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경활동을 소재로 한 민속놀이의 창출과 문화재화 시도 -제천 봉양파대놀이의 사례-

        배영동 ( Young Dong Bae ),강종원 ( Jong Won Kang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전통적 농경활동이 오늘날 민속놀이로 창출되는 현상과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충북 제천 봉양읍에 있는 ‘파대놀이’이다. 이 놀이의 원천문화는 20세기 전반까지 농촌의 수확기에 ‘태기’(표준어: 파대)를 이용하여새를 쫓던 ‘태기치기’라는 농경활동이었다. 이러한 전통적 농경활동이 어떠한 상황에서, 무엇 때문에 민속놀이로 창출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창출된 민속놀이의 등장과활용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파대놀이는 극히 최근에 지자체, 놀이 기획자, 지역문화 기관이 주도하여 만든 것이다. 전통적 연행주체와 다른 오늘날의 연행주체는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파대놀이를 수용하여 연행하였다. 지자체는 공식적으로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고자 파대놀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매년 열리는 충북민속예술축제와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이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한 의도가 작용하였다. 파대놀이는 2006년 제13회 충북민속예술축제를 겨냥하여 처음 만들어졌으며, 무형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하여 창출주체와 연행내용이 몇 차례 바뀌었다. 그뿐만 아니라 파대놀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놀이 창출활동, 학술활동, 수시 연행활동, 보존단체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예술축제에서 몇 차례 연행되다가 기대했던 수상실적이 나오지 않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하자 전승이 중단되다시피 하였다. 지자체에서 기획된 대부분의 민속예술은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파대놀이는 원천문화 태기치기로부터 탈맥락화된 민속놀이일 뿐만 아니라, 놀이 기획자가가 원천문화와 관련이 없는 연행예술을 풍성하게 덧붙여서 만들고 이를 몇 차례 개편한 현대판 놀이였다. 태기치기와 같이 실용을 추구하는 기술적 활동에는 실존적 진정성의 원천문화가 있는 바, 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를 기대했다면 문화재보호법의 취지에 맞게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지 말아야 했고,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여 만든 현대판 놀이라면 예술축제에서 호평을 받고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서 보람을 찾아야 바람직하다. 파대놀이 창출은 전통적 전승주체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아니라, 정책적.제도적 지원에 힘입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놀이 기획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농경문화의 전통을 현대의 공공민속(public folklore)으로 만들려는 시도라고 하겠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창출주체와 연행주체가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속놀이가 아니고, 그밖의 단체나 사람들도 아직은 필요로 하거나 활용하기 어려운 단계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vention of folk play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adae Nori’ performed at Bongyang-eup, Ja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Padae Nori’ originated from ‘Taegichigi’, an agricultural activity performed to deter birds from ripe grains in the harvest season using tool of a braided straw rope. This activity last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and in what situation an agricultural activity was transformed into folk play, and understand the advent of folk play invented in modern society, and its social application. ‘Padae Nori’ was recently inv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a play planner and a cultural organization in the region. Today’s performance host as well as the traditional performance host of ‘Padae Nori’ accepts and performs the play irrespective of his or her intention. It is sai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ly invented this play to preserve and publiciz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but behind the stage, the government had the intention to get the pla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Padae Nori’ is not only a decontextualized folk play that originated from ‘Taegichigi’, archetypal culture, but also a modern play that has been enriched into a performing art by a play planner irrespective of archetypal culture which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Padae Nori’ was not invented from the voluntary needs by those in charge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its archetypal culture. This play can be said to have been an attempt to transform a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y into a kind of public folklore with the support and policies of institutions. The local government also played a central ro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 play planner.

      • KCI등재

        농경활동을 소재로 한 민속놀이의 창출과 문화재화 시도 -제천 봉양파대놀이의 사례-

        배영동,강종원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This study analyzes the invention of folk play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adae Nori’ performed at Bongyang-eup, Ja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Padae Nori’ originated from ‘Taegichigi’, an agricultural activity performed to deter birds from ripe grains in the harvest season using tool of a braided straw rope. This activity last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and in what situation an agricultural activity was transformed into folk play, and understand the advent of folk play invented in modern society, and its social application. ‘Padae Nori’ was recently inv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a play planner and a cultural organization in the region. Today’s performance host as well as the traditional performance host of ‘Padae Nori’ accepts and performs the play irrespective of his or her intention. It is sai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ly invented this play to preserve and publiciz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but behind the stage, the government had the intention to get the pla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Padae Nori’ is not only a decontextualized folk play that originated from ‘Taegichigi’, archetypal culture, but also a modern play that has been enriched into a performing art by a play planner irrespective of archetypal culture which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Padae Nori’ was not invented from the voluntary needs by those in charge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its archetypal culture. This play can be said to have been an attempt to transform a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y into a kind of public folklore with the support and policies of institutions. The local government also played a central ro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 play planner. 이 연구는 전통적 농경활동이 오늘날 민속놀이로 창출되는 현상과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충북 제천 봉양읍에 있는 ‘파대놀이’이다. 이 놀이의 원천문화는 20세기 전반까지 농촌의 수확기에 ‘태기’(표준어: 파대)를 이용하여 새를 쫓던 ‘태기치기’라는 농경활동이었다. 이러한 전통적 농경활동이 어떠한 상황에서, 무엇 때문에 민속놀이로 창출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창출된 민속놀이의 등장과 활용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파대놀이는 극히 최근에 지자체, 놀이 기획자, 지역문화 기관이 주도하여 만든 것이다. 전통적 연행주체와 다른 오늘날의 연행주체는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파대놀이를 수용하여 연행하였다. 지자체는 공식적으로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고자 파대놀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매년 열리는 충북민속예술축제와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이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한 의도가 작용하였다. 파대놀이는 2006년 제13회 충북민속예술축제를 겨냥하여 처음 만들어졌으며, 무형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하여 창출주체와 연행내용이 몇 차례 바뀌었다. 그뿐만 아니라 파대놀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놀이 창출활동, 학술활동, 수시 연행활동, 보존단체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예술축제에서 몇 차례 연행되다가 기대했던 수상실적이 나오지 않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하자 전승이 중단되다시피 하였다. 지자체에서 기획된 대부분의 민속예술은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파대놀이는 원천문화 태기치기로부터 탈맥락화된 민속놀이일 뿐만 아니라, 놀이 기획자가가 원천문화와 관련이 없는 연행예술을 풍성하게 덧붙여서 만들고 이를 몇 차례 개편한 현대판 놀이였다. 태기치기와 같이 실용을 추구하는 기술적 활동에는 실존적 진정성의 원천문화가 있는 바, 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를 기대했다면 문화재보호법의 취지에 맞게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지 말아야 했고,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여 만든 현대판 놀이라면 예술축제에서 호평을 받고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서 보람을 찾아야 바람직하다. 파대놀이 창출은 전통적 전승주체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정책적․제도적 지원에 힘입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놀이 기획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농경문화의 전통을 현대의 공공민속(public folklore)으로 만들려는 시도라고 하겠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창출주체와 연행주체가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속놀이가 아니고, 그 밖의 단체나 사람들도 아직은 필요로 하거나 활용하기 어려운 단계이다.

      • KCI등재

        상례굿의 총체성과 호모 밤따래쿠스 -상례, 씻김굿, 다시래기, 밤샘놀이, 만가, 호상놀이의 통합적 이해-

        이경엽 ( Lee Kyung-yup ) 남도민속학회 2021 남도민속연구 Vol.43 No.-

        상례에는 여러 과정과 양식들이 복합돼 있다. 기존에는 유교식 예법과 씻김굿·밤샘놀이·만가 등을 별개로 다루거나, 무형문화재 종목 단위로 해체해서 각각의 예술성이나 연극성 등을 고찰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이 글에서는 상가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복합을 ‘상례굿’이라고 지칭하고, 진도를 비롯한 서남해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례굿의 총제성을 살피고 상례굿을 전승하는 사람들-‘호모 밤따래쿠스’-의 존재성과 그들의 민속철학을 주목하고자 한다. 먼저 상례굿 전체의 연행 맥락과 과정을 분석했다. 상례굿의 전개과정을 보면, 죽음 확인·알리기 단계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의례적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죽음 달래기를 통해 전이 단계에 놓여 있는 망자와 상주에게 굿과 놀이, 노래 등을 통해 명복을 빌고 슬픔을 위로한다. 이 과정은 특히 수많은 사회적 관계들이 참여하는 놀이와 연대의 장이므로 굿놀이의 비중이 크게 나타난다. 그리고 망자 보내기는 상여와 그 행렬이 규모를 갖추고 있고, 거기에 참여하는 연행자, 참관자들이 많은 데서 보듯이 시각적으로 성대하다. 이처럼 상례굿은 하나의 총체극적 구성을 갖추고 있다. 상례굿의 총체성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구축된다. 초상이 나면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상주의 슬픔을 위로하고 물품을 부조한다. 이 과정에서 각종 계가 가동된다. 또한 주민들은 물품과 노동만을 교환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를 하면서 밤샘을 한다. 상가 마당에서는 윷놀이, 화투, 노래판, 춤판, 다시래기, 씻김굿 등을 하면서 죽음 달래기를 한다. 그리고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산역과 운상을 위해, 상두계와 호상계가 작동된다. 이렇게 해서 망자가 공동체와 작별하는 과정을 성대한 축제 행렬로 만들어간다. 사회적 교환과 관계가 상례굿의 총체성을 구축하는 배경과 토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례굿은 유교적 지배이념의 간섭과 비난 속에서 전승되었다. 진도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데서 보듯이 외지에서 온 유배인과 현지의 지식인들은 전래의 축제식 상례를 ‘그릇되고 개탄스러운 병폐’로 여겼으며 유교적 예법으로 교화하고자 했다. 하지만 전승자들은 긴 기간 부정적인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지만, 전래의 풍속을 버리지 않고 유교식 예법과 결합시켜 상호보완하는 형태로 재구성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널리 파급된 호상놀이처럼 새로운 전통을 창출해서 전승하고 있다. 상례굿이 전승자들의 선택과 의지에 의해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호모 밤따래쿠스가 펼치는 상가의 밤샘놀이와 가무·굿·연극·떠들썩한 운구행렬은 예사 놀이와 다른 특별함을 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상례굿을 하는 사람들은, 호모 루덴스 중에서도 더 각별한 존재인 ‘호모 밤따래쿠스’라고 할 만하다. 호모 밤따래쿠스는 사무치도록 지극하게 노는 사람들이다. 상례굿에는 죽음으로부터 비롯된 상실과 슬픔을 노래와 춤으로써 극복하고, 활력의 에너지로 삶을 회복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무엇보다도 상례굿은 공동체의 사회적 관계를 토대로 펼쳐진다. 마을 공동체에서는 유무형의 조직과 관행을 중심으로 죽음이 발생하는 처음부터 장례를 치르는 전 과정을 주관한다. 그리고 상황에 맞게 의례와 예술적인 연행을 결합시켜 상장례를 수행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상례굿은 죽음을 더 깊게 수용하면서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집단적인 연행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들이 송별 이후, 다시 살아갈 삶에 대한 강한 긍정을 표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례굿에는 죽음이 가져온 상실의 아픔을 예술적인 연행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치유하고 현세적 삶을 긍정하는 민속철학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A funeral is a place where various stages continue. Previously, Confucius manners and sitgimgut·yunnori·lamentations had been approached separately or their respective artistry and theatralite was examined after being disassembled in the uni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This article names the cultural complex performed in the house of mourning ‘funeral gut’ and attempts to examine a series of performance taking place in the mourner’s house. Centering on the cases of the southwestern regions including Jindo, the totality of funeral gut and ‘Homo Bamtarakus’ who transmit funeral gut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their existence and their folklore philosophy. Firstly, the performance context and the process of whole funeral gut is analyzed. Let’s look at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funeral gut. In the stage of confirming death and notifying others, The chief mourner-centered rituals are subdivided into the rituals for the body of the deceased and the soul of the deceased, ritually dividing the realm of the living and the dead. Then, through soothing the dead, prayers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are made to comfort them through gut, play, and singing for the deceased and the chief mourner who stand at the transition stage. This process is a field of play and solidarity in which a numerous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te, giving a larger role to gut play. Finally, sending the dead involves the bier and the mourning procession in which there is a great number of performers and spectators, offering a impressive view. As mentioned above, funeral gut is equipped with total dramatic process. The totality of funeral gut is established in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re is a death, members of a community comfort the bereaved and provide goods. In this process, various gye go into action. Also, the residents not only exchange goods and labor, but also they stay up all night while playing. In the yard of the house of the bereaved, yunnori, hwatu, singing, dancing, dasiraegi, and sitgimgut are played and performed in order to comfort the bereaved. Sangdugye and hosanggye are called into action in order to perform carrying out and burying the dead. Through these stages, a magnificent festival is built up to allow the dead to bid farewell to the community. Social exchange and relationships establish the foundation and the background for the totality of funeral gut. Funeral gut has been transmitted in the mist of intervention and criticism of the ruling Confucius ideology. A detailed analysis of the case of Jindo shows that the exiled from outside and the intellect of the region considered the traditional festive funeral as ‘a wrong and deploring malady’ and they attempted to replace it with Confucius manners. However, the transmitters, even though they were never free from the skeptic, hung close to the traditional customs and reconstructed and complemented funeral gut through combining it with Confucius manners. Also, new traditions are created and transmitted as the case of propitious mourning play which spread widely since 1970’s. It shows that funeral gut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ll and the choice of the transmitters. The overnight play at the house of the mourning·singing and dancing·gut·drama·the festive coffin carriage by the homo bamtarakus is very extraordinary. In this respect, the performers of funeral gut deserve to be called ‘homo bamtarakus’ as someone very distinguished among homo ludens. Homo bamtarakus are the ones who play with such an enthusiasm to the extent of touching one’s heart. Funeral gut contains the will to overcome the sense of loss and sadness originating from death through singing and dancing and to restore life through the vitalizing energy. Above all, funeral gut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social relationships. The village community oversees the whole process of funeral as early as there is death through combining the rituals and artistic performance fitting the occasion. From this perspective, funeral ritual accepts death more deeply while offering the energy to be free from death through the collective performing action. After the farewell,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will have the positive power to continue living. Therefore, funeral gut contains a folklore philosophy will heal the pain of loss brought by death in the artistic performance and the social relationship and allow the community to continue living in this life.

      • KCI등재

        축제식 상장례를 통해 본 진도 민속의 독특함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축제식 상장례를 중심으로 진도 민속의 독특함에 대해 살펴보았다. 진도 민속의 특별함을 고정적인 자질로 다루던 기존 논의와 달리 전승론적 관점에서 축제식 상장례의 전승배경과 맥락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진도에도 유학이 전파되면서 전래 풍속과의 긴장관계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진도의 유학은 예법 연마보다는 시서공부에 집중해온 경향이 있었고,‘무당을 좋아하는 토속(土俗)’과 ‘선비를 귀하게 여기고 시서가 있는 민풍(民風)’이 공존해온 전통이 있었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유교 예법이 도입되었지만 전래의 풍속을 단절시킬 만큼 적대적이지 않았고, 그로 인해 전래의 장례놀이들이 이어지고 근래에 들어서는 여성들의 호상놀이가 도입되는 등 확장성을 띠고 전승될 수 있었다. 진도 민속의 독특함은 사회적 담론으로 재구성되기도 한다. 다시래기의 사례에서 보듯이 문화재 지정 과정에서 문화권력이 작용하고 어떤 측면이 확대되거나 배제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상장례 풍속을 대하는 내.외부의 시선이 엇갈리는 경우도 있다. 상가에서 펼쳐지는 놀이와 여성들의 호상놀이에 대해 외지 학자들이 각별하게 주목하지만 진도 현지 식자층은 그와 다른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유교 / 비유교를 둘러싼 담론이 흥미롭긴 하지만 비중 있는 논의거리로 삼기 어렵다. 호상놀이의 사례에서 보듯이 상장례 전통에 담긴 창조성을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축제식 상장례는 공동체의 예술적 욕구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새로운 양식들이 창출되는 공간이다. 진도 민속의 남다른 전통과 그 속에담긴 창조성을 새롭게 발견할 필요가 있다. We have examined the uniqueness of Jindo folklore by centering around the festive funeral. Similar to other regions, Jindo has accepted Confucianism and established its customs. However, Confucianism in Jindo focused more on studying poetry andcalligraphy rather than etiquette and there were two traditions in existence: local customs which liked shamans and folklores which regarded scholars highly. That is why Jindo was not hostile to severe the inherited customs even after the transmission of confucian etiquette. On such background, the inherited funeral plays survived and in the modern time, they extended to such extent that there is good funeral play by females. The uniqueness of Jindo folklore is reconstructed through the social discussion. As seen the case of Dasiraego, 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a cultural asset, there is a culture power at play and sometimes and certain features are expanded or removed. In addition, there is a mixed view in regard to festive funeral from inside and outside. Scholars from outside pay a special attention to the play taking place at a mourner’s house and the female good funeral play, yet the scholars in Jindo look at it differently. The discussion about Confucianism/Non-Confucianism is interesting and yet it is not worth setting it as an important matter. As seen in the case of good funeral play, it is very important to discover the creativity in the funeral traditions. The festive funeral is a space where the artistic desires of community are expressed and new styles are create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uniqueness tradition of Jindo folklore and the creativity within it.

      • KCI등재

        민속놀이를 활용한 한국적 이미지의 캐릭터 개발에 관한 연구

        문명옥(Moon Myeng-Ok),엄정옥(Um Jung-Ok),이진숙(Lee Jin-Suk) 한복문화학회 2014 韓服文化 Vol.17 No.4

        Recognizing that the character design has been a pillar of the culture industry, We developed the characters with Korean images to publicize the Korean culture more friendly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create relevant revenue. The Korean characters, as the media of delivering Korean sense, have the business value and additionally can be the means of communication to stir up the Korean culture and sense. The folklore plays have carried our game culture when being done and converted as a changed type with a certain historical identity in the Korean peninsula. Besides, they, having play feature, recreational feature and art feature, are adequate for expressing Korean images because they have expressed the sensibility and emotion of Koreans very well. We expressed the Korean images by developing the characters of Wunge and Wungsune that are personified bears adopted from the kite-flying, a well-known and familiar traditional folk game to not only adults but also children, and the DanGun Myth, a state-founding myth. The development of characters with Korean images has been processed in the series of concept selection, design sketch, characters design, characters completion, and characters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s designed from this study, folklore plays are adequate to express the Korean images and characters of Wunge and Wungsune show well the Korean images and folklore plays as Korean game culture. And they are excellent in the aesthetic point of view. Wunge and Wungsune are well matched with other folklore plays like seesaw and kicking game, not to mention the kite-flying so they could be adapted to various other folklore plays. If we can develop various characters with Korean images and use them in several areas, the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effective publicity activities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e rise of national images, and the creation of economic added value.

      • KCI등재

        축제식 상장례를 통해 본 진도 민속의 독특함

        이경엽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We have examined the uniqueness of Jindo folklore by centering around the festive funeral. Similar to other regions, Jindo has accepted Confucianism and established its customs. However, Confucianism in Jindo focused more on studying poetry and calligraphy rather than etiquette and there were two traditions in existence: local customs which liked shamans and folklores which regarded scholars highly. That is why Jindo was not hostile to severe the inherited customs even after the transmission of confucian etiquette. On such background, the inherited funeral plays survived and in the modern time, they extended to such extent that there is good funeral play by females. The uniqueness of Jindo folklore is reconstructed through the social discussion. As seen the case of Dasiraego, 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a cultural asset, there is a culture power at play and sometimes and certain features are expanded or removed. In addition, there is a mixed view in regard to festive funeral from inside and outside. Scholars from outside pay a special attention to the play taking place at a mourner’s house and the female good funeral play, yet the scholars in Jindo look at it differently. The discussion about Confucianism/Non-Confucianism is interesting and yet it is not worth setting it as an important matter. As seen in the case of good funeral play, it is very important to discover the creativity in the funeral traditions. The festive funeral is a space where the artistic desires of community are expressed and new styles are create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uniqueness tradition of Jindo folklore and the creativity within it. 축제식 상장례를 중심으로 진도 민속의 독특함에 대해 살펴보았다. 진도 민속의 특별함을 고정적인 자질로 다루던 기존 논의와 달리 전승론적 관점에서 축제식 상장례의 전승배경과 맥락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진도에도 유학이 전파되면서 전래 풍속과의 긴장관계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진도의 유학은 예법 연마보다는 시서 공부에 집중해온 경향이 있었고,‘무당을 좋아하는 토속(土俗)’과 ‘선비를 귀하게 여기고 시서가 있는 민풍(民風)’이 공존해온 전통이 있었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유교 예법이 도입되었지만 전래의 풍속을 단절시킬 만큼 적대적이지 않았고, 그로 인해 전래의 장례놀이들이 이어지고 근래에 들어서는 여성들의 호상놀이가 도입되는 등 확장성을 띠고 전승될 수 있었다. 진도 민속의 독특함은 사회적 담론으로 재구성되기도 한다. 다시래기의 사례에서 보듯이 문화재 지정 과정에서 문화권력이 작용하고 어떤 측면이 확대되거나 배제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상장례 풍속을 대하는 내․외부의 시선이 엇갈리는 경우도 있다. 상가에서 펼쳐지는 놀이와 여성들의 호상놀이에 대해 외지 학자들이 각별하게 주목하지만 진도 현지 식자층은 그와 다른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유교/비유교를 둘러싼 담론이 흥미롭긴 하지만 비중 있는 논의거리로 삼기 어렵다. 호상놀이의 사례에서 보듯이 상장례 전통에 담긴 창조성을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축제식 상장례는 공동체의 예술적 욕구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새로운 양식들이 창출되는 공간이다. 진도 민속의 남다른 전통과 그 속에 담긴 창조성을 새롭게 발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통문화의 Agon형 관광자원화방안 - 의성 가마싸움을 중심으로 -

        배배만규 ( Bae Man-gyou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4

        문화의 시대에 그 나라에서 발생하여 전해 내려오는 그 나라 고유의 문화인 전통문화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오늘날 각 지자체 및 국가에서는 역사와 전통문화를 관광과 결합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하려 시도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연 전통문화의 관광자원화는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전통문화를 어떻게 지역에 적합 시킬 것인가?’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과거 의성지역에서 서당 학동들이 추석에 하고 놀았던 싸움놀이인 가마싸움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다른 지자체에서 줄다리기, 차전놀이, 박시싸움 등과 같이 대동놀이를 그 자체로 또는 지역축제와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겨루기형태의 놀이였다. 또한 우리 조상들은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신명을 즐기기 위하여 대동놀이형태의 민속놀이를 즐겨했는데, 이 역시 대부분 경쟁형식을 띠고 있었다. 의성 가마싸움은 청소년들이 양편으로 편을 갈라 육박전을 하고 가마를 부수는 격렬한 싸움놀이였기에 카이와의 놀이요소 중 Agon을 핵심으로 한 청소년들의 대동축제로 재현한다면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성 가마싸움의 관광자원적 가치 발굴과 전승 기반 마련, 가마싸움 재현, 관광 가치 소구와 지지 기반 확보, agon형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부각, 의성 대표축제와 가마싸움 연계하는 전략적 마케팅을 전개하여 관광상품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ountry that originated in the country in the era of culture and that is unique to that country? Today, local governments and countries are attempting to combin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with tourism to become a new growth engine. Thus, in this study, "Is it possible to make tourism resources of traditional culture? If possible, how to fit the traditional culture to the local area?" And I confirmed the fighting in the past, which is a fighting game played in Chuseok in the past. As a result of the study, unification plays such as tug-of-war, game play, and Baksi fight in other municipalities were used by themselves or in connection with local festivals. In addition, our ancestors enjoyed folk play in the form of unification play in order to keep the group united and to enjoy Shin-myeong. It was a violent fighting game in which the youths split on both sides and broke down the palankee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production of Caillois's play elements as a collective unification festival of youth with the core of Agon as a touristic resource was sufficient. In order to do this, we need to find out the tourism resource value of the fighting of the palankeen fight, establish a tradition base and organization, perform again the palankeen fighting, secure the supporting value of the tourism value, value as agon type tourism resource, It is ideal to develop into a tourism commodity.

      • KCI등재

        전통문화의 Agon형 관광자원화방안: 의성 가마싸움을 중심으로

        배만규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4

        문화의 시대에 그 나라에서 발생하여 전해 내려오는 그 나라 고유의 문화인 전통문화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오늘날 각 지자체 및 국가에서는 역사와 전통문화를 관광과 결합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하려 시도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연 전통문화의 관광자원화는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전통문화를 어떻게 지역에 적합 시킬 것인가?’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과거 의성지역에서 서당 학동들이 추석에 하고 놀았던 싸움놀이인 가마싸움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다른 지자체에서 줄다리기, 차전놀이, 박시싸움 등과 같이 대동놀이를 그 자체로 또는 지역축제와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겨루기형태의 놀이였다. 또한 우리 조상들은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신명을 즐기기 위하여 대동놀이형태의 민속놀이를 즐겨했는데, 이 역시 대부분 경쟁형식을 띠고 있었다. 의성 가마싸움은 청소년들이 양편으로 편을 갈라 육박전을 하고 가마를 부수는 격렬한 싸움놀이였기에 카이와의 놀이요소 중 Agon을 핵심으로 한 청소년들의 대동축제로 재현한다면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성 가마싸움의 관광자원적 가치 발굴과 전승 기반 마련, 가마싸움 재현, 관광 가치 소구와 지지 기반 확보, agon형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부각, 의성 대표축제와 가마싸움 연계하는 전략적 마케팅을 전개하여 관광상품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ountry that originated in the country in the era of culture and that is unique to that country? Today, local governments and countries are attempting to combin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with tourism to become a new growth engine. Thus, in this study, "Is it possible to make tourism resources of traditional culture? If possible, how to fit the traditional culture to the local area?" And I confirmed the fighting in the past, which is a fighting game played in Chuseok in the past. As a result of the study, unification plays such as tug-of-war, game play, and Baksi fight in other municipalities were used by themselves or in connection with local festivals. In addition, our ancestors enjoyed folk play in the form of unification play in order to keep the group united and to enjoy Shin-myeong. It was a violent fighting game in which the youths split on both sides and broke down the palankee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production of Caillois's play elements as a collective unification festival of youth with the core of Agon as a touristic resource was sufficient. In order to do this, we need to find out the tourism resource value of the fighting of the palankeen fight, establish a tradition base and organization, perform again the palankeen fighting, secure the supporting value of the tourism value, value as agon type tourism resource, It is ideal to develop into a tourism commodity.

      • 민속기행 연구 -조선시대 기행록에 나타난 “려행(旅行)” 성격고찰-

        이광진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6 중앙민속학 Vol.- No.11

        여행의 체험은 한반도에서 우리의 조상들이 일찍이 삶을 영위하면서 시작되었고 그 것은 오늘날의 우리들에게까지 계승되고 있다. 우리 민족에게서 비상하게 발달한 기 행문학은 여행의 정신적 측면에서 그의 발달사를 뚜렷이 중언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 에서 현대 고도산업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이러한 전통적인 여행과 그의 체험 올 현대에 되살려 민속문화의 재인식 및 여가의 선용과 인간성 회복의 측면에서 적절 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떠남의 정신’ 이요.‘놂의 정신’ 이요.‘한가함 의 정신’ 이었던 한국 여행의 정신사는 그 멋을 잃어가고 있음에 민속기행문화와 현대 사회성 및 여행의 정신 둥의 회복의 차원에서 기행의 행태를 통하여 여행의 궁극적인 심리적 체험을 살피고 여행의 근원과 심성을 민속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Travel and experience start from our ancestors life korea. It has succeeded to descendants so far. The spirit of Folklore Travel speaks of the spirit of a period change, and travelers guided the spirit of revolution to our age. But according to the history of Folklore Travel spirit which were the spirit of leisure are losing it`s elegance, wish to take a good look at the traditional meaning of travel through from of travelers journal in the dimension of human nature`s recovery and the spirit travel, And wish to seek for the origin and the disposition of travel.

      • KCI등재

        서사가 있는 만석중연희,땅설법 <만석중득도기(曼碩衆得道記)> 고찰

        김형근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is a continuation of this researcher's study on Ttangseolbeob, a Samcheok Anjeongsa buddist temple known to academia in 2018. Anjeongsa Ttangseolbeob performs more than 10 kinds of repertoires (oral sutras) with words, sounds, performances, so-called Gang(講), Chang(唱), yeon(演). The core of the performance is the transmission of Buddhist doctrine. So far, this researcher has organized the entire repertoire of Ttangseolbeob, its performance method, and each content, and is analyzing each repertoire. This paper deals with <Manseogjungdeugdogi(曼碩衆得道記)> among them. The story of monk Manseok(曼碩) attaining enlightenment with sentient beings(衆生). At Anjeongsa Buddist Temple in Samcheok, <Manseogjungdeugdogi> is performed in the form of shadow play the night before the beginning of April. Everyone, including the researcher who had seen it before, thought that the so-called ‘Manseokjungnori’, restored in 1983 by Shim Woo-sung and handed down to this day, was the only Korean shadow play. Therefore, the existence of the unknown shadow play <Manseogjungdeugdogi> itself stimulated the need for this study. Moreover, while Manseokjungnori has no narrative, Ttangseolbeob <Manseogjungdeugdogi> has a narrative, which is a great contrast. In addition, there is a specific Buddhist doctrinal context called <Geumgwangmyeonggyeong(金光明經)>, which is called the <hogugsambugyeong((護國三部經)>. In this paper, several records of the appearance of ‘Manseokjung’ are presented first. Seen in that way, ‘Manseokjung performance’ appears as the breaking the rules of Buddhism of Manseokjung, and there is a series of boos and satires about him. Another series is the Manseokjungnori that we are well aware of, and it was formed for the purpose of propagating Buddhism or from a positive perspective on Buddhism. Samcheok Anjeongsa Ttangseolbeob <Manseogjungdeugdogi> also belongs to the latter series, and There is a narrative, and through the part that connects with Buddhist doctrine in the narrativ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rue nature of the 'Buddhist propaganda drama' that we had known superficially. 본고는 2018년 학계에 알려진 삼척 안정사 땅설법에 대한 본 연구자의 연속적인 연구이다. 안정사 땅설법은 10여 종 이상의 레퍼토리(구비경전)를 말, 소리, 연희, 이른바 강창연으로 연행을 한다. 그 연행의 핵심에는 불교교리 전달이다. 그간 본 연구자는 땅설법의 전체 레퍼토리를 정리하여 그것의 연행방식, 각각의 내용 등을 정리하였고, 각각의 레퍼토리별 분석들을 진행하고 있다. 본고는 그 중 <만석중득도기(曼碩衆得道記)>를 다루었다. 이 땅설법은 ‘만석이라는 스님이 중생과 더불어 도를 얻어가는 이야기’를 그 내용으로 한다. 삼척 안정사에서는 사월초파일 전날 밤 그림자극의 형식으로 <만석중득도기>를 연행한다. 그 이전까지 본 연구자 포함 모든 이들이 1983년 심우성이 복원하여 오늘에 전승하고 있는 ‘만석중놀이’가 유일한 한국의 그림자극이라 생각했다. 따라서 그간 알려지지 않은 그림자극 <만석중득도기>의 존재 자체가 본 연구의 필요성을 자극한 것이다. 게다가 만석중놀이는 서사가 없는 데 반해, 땅설법 <만석중득도기>는 서사가 있어 크게 대조가 된다. 아울러 호국삼부경이라 일컫는 <금광명경>이라는 구체적인 불교 교리적 맥락이 존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만석중’이 등장하는 여러 기록을 제시하였다. 그렇게 보았을 때 만석중 연희는 만석중이 파계한 승으로 등장하여, 그에 대한 야유와 풍자를 하는 계열이 있다. 또 하나의 계열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만석중놀이로 불교 포교를 목적으로 한 또는 불교에 긍정적인 관점에서 형성된 계열이다. 삼척 안정사 땅설법 <만석중득도기>도 후자의 계열에 속하는데 서사가 존재하며, 서사 속에 불교 교리와 연결짓는 부분을 통해 그간 표피적으로 알았던 ‘불교포교극’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