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을 위한 주거생활서비스 항목 개발

        권오정(Kwon, Oh-Jung),이용민(Lee, Yong min),김은지(Kim, Eun-Ji),양건희(Yang, Gun-Hee)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1 No.1

        Service support plan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degree and type of disability based on local resource situation by understanding what housing services support the disabled to be independent in their own houses as well as propelling policy for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This study collected, compared, and analyzed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currently provided on community-based basis and housing service data provided to ordinary households. As a result, the current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were supported around "personal maintenance" and "home management" areas, and are service provider-based services. In the future, housing living service items for supporting the disabled"s independent daily life should be added with services supporting family member care and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provision should also be expanded in a way that links external local resources.

      • KCI등재

        근거이론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중증장애인 보호자의 일상생활지원서비스 품질인식 과정에 관한 연구

        박수지 ( Sus Ie Park ),김가희 ( Ka Hee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인 보호자의 일상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품질인식 과정을 근거이론 방법론으로 고찰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5세 이상 중증장애인의 보호자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와 중증장애인 보호자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인터뷰의 녹취록을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여 총 138개의 개념과 2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도출한 다양한 현상들의 중심범주로서 중심현상은 “기대와 현실의 괴리”로 상정하였다. 이는 중증장애인의 보호자가 일상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해 가졌던 기대와 이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의 질 그리고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을 종합한 개념이다. 이후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조건, 맥락적조건, 상호작용과 이를 다루기 위한 전략, 결과를 논리적으로 배열하였다. 그리고 15세 이상 중증장애인 보호자의 서비스 품질인식 과정을 “기대와 현실을 조율하며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 수정하기”로 설정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용자 중심의 품질관리를 위해 서비스 성과 이외에 “과정에 대한 정책적 관심”, “이용자 참여의 강화”, “장애인과 보호자의 자조활동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nsider the quality of Daily Life Support Services for the Disabled perceived by guardians of the severely disabled over the age of 15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guardians of the severely disabled over the age of 15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6 guardians of them as a secondary sample group. Subsequently, the recorded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nd then 138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In addition, as a central category of phenomena derived in this process, the central phenomenon was assumed as a “gap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And this study logically arranged human and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is central phenomenon, interactions by the central phenomenon, strategies to deal with them, and final results of service use. Furthermo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usage process as a “process of balancing expectation and reality and changing perceptions of services”. In conclus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rovided “policy interest in service delivery process”, “enhancement of user-participation”, and “need to support self-help activities” as a plan for the realization of government-led user-oriented quality control.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가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광호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ervice on the use satisfaction of people who have use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disabled'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ts as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activity support service for the disabl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for technical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method for a total of 473 copie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the activity support service for the disabled, it was found that daily life support, the level of user rights recognition, and the degree of service use all had a grea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user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Fourth,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ervice on user satisfaction.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the activity support service for the disabled, the daily life support, the level of user rights recognition, and the degree of service use all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Finally, if the social bond is expande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n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ervice on user satisfaction will increase, and the institutional effectiveness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ervice is expec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장애인 시설을 이용한 사람들의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영향 관계에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473부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다중 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SPSS/WIN 22.0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는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일상 생활지원, 이용자 권리인식수준, 서비스이용정도 모두 이용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는 이용자의 사회활동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자의 사회활동참여는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 활동참여는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일상 생활지원, 이용자 권리인식수준, 서비스이용정도 모두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가졌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를 독려할 수 있도록 사회적 유대감을 확대해 가면,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질 것이며,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의 제도적 효과성이 기대된다.

      • KCI등재

        뇌병변장애인의 심리사회적 특성 연구:장애영역별 비교

        이달엽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1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discriminatory experience of various personal and social areas, subjective welfare need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current situations of leisure and vocational life for persons with brain lesion.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structured on the above important research variables, data from 181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Within this legal disability, three groups of disability, cerebral palsy,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TBI), were compared on several variables selected and factors derived by multiple factor analyses. In terms of the ADLs and IADLS, persons with stroke showed high levels functional abilities followed by persons with CP and TBI.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support needs were more influence by IADL than ADL among three groups of brain lesi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indicative of deliberated rehabilitation service planning and the individual service delivery model. Furth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counseling with this most discriminated special legal disability group socially. 출생시 혹은 생애 어느 시기에 발생하는 장애는 개인 삶의 적응상 중요한 과제와 과정들을 요구한다. 조기 장애발생은 자기옹호 기술들을 강화할 필요를 요구하는 반면, 후기 장애발생은 친구와 가족에 미치는 영향 등 심리적 트라우마가 더 크기 때문에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 있지만 재활에서의 전제는 개인에 따라 적응과정이 모두 다르다는 입장이다. 각종 통계가 보여주듯 뇌성마비를 포함하는 뇌병변 장애는 여러 가지 위험 요인들로 인해 그 발생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차별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인권의 시대를 맞이하여 장애유형 간의 서비스격차에서 나타나는 실천적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시점에 와 있지만 상대적으로 정책적 임상적 차원의 사회배려가 부족하였던 뇌병변장애인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들이 직면한 곤경과 실상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전문가, 일반대중, 정책수립자, 담당공무원 뿐만 아니라, 특히 임상전문가들에게 있어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남동부에 거주하는 재가 뇌병변장애인 만20세 이상 132명과 20세미만의 뇌병변장애를 지닌 아동과 청소년 가정의 부모 등 대리인 49명에 대한 조사를 통해 집단별 뇌병변장애인이 직면한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9가지 영역의 조사결과와 주요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서비스의 확장과 더불어 연속적이고 원스톱 방식이 전개되도록 지역에서 가까운 곳에 소규모 프로그램들을 다양화하는데 필요한 제안과 개별 장애인의 특성에 부합되는 생활밀착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추가적 서비스와 그 방향성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