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층 저류층에서의 층간유동 및 생산특성 연구동향

        남상구,박창협,정승필 한국자원공학회 201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0 No.2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reviews for flow behaviors occurred in multi-layered reservoir. According to geological formation and flow regime,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interlayer cross-flow, commingled, and wellbore cross-flow system. Most heterogeneous reservoirs show interlayer cross-flow communicating fluids between interconnected formations but the conventional production systems have considered commingled-flow. The unaccurate estimation of reservoir pressure could result in wellbore cross-flow within a production tubing after well completion. Recent researches have focused on characterizing the effects of cross-flow with relation to production optimization. The works integrating skin factor with comparison of reservoir properties have been done to detect cross-flow on the surface. Production allocation in multi-layered reservoirs and uncertainty quantification affecting the system design are actively investigated to accomplish production optimization as well as the robust design of petroleum production system. 이 연구에서는 다층 저류층에서 발생하는 유동특성을 구분하고, 각 유동특성에 따른 저류층 분석기술과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생산 가능한 저류층의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불균질 다층 저류층의 유동 특성화 구는 복합적인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다층 저류층은 유동특성에 따라 매질 층간유동(interlayer cross-flow), 합생산(commingled), 시추정 층간유동(wellbore cross-flow)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불균질 다층저류층은 매질 층간유동 시스템의 특징을 갖고 있으나 생산 시스템은 층간유동을 무시한 혼합유동 양상을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유정완결 시 생산층 압력예측의 부정확성으로 생산정 내에서 층간유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근에는 분석결과의 정확성과 유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층간유동이 생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층별 생산량 할당과 층간유동 예측 모델 구축을 기반한 생산최적화 연구는 층간유동 및 다중 유정 시스템의 효과를 고려한 통합적인 분석과 영향인자의 정량화 연구를 바탕으로 수행 중이다.

      • KCI등재

        물탱크의 형상에 따른 유동 특성에 관한 융합 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6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happening inside water tank due to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water tank were analyzed by using a computation fluid dynamics program, ANSYS CFX. This study also examined which model was most efficient at the flow by changing the flow conditions of the inlet and outlet due to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tank. Same material was applied to models A, B and C. As the result of flow analysis, it was shown that model B had the best flow and model C had the highest pressure applied to the flow. So, though the water tank has the same materia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product, the velocity and pressure of flow become different. Therefore, it is thought to develop the tank good for the fluid flow due to the product configuration through this flow analysis result.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 the esthetic sense can be shown as the analysis data of flow due to the configuration of fluid tank are grafted onto the real life.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물탱크의 형상에 따른 입출구의 유동 조건들에 따른 물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동특성을 전산 유체 역학 프로그램인 ANSYS CF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물탱크의 형상에 따른 입, 출구의 유동 조건들에 변화를 주어 어떤 모델이 가장 효율적인지를 알아보았다. 모델 A, B, C에 같은 재질을 적용하였다. 유동 해석 결과로서는 모델 B가 가장 좋은 유동의 속도를 보이고, 모델 C는 유동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물탱크가 제품의 형상에 따라 같은 재질을 가지더라도 그 유동 속도와 압력은 달라졌다. 따라서 본 유동해석 결과를 통하여 제품의 형상에 따라 유동의 흐름에 좋은 탱크를 개발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체 탱크의 형상에 따른 유동의 해석 데이터를 실생활에 융합하여 그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 KCI등재

        하이브리드 랩 방식 유압 서보 밸브의 스풀 변위에 따른 유동 천이 영역에 대한 연구

        정황훈(Hwang-Hun Jeong),윤소남(So-Nam Yun),이성수(Sung-Soo Lee),양주호(Joo-Ho Yang)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스풀 랜드(spool land)와 슬리브(sleeve) 사이의 정특성 방정식으로부터 스풀 밸브의 압력 특성과 유동특성을 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풀 랜드와 슬리브 사이의 유동을 환상간극 유동과 오리피스 유동, 그 중간의 천이 영역으로 나누고, 천이 영역의 유량계수를 길이에 따른 두 영역으로 나눈 선형 일차방정식으로 가정하였다. 스풀 밸브의 압력특성방정식을 구하기 위해 스풀의 중립지점에서부터의 변위에 따른 유동을 qa=qa=0의 조건으로부터 구하였으며, 스풀 밸브의 유량특성방정식을 구하기 위하여 스풀의 중립지점에서부터의 변위에 따른 유동을 qb=qb=0pa-pb의 조건으로부터 구하였다. 구해진 수식의 타당성은 수치해석을 통해 실험식 및 기존논문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a spool valve with a hybrid lap between the spool land and the sleeve. The static equation for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was derived from flow equations that depend on the spool displacement,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from qa=qa=0 because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test needs to block the control port in the valve. The static equation for the flow characteristics was derived from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when the control port is open (qb=qb=0pa-pb). The characteristic equation in the shifted region was assumed from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e?flow characteristics and the spool displacement.

      • 수치해석에 의한 플러그 밸브의 유량계수 산출 방법 평가 검증 및 유량특성 평가

        김민경(MinKyung Kim),정준환(JunHwan Jung),김성재(SeongJae Kim),이재훈(JaeHoon Lee)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일반적으로 밸브 성능 검증을 위해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유량계수(Cv)를 측정하고 있으나, 시험설비의 한계로 인해 시험 가능한 밸브가 제한적이고 다양한 케이스에 대한 시험비용의 증가에 대한 문제도 발생한다. 특히 플러그 밸브의 경우 개폐 정도에 따른 유량계수의 측정이 필요하나 시간적, 비용적 한계로 인해 성능 검증 시험을 수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많은 밸브 제조기업에서 수치해석을 활용하여 실험값을 대체하고 개발에 참고하고 있다. 국내 밸브업체의 경우 대부분 국제규격 측면에서 제품을 설계, 생산하고 있으며 내압강도와 기밀시험과 같이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개발의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유동특성과 유량계수의 산출과 같이 시스템 내부의 설계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성능검증 절차의 경우 구조적 특성에 비해 소극적으로 개발 및 검증하고 있다. 또한, 역설계 제품의 경우 시간적, 비용적 문제로 인해 별도의 실험을 진행하여 검증을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산업용 밸브의 경우 운전 특성과 작동 환경에 따라 유량과 압력 등이 달라지므로 밸브 자체에 대한 특성파악이 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밸브에 대한 유량계수를 수치해석의 방법으로 산출하고 Full Open 상태에서의 유량계수 실험값과 결과를 비교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한 산출방법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그 후 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른 유량계수를 산출하고 유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In general, the flow coefficient (Cv) is measured through an experimental method to verify the valve performance, bu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est facility, the type of valves that can be tested is limited, and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test cost for various cases also arises. In the case of a plug valv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flow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but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performance verification test due to time and cost limitations. As an alternative to this, many valve manufacturers use numerical analysis to replace experimental values and refer to them for development. Most of the domestic valve companies design and manufacture products in term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ir development focuses on solving structural problems such as pressure resistance and leak tes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erformance verification procedure that complexly considers the design factors inside the system, such as calc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and flow coefficients, it is passively developed and verified compared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Also, in the case of reverse engineered products, due to time and cost issues, tests are not conducted and verified. In the case of industrial valves, since the flow rate and pressure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lve itself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flow coefficient of the plug valve, which is widely used industrially, is calculated by the method of numerical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calculation metho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 is secured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result of the flow coefficient in the full open state. After that, the flow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s calculated and the flow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 KCI등재

        특성곡선법을 이용한 디젤엔진 가스유동 1차원 수치해석의 타당성 평가

        김경현,공경주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0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6 No.3

        In order to design a diesel engine system and predict its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gas flow of the intake and exhaust system. A gas flow analysis in three-dimensional (3D) format needs a high-resolution workstation and enormous time for analysis. Therefore,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MOC) was used for a gas flow analysis with a fast calculation time and a low-resolution workst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a single cylinder diesel engine to measure pressure in cylinder, intake pipe and exhaust pipe. The one-dimensional (1D) gas flow was analyz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experiment. The engine speed, valve timing and compression ratio were the same conditions and the intake pressure was inputted as the experimental results. Bent pipe such as an exhaust port that cannot be realized in 1D was omitted. As results of validation, the cylinder pressure showed accuracy, but the exhaust pipe pressure exhibited inaccuracy. This is considered as an error caused by the failure to implement a bent pipe such as an exhaust port. When analyzed in 3D, calculation time required 61 hours more based on a model of this study. In the future, we intend to implement a bent pipe that cannot be realized in 1D using 3D and prepare a method to supplement reliability by using 1D-3D coupling. 디젤엔진 시스템을 설계하고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흡·배기 시스템의 가스유동 해석이 필요하다. 3D로 가스유동해석 한다면 초고사양의 워크스테이션과 많은 계산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빠른 계산시간과 낮은 사양의 워크스테이션으로 계산을 하기 위해 특성곡선법을 사용하여 가스유동 해석을 하였다. 단기통 디젤엔진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고 실린더 압력과 흡 배기관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1D 가스유동 해석을 하기위해 흡기 압력은 실험 결과를 입력하였다. 1D로 구현하지 못하는 곡관 형상의 배기포트는 생략하여 1D 가스유동 해석을 하였다. 신뢰성 평가를 해본 결과, 실린더 압력은 정확성을 보였지만, 배기관 압력은 정확하지 않았다. 배기관 압력이 정확하지 않은 이유는 곡관 형상의 배기포트를 구현하지 못하여 발생한 오차라 생각한다. 추후 1D로 구현하지 못하는 곡관을 3D로 구현하고 1D-3D 결합을 이용하여 신뢰성을 보완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염제 혼합확산장치의 유동특성분석

        오대민(Daemin Oh),강성원(Sungwon Kang),김영석(Youngsug Kim),정성희(Sunghee Jung),문진호(Jinho Moon),박장근(Jangguen Park) 大韓環境工學會 201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능 사고로 인한 오염물질 유입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염제의 혼합확산장치 개발에 앞서 장치 가동으로 인한 혼합 및 확산영향을 예측하는데 있다. 유동특성분석을 위해 사용된 추적자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Gy, To이며, 이를 검측하기 위해 2인치 NaI 방사선 검출기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 적용된 제염제 혼합확산장치의 임펠러는 3가지 type으로 제작하였다. 방사혼합형 임펠러는 상향류 흐름을 이용하여 수표면으로 확산이 가능하며,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 핀 구조를 조정하였다. 방사능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염제 혼합확산장치의 유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모델별 혼합확산과 유동패턴특성을 획득하였다. Model 3 type은 별도의 Fin유도부와 보조 Fin이 구성되어 있어 다른 type의 임펠러보다 확산속도가 크고 완전혼합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edicted the effects of mixing and diffusion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mixed diffusion device for the decontamination absorbent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contaminant inflow due to radiation accident. The tracer used for the flow characteristics was <SUP>68</SUP> Ga, <SUP>99m</SUP> Tc, which is a radioactive isotope, and 2 inch NaI radiation detector was used to detect it. The impeller of the decontamination mixed diffusion system applied to this study was made into three types and the mixing diffusion effect was compa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radio-isotope with decontamination mixed diffusion device, mixing, diffusion and flow pattern were obtained. The radial mixing type impeller was able to diffuse to the water surface by the upflow flow, and the fin structure was adjusted for finding optimal conditions. The model 3 type consists of a fin guiding part and an auxiliary fin so that the diffusion speed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impellers. It also showed a short time to reach complete mixing.

      • KCI등재

        Girney 플랩과 제트 플랩을 혼용한 유동제어 기법에 관한 수치적 연구

        최성윤(Sung-Yoon Choi),권오준(Oh Joon Kwon) 한국항공우주학회 200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5 No.7

        본 연구에서는 NACA 0012 익형 주위의 비교적 높은 레이놀즈수 유동장에 대한 Gurney 플랩과 제트 플랩을 혼용한 유동제어 기법의 유동제어 특성에 대하여 비정렬 격자계를 사용하는 수치적 기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혼합제어 기법의 유동제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동제어에 따른 공력계수 및 모멘트 계수의 변화를 혼합제어 기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동제어 기법들의 결과들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혼합제어 기법의 경우 제트 플랩만을 고려한 경우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무차원 세기의 제트를 이용하여도 유사한 양력 향상 특성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Gurney 플랩만을 이용한 경우에 나타나는 항력의 증가를 완화시켜 주었다. The flow control effect of blending Gurney flap with jet flap for flow around an NACA 0012 airfoil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through parameter variation of each flow control mechanism on unstructured meshes. The aerodynamic force and moment variations due to flow control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blending control and each individual flow 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lending control required less energy input to achieve the same level of lift increment than that of the jet flap, and at the same time alleviated drag increment caused by introducing the Gurney flap.

      • KCI등재

        원형 및 스월제트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고동국 ( Dong Guk Ko ),윤석주 ( Suck Ju Yoon ) 한국분무공학회 2014 한국액체미립화학회지 Vol.19 No.2

        The comparison of the flow characteristics between circular and swirl jets which were controlled by the spinner attachment inside the airtube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Swirl jet means a flow in whirls by mixing the flow of axial and tangential direction. Swirl flow has been u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bustion efficiency in the combustor. This flow is controlled by the spinner which has several vanes inclined by certain angles to the axial direction. In this study, angle of vane 30° and diameter ratio of outlet to inlet of the airtube 0.73 were made. These spec. should find on the general gun type burner built in the domestic small size boiler. As the flow characteristics, axial and tangential velocities were measured by using the 2-D hot-wire velocimeter system and analyzed statistically. And also this research conducted a practical experiment considering to the attached belongings likes as ignitor, nozzle etc. on the airtube of the gun type burner. As a result, swirl occurred at the occasion of beingness and flow region extended considerably toward the radial direction. But effect of swirl did not transmit to the downstream. And the complicated flow was appeare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spinner because of the effect of belongings.

      • 반응조 내 유동특성에 따른 혐기성 소화 공정의 성능 평가

        허유승 ( Yu-seung Heo ),정대운 ( Dae-woon Jeo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소 생산을 위해 혐기성 소화 반응조에 Pitched blade와 Hydrofoil을 적용했을 때 각각의 유동특성을 평가하고, 혐기성 소화 효율과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전산 유체 역학을 활용하여 교반기의 종류에 따른 혐기성 소화 반응조 내 유동특성을 평가하였다. Pitched blade는 교반기 날의 끝에서 소용돌이 형태의 유동특성을 보였으며 교반축과 반응조 하부, 벽면에서 슬러지의 축적이 발생하였다. Hydrofoil은 반응조 전체영역을 순환하는 유동특성을 보여 유동특성에 따른 혐기성 소화 효율을 검토하기 위해 서로 다른 교반기가 장착된 혐기성 소화조를 60일 동안 운전하면서 유기물 제거효율과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산 유체 역학에서 전체 반응조에서 순환하는 유동특성을 보이는 hydrofoil가 장착된 소화조가 높은 유기물 분해효율과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보였다.

      • 터널 길이에 따른 열차의 교행시 나타나는 유동현상 비교분석

        조정민(Jung-Min Cho),성재용(Jaeyong Sung),이동훈(Dong-Hoon Lee)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본 연구에서는 터널 길이에 따른 열차의 교행시 나타나는 유동현상을 비교분석 하였다. 해석을 위해 CFD를 사용하여 3차원 유동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난류모델로 k-ω standard모델을 사용하였다. 해석모델은 각각의 길이가 600m, 3400m인 기차 길이의 6배, 34배의 짧은 터널과 긴 터널을 모델링 하였다. 열차는 27m/s의 속도로 교차운행 하도록 설정 하였다. 두 터널을 분석한 결과, 터널 출입구의 압력상태와 열차의 운동에 의해 반사파가 생성되며, 이는 터널내부 유동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짧은 터널내부의 유동장이긴 터널에 비해 압력과 속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when two trains are crossing in a straight tunnel, have been compared according to the tunnel length. The 3-dimensional flows are simulated using a commercial CFD software(Fluent) and a k-ω standard model is applied as a turbulence model. To see the effect of tunnel length, short and long tunnels are considered. The length of short and long tunnels are 600m and 3400m, respectively. which is 6- and 34-times of the train length. the train"s speed is set to be 27m/s. The results shows that the reflecting pressure wave is generated at the tunnel exit because of the train movement. This reflecting pressure wave is significant effect on fluid flow in the tunnel. The variations of the pressure and velocity inside the short tunnel are larger than those inside the long tu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