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관광 활동의 불균형 및양극화에 대한 실증 연구

        최승묵,박정숙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9

        본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 승인통계인 「국민여행 실태조사」의 2010년 및 2011년 원자료(raw data) 중 연간 국내 관광여행 횟수․일수․지출액의 자료를 이용하여 불균형 측정 지표인 지니계수와 양극화지수인 Wolfson 지수를 도출하여 우리나라 국내 관광 활동의 불균형 및 양극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여행단위는 개인여행과 가구여행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관광활동의 불균형 분석 결과 개인단위 및 가구단위 모두 국내 관광여행 횟수, 일수, 지출액 중 국내 관광여행 지출액의 불균형 정도가 가장 심각하였으며, 관광여행 일수, 관광여행 횟수 순으로 불균형 정도가 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국내 관광여행 활동 지니계수와 가구 소득 지니계수를 비교해 본 결과 가구소득보다 국내 관광활동의 불균형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내 관광활동의 양극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개인단위의 국내 관광활동에 있어 관광여행 일수의 양극화 정도가 가장 심각하였으며, 관광여행 횟수, 관광여행 지출액 순으로 양극화 정도가 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단위의 국내 관광활동은 관광여행 일수의 양극화 정도가 가장 심하였으며, 관광여행 지출액, 관광여행 횟수의 순으로 양극화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관광여행 활동 양극화 지수와 가구소득 양극화 지수를 비교해 본 결과 가구소득보다 국내 관광활동의 양극화 지수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phenomenon have emerged as a social issue to be solved. Recently some studies have analyzed th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phenomenon about leisure time and activities, but few have hitherto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tourism research.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phenomenon in domestic travel activities - the number of travels, total number of travel days, travel expenditures - using 2010 & 2011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data(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inequality of domestic travel activities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Gini coefficient and the polarization of domestic travel activities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Wolfson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inequality and polarization phenomenon in domestic travel activities. In addition to, domestic travel activities inequality and polarization phenomenon has been intensified and the polarization of income inequality has been getting more serious.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study.

      • KCI등재

        교육양극화 개념과 측정에 관한 논의

        조영재,고현민,한석근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2

        This study begins with the idea that educational polarization is different from educational inequality or educational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educational polarization and suggest an alternative research approach to it. To achieve these goals, the following tasks has been chosen: first, in what way can educational polarization be synthetically conceptualized?; second, what is the alternative research approach to educational polarization?; third, what is a possible way of measuring education polarization?. On the ground of previous study relative to educational polarization, it is realized that the concept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s not identical with one of educational inequality or educational gap bu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n, a newly reconstructed concept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s devised and this concept includes educational equality(opportunity, condition, and outcomes), comparing groups(a class, a generation, district or sex), and an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olarization(heterogeneity across groups, homogeneity within a group, and a reduced middle class). With this newly reconstructed concept, an alternative way of measuring educational polarization is proposed that three characteristics of polarization should be applied to evaluate the level of educational polarization.

      • KCI등재

        Examining Inequality in Housing Allocation and Housing Affordability

        Jin-Kyung Lee(이진경),Seong-Kyu Ha(하성규) 한국주택학회 2011 주택연구 Vol.19 No.1

        이 논문은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핵심요소로써 부담가능주택에 거주할 수 있는 기회균등의 중요성을 제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네가지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분배의 불평등만큼 주택할당의 불평등도 존재할 뿐 아니라 심각하다는 것을 10분위분배배율을 통해 제기하였다. 둘째, 그 격차내에서도 계층별 영향정도가 소득의 경우와 주택의 경우가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경제학적 비율개념을 적용하여 개발한 지표에 의해 설명하였다. 즉, 소득분배의 불평등 격차는 5분위이하에서 64.8%가, 주택할당의 불평등 격차는 5분위 이상에서 64.4%가 설명되는데 소득분배는 소득이 낮은 집단의 격차가 더 크고 주택할당은 주택가격이 높은 집단의 격차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득과 주택가격의 빈도분석을 통해 저소득계층일수록 부담가능주택에대한 수급불균형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여건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각 소득계층별 부담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PIR 지표를 소득계층과 주택가격계층을 10개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그룹간의 PIR을 산정하였는데 그 결과 최저소득-최저가격 그룹인 그룹1의 PIR은 9.77배, 그룹10의 PIR은 8.35배로 두 그룹 모두UN-HABITAT에서 제시한 PIR의 임계치(좋은 주택금융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신규주택구입이 어려운 정도) 5배 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유형의 양극화도 나타나고 있는데 낮은 소득 계층의 부담가능 주택은 다세대와 다가구 주택에 한정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들 주택들이 뉴타운과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멸실되어가고 있어 주택유형의 양극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This article proposes that an equality of opportunity to dwell in affordable housing is a key factor for housing welfare in our society. It looks at whether or not inequality of housing allocation is as serious as inequality of income and it examines housing affordability within each income group. Also, the paper proposes a methodological development which uses the logic of income equality measurement, the 10th decile over 1st decile ratio, inorder to estimate inequality of housing allocation. It applies the ratio system rearranged by 5th decile in housing price and income and uses natural logarithms on both sides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main impact bracket of the inequality. The first finding is that the inequality of housing allocation is as serious as the inequality of household income in Seoul, but the main cause bracket of the inequality in income is a contrast to that of housing allocation. The inequality in income spans a wide range below 5th deciles and that in housing price is due to an excessive gap above 5th deciles. The second finding is that Seoul has a partial disequilibrium problem between supply and demand, what households can actually afford is mismatched with affordable housing stocks. The third finding is that affordability in both the highest and lowest income brackets is poor, because both are twice the PIR threshold (five times) of UN-HABITAT. The final finding is that there is a polarization in housing types. Higher-income households live in apartments, whereas lower-income households live in “Dagagu” and “Dasyedae”, which are small low-priced housing units. Furthermore, the quickening pace of reconstruction projects in Seoul has increased the demolition of relatively low-cost dwellings, thus depriving many of the opportunity to reside in affordable housing.

      • KCI등재

        소득분포 양극화의 특성과 경제,사회적 영향 / 논평 / 일반토론

        신관호 ( Kwan Ho Shin ),신동균 ( Dong Gyun Shin ),강석훈,임경묵,오영균,박종규,전성인,송의영,윤창현,신관호 한국금융연구원 2007 韓國經濟의 分析 Vol.13 No.1

        전체 평균으로부터의 산포도만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소득불평등 지수에 비해 지역평균값들을 중심으로 집단화 내지 집락화되어 가는(clustered) 현상을 반영하는 양극화 지수는 사회가 지니고 있는 잠재적 갈등의 수위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Esteban, Gradin, and Ray(1999)가 개발한 양극화 지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하였다. 첫째, 신동균 · 전병유(2005)를 보다 확장하여,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소득분포의 변화양상을 외국과 비교함으로써, 최근 한국의 양극화 지수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다 강화하였다. 둘째, 최근의 양극화 진전에 대한 일차적인 원인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의 양극화의 진전은 저학력자 및 고연령층들에게 보다 불리한 방향으로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최근 금융위기 이후의 양극화 진전의 이면에는 소득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조업의 비중이 위축되는 과정에서 방출된 가구주들이 편차가 큰 비제조업으로 유입된 사실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득 양극화의 진행이 사회적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실제로 검증하는 차원에서 Park and Shin(2006)의 결과를 한국경제에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양극화의 진전과 범죄율의 변화 사이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level of social unrest associated with the income distribution is better represented by bi-polarization than inequality. This article uses the bi-polarization index developed by Esteban, Gradin, and Ray(1999) to analyze how the income distribution has evolved in Korea for the 1997-2003 period. First, comparison of Korea with several OECD countries in the speed of polarization confirms the Shin and Cheon`s(2005) conclusion that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lies in polarization rather than in rising inequality. Second, we attempt to characterize the dramatic bi-polarization process of the income distribution. Our calculations show that the mobility from the low to the upper class is reduced as the distribution becomes more bi-polarized. Polarization has more unfavorable effects on the low education group or older household heads(45+) than on the high education group or younger ones(44-). It is further observed that income dispersion is typically greater in the non-manufacturing tha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at the rising level of polarization is associated with the great exodus of workers from manufacturing to non-manufacturing. Finally, variatio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across regions and over time is better explained by bi-polarization than by rising inequality.

      • KCI등재

        불평등과 한국의 민주주의

        김순영(Kim Soon-Yo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6 亞細亞硏究 Vol.49 No.4

        This study explores the political cause of social polarization and inequality increased dramatically in South Korea since the IMF crisis in 1997. It is conventionally argued that the economic recession accompanied by rising rates of unemployment and a slow down in economic growth has largely caused the growing social polarization and inequality. Contending the conventional economic explanation, this study provides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emphasize a political aspect of social polarization and inequality from a theoretical view of democracy as the political condition for social integration and equality.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growing social polarization and inequality is a direct outcome of the political failure of the Korean government, not just the result of the downturn of an economic cycle. This study thus argue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lay its active role for solving the problem of social polarization and inequality by the expansion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and the reform of the big?business centered economic structure, redirecting its present economic policy priority of promoting economic liberalization toward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ubstantial democracy.

      • KCI등재

        미국의 소득불평등과 정치양극화

        박복영 ( Bok Young Park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4 비교경제연구 Vol.21 No.1

        미국의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의 정치적 이념의 격차는 1970년대 이후 계속 확대되고 있는데, 이는 흔히 정치양극화(political polarization)으로 불린다. 이런 정치양극화는 정치적 타협을 어렵게 해 2013년 연방정부의 일시 폐쇄로까지 이어졌다. 본 논문은 정치양극화의 요인을 분석하는데, 특히 소득불균형이 양당간 정치이념의 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그것을 뒷받침한다. 각 정당은 소득수준이 다른 핵심유권자층을 갖고 있고 있으며, 이들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방향으로 이념성향을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소득불균형의 심화는 정치양극화를 심화시키게 된다. 이런 가설은 미국의 정치양극화 지수를 소득불균형 지수에 대해 회귀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뒷받침되었다. 즉 최근 미국의 정치양극화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소득불평등임을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통계는 1930년부터 2010년까지 연도별 자료이며, 통제변수로 이민자비중이나 재정상황, 경제 및 정치상황에 관한 변수들이 사용되었다. 모형은 단위근문제를 통제한 일반최소자승법과 도구변수법이 사용되었다. The U.S. two political parties, Republican and Democratic, have widened their ideological gap since the 1970s, which is described as ’political polarization’. The deepened polarization has hampered political compromise, finally giving rise to the federal government shutdown in 2013. This study examines factors of political polarization, in particular highlighting the effect of income inequality on it. First, the theoretical model is suggested to explain that income inequality tends to widen the ideological gap between two political parties. An empirical analysis, then, is undertaken, using political polarization index and income inequality indicators of the U.S. in the period of 1930-2010. The results show that income inequalit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political polariza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non-stationarity problem in time-series variables and possible reverse causa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ascertains that the recently deepened political confrontation in the U.S. can be partly attributed to the increased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세계 식량자급률의 불균등도와 양극화 분석

        전영현 ( Young Hyeon Jeon ),안병일 ( Byeong Il Ahn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5 農業經濟硏究 Vol.5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world``s inequality and polarization of the self-sufficient rate. We referred to the 136 nations`` food self-sufficient rate. The inequality of ``Gini coefficient`` and ``Atkinson index`` are measured. In addition, ``Foster and wolfson index`` and ``EGR index`` are used to calculate the degree of polarization. Through Lerman and Yitzhaki``s covariance method that decomposes Gini coefficient, we find the items that mainly contribute to the inequality of food self-sufficient rate. For the last 40 years, inequality and polarization of food self-sufficient rate have been intensified. The polarization has become severe than inequality. The main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inequality of food self sufficient is identified to be the cereal.

      • KCI등재

        임가의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추이

        김의경,정병헌,김동현 한국산림과학회 201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6 No.4

        This study conducted to examine about the income inequality and bi-polarization for forestry household. For this purpose, Gini coefficient and Atkinson index were used to analyze the income inequality for forestry household. Also, DER index were employed to show their income bi-polarization. Before using these methodologies, forestry household incom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was forestry income, non forestry business income and transfer income. And then, income inequality and bi-polarization were analyzed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forestry household income inequality was higher than whole household inequality. Apart from transfer income, forestry household income, forestry income and non forestry business income inequality was aggravated. At the same time, these tendency was able to observe the bi-polarization for forestry household income and other income sources. 이 연구는 임가의 소득불평등과 양극화의 추이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득불평등도는 지니계수와 엣킨슨 지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양극화는 DER 지수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들 지수들은 임가소득과 함 께 이것을 구성하는 하부소득인 임업소득, 겸업소득 그리고 이전소득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임가의 소득불 평등도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불평등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전소득을 제외한 임가 소득, 임업소득, 겸업소득에 있어서 소득 불평등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양극화에서도 볼 수 있다.

      • KCI등재

        기업 문화마케팅을 통한 여가활동 불균형 및 양극화 해소 모형개발

        이려정(Lee, Ryeo-Ju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8 觀光硏究論叢 Vol.30 No.4

        여가의 활용은 가치 있고 행복한 삶을 위한 직접적인 요인이며, 여가활동을 통해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여가생활은 구조적 불평등과 양극화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가활동 불균형 및 양극화 해소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기업의 문화마케팅을 그 대안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기업 문화마케팅, 여가활동, 불균형 및 양극화등 본 연구 구성개념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업 문화마케팅 활동을 통해 여가활동 불균형 및 양극화 해소가 가능한지 분석하였다. 아울러 양적연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실증자료를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세 이상 성인 226명이 표집 되었으며,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 기업 문화마케팅 활동이 여가활동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문화마케팅 활동 참여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론적 고찰 및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문화마케팅을 통한 여가활동 불균형 및 양극화 해소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utilization of leisure activity is a critical factor for having a happy life, which enriches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However, leisure life in Korea’s society is based on structural inequality and polariz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sures of solution for leisure activity inequality and polarization, suggesting corporate culture marketing as an alternativ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of this study including corporate culture marketing, leisure activities, inequality, and polarization has been examined based on theoretical contemplation. In addi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ossibility of settling leisure activity inequality and polarization through corporate culture marketing, along with an additional quantitative research for deducting verification data. 226 adults over 19 years of age were sampled for analysis, followed by verification of hypothesis through a structural model analysis. Results displayed that corporate culture marketing activities can serve its role as a leisure activity, and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culture marketing contributes to enhancement of life quality. Based on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practical analysis results, a model for settlement of inequality and polarization through corporate culture marketing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한국사회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를 위한 산별노조체제로의 전환과 정책 과제

        이종선(Lee Jong-Sun),박영삼(Park Young-Sam),이주호(Lee Joo-Ho)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23 노동연구 Vol.47 No.-

        1997년 IMF 경제위기가 한국사회에 빚어 놓은 가장 큰 사회적 문제는 바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사회 불평등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사회 불평등 문제의 해결 그리고 노동시장 내 일자리의 이중구조 및 양극화에 대한 해법의 하나로 산별노조체제로의 전환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의 불평등은 가구의 시장소득 중 임금소득의 불평등에서 주요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최근 재산 소득의 불평등 비중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니계수의 요인 분해 결과, 고용형 태, 근속, 기업 규모 등이 임금 불평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임금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근속 요인은 최근에 올수록 그 영향이 약화하고 있는 반면에, 고용형태와 기업 규모의 경우 그 영향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이 같은 고용형태 및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불평등과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문제는 개별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현재의 기업별 노조 체제에서 그 해법을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산별노조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법 개정과 단체협약 효력확장 제도의 도입은 1987년 노동체제에 머물러 있는 한국 노사관계의 21세기형 노동체제로의 전환과 새로운 노동 정치의 지형을 만들어 갈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The most significant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1997 IMF economic crisis in Korean society are the dual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social inequalit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ransition to an industrial union system and specific policie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social inequality, which can be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issue in our society, alongside the dual structure and polarization of jobs in the labor market. The main cause of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can be found in the disparity in wage income among households’ market income, and the proportion of inequality in property income has also been gradually increasing recently. The factor decomposition results of the Gini coefficient indicate that employment type, length of service, and company size have the greatest impact on wage inequality. However, concerning its influence on wage inequality, the impact of the retention factor has been weakening in recent years, while the influence of employment type and company size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These problems of wage inequality and the dual labor market structure based on employment type and company size make it even more difficult to find a solution in the current corporate union system. which pursues individual rationality. Therefore, revising the law for the transition to an industrial union system and introducing a system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agreements can not only serve an opportunity to transform Korea’s labor-management relations from the 1987 labor system to 21st-century labor system and create a new landscape for labor politics but also alleviat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