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이기법을 융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표현연구 - 조각 기법을 중심으로 -

        김진희(Kim, Jin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본 연구는 객관적 사실의 재현보다 창조 활동으로 이미지를 창출하는 예술적인 분야로 범주가 넓어지고 있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기법의 개발을 위해 시작하였다. 현대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새로운 재료의 사용과 독특한 표현 방법을 통해 예술적인 조형활동으로 변모하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재료로 종이를 선택하여 종이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진행하므로 이를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새로운 기법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종이기법 중 조각기법을 활용하여 장식적이고 예술적 감성을 도모하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작품으로 이행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내용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일반적 고찰과 종이기법 중 조각기법을 조사하고 이를 활용한 작품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모티브는 공작, 나비, 백조로 하여 인체를 접목한 초현실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연구 결과로 입체적 조형 재료로도 가능한 종이의 특성과 종이조각 기법을 통해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표현하므로, 재료 및 기법의 새로운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각기법을 통한 부조적 입체 표현으로 빛에 의한 음영효과를 만들 수 있어 독창적인 조형 세계를 창출하였다. 이는 보는 이에게 풍부한 감성을 주는 미적 표현이 이루어지며 그 예술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재 및 기법의 개발에 있어 고정된 관념에서 벗어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표현영역의 확대를 시도하기 위해 여러 분야와 기술적, 미적 접목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develop the expression technique of fashion illustration, which is expanding into the artistic field of creating images with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the reproduction of objective facts.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is increasing its value by transforming into artistic shaping activities through the use of new materials and unique methods of expression This study is to present this as a new technique of fashion illustration because paper is selected as a form material of fashion illustration and the work is carried out using paper techniques. Therefore, this paper carried out a fashion illustration into work that decorative and artistic sensibility by utilizing sculptural techniques among paper techniques.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based on a general review of fashion illustration and paper sculpture techniques, and the work was carried out using them. The motifs of the work are peacock, butterfly, swan, and human body expressions as well as the surreal image.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and the paper sculpture technique were used to express the fashion illustration and utilization of materials and techniques was presented. The expression through sculptural techniques created a shading effect by light, creating a unique fashion illustration artistic value could be given as emotional aesthetic expression was achiev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hrough various fields and technical and aesthetic contacts to expand the area of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on by breaking away from the fixed idea of materials and techniques.

      • 창작스튜디오 참여 감상교육 사례 분석

        홍예진(Hong, Yeajin),현은령(Hyun, Eunry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바람직한 예술교육과정은 체험, 감상, 창작 활동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시각적 대화기술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예술교육은 순수미술의 표현과 제작의 측면에 편향되어 있는 실정이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작스튜디오를 활용한 감상교육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실행은 미비하다. 창작스튜디오는 미술관과 작가(디자이너)작업실의 중간 단계의 공간이다. 이러한 장소적 특수성은 공교육의 수동적인 예술교육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스튜디오를 포함한 국내 창작스튜디오 참여 감상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시각적 대화기술향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창작스튜디오 참여 감상교육 국내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각적 대화기술의 개념과 수용미학의 성격을 살펴보고 나아가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소로서 창작스튜디오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순수미술의 영역에 편중되었던 우리나라 예술교육의 단점을 극복하고, 나아가 동시대 문화의 현장을 흡수하여 제작하고 있는 디자인을 비롯한 다양한 창작스튜디오 참여 감상교육의 유용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I believe that the desirable process of art education has to be composed with close relation among experiences, appreciation and creative activities, which in total provide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visual art education in South Korea strongly focuses on improving representative technique and expressive skills. Curriculums and guidebooks of public textbook in 2009 proposed and emphasized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pplied with artist residency studio participation. However, its implementation has been not often used to the field of education. Artist residency is a mediator space between a museum and an artist(designer). This specific characteristic of the space, art residency, will make up for the defaults of present public art education, for example, a student’s passive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art class. This research emphasiz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visual dialogue technique based on many case studies analysis, related to programs from artist residency. Before conducting this research, I analyzed diverse domestic and foreign cases about previous researches, such as the reality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 in artist residency studio. Also, the research closely looked at the notion of visual dialogue techniqu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ceptance of aesthetics and proposed the application of artist residency programs to improve a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visual art class. As a result, this research tri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visual art education in South Korea, which focuses on fine art and drawing technique. This study also proposed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n aesthetic appreciation education in artist residency studio.

      • KCI등재

        아도르노의 기술 개념에서 본 디지털 시대의 예술

        유현주 ( Yu Hyunj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9 예술과 미디어 Vol.18 No.2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기술 개념을 통해 기술산업화된 사회에서의 예술의 미적 가상의 문제를 다룬다. 아도르노는 상품이 제2의 자연이 된 사회에서 문화산업적 기술에 의해 물화된 의식을 예술이 일깨우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즉 사회의 생산력에 따라 오늘날 자동화된 사회에서 인간의 의식을 점차 더 물화시키는 방향으로 가는 데 반해 예술적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미적 가상은 그러한 사회의 허위 이데올로기를 부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본고는 현재 알고리즘으로 자동화 되어가는 사회를 분석한 스티글러의 저서 ‘자동화 사회’에서 다루는 물화된 사회의 부정적 측면들을 죽음의 파르마콘으로 바라보고, 이것의 해독제로서 아도르노의 예술적 기술을 치유의 파르마콘으로 대비해서 독해하고자 한다. 아도르노가 바라본 영화는 산업적 기술과 예술적 기술의 혼종으로서 오늘날 디지털 예술의 예고편을 이룬다. 아도르노가 영화에서 몽타주를 통해 사회의 현실을 리얼리즘화하는 현실의 지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면, 디지털 시대의 예술가들은 아도르노가 탈예술화가 될 우려가 있다고 경계했던 물신화된 이미지들을 포스트프로덕션의 몽타주 제작방식을 통해 예술적 전용으로 몽타주화 한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디지털 영상의 예술가 슈타이얼의 작업들은 바로 그러한 현대적 몽타주 제작방식으로 아도르노가 말하고자 한 예술의 비판기능을 발휘함으로써 물화된 사회의 실체를 드러내는 미적 가상을 구현한다. 예술의 물적 조건은 변화되었지만 궁극적으로 아도르노가 말하는 현실 사회에 대한 비동일적인 사유를 내재한 미적 가상은 예술적 기술을 통해 지속되리라고 여겨진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esthetic imaginary problem of art in a technologically industrialized society through the technique concept of Adorno. Adorno believes that in a society where commodities have become a second nature, art serves as a wake-up call for rituals imbued with cultural and industrial technology. In other words, aesthetic illusion,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artistic technology, can play a role in breaking the false ideology of such a society, whereas it is increasingly going to make human consciousness Verdinglichung in today's automated society according to the productive forces of society. In Bernard Stiegler’s book, "Societe automatique" which analyzes society currently being automated by algorithms, we could compare the negative aspects of the reified society as a deadly pharmakon of death with as an antidote to the art of Adorno as the pharmakon of healing. The film that Adorno has seen is a hybrid of industrial and artistic technology, which makes a preview of digital art today. If Adorno saw in the movie that he could deviate from the real world's index of society through montage, artists of the digital age would montage the fetishzed images which, Adorno feared, could fall into Entkunstung, using post-production methods. The works of Hito Steyerl, an artist of representative digital images of this era, embodies the aesthetic assumption that reveals the substance of a colored society by exercising the critical function of an art that Adorno is trying to say in such a modern way of montage. Although the material conditions of art have changed, it is ultimately believed that aesthetic fiction, which embodies what Adorno calls an non-identitical thinking against the real world, will continue through artistic technique.

      • KCI등재

        아도르노의 고통의 미학에서 바라본 현대예술에서의 폭력의 이미지

        유현주 ( Hyun Ju Yu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1

        Toda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advance in technological media of art brought out the crisis of art that is called ``the loss of aura``. However in Adorno`s perspective, actual crisis of art in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consists in ``false aura`` from media of industrial technique, rather than in the loss of aura, which induct human thinking into reification and an ideology. In addition, TV, radio, movie, advertisement etc, these media of culture industry cause the violence of image through a kind of plugging effect of advertisement to which makes the public like baby accustom, as well as ``false aura``. In some ways repetitive and violent images in advertisement and movie resemble ones in modern art. Therefore in comparison with violence of image in media of culture industry, the question is raised that in what sense we could distinguish it with image of violence as ugliness and absurdity in modern art. In other words, we can ask image in art how it is free from ideology and reification unlike one in culture industry. According to Adorno, it could be elucidated in terms of artistic technique which is definitely differentiated from industrial technique. Artistic technique conquers nature, as material of art, however, unlike industrial technique, by having a characteristics of ``purposeless purposiveness`` which is free from actual purpose of reality, thereby it has rather a reflective function to criticize the control of nature. As it were, genuine art can give aesthetical criticism on instrumental trait of industrial technique and thereby images of reification. Accordingly, on the basis of Adorno`s aesthetics, the image of the ugliness and violence in modern art can be elucidated that it is just an aesthetical expression of the pain which shockingly let us know that present capitalistic society is not true nature, but second nature. Therefore we can recall ``nature and the beauty of nature(Naturschonen)`` through modern artworks of Picasso, Klee and Warhol, and also read an image of the oppression of ``the nonidentical`` and ``the other`` in them as ``an image of violence``, not as ``a violence of image``. Finally, those images of violence should be explained as yearning for the recovery and the healing of human inner nature as well as ``overcoming reification through reification``.

      • KCI등재

        하마다 쇼지의 작풍 변천의 재고 - 조선도자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배수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19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7 No.-

        This paper examines the well-known an artist of the Mingei(folk crafts) Hamada Shōji’s works and rethinks his style considering the influencing relation with Korean Ceramics.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his works style in UK, Okinawa, and Mashiko where he actually did his Mingei works. However, there is les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Ceramics (especially Buncheong ware), which seems has influences on the Form(shape), decoration(design), and techniques. Ever since Hamada’s first visit to Korea in 1918, he made works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Korean Ceramics in the shape such as flask and the painted iron and brushed slip technique throughout his life. He involved the Mingei Movement with Yanagi Muneyoshi and collected Korean Ceramics. In this paper, I focused on his style changing by periods in three aspects: Form(shape), decoration(design), and technique. Regarding the decoration, this paper examines Hamada’s trademark sugarcane design, and divide this into five periods: Early design, late design, groping and experiment, complete, and liberation period. This paper also tr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amada’s works and Korean Ceramic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Hamada’s Korean Ceramic selection in the Shoji Hamada Memorial Mashiko-Sankokan Museum and Yanagi’s collection in the Japan Folks Crafts Museum. Hamada’s works style changes in 1936~38 and his works changed noticeably influenced by Korean Ceramics. Korean ceramics influenced not only his style but his ideology on the Mingei. The liberal and nonobjective expression of his ceramics manufactured in the last ‘liberation period’ are the parallel of ‘glass and flower design of Korean Ceramics.’ Conclusively Korean Ceramic is not the only source of this works but it took an essential role in his works.

      • KCI등재

        중국 현대 도예 예술 작품의 형태적 표현 기법과 공예 연구

        김진비 ( Jin Zhenfei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본 연구는 중국 현대 도자기 예술에서의 형태적 표현 기법과 공예 특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논문은 먼저 구상, 추상, 탈구조주의 및 미니멀리즘 등 주요 표현 형식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예술 작품과 예술가를 분석하여 이러한 표현 형식의 특성과 영향을 드러냈다. 다음으로, 본문은 도자기 재료의 활용과 가마에서 구워질 때의 기술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도자기 재료 선택을 분석하고, 이러한 재료가 어떻게 작품의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였다. 또한, 작품의 형태와 질감이 어떻게 가마에서 구워질 때의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중국현대 도자기 예술의 혁신성과 다양성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며, 그것이 어떻게 독특한 형태 표현과 공예 기법을 통해 깊이 있는 예술적 사고와 사회문화적 함축을 전달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odeling expressions and craft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Chinese ceramic art. Initially, the paper introduces primary forms of expression, such as figurative, abstract, deconstructive, and minimalist, revealing their unique features and influences through analysis of representative artworks and artists. Subsequently, the application of ceramic materials and firing techniques are thoroughly investigated. Choices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ceramic materials, and how these materials impact the portrayal of artworks are analyzed. Concurrently, the discussion extends to how firing methods determine the form and texture of the pieces. Through such comprehensive scrutiny,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innovation and diversity in contemporary Chinese ceramic art, and how it conveys profound artistic concepts and socio-cultural connotations through unique modeling expressions and craft techniques.

      • KCI등재

        이문열 소설『금시조』의 ‘文字香 書卷氣’ 미학 고찰 - 기예적 예술관과의 갈등 및 포용을 중심으로 -

        한용화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5 No.-

        본고는 이문열의 소설 『금시조』에서 강조한 ‘문자향 서권기(文字香 書卷氣)’의 미학 정신을 고찰하였다. 『금시조』는 국내 소설 중에서 전통 서화(書畵)의 ‘문자향 서권기’ 사유(思惟)를 다룬 소설로 유일하다. 이문열은 문자향 서권기 예술관과 기예(技藝)적 예술관을 대립시켜 진정한 예술정신이 무엇인지를 독자에게 물었다. 이는 좀 더 유연한 예술관을 갖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본고에서 『금시조』를 분석한 내용의 첫 번째는 스승 석담(石潭)이 중시하는 ‘문자향 서권기’에 관한 내용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 제자 고죽(孤竹)의 기예(技藝)적 예술관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로 상호간의 예술관을 수용하고 포용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금시조』에서 전달하고자 한 예술정신이 학식과 인품을 담은 미학인가, 아니면 타고난 재능과 미의 추구인가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의도는 상호 예술관을 이해하고 포용하면서 보다 넓은 미학적 안목을 키워보고자 하는 데 있다.

      • KCI등재

        실험애니메이션에서 하이테크놀로지 활용의 전개 및 특징 연구

        손국환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1 No.-

        Animation is not only included in art, but also encompasses a variety of fields from humanities to technology. In particular, experimental animation has developed its symbolic meaning and aesthetic value through experiments with various technologies. This study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animation and high technology based on computer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animation and high technology, current high technology and previous low technology, and commercial animation and experimental animation were compared. Experimental animation accompanies an experimental approach to techniques, and experimental works using specific functions and techniques of high technology appear from the works of early artists. They directly develop or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and they try new things through mixing with low technology.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is development process are synthesized into three. First, the tendency to mix and use low technology and high technology, secon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experimental animation due to the programmed process of high 애니메이션은 예술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인문학에서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실험애니메이션은 상징적 의미와 미학 적 가치를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실험을 통해 발전시켜왔다. 본 연구는 실험 애니메이션과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는 하이테크놀로지(High Technology) 의 전개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실험애니메이션과 하이테크놀로 지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현제의 하이테크놀로지와 이전의 로우테크놀로 지(Low Technology), 그리고 상업애니메이션과 실험애니메이션을 비교하 였다. 실험애니메이션은 기법에 대한 실험적 접근을 동반하고 초기 작가들 의 작품부터 하이테크놀로지의 특정 기능과 기법을 활용한 실험적인 작품 들이 나타난다. 하이테크놀로지를 직접 개발하거나 개발에 참여하기도하고 로우테크놀로지와의 혼용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세 가지로 종합된다. 첫째, 로우테크놀로지와 하 이테크놀로지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향, 둘째, 하이테크놀로지의 프로그 래밍 된 프로세스로 인한 실험애니메이션 개념의 확장, 셋째, 작가의 하이 테크놀로지 개발 참여와 협업이다. 이들은 모두 창작자의 모험정신을 바탕 으로 하여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가치와 실험정신을 고취시키고 사고의 전 환과 기법의 확장을 통해 보다 넓은 개념으로 애니메이션 창작에 다가갈 수 있는 사례들을 보여준다.

      • KCI등재

        肌理技法在当代工笔花鸟画创作中的艺术表现

        손결 ( Sun Jie ),( Wu Qi Ta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6 No.-

        당대(當代)의 다원화된 사회문화 환경 속에서 공필화조화 화가들의 심미(審美)방식과 감정의정은 이전에 비해 비교적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화가들로 하여금 창작과정에 끊임없이 노력하여 새로운 예술표현 언어를 탐색하게 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심미적 요구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살결(肌理) 표현형식이 당대 공필화조화가와 관중들에 의해 접수되고 감상, 심지어 추앙되고 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당대 공필화조화는 풍부하고 넓은 전통예술을 기초로 기타 회화의 종류에서 살결(肌理)기법의 운용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당대 공필화조화가 전통회화 이념과 판이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도록 힘쓰고 있다. 현재의 공필화조화 분야에서 전통적인 회화방식은 이미 유일한 선택이 아니다. 당대(當代) 공필화가들은 다양한 각도에서 예술적인 표현을 끊임없이 탐구하였다. 공필화조화는 살결(肌理) 기법에 대한 탐색과 실천이 풍격이 되었으며 또한 일부 예술가들의 독특한 예술풍격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살결(肌理) 기법 자체의 다변성과 풍부성은 끊임없이 전통 그림의 한계를 타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공필화조화 절차화한 기법과 당대(當代) 공필화조화의 살결(肌理) 기법을 비교한다. 그리고 살결(肌理) 기법이 당대(當代)의 공필화조화에서 성행하게 된 배경, 원인, 존재의 다양성 및 산생된 문제 결합하여 종합 4개 부분으로 이 기법에 당대(當代) 공필화조화에서 생긴 예술적 표현에 대한 상세한 논술한다. 1. 우선 살결(肌理) 기법의 개념, 분류 그리고 예술적 표현가치 등을 통해 화면 속에 살결(肌理)에 대해 과학적인 설명을 상세하게 하였다. 그다음 살결(肌理) 기법이 역대의 공필화조화에서 운용된 것을 설명하였다. 2. 살결(肌理) 기법이 당대 공필화조화에서 나타난 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회화분야의 살결(肌理) 기법의 창작을 종이의 제작, 특수도구의 사용 및 특수 재료의 응용 등 세 가지 층면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실례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3. 살결(肌理) 기법이 공필화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거기에 존재하는 문제를 찾아내려 시도하였으며 살결(肌理) 기법은 다만 회화표현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공필화조화 자체의 본질적인 특징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4. 창작실천에 결합하여 당대(當代) 공필화조화에서의 창작의 시사점을 천명하였다.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a wide range of social and cultural, the aesthetic approach and emotional identification with the past of fine brushwork bird have undergone great changes. These changes led directly to the painters in the creation of ongoing efforts to explore new artistic expression language to meet the aesthetic needs of contemporary people. Therefore, the texture of the manifestations of contemporary fine brushwork bird house and the audience to accept and appreciate, even highly regarded is no accident. Contemporary fine brushwork bird traditional rich folk art foundation, and actively absorb the essence of the use of other disciplines of painting on the texture techniques contemporary fine brushwork bird strive to make the show a new face of the very different concept of traditional painting. Today's fine brushwork bird community, the traditional way of painting no longer the only option. Contemporary Meticulous home are continuing to pursue a multi-angle form of artistic expression, texture techniques to explore and practice the fine brushwork bird has become a painting fashion, shaping the success of some of the artists unique artistic style, texture technique variability and richness to break through the shackles of the traditional picture. In this paper, a comparison of the use of traditional fine brushwork bird and contemporary fine brushwork bird texture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background texture techniques prevalent in the contemporary fine brushwork bird reasons, the existence of diversity and the problems arising from consolidated into four parts to this techniqueartistic expression in contemporary fine brushwork bird discussed in detail: The first part of the texture in the screen in a scientific and detailed interpretation. Secondly, it describes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texture techniques in the production of fine brushwork bird. The second part, the specific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texture techniques contemporary fine brushwork bird, and the creation of texture in this field of painting techniques into the production of paper, the use of special tools and special materialsaspects of the detailed examples and research. And fully demonstrated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texture technique in fine brushwork bird. The third part of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texture techniques for fine brushwork bird, and trying to figure out the existing problems, pointed out that the texture creation is just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means of not losing the quality of fine brushwork bird style. Part IV, combined with their own creative practice, and illustrates the creative inspiration in the fine brushwork bird.

      • KCI등재

        인문학적 상상력과 서사전략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재인식

        이상호 ( Sang Ho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6

        This thesis is a Study with regard to the Nonsense-Poem Theory of the poet, Kim Choon-Soo. Although many studies had been ever established hitherto about Nonsense-Poem Theory,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 things to clearly grasp the identity. Its basic reason is because Nonsense-Poem Theory contains diverse theories and concepts therein. Likewise, the perceptional confusion with reference to Nonsense also influenced so. Especially, the contradictory point that unable to place as an equ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em consisted of the language which accompanying a concept and Nonsense-Poem let the debaters become ensnared into the confusion. This thesis has begun from such interest about this matter and also has been clarified the identity of Kim Choon-Soo`s Nonsense-Poem Theory. The summarized result is as the followings: Nonsense-Poem Theory originates from a despair against a notion. Particularly, the cognition about the falsity of ready-made idea let it finds the excluding method of the notion from the poem. Therefore, Nonsense regards the ready-made idea as ridiculous, and it is quite connected with the poet`s volition that willing to destroy it. And, the ultimate purpose is a thing to reach a new and true world. If this is the ideological concept of Nonsense, its technique is shown various appearances such as Substance-centered Form focusing on the language and image, Free Association Test, Automatism, Anti-Novel Technique, and so on. As these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ays that reproducing mainly the external object, these keep the characteristics transcending the external logic, by means of pursue the psychological thing. Namely, by insolently juxtapose them, at ostensible aspect the unity is not exposing form. Such technique is a kind of poetic skill such as ``Making as Unfamiliar``, and there is also the formalized significance of the philosophical doubt that intend to approach the world and the truth of existence. A poem-like poem, rather than a mere meaning-conveyance, is sublimating to an artistic dimension, and it signifies that let the reader appreciates an aesthetic experience [Esthetisches Erlebnis]. Accordingly. in view of Kim Choon-Soo`s Nonsense-Poem Theory is the fruition born from an artistic consciousness that willing to raise the poetic stature in an artistic dimension, it could be highly 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