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변화 과정

        유우경,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ing proces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f Savickas(2011) and to present a substantive theor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participa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 theory method. As a result, 169 concepts, 56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axis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participating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esperation for solving career problems’. The caus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 phenomenon were ‘confusion of one's career’, ‘ambivalent feeling about career counseling’, and ‘awareness of importance of career design’.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interest in self-growth’ and ‘attitude of acquaintanc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acilitation and assistance for story construction’, ‘dynamics in storytelling’, and ‘support of counselo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at adult clients use to solve the ‘desperation for career problem solving’ in the course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dubiousness’, ‘being at a loss’, ‘novelty’, ‘proudness’, ‘struggling to write’, ‘breaking through difficulties’, ‘establishing a new career execution plan’, ‘activating senses-making’, ‘increasing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Also, as a result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being expanded of self-understanding ’, ‘increased of self–esteem’, ‘clarity of career goal’ and ‘inclining to live life based on life portraits’ were derived.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in five stages: ‘ignition phase’, ‘shaping phase’, ‘specification phase’, ‘behavioralization phase’, and ‘expansion phase’. The core category of how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going through was ‘regeneration as the protagonist of life through story co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proces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iscussed and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changing process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concretely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concrete information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escriptions in the field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1)의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실체 이론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진로 구성 상담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169개 개념, 56개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진로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진로 문제 해결에 대한 절실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은 ‘진로 혼란에 빠짐’, ‘진로 상담에 대한 양가감정’, ‘진로 설계의 중요성 인식’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은 ‘자기 성장에 대한 관심’, ‘지인들의 태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스토리 구성을 위한 촉진과 조력’, ‘스토리텔링의 역동성’, ‘상담자의 지지’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의아함’, ‘난감함’, ‘신기함’, ‘뿌듯함’, ‘글쓰기에 힘을 쏟음’, ‘어려움을 타개해 나감’, ‘새로운 진로 실행 계획을 수립함’, ‘감각 만들기가 활발해 짐’, ‘반성과 성찰이 늘어남’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자기 이해가 확장되어 감’, ‘자긍심이 높아짐’, ‘진로 목표가 명료해 짐’, ‘생애초상화에 따른 삶을 지향해 나감’이 도출되었다. 본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여 보면 ‘점화 단계’, ‘형상화 단계’, ‘구체화 단계’, ‘행동화 단계’, ‘확장 단계’의 5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스토리를 구성하며 삶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 구성 상담 과정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 내담자들이 진로 구성 상담에서 경험하는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진로 구성 상담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개입과 처방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주체적인 진로구성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혜은,배영광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2 청소년상담연구 Vol.30 No.1

        This study explored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s, specifically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type,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working with out-of-school youths. For this, three participants were purposefully sampled, who dropped out of high school and entered a college or got a job with the support of the Dream Cen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veral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rom February 20th to November 20th, 2021.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explored follow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lso, Career Construction Theory was used as a framework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how out-of-school adolescents construct career-related experiences, particularly related to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type. Career story interview questions were used throughout the entire research, such as i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meaning of experience was derived based on the core concepts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self-construction, career adaptation, identity, career subjects, behavior, dismantling, reconstruction, and co-construction. Results show that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ime and space: 'in-school' and 'out-of-school’ in the past, and current 'university' and 'workplace'. Furthermore, there were three major themes emerged: ’story about before dropout’, ‘story about life after dropout’, and ‘story of college entrance or employment’. Results further indicated that these stories and career related experiences were constructed through interactions with socio-cultural contexts - chaos (unsuitable school), disintegration (dropout and life of outside of school), adaptation (steady efforts for career redesigning), and reintegration (subjective career paths). Based on the results, the meaning of the independent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was interpret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구성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참여자로서 학교 밖 청소년으로 정규학교과정의 중단 경험이 있으면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지원을 받아 대학에 진학하였거나 취업한 3명을 목적표집하여 2021년 2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수차례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들의 경험을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로 탐색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이 어떻게 자신의 진로를 구성해 나가는지를 질적으로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한 틀로써 진로구성이론을 활용하였다. 커리어스토리인터뷰 질문들이 자료수집, 분석, 해석 등의 연구 전반에 적용되었고, 진로구성이론의 핵심개념인 자기구성, 진로적응성, 정체성, 진로주제, 행동, 해체, 재구성, 공동구성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경험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그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구성 경험은 크게 ‘학교 안’과 ‘학교 밖, 현재의 ’대학‘과 ’직장‘이라는 시간과 공간으로 분류되었고, ’자퇴 이전 이야기‘과 ’자퇴 이후 학교 밖 생활 이야기‘, ’대학진학/취업 이야기‘라는 세 가지 큰 주제로, 사회문화적 맥락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혼돈(나랑 맞지 않는 학교)-해체(자퇴와 학교 밖 생활의 시작)-적응(진로재설계를 위한 부단한 노력)-재통합(행복하게, 주체적으로 사는 나) 과정으로 참여자들의 진로가 구성되어 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주체적인 진로구성경험의 의미를 도출하고,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프로티언 커리어와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관련성 탐구

        김이준 ( Kim Yi Jun ),김봉환 ( Kim Bong Wh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티언 커리어의 메타역량과 구성주의 진로상담이론의 관련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로티언 커리어와 구성주의 진로상담 각각의 개념과 배경 철학을 탐구하고 그 관련성에 대하여 진로상담개입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양자 개념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주요 개념인 생애주제와 적응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프로티언 커리어와 구성주의 진로상담은 포스트모던 세계관을 공유하였다. 즉, 양자의 철학적 입장은 자기 인식을 경험의 의미 구성으로 바라보며 개인의 주체적 능동성을 강조하며 환경과의 맥락 속에서 지속적인 학습능력의 관련성을 중요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속적인 커리어 개발에 있어 개인의 자기이해를 통한 적응성을 향상 시키는 방향으로의 진로상담 기법 등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evance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to the metacompetence of a protean career.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background philosophy of protean career and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grasped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life themes and adaptability,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in grasping the relevance of protean care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protean career and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shared the postmodern world view. In other words, the philosophical position of emphasized self-awareness as the semantic component of experience, emphasizing the subjective activity of the individual, and emphasizing the relevance of continuous learning ability in context with th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techniques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adaptability through personal self-understanding in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중년후기 성인의 배움 활동에 나타난 의미와 진로적응에 관한 질적 탐구

        임도영,원종숙,김성길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rudition activities of late-midlife and to understand their career adaptation. For this purpose, we interviewed 7 male and female in terms of their career stories,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meaning of erudition activities in terms of career adaptation, and therefore we interpreted how erudition activities effected on future career adaptation for adults in late mid-life. First, the main purpose of erudition is to explore their career path and improve work ability. Second, erudition activities is instrumental in developing work ability and exploring career path especially those who are in late-midlife. Third, erudition activities and career adjustment have correlation to each other. Erudition activity helps map out one’s career path like as a ‘compass’. This study imply that erudition activities to adults in late mid-life is not only important to prepare their future career path but also find out values and meaning of life time for adults in late mid-lif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 basic data for self–discovery and career adaptation of late-midlife. 본 연구는 중년후기 성인들이 경험한 배움 활동의 의미를 탐색하고 그 속에서 나타난 진로적응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진로발달이론을 바탕으로 7명 남녀의 배움 경험과 진로 이야기를 인터뷰하였으며, 이들이 인식하는 배움 활동의 의미와 이를 통한 진로적응에 관한 기대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배움 활동은 공통적으로 직무․진로 탐색을 위한 배움이라는 특성이 있었다. 둘째, ‘성공 경험’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 환원의 실천적 쓰임새를 위한 추동 요인이었으며, 중년후기 성인들에게 있어서 학습자의 역할은 소홀히 할 수 없는 진로발달과업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배움 활동은 진로를 찾아가게 하는 ‘나침반’으로서 배움 활동과 진로적응이 상호 관련됨을 함축하였다. 종합하면, 중년후기 성인들에게 있어서 배움 활동은 각자 삶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디딤돌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가 중년후기 성인의 자아 탐색과 진로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성인학습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 진로적응력의 유형 분류 및 예측변인 탐색

        김한결 ( Kim¸ Hangyeol ),정현희 ( Chung¸ Hyunhee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7

        본 연구는 구성주의 진로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적응력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YPS 2018 중1 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및 랜덤포레스트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진로적응력의 잠재프로파일은 ‘우수’, ‘보통’, ‘부족’의 세 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진로적응력의 수준을 예측하는 상위 5개 변수는 학업무기력, 주의집중부족, 사회적위축, 우울,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 상위 5개 변수의 부분의존성을 확인한 결과 학업무기력, 주의집중부족, 사회적위축, 우울은 진로적응력과 부적인 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진로적응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적응력 증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of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and to explore the predictive variables of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To achieve this goal, latent profile analysis and random forest were conducted using panel data from KCYPS 2018.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of career adaptabil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xcellent”, “average”, and “poor”. Second, the top 5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were academic helplesness, lack of attention,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artial dependence of the top 5 variables of importance, academic helplessness, lack of attent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and self-esteem positively predicte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서은선,김영화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와 Porfeli(2015)의 진로적응성 협력 척도(Career Adapt-Ability Scale + Cooperation Scale: CAAS+C)를 바탕으로 국내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진로적응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CAAS+C 문항을 번역․수정하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및 파일럿 검사를 거쳐 예비문항 35문항을 개발하였다. 척도의 구인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9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문항 35개 중 총 23문항이 최종 척도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초등학생용 진로적응성 척도는 협력적 배려(cooperative consideration), 협력적 기여(cooperative contribution), 통제(control), 관심(concern), 자신감(confidence), 호기심(curiosity)의 6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척도의 전체 신뢰도(Cronbach’s α)는 .90,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협력적 배려 .84, 협력적 기여 .86, 통제 .70, 관심 .72, 자신감 .71, 호기심 .62로 양호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적응성 척도의 점수는 진로성숙, 성향적 낙관성, 삶의 만족도 척도 점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준거타당도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초등학생에게 활용가능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based on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Cooperation Scale (CAAS+C, Savickas & Porfeli, 2015). Thirty-five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content validity check by experts, and pilot-testing. Data from 934 5th and 6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construct validity,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 total of 23 items out of 35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cale items.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consisted of six factors such as; cooperative consideration, cooperative contribution, control, concern, confidence, and curiosity. The overall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scale was .90,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as good at .84 for cooperative consideration, .86 for cooperative contribution, .70 for control, .72 for concern, .71 for confidence, and .62 for curiosity. Initial criterion validity was established as the scores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maturity, dispositional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scale scores in ways consistent with theo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career adaptability of upper grades of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and developed a tool that can be used for them.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구성주의 진로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임도영(Do-Young Lim),김성길(Seong-Gil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 연구 문헌에서 구성주의 진로이론 기반의 진로적응모형의 틀을 적용하여 연구 변인을 분류하고, 진로적응모형 변인 분류에 따른 연구 현황과 진로적응성 연구의 특징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0∼2019년까지 발표된 연구들의 논문을 Torraco(2005)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의 방법을 활용하여 총 69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진로적응모형의 적응준비, 적응자원, 적응반응, 적응결과의 범주로 확인된 변인은 총 51개였으며, 적응준비 변인이 30개로 가장 많았다. 연구된 변인의 빈도를 확인한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 사회적지지, 진로적응성, 역할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로는 프로그램개발·교육 경험 관련 효과성을 살펴본 연구가 20편(29%), 진로적응성 연구 12편(17%)이었으며, 적응자원에서의 환경변인은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가, 적응반응 변인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추후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search variables by appl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based on constructivism career theory in domestic career interrupted women’s career research literature, an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adaptation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69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10 to 2019, using the integrated literature method presented by Torraco (2005).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a total 51 of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the four categories of career adaptation model-adaptivity readiness, adaptability resources adapting-response, and adaption results. Among 51 of variables, 30 variables of them were categorized by adaption variables which is the largest number of variables in four career adaption model’s categories. In terms of frequency of variables, career-setting self-efficacy made up the greatest portion of variables, followed b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barriers,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role orientation. Secondly, with regard to research topic, there were twenties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experiences(29%) and twelve studies on career adaptation(17%). While i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adaptation resources were focused on career barriers and social support, and in adaptive response variables were focused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points ou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research related to career adaptation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Korea, and present suggestions for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 KCI등재

        진로구성 상담에서 내러티브 접근에 대한 탐색적 논의

        김이준(Yi-Jun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career counseling was not to select a specific job, but to pursue harmony between life and work, and to transform meaning making with consideration of various roles and contex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representative career theorie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hilosophy and explored the main concepts, contents, and processes of career counseling in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system theory framework. To this end, I will focus on the cor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system theory framework, the process of applying them to career counseling, and the techniques of counseling through narrative approaches. Based on this, shows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narrative approach of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Also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areer counseling with constructivist worldview in the field of domestic career counseling, and presents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areer program, and discusses what to consider when using a narrative approach to career counseling. 진로가 하나의 ‘일’만이 아니라 삶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역할과 환경의 맥락을 고려한 의미 구축을 도모하는 것으로 변모하면서 개인의 진로구성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Busacca & Rehfuss,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철학에 기반한 대표적인 진로이론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중 진로구성이론(career construction theory)과 체계이론 틀(system theory framework)의 진로상담의 주요 개념과 내용 및 과정을 탐색하였다. 특히 내러티브를 활용한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대표 이론인 진로구성이론과 체계이론 틀의 핵심개념과 특징, 진로상담에의 적용과정 그리고 내러티브 접근을 위한 기법을 살펴봄으로써 구성주의 진로상담이 실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내러티브의 접근이 진로상담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빠른 사회변화와 다양한 내담자들의 확장된 진로 이슈들을 다루어야만 하는 국내 진로상담 분야에서도 구성주의 철학을 담은 진로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새로운 진로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진로상담 영역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위한 구조화된 상담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진로교과목과 진로구성 이론을 중심으로

        강미영(Miyoung Kang),김봉환(Bongw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human life and career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with reference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career course in the university. In the study,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was used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to effectively understand and explain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quality. The questions of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were applied to the entire study, includ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was derived,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such as life career theme, occupational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eaning of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derived as ‘Enlightenment about the existence and possession of the yoke’ ‘Reach the world in language’, ‘Insights again with inward eyes,’ ‘Revelation of Futur Antérieur,’ and ‘The Re-start in Hub.’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be presented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ies of life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urvived have formed their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s through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alking again’. Second,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various interaction activities in the career course and constructed a career ‘By oneself and Together.’ Third, the experience of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eans ‘By oneself, Self-Construction living together.’ This study hopes that this relational inquiry process will be a meaningful help for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is expected that a new understanding of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career education and to transform the atmosphere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대학생인 개별 인간의 삶과 진로구성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내러티브 탐구로 수행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로교과목을 수강했던 대학생 2명과 함께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참조하여 4단계로 수행되었으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해석적 틀로써 진로구성 이론이 활용되었다. 진로구성 인터뷰 질문들은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 등 연구 전반에 적용되었으며, 핵심개념인 생애진로주제, 직업적 성격,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경험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의 의미는 ‘굴레의 존재와 소유에 관한 깨달음’, ‘언어로써 세상에 다다르다’, ‘다시 속눈으로 통찰’, ‘전미래의 현시’, ‘허브에서의 재출발’로 도출되었다.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에 전할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인 연구참여자들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들은 ‘주체적 해석과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해 그들의 진로구성 경험을 형성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진로교과목 수강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에 참여하며 ‘스스로, 더불어’ 진로를 구성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은 ‘스스로, 더불어 살아가는 자기 세움’의 의미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탐구과정이 결과적으로 연구참여자의 삶에 의미 있는 도움이 되기를 소망하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진로교육의 실천을 바르게 하고,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의 공기를 전환시키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유형 연구

        유우경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coming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dult career guidance by analyzing the career design type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it. The participants were seven adults who were working or looking for a job after college, and each of them participated in counseling to solve the problem of career transition. The counselor used six questions of career composition interviews to draw out the small stories of the clients, and they created an biographical grand career story called life portraits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de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co-construction of them. In this counseling, clients became clear about their career path and became convinced that they should pursue their lif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ir life stor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what types of career design in the clients can be classified in this counseling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and the client's change design type was derived as a part of revealing the substantive theory of the change process. As a result, the client types of ‘self-expansion design type’, ‘internal defense design type’ and ‘others consciousness design typ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types facing the career field were discussed in various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benefit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the process wer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include the specific measures for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client’s types, the need for preventive measure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use of storytelling intervention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career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진로 설계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 구성 상담과 성인 진로 지도에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졸업 이후 직장 생활하고 있거나 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7명이다. 이들은 각자 진로 전환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담에 참여하였다. 상담자는 진로 구성 인터뷰의 6가지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들의 작은 스토리들을 이끌어내고, 내담자와 함께 이들을 구성-해체-재구성-공동구성하여 생애 초상화라는 전기적 거대 진로 스토리를 만들어 내었다. 본 상담 과정을 통하여 내담자들은 자기 진로를 명료화하게 되었고 자기 스토리의 주인공으로서의 삶을 추구해야겠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연구 문제는 본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변화 과정을 어떠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로 삼았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변화 과정에 대한 실체적 이론을 밝히는 일환으로 내담자 변화 유형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 확장 설계형’, ‘내적 방어 설계형’, 그리고 ‘타인 의식 설계형’ 3가지의 내담자 유형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현장에서 마주하는 내담자 유형들의 특성을 진로 적응가능성(adaptability) 관점에서 다양하게 논의하였고, 또한 진로 설계 서비스의 유익함과 그 과정에서 반성(reflection)과 성찰(reflexivity)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시사점으로는 내담자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을 위한 구체적 방안, 진로설계 서비스의 예방적인 차원에서 필요성 제기, 그리고 진로 실무에서 반성과 성찰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개입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