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홍보학 교과과정으로서의 질적자료분석방법: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중심으로

        장안리 한국PR학회 2022 PR연구 Vol.26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ich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would be more suitable for PR undergraduates and to suggest ways to teach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 with 29 students who have learned either Grounded Theory or Thematic analysis methods in the research methods course. Results Findings show that participants found way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teresting, and became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in the process of applying specific methods. However, they felt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was not easy because they were un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and found the data analysis part particularly challenging. Students perceived Thematic analysis as less challenging than those who learned Grounded theory; and by learning the entire process of research, students ear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which lead to positive experiences in lear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erms of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allowing students to practice various methods led to the elimination of prejudice against qualitative research and provided them an opportunity to grow as researchers.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teaching lesser challenging methods and focusing on repetitive analysis practice to boost confidence in research method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offers what needs to be focused on and the proportion of the course contents that would strengthen what students found most challenging. Implications and topic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sugges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홍보학 전공생들에게 적합한 질적자료분석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9명의 홍보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과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을 각각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질적연구 자체의 특징에서 흥미를 발견하였으며 실제 체험을 통해 연구자로 성장하였고,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 도구로서 객관성 유지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연구 실습 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낯설음에서 오는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데이터 분석의 어려움을 느꼈다. 연구결과 참여자 들은 주제분석방법의 난이도가 낮다고 인식하였고 연구를 모두 마무리했을 때 성취감, 자신감을 느껴 전반적으로 연구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의 교수법에 있어서는 질적연구방법을 실제 사용하게 함으로써 방법론에 대한 편견을 해소시키고 자율적 학습과 실전을 통해 질적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쉬운 분석방법 위주의 지도와 반복적 연습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처음 접하는 홍보학 전공생들이 연구방법론을 배우면서 느꼈던 어려움을 근거로 향후 교수법 측면에 있어 질적방법론 수업에 적절한 내용, 구성, 비중 및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질적 연구의 심화와 확장: 한국 정치학 연구에서의 근거이론 방법 적용 가능성

        박나라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This article examines grounded theory, one of the most preferr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to help open a new horizon in the field of political methodology in Korea. A survey of Korean political science research in recent decades shows that despite the increasing predominance of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a number of studies still used non-quantitative methods, among which only a few followed qualitative methodology in the strict sense. In addition, there has not been much scholarly discuss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regard, the grounded theory method, aiming at constructing theory grounded in data under the qualitative-inductive paradigm, would be able to bring balance to the methodological spectrum, which is dominated by the quantitative-deductive paradigm, to test existing theories. Ultimately, grounded theory will contribute to addressing the gap between grand theory and reality and to contextualizing middle-range theories, especially in Korean politics, comparative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research. 본 논문은 한국 정치학 연구 방법론 논의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대표적인 사회과학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최근 한국 정치학 연구에서 계량적, 통계적 방법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계량적 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상당수를 차지하지만, 질적 연구 방법(methods)에 의거하여 자료를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으며, 질적 연구방법론(methodology)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질적-귀납적 패러다임 하에서 “자료에 근거한 이론 창출”을 목표로 하는 근거이론 방법(grounded theory method)은 기존 이론에 대한 검증을 금과옥조로 삼는 양적-연역적 패러다임의 다른 한 쪽에서 방법론적 균형을 가져올 것이다. 궁극적으로 근거이론은, 특히 한국정치, 비교정치, 국제정치 등의 분야에서, 거대이론과 현실 세계를 이어주는 중범위이론이 한국적 맥락에서 생성되도록 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보다 나은 질적 연구 방법 모색기: 근거이론 연구 수행의 실패와 갈등 경험을 중심으로

        김은정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3

        This paper was intended to address a set of qualitative research issues, derived from failures, and thereby to map out a series of ways to get a grounded theory in particular, and qualitative methodology in general, refined and developed. I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constraints I went through when I was doing research on adopting grounded theory based on my research experiences for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of Korean young adults. First, I discussed the research issues I confronted on collecting data. This part dealt with the dilemma that led me to reflect on the issues regarding 1) the necessity of literature review in qualitative research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viewer and the interviewee, and 3) the quality criteria in qualitative research (validity/reliability). Second, I examined the issues derived from my experiences on coding and analyzing data. This part presented 1)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grounded theory coding to interpret data and 2) the evaluation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addressing it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The future research implication i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s of participants in order to develop a more equal position of power within the relationship and construct a good research result through the co-work. In line with this, I discussed the usefulness of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despite its weakness to build a complex substantive theory. 이 글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 방법을 수행했던 연구자의 경험 및 어려움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 방법론의 쟁점들을 논의하고 보다 나은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을 ‘자료 수집 단계’와 ‘자료 해석 단계’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1) 라포 형성의 어려움과 ‘제 3자’의 개입, 2) 라포 과잉의 문제 3) 인터뷰의 정확성/진실성의 문제를, ‘자료 해석 단계’에서는 1) 근거이론의 연구절차와 함의점 2) 어려움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 논의된 질적 연구 방법론의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이론에서는 연구자가 데이터 해석에 개입하는 것을 경계하여 선행연구의 필요성을 부인하지만, 실제 연구에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연구자의 성찰성을 배제하면서 데이터 분석을 하고 이론을 도출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둘째, 자신이 직접 인터뷰 하지 않은 자료, 즉 2차 자료 활용과 관련한 연구자의 경험을 논의하면서 2차 자료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권력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함께 공동 작업을 해 간다는 점을 숙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넷째, 거짓말 하는 연구 참여자와 관련하여, 진실여부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하고, 질적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해서 성찰해 보았다. 다섯째, 근거이론의 높은 자료 요구도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근거이론 연구에서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패러다임 모형의 무분별한 차용과 연구의 도식화 문제를 언급하면서, 향후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생각해 봄으로써 근거이론을 포함한 질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현장시험과 공동팽창이론을 통한 CGS 공법의 적용성 평가

        정현석,서석현,최항석,이효범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0 No.2

        Grounds of the 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are mostly composed of soft and cohesive soils,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oil improvement before construction. The CGS (Compaction Grouting System) method has been commonly applied for the purpose of not only improving soft ground but also serving as the pile foundation of a bridge. In this paper, the CGS method was applied to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acility site, which consists of reclaimed landfill and soft clay soil, so 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is soil improvement method to soft clay ground formations. Futhermore, results of construction were intensively studied along with a series of field experiment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one penetration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ground improvement effect of the CGS method.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CGS method led to an increase in soil strength enough to be used as the pile foundation to support the bridge at the sit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upper grout-bulb was estimated by adopting the cavity expansion theory and compared with that of actual grout bulb exhumed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e cavity expansion theory can be utilized to predict and evaluate the improvement of soft ground. 국내 서해안 지역은 대부분 퇴적된 연약점성토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조물을 시공하기 전에 현장에 적합한 지반개량 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GS(Compaction Grouting System) 공법의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립토 및 연약점성토로 이루어진 인천국제공항시설 현장에 공법을 적용하였다. CGS 공법은 현장 성토부의 지반개량 효과를 얻기 위함뿐만 아니라 교대의 말뚝기초 역할을 위해 적용되었으며, 본 공법의 지반개량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법 적용 전・후 지반의 개량 효과를 콘 관입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비교 분석하였다. CGS 공법의 적용 결과 현장지반의 전반적인 강도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현장 교대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말뚝기초로의 역할과 지반개량공법으로써의 CGS 공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공동팽창이론을 적용하여 상부 구근의 크기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시공 후 상부구근 육안 확인을 통하여 시공 후 구근예측에 있어 공동팽창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Grounded Design Theories of European and Japanese Fashion Designers

        Au, Joe S.,Taylor, Gail,Newton, Edward W. 한국의류산업학회 2001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3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underlying design theory of contemporary European and Japanese fashion designers b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 (1967) and Glaser (1978). In this research, four fashion sites-Paris, Milan, London and Tokyo-were selected. The researcher stayed in each site for a period of two to three weeks for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A total of 60 fashion designers, educators, students and journalists were interviewed. 53 open-ended design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fashion designers and students. 19 on-site observations of fashion designers and educators were done. Grounded theories of fashion designers were synthesized from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s of fashion designers, students and educators. The results of theory-building research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nded design theories of European and Japanese fashion designers due to their various cultural contexts.

      • KCI등재

        사목적 제언을 위한 신종교 운동 에스 탈퇴자들의 탈퇴 후 경험과 회복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

        오창호,이규성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神學展望 Vol.- No.2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astoral suggestions for the recovery of those who have left the New Religious Movements S, which is currently achieving the most remarkable success among New Religious Movement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prior studies and found that most prior studies were based on ‘the brainwashing theor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brainwashing theory’ and proposes ‘religious delusion’ as an alternative point of view. The analysis framework of Strauss-Corbin’s grounded theory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because this study aims to create grounding data for specific pastoral care. A total of 176 concepts, 48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ased on 1:1 in-depth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mong the 15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a appeared as ‘total destruction of life’ and ‘after effects from religious delusion’, and I discovered that there was a ‘regression type’, ‘agony type’, ‘reality-adaptive type’ and a ‘transcendent type’ in the type of ‘building a new sublimated daily life on the ashes’. In conclusion, this study states that case conceptualizations of individuals based on ‘religious delusion’ is appropriate rather than ‘brainwashing theory’ or ‘religious addiction theory’ in the Church’s pastoral care for their journey toward restoration and unity of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their families, their neighbors and God. And based on this, this study remarks that She needs to give help in terms of religious, relational and social readjustment along with the family, an important support group. Furthermore, This study requests that the Catholic Church should endeavor to prevent damage to the sheep who needs her pastoral care through research on new religious movements, and by it, she needs to have a time of self-reflection on her pastoral deficiencies.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as said that it is challenging to app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ose who have left new religious movements for various reasons other than the help of their families, especially the second generation, an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tudies on those who have left other new religious movements. Nevertheless, this essay could be used as a basic source for a practical theology as well as a pastoral service. 본고의 목적은 현재 신종교 운동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에스’에서 탈퇴한 탈퇴자들의 회복을 위한 사목적 제언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전 연구 검토를 하였는데, 대다수의 사전 연구들이 ‘세뇌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세뇌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대안적인 관점으로 ‘종교적 망상’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스트라우스-코빈의 근거 이론의 분석틀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본고의 목적이 구체적인 사목 돌봄을 위한 근거 자료를 만들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연구 참여자 9명의 1:1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총 176개의 개념과 48개의 하위 범주, 그리고 15개의 범주를 발견하였다. 15개의 범주 중 중심 현상은 ‘삶의 총체적 파괴’와 ‘종교적 망상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나타났는데, ‘잿더미 위에서 승화된 새로운 일상을 건설해 나가기’ 유형에 있어서 ‘퇴보형’, ‘고뇌형’, ‘현실적응형’, ‘초월형’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고는 결론에서 이들이 자기 자신과 가족 그리고 이웃과 하느님과의 관계 회복과 일치로 나아가는 여정을 교회가 사목적으로 돌보는 것에 있어서, ‘세뇌 이론’이나 ‘종교 중독 이론’이 아닌 ‘종교적 망상’을 바탕으로 한 개인들에 대한 사례 개념화가 적절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중요 지지 집단인 가족과 함께 신앙적, 관계적, 사회 재적응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주어야 함을 말하였다. 나아가 가톨릭 교회는 신종교 운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목적 돌봄을 필요로 하는 양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이것을 통해 자신의 사목적 부족함을 반성해 보는 성찰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요청하였다. 본고의 한계로서 가족들의 도움이 아닌 다양한 이유로 탈퇴한 이들, 특히 2세대들에게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과 다른 신종교 운동 탈퇴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본고는 사목뿐 아니라 실천적 신학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레크리에이션 댄스 지도자들의 교수법 전문화의 과정

        김지영(Ji Young Kim),윤용진(Yong Jin Yo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레크리에이션댄스 지도자의 교수법 전문화 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근거이론적인 접근을 통하여 도출한 개념의 범주화와 축코딩 패러다임 요소와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개방코딩을 실시한 결과, 총 165개의 개념어와 28개의 하위범주, 10개의 상위범주가 제시되었다. 둘째, 축코딩을 실시한 결과, 레크리에이션댄스 지도자의 교수방법 전문화 과정에 관한 6가지 패러다임이 구성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건강관련 활동에 대한 관심, 역동적인 교수활동의 매력, 외향적인 활동 성향의 가치로 제시되었으며 상황적 조건은 댄스문화에 대한 대중적 반향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심현상은 전문적 교수방법의 획득에 대해 초점이맞추어 진다. 이에 대한 중재적 조건 은 교육내용의 지식체계 부재와 댄스 교수법의 복잡성과 모호성 등이 제시된다. 이에 대한 상호작용으로 교수지식의 상호 소통과 교육 자료의 공유 등이 상호작용의 전략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의 결과로 레크리에이션 지도 과정의 교육내용 노하우와 수준별 적용방식을 레크리에 이션 지도자들이 스스로 획득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코딩으로 레크리에이션댄스 지도자의 교수방법 전문화 과정에 관하여 이야기 윤곽을 실시하고, 이 과정에서 핵심범주를 발견하였다. 레크리에이션댄스 지도자들이 교육경험에서 교육적 내용의 개선 뿐 아니라 가르치는 방식과 설명력의 연계선상에서 교육과정과 적용, 교수법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등 전반에 걸친 지도자 개인의 ``노하우(know-how)``로써 경험적 지식이 축적 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This study is for examining the teaching method specialization process of recreation dance educators and presented theoretical paradigm and categorization of concept deduced through grounded theory method. Accordingly, first, the result of conducting open coding presented in the total of 165 concept words, 28 sub-categories and 10 super-categories. Second, it examined the paradigm compositions on the teaching method specialization process of recreation dance educators through axial coding, and the result presented causal conditions, context, central phenomena, intervening conditions, and consequences, it was revealed that recreation educators end up obtaining on their own the educational content know-how and level-specific application method of recreation instruction process. Third, story line was implemented on the teaching method specialization process of recreation dance educator through selective coding during which core of the process was discovered. It was found that recreation dance educators not only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tent dur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but also accumulated experiential knowledge as personal ``know-how`` of educators on the education process and application, teaching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 along the line of the instruction method and explanatory power.

      • KCI등재

        디자인씽킹 기반 경영학 PBL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혜령 한국경영교육학회 2024 경영교육연구 Vol.39 No.1

        [연구목적]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grounded theory method)을 통해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경영학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에 관해 중범위이론(middle-range theory)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영학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11명을 반구조화 인터뷰한 녹취록을 기반으로 근거이론방법에 의거해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해 자료의 개념화 및 범주화를 진행하였고, 이후 자료를 재조합하여 패러다임모형을 구축하였다. 최종적으로 핵심범주를 도출하여 중범위이론을 형성하였다. [연구결과]인터뷰 자료를 개방 코딩한 결과 총 69개의 개념, 28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합하여 14개의 상위 범주를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디자인씽킹 기반 경영학 PBL 수업을 통한 융합적 성장’이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융합적 사고력 증진 그리고 외부협력자와의 수업 파트너십에 대한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디자인씽킹 기반 경영학 PBL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경험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중범위이론을 개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경영학 교육현장에 적용할 실무적 시사점 및 미래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Purpose]This study employs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 formulate a middle-range theory regarding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engaged in Design Thinking-based PBL(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in business management. The aim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business education based on the derived theory. [Methodology]The analysis utilized grounded theory methods. We conducted open coding to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data, subsequently recombining it to construct a paradigm model. Finally,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to establish a middle-range theory. [Findings]Through open coding of the interview data, a total of 69 concepts and 28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se were integrated to form 14 upper-level categories, culmina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e category, ‘convergent growth through design thinking-based PBL classes in business management’. [Implications]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development of a middle-range theory that effectively captures the experiences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Design Thinking-based PBL classes in business management.

      • KCI등재후보

        특수체육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과정 탐색

        김민창 ( Minchang Kim ),한민규 ( Minkyu Ha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6 No.2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특수체육교육과 학생들이 대학생활 중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특수체육교육 전공자들의 진로 결정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은 어떤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거나 특정 현상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 분석방법에서 사용하는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특수체육교육 전공자 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면담의 주요 구성은 특수체육교육 전공자들이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개인과 관련된 내용과 함께 이러한 선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내용을 질문에 포함시켰다. 실시한 면담 내용은 녹음기로 녹음을 실시한 후 면담내용을 전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6)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의 분석틀에 의거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절차를 거쳐 분석하였다. 특수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을 범주화하고 정형화하여 진로결정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개방코딩 분석 결과 총 28개의 개념이 구성되었고, 12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 분석 결과 특수체육교육과 학생들은 ‘진로선택 고민’을 통해 ‘진로방향 설정’이라는 중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진로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주변 환경의 영향’이라는 맥락적 조건과 ‘교직 적성’과 ‘전공 만족도’라는 중재적 조건으로 인해 ‘진로 탐색’이라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특수교사 준비’, ‘일반교사 준비’, ‘특수체육 현장전문가 준비’의 진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선택코딩 분석에서 가설적 정형화와 가설적 관계진술문을 구성하여 유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수체육교육과 학생의 진로결정 유형은 ‘학과중심 교직준비형’, ‘개인주도 교직준비형’, ‘외부지향 진로개척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특수체육교육과 학생들의 진로 결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밝혀내고 이를 바탕으로 유형화 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체육교육 전공 학생들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선택을 유도하고 진로 선택 결정 시점을 앞당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areer decision of students with Special Physical Education major, by exploring the process of how they choose and decide on their career during their college lif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 do so, this study used in-depth interview applied from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by Strauss and Corbin (1996), and collected data from 10 students with Special Physical Education major. The in-depth interview mainly composed of questions on the personal background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students when choosing their career, an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s. The interview responses were recorded by a recorder and transcribe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s coding, and choice cod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6). Finally, this research categorized and standardize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study participants who are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The open coding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28 concepts, 12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and the result of axis coding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major had a central phenomenon of ‘setting their career direction’ through ‘concerns over career choice.’ In setting their career direction, they used the mutual interaction strategies of ‘career exploration’ by a contextual condition of an ‘influence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mediating conditions of ‘aptitude for teaching positions’ and ‘satisfaction with major.’ Through this process, they decided on their careers of ‘preparation for special teacher,’ ‘preparation for regular teacher,’ and ‘preparation for an exper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site.’ Finally, this study created hypothetical standardizations and hypothetical relationship statements in choice coding analysis and conducted typological analysis, which showed that the career decision types of students in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major were: ‘department-focused preparation for teaching position,’ ‘self-directed preparation for teaching position,’ and ‘outward-oriented career pioneering type.’ This study identified the various experi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categorized them into different types. The study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students make an efficient career decision that fits their aptitude, and advance their time of career choice decision.

      • How do consumers decide to engage in 'Shadow Work' in Self-service environments? : A mixed- methods approach

        Liu TingTing,Joon Koh 한국경영정보학회 2023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1

        The advancement and widespread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have given rise to a novel service paradigm - self-service. Concurrently, this emerging service model has also ushered in a new form of labor known as shadow work. Self-service empowers consumers to assume more proactive and leading roles in the service process, yet it also imposes upon them a significant burden of concealed, non-monetary remunerated shadow work, traditionally delegated to employees. While some scholars have introduced and elucidated the concepts and manifestations of shadow work, research on the decision factors and comprehension of consumers engaging in shadow work remains limited.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psychological decision factors underpinning consumers' engagement in shadow work within self-service environments. This research adopts a mixed-method approach. It initiates with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utilizing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rough interviews with consumer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decision factors influencing the engagement in shadow work. Subsequently, a quantitative confirmatory study employs a survey to scrutinize the newly derived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es, which are founded upon grounded theory. This study not only serves to augment consumers' awareness and comprehension of the psychological dec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engaging in shadow work but also advances the academic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shadow work.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enhancing consumers' self-protective awareness when employing self-service technologies. Given that comprehending consumer decision psychology has perennially posed a challenge for non-face-to-face self-service enterprises, this research also assists businesses in acquiring deeper insights into consumer psychology, thereby providing valuable theoretical underpinnings to facilita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nterp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