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가 치유프로그램 만족, 충성도,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숲 치유프로그램 경험자를 대상으로 -

        이진의,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1

        Recently, the interest in health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world, and accordingly wellness tourism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health-seeking tourism activities. Also in Korea, health-seeking tourism activities are drastically increasing, and there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healing programs using forests. This study, targeting the increasing healing tourists,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y adding satisfaction with life to the wellness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in a healing program. Study subjects were 311 participants from the Saneum Healing Forest program manag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turned out that the wellness value of healing programs has a higher effect on loyalty through healing program satisfaction than in a direct way. In addition, while wellness value of healing program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life, it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healing program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wellness value of healing programs cannot directly influence satisfaction with life but influence it through healing program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healing programs play a great role for healing tourists’ satisfaction with life. 최근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강추구형 관광활동으로 웰니스 관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건강추구형 관광활동이 급증하고, 이로 인하여 산림청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숲을 활용한 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급증하고 있는 치유관광객을 대상으로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 만족, 충성도의 모델에 삶의 만족의 영향을 추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산음 치유의 숲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311명의 표본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는 프로그램에 만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충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는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는 치유프로그램만족을 매개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는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치유프로그램만족을 통해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가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치유프로그램만족을 통해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치유관광객의 삶의 만족을 위해 치유프로그램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트레스 고위험직군의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효진 ( Ju Hyo-jin ),박현환 ( Park Hyeon-hwan ),정솔 ( Jeong Sol ),김두영 ( Kim Doo Young ),황은정 ( Hwang Eun-jung ),도광선 ( Do Kwang-s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산림치유는 인간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환경적·심리적 요인들을 제거 또는 완화시키기 위하여 숲이라는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스트레스를 비롯하여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저하시키는 각종 요인들을 치유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등장하였다. 하지만 스트레스 고위험직군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방법, 특히 산림을 활용한 치유(healing)가 아주 주목을 받고 있지만 실제 맞춤형 형태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고위험직업군을 대상으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먼저 스트레스 및 산림치유의 이론적 기반에 대한 선행연구의 심층 분석 및 국내외 산림치유프로그램들의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고위험직군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면서 산림치유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로 향후 설계 및 적용될 산림치유프로그램에서 특정조건의 대상자를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과 연령대 별로 차별화된 프로그램 그리고 질환이 고려된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또한 산림치유프르그램의 지속적인 변화발전을 위해서는 전문인력의 양성, 확보 및 조직체계의 확대를 제안한다. Forest healing uses the natural environment of forest to remove or alleviate various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threaten huma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cluding stress and various factors that lower the quality of life. It emerged as a concept for healing.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a customized forest healing program is still lacking at a time when methods for alleviating the stress experienced by high-risk occupational groups, especially healing using forest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xploratory study to design and apply a forest healing program for high-stress occupational groups. Therefore, first, the theoretical basis of stress and forest healing was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forest healing program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oncept and types of high-stress occupational groups are defined and a forest healing program is designed and presented. In this study, as the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to be designed and applied in the future, a specialized program for subjects with specific conditions, a program differentiated by age, and a professional program considering diseases were design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n applicati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for the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there should be training and securing of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design and apply the program, and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 KCI등재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중심으로

        안혜정,강순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치유농업 분야에서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농촌 체험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있어서 치유체험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마케팅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참여시간과 참여비용이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치유 체험프로그램의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해 봄으로써, 치유체험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하는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써 농촌 체험프로그램의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한다. 체험프로그램의 하위요인으로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심미적 체험이 있으며, 매개변수로 체험시간, 체험비용이 있으며, 종속변수로 만족도를 두었다. 또 한 설문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조사대상은 치유체험프로그램에 관심이 있거나 인지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 중 유효한 31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v22.0을 사용하였으며, 매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법과, Andrew F. Hayes(2018)의 SPSS PROCESS Macro Model No.4 검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결과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매개 효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체험(β=.134, t=1.759*)이 체험비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β=.144 t=1.684*)이 체험시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체험(β=.239, t=4.112***)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β=.330 t=4.921***)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시간은 심미적 체험과 만족도 사이에서 부(-)의 비일관적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미적 체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β=.330 t=4.921***이며,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투입 시 직접효과(β=.349 t=5.241***)는 총효과에 비해 β=.019 만큼 증가한 반면, 간접효과(β=-.019)로 부(-)의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ffect of a healing experience program on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healing agriculture. In the development of a rural experience program, what factors constituting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affect satisfaction, and how much time and participation cos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from the marketing point of view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I want to analyze By researching the effect of experience cost and experience time on satisfa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To this en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a healing experience program using experience cost and experience time as parameters on satisfaction, we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priority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a rural experience program. There are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s sub-factors of the experience program, experience time and experience cost as parameters, and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was secured by sett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urvey subjects as control variabl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14 valid questionnaires from the unspecified majority who were interested in or aware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SPSS v22.0 was used,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three-step verification method of Baron & Kenny(1986) and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No. of Andrew F. Hayes(2018). 4 The reliability of the mediating effect was secured by applying the verification method and comparing the analysis resu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experience (β=.134, t=1.759*) had a positive (+) effect on experience cost, and aesthetic experience (β=.144 t=1.684*) had a positive (+) effect on experience time. +) was found to have an effect. Also, educational experience (β=.239, t=4.112***)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β=.330 t=4.921***)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o have a (+) effect. Experience tim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inconsistent mediating effect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and satisfaction. That is, it is the total effect (β=.330 t=4.921***), and the direct effect (β=.349 t=5.241***) increased by β=.019 compared to the total effect when the experience time was input, while the indirect effect (β=-.019), which was shown to exert a negative (-) mediating effect.

      • KCI등재

        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분석

        홍재윤,이정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8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forest healing program through analyses of the program activities given at National Healing Forest and surveys conducted by Korea Forest Service. 99 DB data of the healing forest that were surveyed by KFS (August 2015~April 2016) were collected in order to affirm the activities. We analysed DB based on the format of the survey by target, 6 healing factors, location, season, time periods, operation hours and multifaceted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ies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targeted general public and the factor that was considered the most was psychotherapy factor. Healing forest trails were used as a location, spring, summer and fall as season, morning and afternoon as time period for the majority of the activities. The running time was 60 minutes. The multifaceted evaluation revealed that dynamic activities were preferred the most in development of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it seems to be critical to enhance forest healing instructors’ diversified professionalism. However, this will only be achievable once further investigations regarding forest healing effects by types of illnesses are conducted and provide solid foundation for such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2015년 8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산림청이 조사한 국유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된 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 DB자료 99개를 수집하여 활동내용을 확인하고, 조사 양식에 따라 대상자, 6대 요법(인자), 장소, 계절,시간대, 운영시간, 다면평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할 때 대상자는 대체로 일반적인 대상을 상대로 구성하며, 6대 요법 중 가장 많이 고려된 인자는 정신건강인자였다. 장소는 치유숲길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계절은 봄·여름·가을, 시간대는 오전·오후 모두 가능한 활동이 대부분이었다.또한, 1개 활동의 운영시간은 60분이, 다면평가에서는 동적인 활동이 프로그램 개발 시 가장 선호되었다. 개발된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세분화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질환별 산림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가먼저 선행되어야 입증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자연기반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관광객의 마음챙김(Mindfulness),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진옥,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2

        As concerns for health increase, health-seeking tourists’ activities are increasing globally. In Korea, health-seeking activities based on nature hav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o grasp this social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delves into tourists’ healing psychology through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ourists’ mindfulness, healing restorative environment, and the impacts on quality of life for participants in a nature-based healing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healing tourists visiting “Forest Healing” ultimately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healing program. In detail, the higher the level of mindfulness, the greater the influence on nature emotional control, the healing restorative environment perception, and the greater the influence on attention restoration through healing restorative environment perception. Additionally, healing restorative environment perception and attention restoration influence on program satisfac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increased tourists’ quality of life. However, nature emotional control did not directly influence program satisfaction, but it indirectly influenced it through healing restorative environment perception. The results prove healing restorative environment is a very significant part in finding out the relations among tourists’ mindfulness, healing restorative environment, and the impacts on quality of life.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건강추구형 관광활동이 세계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자연기반 건강추구형 관광활동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광치유심리측면에서 실증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치유의 숲’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치유관광객은 치유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평상시 마음챙김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연을 통한 감정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유회복환경지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유회복환경지각을 통해 주의회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의 숲에서 느끼는 치유회복환경지각과 주의회복은 치유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치유프로그램만족도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연감정조절은 치유프로그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치유회복환경지각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서 치유관광에서 치유회복환경은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광주 어린이 교통공원 내 치유 프로그램 인식에 관한 연구

        강혜미,변준성,현혜인,박율진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3

        지자체에서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홍보가 되지 않고 농촌에서만이 아닌 도심 내에서도 치유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광주 어린이 교통공원 내 위치한 광주 어린이 안전학교에서 운영되는 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로 여러 가지 치유 관련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 광주 어린이 교통공원 이용자의 치유 프로그램 인식 및 프로그램을 합리적이고 구체적으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데 있다. 설문지는 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관한 문항 8문항, 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영역 5개로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감, 꽃나무에 대한 경험, 치유 프로그램 서비스에 대한 인식, 이용만족도로 세부프로그램을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활성화 차이에서 인간관계 스트레스를 제외한 나머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따른 프로그램 활성화 차이에서는 이용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가장 크게 미치는 영향으로 꽃나무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광주 어린이 교통공원 이용자들이 치유 프로그램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며, 신체․정신적 건강증진을 기대 효과로 보았으나, 홍보가 미흡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이 치유에 대한 인식이 높게 변화함에 따라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fact that local governments operate healing programs, there is not much publicity, and healing programs are needed not only in rural areas but also in urban areas. It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ealing programs operated by Gwangju Children’s Safety School located in Gwangju Children’s Transportation Park to activate various healing- related programs at Gwangju Children's Safety School and to reasonably and specifically establish basic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8 questions on perception of the healing program and 5 areas on program activation, classifying and organizing detailed programs into human relationship stress, depression, experience with flower trees, perception of healing program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use. In the difference in program activ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t except for human relationship stress. In the difference in program activa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the rest of the program, except for use satisfaction. The biggest impact of awareness of the healing program was the flower tree experience, and many said that users of Gwangju Children’s Transportation Park were not satisfied with the healing program environment and expected to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but promotion was insufficient. As people’s perception of healing changes higher over time, they will have to develop a healing program.

      • 가족상담의 요구와 자연치유적 가족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상열(Lee, Sang yeol),오서진(Oh, Seo Jin) 한국여가복지학회 2020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1 No.2

        본 연구는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에서 요구되는 문제로 정서불안, 스트레스, 우울 등이 가장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연치유적 가족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자연치유적 가족상담 및 가족 치료 프로그램은 심신치료, 식이치료, 수기치료로 구성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심신치료는 음악치료, 향기요법, 목욕요법, 운동요법, 웃음치료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식이치료는 생식, 주스, 채식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수기치료는 지압, 안마, 마사지, 자세교정 등으로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족상담의 요구 문제의 정서불안은 자연치유적 가족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평균 4.4920만큼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자연치유적 프로그램의 심신치료, 식이치료, 수기치료는 정서불안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가족상담의 요구 문제의 스트레스는 자연치유적 가족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평균 5.171 만큼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자연치유적 프로그램의 심신치료, 식이치료, 수기치료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가족상담의 요구 문제의 정서불안은 자연치유적 가족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평균 4.425 만큼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자연치유적 프로그램의 심신치료, 식이치료, 수기치료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요약하면 자연치유적 가족치료는 가족 상담에서 요구되는 주요 문제는 정서불안, 스트레스, 우울 등을 해결하는 주요 프로그램으로 파악되었다.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는 오늘날 의료의 대체보완의 방안으로 볼수 있다. 건강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업체에서는 이를 받아들여 기존의 프로그램과 병행을 하면 좋은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an be seen as the most common problems required in family counseling, such as emotional anxiety, stress, and depress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atural healing family therapy program was proposed. The family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mental and physical therapy, diet therapy, and manual therapy, and its effects were analyzed. The mental and physical therapy consisted of music therapy, aroma therapy, bath therapy, exercise therapy, and laughter therapy, and diet therapy consisted of reproduction, juice, and vegetarian diet, and manual therapy consisted of acupressure, massage, massage, etc. Verified. It was analyzed that the emotional anxiety of the problem of family counseling needs increased resilience by an average of 4.4920 through the natural healing family treatment progra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ental and physical therapy, diet therapy, and manual therapy of the natural healing program affect emotional anxiety. It was analyzed that the stress of the problem of family counseling needs increased resilience by an average of 5.171 through the natural healing family treatment progra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ental and physical therapy, diet therapy, and manual therapy of the natural healing program affect stress. It was analyzed that the stress of the problem of family counseling needs increased resilience by an average of 5.171 through the natural healing family treatment progra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ental and physical therapy, diet therapy, and manual therapy of the natural healing program affect stress. It was analyzed that the emotional anxiety of the problem of family counseling needs increased resilience by an average of 4.425 through the natural healing family treatment progra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ental and physical therapy, diet therapy, and manual therapy of the natural healing program affect stress. In summary, natural healing family therapy was identified as a major program to solve the major problems required in family counseling, such as emotional anxiety, stress, and depression. It can be seen as an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plan for today s medical care, where the current medical cost burden is increasing. Companies that operate health programs are considered to be good family therapy if they accept this and run it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program.

      • KCI등재후보

        산림치유 환경유형에 따른 부정적 스트레스 유발감정의 치유효과 분석 : 계절별 방문횟수별

        이종명(Lee, Jong Myung)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5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들은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감정(불안감, 우울감, 분노감, 짜증감, 불쾌감)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업들의 많은 교육프로그램 중 산림치유 환경유형(치유센터 프로그램, 치유데크로드, 금강송전망대, 솔향치유숲길, 명상정원, 운동공간, 음악환경, 동물원)의 산림치유프로그램과 계절별, 산에 가는 횟수에 따른 분석을 통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요소를 분석함으로서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산림치유 기업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는 총 3가지로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스트레스 유발감정에 따른 산림치유 환경유형 분석결과 솔향치유숲길에서 불안·우울·분노·짜증·불쾌가 가장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유발감정을 치유하기 위한 계절에 따른 산림치유 환경유형의 치유효과 분석결과 스트레스 유발감정 중 불안과 불쾌를 감소시키기 위한 산림치유 환경유형은 봄·가을보다 여름·겨울에 실행하였을 때 우울과 분노, 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여름·겨울보다 봄·가을에 실행하였을 때 스트레스 유발감정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유발감정을 치유하기 위한 산에 가는 횟수에 따른 산림치유 환경유형의 치유효과 분석결과는 스트레스 유발감정 불안·우울·분노·짜증·불쾌가 산에 가는 횟수에 있어서 거의 안 가는 것보다 산림치유환경에 1년 1회 이상 방문하였을 때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relieve stress, companie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through many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is a forest healing program (Healing Center Program, Healing Deck Road, Geumgang Transmission Observatory, Solhyang Healing) among many educational programs of companies to reduce the emotions (anxiety, depression, anger, irritability, and discomfort) that cause stress in modern people. Forest healing company education program that reduces the stress of modern people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reduce the most stress through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space in the forest road, meditation garden, exercise space, music environment, zoo) In order to help maximize the company s performance through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ways.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est healing program according to the stress-inducing emotion, it was found that the anxiety, depression, anger, irritation, and discomfort were most reduced in the Solhyang Healing Forest Roa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ealing effect of the seasonal forest healing program to heal stress-induced emotions, the forest healing program to reduce anxiety and discomfort during stress-induced emotions was characterized by depression and anger when executed in summer and winter rather than in spring and autumn. In order to reduce irrit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reducing stress-induced emotions when executed in spring and autumn rather than in summer and winter.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healing effect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o go to the mountain to cure the stress-induced emotion is that the forest-healing environment is less than the stress-induced emotion of anxiety, depression, anger, irritation, and unpleasantness. When it was visited more than once a year, it decreased.

      • 코로나 블루 치유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 글쓰기 치유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손시은(Son, Si-Eun)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1 마음공부 Vol.2 No.-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고 있다. 극심한 위기에 직면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크게 둘로 나뉜다. 절망과 좌절 그리고 무력감과 냉소주의에 침잠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위기 속에서 자신의 삶을 근원적으로 돌아보고, 자기 삶의 방향과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이 양 축의 상반된 모습 사이에서 어느 쪽을 택할 것인가는 오롯이 ‘나’에게 달려 있다. 선택의 기로에서 현명한 판단을 하려면 나에게 진정으로 소중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탐색이 필요하다. 글쓰기는 나에 대한 성찰과 삶에 대한 통찰적 안목을 키워 줌으로써, 당면한 코로나 팬데믹 사태를 새로운 삶을 향한 전환점으로 삼을 수 있게 해 준다. 코로나로 인한 뉴 노멀이 촉발시킨 인문학적 고민과 함께, 고강도 격리 조치로 인한 폐쇄적·고립적 상황에서 코로나 블루를 호소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하기 위한 실제적이고 자력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블루 치유 프로그램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프로그램들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글쓰기 치유를 제안하였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코로나 블루 치유 프로그램 대부분은 치유대상이 겪고 있는 정신적·심리적 문제에 대한 본질적인 원인 규명이나 근원적인 치유보다는 숲, 화훼, 독서, 음악, 영화 같은 치유 콘텐츠를 활용한 체험형 프로그램에 머물러 있다. 이런 한계로 인해 체험에 참여하는 동안에만 치유 효과가 보일 뿐 지속적인 치유 기제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 팬데믹의 위기를 경험하면서 우리는 인간을 포함한 천지만물이 상호 연결된 존재이며, 서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공존의 관계임을 절실히 깨달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글쓰기 치유가 갖는 강점은 자기표현 글쓰기 활동을 통해 그것을 타인과 공유, 교감, 소통함으로써 관계 치유로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글쓰기는 내가 나와 연결된 수많은 존재들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코로나 블루 치유를 위한 어떤 프로그램과도 연계가 가능하다는 유연성도 글쓰기의 장점이다. 대면 상담뿐 아니라 동시적 온라인, 시간차 카톡식 글쓰기 상담 등 위드 코로나 시대에 글쓰기 치유의 가능성은 무한히 열려 있다. We are experiencing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COVID-19. When faced with an extreme crisis, people’s reaction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here are people who are immersed in despair, frustration, helplessness, and cynicism, while others are fundamentally looking back on their lives in crisis and re-establishing the direction and values of their lives. However, it is up to ‘I’ to decide which one to choose between the opposite appearances of this spectrum. Making wise judgments at the crossroads of choice requires a serious search for what is truly precious to us. Writing enhances reflection on us and insight into life, enabling us to turn the current corona pandemic into a turning point for a new life. Along with the humanistic concerns triggered by the New Normal caused by COVID-19, a practical and self-help program is needed to heal the hearts of those who complain of Corona Blue in a closed and isolated situation caused by physical distancing measur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orona Blue healing programs and proposed writing healing as a metho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programs. Most of the Corona Blue healing programs have identified the underlying cause of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at the target is suffering from, but overlooked the underlying healing. However, it is limited to an experiential program that utilizes healing contents such as forests, flowers, reading, music, and movies. Due to this limitation, the healing effect is only visible while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 but there is a tendency that it does not work as a continuous healing mechanism. As we experience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we realized that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re interconnected beings, that they are in a coexistent relationship and cannot live without each other. The strength of writing healing in the Post-COVID era extends to relationship healing by shar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elf-expressive writing activities. Writing helps us form new meanings for the numerous beings connected to us. Another advantage of writing is the flexibility that it can be linked with any program for healing Corona Blue. In the era of With-COVID, the possibility of writing healing is infinitely open, including not only face-to-face counseling, but also simultaneous online and time difference writing counseling via smartphone messaging.

      • KCI등재

        산림치유 프로그램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된 직장인들에 미치는 심리적·생리적 변화

        하경좌,이가영,백지희,안기완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forest healing program experience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office workers exposed to job stres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effects on forest healing. 63 call center consultants (emotional workers) who applied for forest healing programs, and 23 government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s of South Jeolla Provincial Government employees who were operating in the cypress forests of Jangheung, Jeong Nam-jin took part in the study. In this study, both call center counselors and civil servants were exposed to the highest stress in the field of job dema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revious mood state (K-POMS-B), it was found that overall mood disorder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od state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affects changes in mood state regardless of job stress, average working hours, forest visits, and participation in forest healing programs.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confirmed that it affects changes in heart rate (HR) and stress resistance index (TP). However, the change in parasympathetic activity (HF)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the civil servant group and the change in the stress index only in the call center counselor group. In addition to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if a study on whether the effect of a forest healing program lasts for a long time and develops a forest treatment program incorporating the specific factors of the effect, it will be able to greatly contribute to clinical use.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된 직장인들의 심리적·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산림치유의 효과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된 63명의 콜센터 상담사(노출 평균 점수는 42.71/100점), 연수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공무원(노출 평균 점수는 43.56/100점)을 대상으로 장흥 편백숲 우드랜드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두 그룹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경험토록 한 후, 전·후에 대한 기분상태(K-POMS-B)는 긴장, 우울, 분노, 활기, 피로, 혼돈 및 종합기분장애의 요인에서 기분상태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두 그룹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경험 전·후의 종합기분장애 점수는 직무스트레스 정도, 평균 근무시간, 숲 방문 횟수에 관계없이 기분상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종합기분장애 점수를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두 그룹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경험은 심박수(HR)를 낮추고, 스트레스 저항지수(TP)를 높여주었으며, 부교감신경 활성도(HF)는 공무원 그룹에서만이, 스트레스 지수의 변화는 콜센터상담사 그룹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경험이 심리적·생리적 효과에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에 대한 연구 및 본 연구의 결과들이 활용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