundary conditions for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in climate change mitigation-related campaigns, by proposing and testing issue involvement as a moderator. A 2(message framing: gain vs. loss) x 2(issue involvement: high vs. low)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gain framing led to higher levels of perceived issue seriousness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mitigation campaigns only for the participants in the high involvement condition. For the participants in the low involvement condition, no framing effect was observed. 본 연구는 위험성이 낮게 지각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한 행위라고 고려되는 예방행위(prevention behavior)의 경우, 손실 프레이밍에 비해 이익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와 유사한 프레이밍 효과가 기후변화방지 노력과 관련한 친환경 공공캠페인에 적용가능한지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의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을 탐색하기 위해 이슈관여도를 조절변인으로 제안하고 프레이밍과 이슈 관여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2(프레이밍: 이익 vs. 손실) X 2(이슈관여도: High vs. Low) 피험자간 요인 설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프레이밍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프레이밍과 이슈관여도의 상호작용효과의 경우, 이슈 심각성 지각과 캠페인 태도 부분에서 관여도가 높은 실험 참가자들의 경우에만 이익 프레이밍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방지 캠페인과 같은 친환경 캠페인의 경우에 프레이밍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Effect of 360-Degree Virtual Reality Fundraising Campaign on Public Participation in Social Causes: The Role of Presence, Empathy, and Issue Involvement

        오현정,박노일,장정헌,김정환 한국PR학회 2023 PR연구 Vol.27 No.4

        Objectives Nonprofit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turning to immersive virtual reality (VR) technologies to attract public attention and expand their prosocial businesses. While focusing on the water supply issue in developing countries,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condition and mechanism through which an immersive VR fundraising campaign induces public participation and the role of issue involvement, which determines the effectiveness of VR. Methods A lab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74 participants. Results The experiment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360-degree VR video generated a strong sense of presence but failed to evoke an empathic response from the audience. The effect that the storytelling platform had on empathy was moderated by users’ issue involvement. While the level of empathy significantly predicted participants’ intention to donate, the sense of presence predicted their intention to share the video.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provide implications that can help guide campaign practitioners in when and how to adopt immersive technologies in nonprofit sectors to enhance public engagement and support.

      • KCI등재

        The Influence of Blog Posting on Issue Involv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Nohil Park(박노일) SBS 201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9 No.1

        블로그 이용의 사회정치적 파급력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경험적인 차원에서 블로깅의 민주주의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점검한 연구를 찾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한국 블로거 824명의 온라인 답변자료를 토대로 블로그 포스팅(posting) 행위가 블로거들의 사회정치적 쟁점에 대한 참여를 어떻게 유도하는지 살피고자 했다. 연구 결과, 블로그 포스팅 행위는 블로거들의 사회정치적 쟁점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그들의 사회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블로거들이 활발하게 블로그 포스팅을 할수록 블로거들은 더욱더 심리적으로 공적인 쟁점들과 연관되며, 나아가 정치적 사안에 대한 참여에 이르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블로거들의 적극적인 포스팅 행위로 촉발된 심리적인 쟁점에 대한 관여도 증가는 블로그 포스팅이 정치참여로 이어지게 하는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는 블로거의 의견이나 주장을 표현하는 블로그 포스팅 행위가 블로거들의 공적인 쟁점에 대한 심리적 관여를 통해 실질적인 정치적 참여를 촉발한다는 구조적 관계를 제시한다. 블로거들의 블로그 포스팅 행위의 중요성과 정잼관여도 및 정치참여 관계성을 체계적으로 확인했다는데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진다. While research for blogging has gained the attention of communication theorists recently, very few scholars have examined blogging and its democratic values empirically. This study uses data from 824 online surveys garnered from Korean bloggers to examine how blog posting could raise bloggers’ public engagement. Overall, the study found a relationship among blog posting, issue involv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re people actively blog, the more those people are psychologically involved with public issues and participate in political matters. Additionally,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bloggers’ issue involvement played a role in mediation between blogging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behavior of blog posting in promoting political activities, indicating that the active expression of bloggers’ thoughts and opinions facilitate political participation as well as socio-political issue involvement.

      • KCI등재

        The Influence of Blog Posting on Issue Involv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박노일 (주)에스비에스 201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9 No.1

        While research for blogging has gained the attention of communication theorists recently, very few scholars have examined blogging and its democratic values empirically. This study uses data from 824 online surveys garnered from Korean bloggers to examine how blog posting could raise bloggers’ public engagement. Overall, the study found a relationship among blog posting, issue involv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re people actively blog, the more those people are psychologically involved with public issues and participate in political matters. Additionally,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bloggers’ issue involvement played a role in mediation between blogging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behavior of blog posting in promoting political activities, indicating that the active expression of bloggers’ thoughts and opinions facilitate political participation as well as socio-political issue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