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 시대의 디지털 격차

        김문조(Kim, Mun Cho) 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학 Vol.21 No.1

        정보 편중으로 인한 불평등 현상은 공유성·이전성·복제성과 같이 평준화에 기여함직한 정보의 기본 속성에 반하는 잠재적 역기능의 하나로 꼽혀 학술적·정책적으로 주시되어 왔다. ‘정보격차’로 불려온 정보화 시대의 불평등은 하드웨어 차원인 기기(tool), 소프트웨어 차원인 자료(data), 휴먼웨어 차원인 사용자(user)에 따라 기회격차, 활용격차 및 수용격차라는 세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기계 지능이 인간지능을 넘보는 AI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보격차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화가 새로운 도약단계로 들어서는 AI 시대의 디지털 격차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휴먼웨어 차원에서 되짚어보면, 그것은 운영격차·선별격차·증강격차라는 세 갈레로 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격차로 불려온 AI 이전 시대의 디지털 격차1.0과 AI 시대의 디지털 격차2.0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도 상이한 면모를 보인다. 생활공간의 공유를 전제로 하는 전자의 경우 소유-비소유 관계가 문제의 핵심을 이루는 반면, 후자에 있어서는 생활공간에서의 실존성과 직결된 존재-부존재라는 쟁점이 중요시 된다. 따라서 디지털 격차1.0에서는 사회적 형평성에 어긋나는 정보수혜층과 정보소외층 간의 간극을 축소하기 위한 복지적 접근이 적실한 해법으로 상정되나, 디지털 격차2.0의 경우에는 생활 현장에서의 실존감을 유실한 심정적 퇴출자들의 인간성 회복이 보다 절실한 과제로 대두한다. 그 결과, 기술사회적 논의수준에 머물던 기존 정보격차론은 AI 시대를 맞아 기술담론·사회담론·인간담론을 망라한 수준으로 확장될 전망인데, 이 때 실용지나 암묵지의 소재 여부와 직결된 ‘신(新)지역격차’가 새로운 지적 관심사나 정책적 의제로 소환될 개연성이 높다. Social inequality due to the unequal distribution of information has drawn a great attention in academia and public policy sphere as it is considered one of the latent dysfunctions that go against the basic attributes of information seemingly contributing to social equalization, through the sharing, transferring or reproducing information. Digital divide which has been called the ‘information inequality’ throughout the information ag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pportunity divide, utilization divide and reception divide in terms of hardware(tool), software(data) and humanware(user), respectively. However, in the AI era, where machine intelligence apt to exceed human intelligence, the digital divide is shifting to a totally new stage. Looking at the digital divide in the AI era in light of the three aspect of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it can be categorized into operational divide, curation divide and augmentation divide. The digital divide of the pre-AI era, which has been called the digital divide1.0 and the digital divided2.0 of the AI era reveal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follows. While the ownership/non-ownership relationship is at the core of the problematic for the former which is under the premise of sharing living space, the matter of inclusion/exclusion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existence in living space is most important for the latter. Thus, in the case of the digital divide of 1.0, welfare approach aiming at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information rich and the information poor turns out to be the most promising solution than anything else. In the case of digital divide 2.0, however, how to enhance the human dignity of the people who are losing their sense of existence in social life. Therefore, the existing digital divide theory, which remained at the level of socio-technical discussion should be expanded to the more comprehensive discussion that encompasses technological, scientific and humanistic discourses in coming era of AI. Then,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new regional disparity” centered on the locale of residence, which is linked to the exchanges of practical or tacit knowledge will be called upon as a new intellectual topic or policy agenda.

      • KCI등재

        논문 : 지자체 공간정보화 수준분석 및 격차 완화방안

        김걸 ( Kirl Kim ),김영호 ( Young Ho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3 No.3

        정보화 시대에서 공간정보는 국가행정업무와 시민서비스 및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정보사회에서 매우 주요한 정보로 인식된다. 정보사회가 고도화 되면서 정보화의 지역간 격차, 즉 정보격차(digital divid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간 공간정보격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공간정보는 정보의 생산과 관리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보화 사회에서 더 심각한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격차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공간정보격차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248개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화 수준을 분석하여, 지역간 공간정보격차를 분석한다. 그 과정에서 지자체의 공간정보화 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며, 동시에 이러한 공간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행정규모에 따른 공간정보격차는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에서 재정, 정책, 계획, 그리고 평가체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통해 공간정보화 격차를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patial information is commonly evaluated very important because it plays significant roles in national administrations, public service, and efficient land use in the national territory.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s, regional gap in information, digital divide, is frequently considered inevitable. The digital divide is identically applicable to spatial information among different regions. Particularly requiring huge financial investment i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patial information may lead to serious digital divide in a countr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digital divide,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digital divide of spatial information by analyzing whole 248 government administrative units in Korea. In the process, this study presents prototype of digital divide analysis about spatial information and provides technical suggestions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The result shows that Korea has regional gaps, the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and the digital divide was particularly dominant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villages. This study suggests multi-dimensional suggestions in political, financial, planning and evaluation perspectives to handle the digital divide.

      • A Follow-up Study on Smart Divide Issues in Korean Rural Area

        Jongtae Lee 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 2016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Vol.8 No.1

        Digital divide commonly means the gap among diverse stakeholders, businesses, physical areas, and individual people in terms of opportunities, accessibilities, and usabilities (Acılar, 2011). Lee and Park (2011) and Barzilai-Nahon (2006) suggested that the digital divide issu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ublic issue because proper public response may enhance or reduce the information gaps by the digital divide.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the study of Lee and Park. This study’s main aim is to clarify the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rural areas during five years and to find out meaningful factors to reduce the gaps between the rural area and urban area.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analyzes the public data by ITSTAT and previous studies on the digital divide. Also this study follows the system thinking approach to model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diverse factors on the digital divide. With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tors to measure the digital divide should be re-designed including smartphone penetration and accessibilities. Especially, current digital divide scor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ay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노인복지관의 디지털 체험 공간 연구

        김미숙 ( Kim Misook ),김연아 ( Kim Yean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인터넷의 발달과 생활의 보편화로 인해 모든 연령층의 일상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나, 노인들은 디지털 기기의 시용 및 사회 적응에 어려움과 불편함을 겪고 있다. 노인들의 디지털 디바이드 문제는 세대 간의 소통을 단절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심리적인 어려움과 소외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이러한 노인들의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디지털 활용 교육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에 관한 기본적인 교육만 진행하기 때문에 노인의 디지털 활용 능력은 정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디지털의 단순한 사용보다는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및 활용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디지털 디바이드와 그로 인한 소외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해소시키고 자 하는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노인들의 디지털 디바이드로 인한 소외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노인복지관의 디지털 리터러시 필요성과 체험 공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노인들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및 체험공간의 연구를 위해 참고문헌을 통한 이론을 고찰하고 선행 연구 및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들의 디지털 활용 정도와 디지털 디바이드 문제로 인한 노인들의 소외현상을 관련기사 및 관련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고 우리나라 디지털리터러시 요구조건에 가장 부합하다고 생각되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현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문제점과 디지털 체험을 위한 공간의 필요성과 요구조건 등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디지털 디바이드와 이에 따른 소외현상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노인들은 생활과 가장 밀접한 디지털 기기인 스마트폰마저 젊은 세대와 사용과 활용의 격차가 있고, 무인매장의 키오스크의 이용에도 불편함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들도 점점 발전하는 디지털시대에 단순히 기기를 이용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줄 아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한 정부와 민간단체들의 노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정책의 실시와 교육을 지원하고 있지만 원론적인 차원의 교육에 머물고 있어, 노인들이 직접 경험하고 익힐 수 있는 교육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노인들이 위축되지 않고 편안한 공간에서 디지털을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야말로 디지털리터러시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노인들의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해 기본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편안하게 교육 받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의 조성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환경은 노인들의 디지털디바이스 문제가 해소되고 자립적이고 원활하게 디지털시대의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는 사회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daily life of most age groups are changing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However, the elderly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 digital society, particularly discomfort with using digital device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digital divide affecting the elderly and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caused by it. The digital divide can disrupt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caus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mong the elderly. To address the issue of the digital divide affecting the elderly, measures were taken to educate this demographic population. However, since only a basic education was provided, the ability of the elderly to use digital devices and technology has remained poor. In the digital age, the proper use―rather than simple use―of digital literacy skill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to create a digital literacy space to address the issue of alienation experienced by elderly from the digital divide.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on the need by the elderly to have a digital literacy space by reviewing theories through references and investigating previous cases and studies. The review also examined the extent of digital use and alienation among the elderly and the empirical evidence that attributes this alienation to the digital divide. In addition, it analyzed the need and experience of a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resence of a digital divide and the alienation caused by it and experienced by the elderly. Even in the use of the smartphone, which is a ubiquitous digital device in daily life, there was a gap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er generation. The elderly also expressed difficulty in using the kiosk. In the digital age, digital literacy is needed not only to operate digital devices, but also for digital information for various purposes. Without an effective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elderly will be further marginalized. The number of digital literacy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growing,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also providing education and support to address the digital divide affecting the elderly. The analysis of local and overseas examples of digital literacy has reveal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 comfortable space that can encourage a direct and positive experience with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devices. (Conclusions) To address the digital divide, the elderly must be provided not only with a basic education in digital literacy, but also a comfortable space for them to learn and experience digital literacy in their daily lives. Hen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for the elderly to live a meaningful life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디지털 네이티브 집단 내의 디지털 격차 : 영향요인의 탐색과 제언

        안정임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2

        디지털 격차 연구에서 1020 세대들은 고령층의 상대적 격차 현황을 비교하기 위한 준거집단으로만 활용되어왔을 뿐, 이들 내부의 격차 현실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 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로 일컬어지는 1020 세대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의 존재 여부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 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기기 유형별 소유 여부의 도구적 격 차 변인, 컴퓨터와 모바일의 이용 기술적 변인, 조력자와 사회관계 자본 등의 관계적 변 인, 디지털에 대한 이용 동기와 태도 등 심리적 변인들이 정보활용격차와 정보생산격 차, 참여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20 세 대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노트북 소유 여부와 같은 도구적 요인의 영향력이 재부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령층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조력자 변인이 젊은 층에서도 영향을 미쳤고, 이용기술, 이용동기 등이 모 든 격차 유형에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 및 정책 과제로 새로운 디지 털 환경에서 기기 접근과 소유에 의한 1단계 격차의 재검토, 1020 세대에게도 필요한 조력자의 역할, 이용동기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한 탐색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이름 하에 동일 집단으로 인식되어온 1020 세대 내부의 다양한 격차 현상 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질적 연구의 필요성도 논의하였다. In the digital divide research, the 1020 generation has been used only as a reference group to compare the relatively poor status of the divide among the elderly, and research on the divide within young generation is lacking. This study explored the existence of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1020 generation, referred to as digital native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Using <2020 Digital Divide Survey> data, instrumental variables such as ownership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device, technical variables such as use of computers and mobile, relational variables such as supporters and social capitals,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digital us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s on the information utilization divide, content production divide, and participation divid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various forms of digital divide exist within the young generation. In particular, whether or not to own a laptop, variables of supporters, technology skills, and motivation for u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all types of divide. Based on the results, reexamination of the first-level divide due to device access and ownership in the new digital environment, the role of supporters necessary for the 1020 generation, and the search for factors activating the motivation were suggested as future research and policy tasks. In addition, the need for mor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on various inequalities within the 1020 generation,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nolithic group under the name of digital native, was discussed.

      • KCI등재

        중소기업의 B2B 전자상거래에서 정보격차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혁라,유일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9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1 No.2

        This study is measured digital divide of organization who use e-commerce, in the aspects of access, usage and electronic information sharing based on the various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existing digital divide with identifying the divide through online as e-commerce divide. In the above practice, It is investigated that how the digital divide happens depended on the digital divide patterns and also it influences on organiz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Firs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verage of the digital divide level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result, industry is not significant in all digital divide patterns, while the number of an employee is different under all digital divide patterns except access divide. The introduction period of e-commerce is significant in organization performance divide, the average between the sales is different in the regions of access divide, qualitative divide and electronic information sharing. Second, in the result of comparative influences of digital divid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through e-commerce, quantitative usage divide and electronic information sharing divide a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organization satisfaction. Besides only quantitative usage divide is effective in organization performance. Access divide and qualitative usage divide, however, has no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We also discuss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격차(digital divide)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온라인 상거래 상에서 발생하는 격차를 전자상거래 격차(e-commerce divide)로 개념화하고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기업의 정보격차를 접근과 활용 그리고 전자적 정보공유 차원에서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격차의 유형에 따른 정보격차의 발생원인을 조직특성차원에서 파악하고 정보격차의 차이가 기업의 성과격차인 조직만족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직특성에 따라 정보격차의 수준을 평균값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업종은 모든 정보격차의 유형에서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업원수의 경우는 접근격차를 제외한 모든 정보격차의 유형에서 집단간 평균값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 도입연한은 조직성과격차에만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출액의 경우는 접근격차, 질적활용격차 그리고 전자적 정보공유격차 유형에 집단간의 평균값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 성과격차인 조직만족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정보격차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조직만족도의 경우 양적활용격차와 전자적 정보공유격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성과의 경우는 양적활용격차만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격차와 질적활용격차는 조직만족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와 의의,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A New Framework for Digital Divide in the Smart Phone Age

        ( Jun Jong-kun ),( Qian Chungxiang ) 동의대학교 경제경영전략연구소 2012 經濟經營硏究 Vol.7 No.2

        The rapid diffusion of new IT-related devices and services including smartphones and SNS in recent years has totally changed users` life style and behavior. Fast change in ICT makes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divide obsolete in explaining changing aspects of digital divide.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explanation of the impact of recent development in ICT, this paper proposes a holistic model for digital divide by combining information usage gaps and the types of digital divide. The new framework for digital divide presents three types of access divide which are material access divide, skill access divide, and voice access divide at the vertical axis. The concept of voice access divide was coined to explain the voice power users have and how influential they are when they try to make their voices heard in the digital world. The horizontal axis of the framework represents three types of usage gaps: consumption gap, production gap, and dissemination gap. The framework aims to explain how each type of usage gap is narrowed or widened. Thanks to the diffusion of social media, users are putting more time in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than in consumption, which should narrow the consumption gap, a traditional divide, and widen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gaps.

      • KCI등재

        Elemen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Digital Literacy - A Solution to Digital Divide and Violence

        ( Luo Yang ),( Seo Eun Sook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resulted in numerous opportunities as well as challenges. In Korea, adolescents are confronted with major ethical issues such as the digital divide and digital violence arising from bias and discrimination, and it is vital to reflect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digital literacy and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adolescents. Therefor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and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and causes of the digital divide and digital violence of adolescents, this study proposes to implant five elemen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include embracing cultural diversity, respecting others, living harmoniously, reflecting on bias and discrimination, becoming digital-multicultural citizens into digital literacy, and provides a new direc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dolescents.

      • KCI등재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과 디지털 격차에 관한 연구

        김승환 ( Kim Seung-hwan ),성욱준 ( Sung Wook-joon )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정보화정책 Vol.27 No.3

        본 연구는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디지털 격차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농어민의 기술에 대한 태도, 물리적 접근성, 활용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농어민 간 인구·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파악하였고, 특히 겸업·전업 농어민 간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서의 격차와 그 원인을 분석했다.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태도, 물리적 접근성, 콘텐츠 관련 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연령과 거주 지역에 따라서 디지털 격차가 발생했다. 겸업·전업 농어민 간에도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신기술의 대한 태도로 인해서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어민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서 농어민 정보화 교육, 낙후 농어촌 지원, 전업 농어민을 위한 기술 지원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gital divide that appears in the mobile Internet use by farmers and fishers.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the impact of farmers and fisher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material access, and skills on the use of mobile social media. In addition, the digital divide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ocioeconomic factors among farmers and fishers, and the divide and the cause of the mobile Internet use among both part- and full-time farmers and fish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 2018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 attitudes, material access, and content-related skil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mobile social media. Also, the digital divide was found in different age groups and residential region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mobile social media between part- and fulltime farmers and fishers, and this divide was caused by attitudes toward new technolog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for education on informatization for farmers and fishers, support for underdeveloped rural communities, and technical support for full-time farmers and fishers in order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 Overcoming the Digital Divide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Mobile Divide

        Jongtae Lee,Myeong-Cheol Park 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 2011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Vol.3 No.2

        Although the diffusion of mobile services appears to be occurring much more rapidly than the spread of wired services, there are risks of a new type of digital divide: the mobile divide. The mobile divide, which refers to a specific digital divide that involves the unbalanced diffusion of mobile technologies, must be concretely studied.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mobile divide with respect to disadvantaged populations. Although var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diffusion of mobile devices may reduce the digital divide, somestudies argue against the positive effect of mobile devices in addressing traditional digital devices. Low and O’Connell (2006) insisted that equity of access to mobile technolog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of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they argued that there may be socio-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mobile devices and the mobile Internet that are similar to the socio- 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stationary computers and the stationary use of the Internet. Focusing on the smartphone divide, this study suggests that emphasizing utilization is an appropriate manner in which to bridge the mobile divide rather than focusing on other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and capability, thatprevious studies have used to measure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