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선수들의 경력태도가 경력관리행동 및 경력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 ( Tae Hee Kim ),이형국 ( Hyung Kook Lee ),장경로 ( Kyung Ro Chang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6

        스포츠분야에서 운동선수들이 직면하는 경력경로 상의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음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적 접근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의 경력 관리는 은퇴 전후를 기점으로 단기적인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생애과정적 개념에서 경력개념을 정의하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의 무경계경력태도와 프로틴경력태도가 경력관리행동으로 경력계획과 경력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경력관리행동은 경력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시·도 실업팀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된 자료 중 204명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무경계경력태도는 경력계획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학습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틴경력태도는 경력계획과 경력학습 모두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계획과 경력학습은 경력적응력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무경계경력태도와 프로틴경력태도가 경력적응력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력에 있어서는 프로틴경력태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종합적으로 운동선수들의 경력관리 및 경력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프로틴경력태도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력관련 변수들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변수들로 단순화하였으므로 이후 연구로의 확대로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경력관련 변수들 설정하고 분석하여야 할 과제를 제시한다. The problem of career paths that athletes are facing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However, lack of research has covered about the issue. Athletes need career management programs during and after the sporting care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career attitud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s of athletes in recent changes of career paradigm.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thletes``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nd protean career attitude influence on career planning and career learning as career management behaviors. In addition, we examined how athletes`` career management behaviors influence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Total 204 amateur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had positive impacts on career planning, but the impact on career learning was no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rotean career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career planning and career learning, and both career planning and career learn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nd protean career attitude showed in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but the protean career attitude had more effect tha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athletes`` career man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can be more effective by developing protean career attitude.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 비교 연구: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서유란,이상희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amined how self-identity status, career identity status relat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A total of 440 college students(male 258, female 182)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f self-identity, career exploration, career exploration and commitmen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all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reer identity status as referred to Marcia's theor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self-identity status' distribution and career identity status'. third, even though the same status of self-identity and career identity,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s. Also, four self-identity and career identity groups have different scor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variables. In self identity status,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and diffusion. Whereas in career- identity status, they showed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achievement, foreclosure, moratorium and diffusion.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Marcia의 모델과 같이 네 가지 단계로 구분되는가를 확인하고,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를 비교하여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는 대학생 440명(남학생 258명, 여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정체감 척도, 진로탐색행동척도, 진로결정몰입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몰입에 따라 Marcia의 모델처럼 네 가지 단계-성취, 유예, 유실, 혼미-로 분류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 분포를 비교한 결과,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는 동일하게 발달하지 않으며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같은 발달 단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아정체감은 성취-유예-유실-혼미의 순으로 높은 진로태도성숙을 보이고 있었으며, 진로정체감은 성취-유실-유예-혼미의 순으로 높은 진로태도성숙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태도가 진로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상희,이은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raditionally men and women had pursuit different careers. Recently women have entered male-dominated careers and vice-versa. The studies regarding non-traditional careers have been focused on gender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s relate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519 college students (235 males and 284 females).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f gender role identity, gender role attitud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gender role attitudes. Specifically, mal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on masculinity than female college students whereas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on gender-role attitude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masculinity variab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emininity variabl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s. ln addition,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on traditionalism than female students. Third, four gender role identity groups have different score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Fourth,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variable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variables. Fift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were varied by scores on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 Finally,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gender role attitude variabl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variabl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variabl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대학생 519명(남학생 235명, 여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역할 정체감 척도, 성역할 태도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성과 성역할 태도에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역할 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남성성이 높은 것은 여성성이 높은 것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들의 성역할 태도는 여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전통, 보수적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는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성차가 나타나고 있었다. 다섯 째, 성역할 태도에 따라 성역할 정체성 집단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이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섯 째,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조형래(Hyoung-Lae Cho),박용호(Yongho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진로계획, 진로준비로 한정되어 취업 이후의 경력관리 문제에 대해서 다루지 않고 있어 진로지도의 한계성이라는 문제제기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대학생 대상으로 주로 연구되는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기초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7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성숙도 중 계획성과 독립성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진로성숙 태도 중 일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계획성,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경력과 관련된 행동 및 인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에 입각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경력관리 이론이 새롭게 도입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aise a question regarding limitations of career guidance as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are limited to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and fail to deal with career management after being employed. Accordingly,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which is mainly studied among university students, o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effects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o that end, this study built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and protean career attitude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273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protean career attitude. Especially, in career maturity, planning and independ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tean career attitude. However, in career maturity attitude, attitude toward work had negative effects. Also, protean career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and relevant behaviors and perception by cla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lanning, independence, attitude toward work,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career management theory should be newly introduced into career guidance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성숙도가 무망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조긍호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hich are related to the youth unemployment on the hopelessness and mental health.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someone who are struggli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by giving them a help about their career guida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429 persons of the senior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work. Over 90% of participants' data felt stressful because of employment and care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economic stress caused an increase in the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econd, the higher level in career attitude maturity decreased the level of the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studied. The group with higher economic stress and lower career attitude maturit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Besides, this group showed the most difference all of the group.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ose from each factor of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mplying that the synergic effect of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s statistically meaningful. However, this synergic effect of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hich affects hopelessness and mental health showed only in the group with lower career attitude maturity, not in the group with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not only long-term and integrated policy about the youth unemployment but also more active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instead of increasing short-term employment such as intern and part-time jobs.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들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도, 무망감, 정신건강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봄으로써 취업난에 시달리는 취업준비생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진로 지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 4학년과 4년제 대학 졸업생 7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집되었으며, 이 중 42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90% 이상의 응답자들이 취업 및 진로와 관련해 보통 이상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무망감과 심리적 부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높을수록 무망감과 심리적 부적응 수준이 낮아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이 무망감과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낮은 집단이 무망감과 심리적 부적응 수준이 가장 높았다 또한 다른 집단과의 차이가 가장 컸다. 이것은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을 각각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두 가지 변인이 합쳐졌을 때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이 무망감과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상호작용은 진로태도 미성숙집단의 경우에만 적용되고 진로태도 성숙집단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턴이나 비정규직 같은 단기적인 일자리 수를 늘리는 임시방편적인 대책보다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청년실업 대책과 함께 적극적인 진로 지도와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감이 학습태도를 매개로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오희정(Oh Hu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현황조사 2016~2018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감이 학습태도를 매개로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6년 3125명, 2017년 3721명, 2018년 300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첫째,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과 학습태도 및 진로인식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은 학습태도와 진로인식에, 학습태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과 진로인식의 관계에서 학습태도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은 학습태도를 부분 매개하여 진로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내실 있는 진로교육 활동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바르게 신장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on career recognition through learning attitude in the elementary school using data on career education surveys 2016-2018. Using data of 3,125 sixth grade students in 2016, 3,721 sixth grade students in 2017, and 3,006 sixth grade students in 2018, I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by variable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recognition. Second,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recognition, and learn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recogni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recognition, it was found that learning attitude was partly mediat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recogni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learning attitude i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bstantia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attitude. Third, in connection wit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career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
      • KCI등재

        고용서비스 종사자의 진로정체성과 진로탄력성이 무경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미(Choi, Mi Mi),민현주(Min, Hyun Joo),차희정(Cha, Hee J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고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고용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일자리 이동과 진로변경을 선택해야만 하는 이들 종사자들의 진로정체성과 진로탄력성이 무경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우선 진로정체성, 진로탄력성, 무경계 진로태도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하고 측정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은 변화수용성, 위험감수성, 네트워킹활용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고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308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서비스 종사자의 진로정체성, 진로탄력성은 무경계 진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진로정체성과 진로탄력성이 함께 투입될 경우 진로정체성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탄력성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진로탄력성 하위요인별 무경계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화수용성과 위험감수성은 무경계 진로태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네트워킹활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 이에 기반 한 교육지원 등 다양한 대안 마련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일자리 이동과 진로전환 결정은 고용서비스 종사자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근로자들도 경험하는 상황인 만큼 성인 직업인을 대상으로 진로탄력성과 진로태도 및 일자리 이동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of employment service workers.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theories and prior studies on career identity, career resilience,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measurement tools were determined.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additional distribution of online and offline 80 copiea questionnaires for 5 weeks from August 20, 2018 to September 22, 2018 for employment service workers. Finally, a total of 308 copies were applied to the statistics. As a research tool, SPSS WIN 22.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easuremen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of employment service workers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it was verified that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However, when both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were simultaneously added, career identity decreased and only career resil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resilience, change acceptability and risk susceptibi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but it was found that network utiliz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career elasticity o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change acceptability and risk sensitiv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but networking utilization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study through this will clarify career resilience more clearly and serve as a cornerstone of effective intervention and alternatives to increase career resilience.

      • KCI등재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분석

        황연우,유평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in the effect of free semester system satisfaction by grade on career maturity attitude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exploring the linkage effect of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free semester system, career maturity attitude, and school life adaptation variables for 417 students in 9 middle schools in Jeonbuk-do Provinc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24.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ree-semester satisfaction decreased as grades increased, but career maturity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in the order of 2nd, 1st, and 3rd grade. In 1st and 3rd graders, free-semester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maturity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respectively. In addition, free-semester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had an effect on career maturity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also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semeste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ttitude. However, in the second grade, free-semester satisfaction had no effect on career maturity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only adaptation to school life had an effect on career maturity attitude. Also,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between free-semeste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ttitude. Conclusion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unit schools, community networks, and government-wide cooperation system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apply a grade-level approach to career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so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an cultivate career development. 목적 이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연계효과를 탐색하여 중학생의 진로발달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학년별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라북도 9개 중학교 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만족, 진로성숙태도, 학교생활적응변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4.0 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자유학기제 만족은 학년이 높아지면서 낮아졌지만 진로성숙 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은 2학년, 1학년, 3학년 순이었다. 1학년과 3학년은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 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각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유학기제 만족과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 태도에도 영향을 미쳤고, 자유학기제 만족과 진로성숙 태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그러나 2학년은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 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각각 영향이 없었고, 학교생활적응만 진로성숙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유학기제 만족과 진로성숙 태도 사이의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도 없었다. 결론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 만족을 높이기 위한 단위학교, 지역사회 네트워크, 범정부적 협력체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둘째, 진로교육에 대해 학년별 접근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학생의 진로발달을 함양할 수 있도록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 대학생과의 진로관련 적응에 관한 비교 연구-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정은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4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hinese students who come to Korea for higher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ose Chinese students'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and their career-related adaptation.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expectation of Chinese students about their career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career preparation at college. In addition, their career-preparation behavior, sense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Korean students using a survey method. Participants in the survey were 104 Chinese students and 129 Korean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of Korea.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Chines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Chinese students' career-related motives for studying abroad in Korea were to pursue the majors they want, to get better job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etc. Thir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hinese students in their career preparation were low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ack of support by college, and rarity of career counseling opportunities. Third, Korean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hinese students in all of career-preparatory behaviors, sense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se results implied that Chinese students in Korea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with career preparation although they came to Korea for studying abroad with clear goals and reasons. In particular, proper counseling for those students was needed ab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nse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본 연구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유학 동기 및 진로와 관련된 적응 문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로와 관련하여 중국인 유학생들은 어떠한 기대를 갖고 있으며 이들이 재학 중 진로준비를 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탐색해 보았다. 또한 한국 학생들과 비교하여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진로태도성숙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최종적으로 설문 조사를 참여한 학생들은 충남의 C 대학에 유학중인 중국인 학생 104명과 한국학생 129명이었다. 질적 연구에 참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모두 14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 면담 결과 중국인 유학생들의 유학 동기 중 진로와 관련된 것은 원하는 전공 공부를 하기 위해서, 유학이 취업에 유리하기 때문에, 외국어 습득 등이었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들이 진로준비와 관련하여 어렵다고 진술한 것들은 한국어 능력 부족, 대학의 지원 부족, 진로 상담 기회가 없음 등이었다. 셋째,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진로태도성숙에 있어서 모두 한국 학생들이 중국인 유학생들 보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확고한 목표와 취업의 이점 때문에 입학했으나, 대학의 지원 부족과 언어 문제 등으로 제대로 된 진로준비를 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학생들과 비교해 볼 때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및 진로태도성숙 등이 낮아 이에 대한 적절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